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로그인을 해주세요

크레존 크레커 신청

크레커 신청을 하시면 담당자 검토 및 승인 후 자원 및 프로그램을 직접 등록하실 수 있습니다.

창의적 체험활동 자원/프로그램 등록 안내 바로가기

*필수입력사항

개인정보 수집 동의 *
성명
아이디
* ※연락 가능한 전화번호를 등록 해 주세요. ※숫자만 입력 해 주세요. ex)01012345678
이메일 *
기타 입력
기타 입력
*

교직원 등록

펼침
결과 내 재 검색
온/오프선택
정렬
대상선택
온/오프선택
정렬
대상선택

창의교육

  1. 창의인성교육 수업모델(1,173)
  2. 창의교육 질의응답(완료)(851)
  3. 글로벌 창의포험 자료실(8)

지속가능발전교육

  1. 지속가능발전교육(99)
지속가능발전교육
[2022] 지속가능발전교육(ESD) : 프로그램 개발 및 현장 적용사례집
첨부파일
2022년 지속가능발전교육(ESD) 사업 성과공유회_자료집.pdf 2022년 지속가능발전교육(ESD) 사업 성과공유회_자료집.pdf (저용량)_2022년 지속가능발전교육(ESD) 사업 성과공유회_자료집.pdf
첨부파일 상세내용
##@@## ##@@## ##@@##
지속가능발전교육
[2021] 지속가능발전교육(ESD) : 초 · 중 · 고 실천 프로그램
첨부파일
1.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프로그램 자료_초등학교-교사용.pdf 2.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프로그램 자료_초등학교-학생용.pdf 3.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프로그램 자료_중학교_교사용.pdf 4.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프로그램 자료_중학교_학생용.pdf 5.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프로그램 자료_고등학교_교사용.pdf 6. 지속가능발전교육 실천프로그램 자료_고등학교_학생용.pdf
첨부파일 상세내용
##@@## ##@@## ##@@## ##@@## ##@@## ##@@##
지속가능발전교육 교원
[2020] 지속가능발전교육(ESD) : SDGs13~17 영역
첨부파일
고등학교_SDGs17_ppt자료 중학교_SDGs13_ppt자료 중학교_SDGs14_ppt자료 중학교_SDGs15_ppt자료 중학교_SDGs16_ppt자료 중학교_SDGs17_ppt자료 초등학교_SDGs13_ppt자료 초등학교_SDGs14_ppt자료 초등학교_SDGs15_ppt자료 초등학교_SDGs16_ppt자료 초등학교_SDGs17_ppt자료 최종보고서(부록 1_학생활동지) 최종보고서(부록 2_교사용 지도서) 최종보고서(부록 3_PPT) 최종보고서(부록 4_콘텐츠 맵) 최종보고서(부록 4_콘텐츠 맵) 고등학교_SDGs_13~14ppt자료 고등학교_SDGs15_ppt자료 고등학교_SDGs16_ppt자료 2020_ESD
첨부파일 상세내용
##@@## ..PAGE:1 17번 목표 선도 프로그램 지속가능한발전 교육(ESD) ..PAGE:2 학습목표 1. 범국가적 단체의 필요성을 알고 국제기구의 역할을 설명할 수 있다. 2. 감염병에 대응하는 국제 협력에 관해 설명할 수 있다. 3.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필요한 국제기구를 제안할 수 있다. ..PAGE:3 1. 생각열기 : 내가 자가 격리된다면? 가족 모두 외국 여행 후 입국부터 갑작스레 2주간 자가 격리 조치를 받았다면 어떨까? 생활의 어려운 점, 느껴지는 기분, 의식주의 해결방법 등에 대해서 자유롭게 말해보자. ..PAGE:4 1. 생각열기 : 내가 자가 격리된다면? 코로나-19와 같은 국가적 재난 사태에 국가가 해줄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에 대해서 말해보자. 