창의인성교육 실천을 통해 행복학교를 만들어가는 전국의 우수 학교 사례를 소개합니다.
● 주제 개요
2013년 ‘세계 물 협력의 해(International Year of Water Cooperation)'를 지정한 이후로 UN은 매년 3월 22일을 ’세계 물의 날‘로 지정하여 다양한 행사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이는 인구와 경제 활동의 증가로 수질이 오염되고 전 세계적으로 먹는 물이 부족해짐에 따라 물의 소중함과 중요성에 대해 널리 알리고 물 부족 문제로 고통받는 나라에 관한 관심과 개선을 촉구하는 노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는 국제적 차원에서의 기술 협력 및 도움 없이는 해결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올해 ‘세계 물의 날’ 주제는 ‘누구도 소외되지 않게(Leaving No One Behind)’로, 가난·인종·성별·종교·지역에 따라 누구도 소외당하지 않고 안전하고 깨끗한 물을 누릴 수 있는 세상을 만들어가자는 취지가 담겨 있습니다. 이러한 내용은 우리나라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도 찾아볼 수 있습니다. 4학년 과학 ‘물의 여행’ 단원을 보면 물의 순환과 세계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는 물 부족 현상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물은 우리가 살아가기 위해 꼭 필요한 것이기에 학생들이 물의 소중함을 알고, 물에 대해 통합적으로 이해하며, 물과 관련한 쟁점을 인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임을 확인할 수 있는 대목입니다.

(출처 : 이미지 투데이 http://www.imagetoday.co.kr)
세계의 물 부족 문제는 국제적인 협력과 도움이 필요한 문제이므로,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세계 물 부족 현상의 실태와 기술의 분배, 협력 차원에서 선진국의 세계 물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을 알아보고 시사점을 도출하여 문제 해결에 동참하도록 하는 프로그램 개발을 연구주제로 선정하였습니다.
지구 곳곳에서 발생하는 물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한 교육, 기술개발 등의 노력으로 특히 스위스의 사례를 중점적으로 살펴보고자 합니다. 스위스는 ‘유럽의 물의 성’이라고 불릴 만큼 풍부한 수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나라입니다. 1,484개의 호수, 120여 개의 빙하, 셀 수 없이 많은 폭포, 길이가 수천 킬로미터에 이르는 하천을 자랑하며, 큰 바다로 흘러 들어가는 유럽 4대 강의 발원지이기도 합니다.
중요한 점은 스위스 국민이 이 귀중한 자원을 가꾸고 깨끗하게 보존하기 위해 큰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물에 관한 이러한 인식이 관련 기술 개발은 물론 교육 프로그램의 연구와 적용으로도 확장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이런 점에서 세계의 물 부족 문제 해결과 관련한 스위스의 노력에 대해 살펴보는 것은 학생들에게 큰 의미가 있을 것입니다.
본 프로그램에서는 학생들의 물의 소중함과 필요성을 알아보고, 지구 곳곳에서 발생하는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과학·기술·공학·예술의 적용 사례, 적정 기술의 적용 사례 등을 조사함으로써 학생들이 과학과 기술의 필요성을 인식하도록 하고자 합니다. 또한, 학생들이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적정기술을 이해하고 구현해봄으로써 창의적인 문제해결력을 기를 기회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출처 : 이미지 투데이 http://www.imagetoday.co.kr)
● 학습 목표
- 물의 소중함을 알고 세계의 물 부족 현상을 파악할 수 있다.
- 물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과학·기술·공학·예술적 설계의 예를 찾아봄으로써 적용한 과학적 원리를 탐색할 수 있다.
- 물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창의적인 기술을 고안하면서 의사소통 능력과 과학적 문제해결력을 기를 수 있다.
- 우리 생활에서 물 부족 현상을 해결하는 방법을 알고 실천할 수 있다.
● 과목 요소
- 세계의 물 부족 현상 알기, 물 부족 현상에 관한 과학적 해결방법 토의하기
- 물 부족 문제 해결의 필요성을 느끼고 문제 해결 방법 실천하기
- 물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한 적정기술 살펴보고 그 원리 알아보기
- 피지컬 컴퓨팅으로 적정기술 구현해보기
- 물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한 적정기술 제품 디자인 및 만들기
- 통계자료를 보고 세계의 물 부족 현상 파악하기
● 학습 준거
- 상황 제시
- - 다양한 자료를 통해 물 부족 현상의 심각성 인식하기
- - 통계자료를 통해 물 부족 문제 확인하기
- - 우리나라와 물 부족 국가 물 사용 비교하기
- - 물 부족 현상의 원인 파악하기
- - 세계 여러 나라의 물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 알아보기
- 창의적 설계
- - 다양한 적정기술 사례를 찾아보고 과학적 원리 탐색하기
- -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적정기술 구현해보기
- - 물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한 적정기술 제품 창의적으로 디자인하고 만들어보기
- 감성적 체험
- - 적정기술 제품을 디자인하며 느낀 점 공유하기
- - 물 부족 국가를 돕는 방법 생각해 보기
- - 물 부족 국가를 돕는 캠페인 참여하기

(출처 : 이미지 투데이 http://www.imagetoday.co.kr)
교육과정 성취기준
과목 | 교수·학습 활동 |
---|---|
과학 | [4과17-02] 물의 중요성을 알고 물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창의적 방법을 활용한 사례를 조사할 수 있다. |
실과 | [6실04-08] 절차적 사고에 의한 문제 해결의 순서를 생각하고 적용한다. |
미술 | [6미02-02] 다양한 발상 방법으로 아이디어를 발전시킬 수 있다. |
[6미02-03]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아이디어와 관련한 표현 내용을 구체화할 수 있다. |
|
수학 | [6수05-04] 자료를 수집, 분류, 정리하여 목적에 맞는 그래프로 나타내고, 그래프를 해석할 수 있다. |
사회 | [6사07-02] 여러 시각 및 공간 자료를 활용하여 세계 주요 대륙과 대양의 위치 및 범위, 대륙별 주요 나라의 위치와 영토의 특징을 탐색한다. |
[6사08-06] 지속 가능한 미래를 건설하기 위한 과제(친환경적 생산과 소비 방식 확산, 빈곤과 기아 퇴치, 문화적 편견과 차별 해소 등)를 조사하고, 세계시민으로서 이에 적극 참여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
차시 별 계획 총괄표
S: Science 과학T: Technology 기술E: Engineering 공학A: Art 예술M: Math 수학
Co : 상황 제시(Co Context Presentation) CD : 창의적 설계(Creative Design) ET : 감성적 체험(Emotional Touch)
차시 | 주제 | 교수·학습 활동 | 학습자료 및 유의점 | 중점 교과 |
---|---|---|---|---|
1~2 | 세계의물 부족 현상을파악하고, 물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 살펴보기 | SM Co 다양한 자료를 통해 물 부족 현상의 심각성 인식하기 Co 통계자료를 통해 물 부족 문제 확인하기 Co 우리나라와 물 부족 국가 물 사용 비교하기 |
・동영상 자료 “[유니세프 이슈] 세계 물의 날 – 에티오피아에 사는 아이샤의 하루” ・물 부족 국가 지도 ・학생 활동지 |
과학 수학 |
SS CD물 부족 현상의 원인 파악하기 |
・생각 그물(Mind map) | 과학 사회 |
||
STE CD물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한 노력 알아보기 |
・태블릿 PC ・도화지, 색연필, 사인펜 등 |
과학 기술 공학 |
||
E ET느낀 점 발표하기 |
・자유롭게 생각하거나 느낀 점을 발표하도록 한다. | 과학 | ||