자연 현상으로 인하여 피해가 발생하거나 예상되는 경우를 자연재난이라 한다. 홍수·호우·강풍·태풍·풍랑·해일·대설·낙뢰·가뭄·지진·황사·적조 등이 이에 해당한다. 대형 재난 앞에서 국가가 지원해줄 수 없는 것들이 있으며, 지원한다고 하더라도 실질적 지원에 당사자에게 오기까지 많은 시간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PAGE:5 1. 생각열기 : 내가 자가 격리된다면? ..PAGE:6 1. 생각열기 : 내가 자가 격리된다면? https://www.youtube.com/watch?v=BP13NaNpp8w https://www.youtube.com/watch?v=pxCP66YuVQQ 국제 적십자 운동을 조사해보자. ..PAGE:7 1. 생각열기 : 내가 자가 격리된다면? 국제 적십자 운동 국제 적십자·적신월 운동(國際赤十字·赤新月運動, International Red Cross and Red Crescent Movement)은 전쟁, 자연재해 등에서의 희생자들과 기아선상의 난민들을 돌보기 위한 목적으로 조직된 인도주의 단체이며, 중립, 평등, 독립, 자발적 섬김, 일관성과 보편성의 실천을 원칙으로 한다. ..PAGE:8 2. 생각 키우기 : 국제기구의 역할 알아보기 국제기구는 어떤 일을 할까? https://www.youtube.com/watch?v=JKNidXQSKVw 영상을 보고 세계보건기구(WHO)에서 하는 일에 관해서 설명해보자. ..PAGE:9 2. 생각 키우기 : 국제기구의 역할 알아보기 국제기구는 어떤 일을 할까? https://www.youtube.com/watch?v=JKNidXQSKVw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유엔의 전문 기구이다. 2020년 기준으로 194개 회원국이 WHO에 가맹되었으며, 그 목적은 세계 인류가 가능한 한 최고의 건강 수준에 도달하는 것이다. ..PAGE:10 2. 생각 키우기 : 국제기구의 역할 알아보기 국제기구의 종류와 역할에 대해서 알아보자. 국제 정부 기구(IGO)라고도 알려진 국제 정부 기관(IGO)은 주로 주권 국가로 구성된 조직으로 유엔(UN), 유럽 안보협력기구(OSCE), 유럽위원회(COE), 국제노동기구(ILO), 국제형사경찰기구(INTERPOL) 등이 있다. 비정부 기구(NGO)는 공공의 이익을 실현하기 위해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결성한 비영리 시민 단체를 말한다. 국제 비정부기구(INGO)와 국제 정부 기구(IGO)로 나뉜다. 국제 비정부기구(INGO)는 국제적으로 운영되는 비정부기구(NGO)로 국제 비영리 단체, 세계 스카우트 운동 기구, 국제 적십자 위원회, 국경없는 의사회 등이 있다. ..PAGE:11 3. 생각 만들기 : 국제기구 만들어 보기 [활동 1] 감염병에 대응하는 국제 네트워킹 사스, 메르스, 코로나 19 사태에서 국제 협력 과정을 조사하고, 조사 결과를 텍스트 마이닝으로 표현해 보자. ..PAGE:12 3. 생각 만들기 : 국제기구 만들어 보기 [활동 1] 감염병에 대응하는 국제 네트워킹 사스, 메르스, 코로나 19 사태에서 국제 협력 과정을 조사하고, 조사 결과를 텍스트 마이닝으로 표현해 보자. 텍스트마이닝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이란 의사결정 수단을 위하여 대용량의 데이터베이스(database)로부터 의미 있는 규칙과 패턴을 발견하는 기법을 말한다(Hearst, 1999). 데이터 마이닝이 다루는 데이터베이스는 구조에 따라 구조화 데이터베이스(structured database)와 비구조화 데이터베이스(unstructured database)로 구분할 수 있다. ..PAGE:13 3. 생각 만들기 : 국제기구 만들어 보기 [활동 1] 감염병에 대응하는 국제 네트워킹 ..PAGE:14 3. 