3~5 | 물 부족 현상을 해결할 수 있는 적정기술 구현하고 제품 만들기 | SM Co 다양한 적정기술 사례를 찾아보고 과학적 원리 탐색하기 |
・학생 활동지 | 과학 사회 수학 |
ST CD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적정기술 구현해보기 |
・노트북, 비트 브릭, 우드락, 테이프 등 | 과학 | ||
STEA CD 물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한 적정기술 제품 창의적으로 디자인하고 만들어보기 |
・정필터, 주사기, 테이프, 글루건 등 ・필터의 종류를 다양화하여 어떤 재료가 가장 효과적일지 토의해보도록 한다. ・각 조별로 충분한 토의를 하고, 서로 협력하여 작품을 완성한다. |
과학 기술 공학 미술 |
||
S CD 발표 및 평가하기 |
・다른 조의 발표를 경청하고 명확한 평가 관점에 따른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 과학 | ||
6~7 | 물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기 | TE Co 완성한 적정기술 제품 개선하기 Co 적정기술 제품을 만들며 느낀 점 공유하기 |
・상호 평가지 | 기술 공학 |
S CD 물 부족 국가를 돕는 방법 생각해 보기 |
・포스트잇 ・물 부족 국가를 도울 수 있는 다양하고 실천 가능한 방법을 자유롭게 떠올리도록 한다. |
과학 사회 |
||
SA CD 물 부족 국가를 돕는 캠페인 참여하기 |
・교실 밖 또는 시수 확보가 필요한 활동의 경우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해 다른 교과와 연계하여 진행할 수 있다. | 과학 미술 |
||
S ET 프로젝트 마무리 하기 - 활동 소감 발표 및 공유하기 |
- | 과학 |
차시 별 교수학습과정
1~2차시
학습과정 | 교수·학습 활동 | 학습자료 및 유의점 | 교사 자료 |
---|---|---|---|
관련성취기준 | [4과17-01] 물이 이동하거나 상태가 변하면서 순환하는 과정을 생명체, 지표면, 공기 사이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현상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4과17-02] 물의 중요성을 알고 물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창의적 방법을 활용한 사례를 조사할 수 있다. [6미02-02] 다양한 발상 방법으로 아이디어를 발전시킬 수 있다. [6국03-02] 목적이나 주제에 따라 알맞은 내용과 매체를 선정하여 글을 쓴다. [4사04-06] 우리 사회에 다양한 문화가 확산하면서 생기는 문제(편견, 차별 등)및 해결 방안을 탐구하고, 다른 문화를 존중하는 태도를 기른다. |
||
학습 목표 | 1. 세계의 물 부족 문제를 알고 관련한 내용을 정리할 수 있다. 2. 물 부족 문제의 해결 사례를 알아보고 이를 발표할 수 있다. |
||
도입 (15분) |
SM Co 다양한 자료를 통해 물 부족 현상의 심각성 인식하기 - “에티오피아에 사는 아이샤의 하루” 영상 보기 Co 통계자료를 통해 물 부족 문제 확인하기 - 나의 평소 물 사용 습관 돌아보기 |
・동영상자료 “[유니세프이슈] 세계 물의 날 – 에티오피아에 사는 아이샤의 하루” http://www.youtube.com/watch?v=hflwUbGsGWw ・물 부족 국가 지도 (출처: 나무위키, “물 부족 국가”) ・학생 활동지 |
・관련 신문 기사 및 도서 ・동기유발 참고 영상 https://youtu.be/9OzZi3FFedU |
전개 (55분) |
ST Co 물 부족 현상의 원인 파악하기 - 기후 및 자연 환경적 요인 파악하기 STE |
・생각그물(Mind map) ・태블릿 PC ・도화지, 색연필, 사인펜 등 |
- |
정리 (10분) |
S ET 느낀 점 발표하기 - 물 부족 현상의 문제점 |
・자유로운 대화를 통해 학습 내용을 내면화 하고 학 습 상태를 점검하도록 한다. | - |
(출처 : 유튜브 유니세프 코리아 http://www.youtube.com/watch?v=hflwUbGsGWw)
(출처 : 유튜브 제듑스튜 http://www.youtube.com/watch?v=9OzZi3FFedU)
3~5차시
학습과정 | 교수·학습 활동 | 학습자료 및 유의점 | 교사 자료 |
---|---|---|---|
관련성취기준 | [4수05-03] 여러 가지 자료를 수집, 분류, 정리하여 자료의 특성에 맞는 그래프로 나타내고, 그래프를 해석할 수 있다. [4과17-02] 물의 중요성을 알고 물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창의적 방법을 활용한 사례를 조사할 수 있다. [6미03-04] 다양한 감상 방법(비교 또는 단독 감상, 내용 또는 형식 감상 등)을 알고 활용할 수 있다. [6미01-04] 이미지를 활용하여 자신의 느낌과 생각을 전달할 수 있다. [6국01-05] 매체 자료를 활용하여 내용을 효과적으로 발표한다. [4사03-06] 주민 참여를 통해 지역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살펴보고, 지역 문제의 해결에 참여하는 태도를 기른다. [6실05-04] 다양한 재료를 활용하여 창의적인 제품을 구상하고 제작한다. |
||
학습 목표 | 1. 물 관련 적정기술을 알아보고 과학적 원리를 이해할 수 있다. 2.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적정기술을 구현하고 만들 수 있다. 3. 적정기술 제품을 소개하고 이를 평가할 수 있다. |
||
도입 (20분) |
SM Co 다양한 적정기술 사례를 찾아보고 과학적 원리 탐색하기 - 세계 여러 나라의 물 관련 적정기술 알아보기 |
・학생 활동지 | ・물 관련 적정기술 사례 |
전개 (90분) |
ST CD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적정기술 구현해보기 - Blue Diversion Toilet의 원리 떠올리기 Blue toilet 만들기 프로그램 |
・노트북, 비트브릭, 우드락, 테이프 등 | - |
STEA CD 물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한 적정기술 제품 창의적으로 디자인하고 만들어보기
준비물 완성품 |
・정수필터, 주사기, 테이프, 글루건 등 ・필터의 종류를 다양화하여 어떤 재료가 가장 효과적일지 토의해보도록 한다. ・각 조별로 충분한 토의를 하고, 서로 협력하여 작품을 완성한다. |
||
정리 (10분) |
S ET 발표 및 평가하기 - 각 조별로 적정기술 제품 발표하기 |
・상호평가지 ・다른 조의 발표를 경청하고 명확한 평가 관점에 따른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
- |
6~7차시
학습과정 | 교수·학습 활동 | 학습자료 및 유의점 | 교사 자료 |
---|---|---|---|
관련성취기준 | [4과17-02] 물의 중요성을 알고 물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창의적 방법을 활용한 사례를 조사할 수 있다. [6과17-01] 생물이 살아가거나 기계를 움직이는 데 에너지가 필요함을 알고, 이때 이용하는 에너지의 형태를 조사할 수 있다. [6미02-02] 다양한 발상 방법으로 아이디어를 발전시킬 수 있다. [4도04-01] 생명의 소중함을 이해하고 인간 생명과 환경 문제에 관심을 가지며 인간 생명과 자연을 보호하려는 태도를 가진다. [6도03-04] 세계화 시대에 인류가 겪고 있는 문제와 그 원인을 토론을 통해 알아보고,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를 가지고 실천한다. [4사04-06] 우리 사회에 다양한 문화가 확산되면서 생기는 문제(편견, 차별 등)및 해결 방안을 탐구하고, 다른 문화를 존중하는 태도를 기른다. |
||
학습 목표 | 1.적정기술 제품을 만들며 느낀 점을 공유할 수 있다. 2.물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한 활동에 참여할 수 있다. |
||
도입 (10분) |
TE Co 완성한 적정기술 제품 개선하기 - 다른 조의 의견을 듣고 우리 조의 적정기술 제품에서 개선하고 싶은 점 생각하기 Co 적정기술 제품을 만들며 느낀 점 공유하기 |
・상호평가지(3~5차시용) | ・참고영상 https://youtu.be/sxP5HyE6Uj0 |
전개 (60분) |
S CD 물 부족 국가를 돕는 방법 생각해 보기 - 물 부족 국가를 도울 수 있는 다양한 방법 떠올리기 |
・포스트잇 ・물 부족 국가를 도울 수 있는 다양하고 실천 가능한 방법을 자유롭게 떠올리도록 한다 |
- |
SA CD 물 부족 국가를 돕는 캠페인 참여하기 예시) |
・교실 밖 또는 식수 확보가 필요한 활동의 경우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해 다른 교과와 연계하여 진행할 수 있다. | ・라이프스트로우 “Give back” 프로그램 https://youtu.be/as0tZxByp5A |
|
정리 (10분) |
S ET 프로젝트 마무리 하기 - 활동 소감 발표 및 공유하기 |
- | - |
(출처 : 유튜브 제듑스튜 http://youtu.be/sxP5HyE6Uj0)
(출처 : 유튜브 LifeStraw http://www.youtube.com/watch?v=as0tZxByp5A)
평가 계획
영역 | 평가요소 | 평가기준 | 평가 방법 | 점수 | 점수 활용 |
---|---|---|---|---|---|
창의 | 문제 해결력 |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적정기술을 잘 구현하였다. | 교사 관찰 평가 | 점 | 산출물 점수 |
창의적 사고 |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적정기술 제품 제작에 창의성을 발휘하였다 | 교사 관찰 평가 | 점 | 산출물 점수 |
|
창의적 사고 |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적정기술 제품 제작에 창의성을 발휘하였다 | 동료 평가 | 점 | 산출물 점수 |
|
소통 | 언어적 소통 | 적정기술 제품의 특징이 잘 드러나게 설명하였다. | 교사 관찰 평가 | 점 | 과정 평가 점수 |
언어적 소통 | 적정기술 제품을 만들며 느낀 점을 논리적으로 표현하였다. | 모둠 외 동료평가 | 점 | 과정 평가 점수 |
|
언어적 소통 | 아이디어 도출 협의에 의견을 잘 말하고 수용하였다. | 모둠 내 동료평가 | 정의적 | 과정 평가 점수 |
|
협력적 참여 | 모둠 활동에서 동료들과 협력하여 산출물을 제작하였다. | 교사 관찰 평가 | 정의적 | 참여도 점수 |
|
협력적 참여 | 모둠 활동에서 동료들과 협력하여 산출물을 제작하였다. | 모둠 내 동료평가 | 정의적 | 참여도 점수 |
|
융합 | 융합적 사고력 | 과학과 기술의 지식을 융합하여 아이디어를 내었다. | 교사의 구술 평가 | 점 | 과정 평가 점수 |
지식의 이해도 | 물 부족 문제의 원인과 해결 방법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 | 교사의 지필 평가 | 점 | 보고서 점수 |
|
지식의 이해도 | 물 관련 적정기술의 과학적 원리를 이해하고있다. | 교사의 관찰 평가 | 점 | 보고서 점수 |
|
배려 | 타인에 대한 배려 | 다른 사람의 아이디어나 의견을 존중하였다. | 모둠 내 동료평가 | 정의적 | 교사 평가 보조 |
스팀 흥미도 | 적정기술 구현 및 제품 제작 활동에 높은 흥미를 보였다. | 교사 관찰 평가 | 정의적 | 교사 평가 보조 |
|
수업 참여도 | 프로젝트 수업 활동에 적극 참여하였다. | 자기 평가 | 정의적 | 참여도 점수 |
|
합계 | 점 | - |
이상의 본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이 물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적정기술을 이해하고 구현해봄으로써 창의적인 문제해결력을 가지게 되기를 바랍니다.
◈ 참고자료
- 융합인재교육(STEAM) 우수교원 해외연수. 2019 STEAM에 날개를 달다. 통합편 / 초등
- 유튜브 유니세프 코리아 http://www.youtube.com/watch?v=Xz_bvibGgiw
- 유튜브 제듑스튜 http://www.youtube.com/channel/UCp_ojyX2irPziOwYS5ZgHQg
- 유튜브 LifeStraw http://www.youtube.com/watch?v=as0tZxByp5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