생각 만들기 : 국제기구 만들어 보기 [활동 2]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국제기구 만들기 유엔 환경 계획(UNEP)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1972년 스웨덴의 스톡홀름에서 열린 《유엔인간환경회의》의 결정에 따라 1973년에 설립 환경, 경제, 사회문화와 관련된 국제기구와 그 역할을 조사해보자. ..PAGE:15 3. 생각 만들기 : 국제기구 만들어 보기 [활동 2]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국제기구 만들기 다양한 국제기구 중 필요성이 점차 줄어드는 단체, 업무의 증가로 분리가 필요한 단체, 기존에 없지만 필요한 단체에 대해서 자신의 생각을 말해보자. ..PAGE:16 3. 생각 만들기 : 국제기구 만들어 보기 [활동 2]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국제기구 만들기 다양한 국제기구 중 필요성이 점차 줄어드는 단체, 업무의 증가로 분리가 필요한 단체, 기존에 없지만 필요한 단체에 대해서 자신의 생각을 말해보자. 한국 주도의 국제기구 세계선거기관협의회(Association of World Election Bodies) 녹색기후기금(Green Climate Fund) 글로벌 녹색성장연구소(Global Green Growth Institute) ..PAGE:17 3. 생각 만들기 : 국제기구 만들어 보기 [활동 2]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국제기구 만들기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국제기구를 설명해보자. ..PAGE:18 4. 선택활동 : 민간 정책 참여 방법 알기 광화문 1번가를 아시나요? 광화문 1번가는 주요 정책참여 기제와 각 부처·자치단체의 사이트를 한 곳에서 접속 및 토론, '광화문 1번가 열린소통포럼' 온·오프라인 연계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PAGE:19 4. 선택활동 : 민간 정책 참여 방법 알기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정책 제안해보기 ..PAGE:20 4. 선택활동 : 민간 정책 참여 방법 알기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정책 제안해보기 ..PAGE:21 5. 생각 정리하기 - 자기평가 - 동료평가 ..PAGE:22 ThankYou ##@@## ..PAGE:1 13번 목표 선도 프로그램 지속가능한발전 교육(ESD) ..PAGE:2 학습목표 팬데믹으로 인한 영향을 말할 수 있다. 2. 기후변화와 팬데믹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3. 일상생활에서 기후변화로 인한 팬데믹을 극복할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PAGE:3 1. 생각열기 : 줄어드는 빙산과 빙하 ▶ 다음 그림은 빙산과 빙하이다. 이 둘의 차이점을 생각해보자. 바닷물 눈 ..PAGE:4 1. 생각열기 : 방탄소년단의 UN ‘7분 감동 연설’ ▶아래 그림은 킬리만자로 빙하가 변한 모습이다.이렇게 된 이유를 생각해봅시다. ..PAGE:5 2. 생각 키우기 : 시베리아에 나타난 탄저균의 공포 ..PAGE:6 2. 생각 키우기 : 시베리아에 나타난 탄저균의 공포 ▶탄저균에 대해서 알아보자. 구분 내용 정의 감염경로 탄저균 VS 탄저병 탄저균 감염증상 탄저균은 바실러스 안트라시스(Bacillus anthracis)라는 공식 명칭을 가지는 흙 속에 서식하는 세균으로 길이 4~8㎛, 너비 1~1.5㎛. 탄저병은 탄저균의 포자를 섭취해야 일어나며 주로 소, 양 등의 초식동물에게 발생하고 육식동물이나 사람에게는 발생 빈도가 적은 편이다. 사람이 탄저균을 접촉하게 되는 경로는 주로 동물의 배설물이나 사체 또는 흙을 통한 방법이며, 피부나 호흡기를 통하여 체내로 들어이다오거나 곤충에 물려서 감염되는 예도 있다. 탄저균은 인수공통전염병인 탄저병(Anthrax)을 일으키는 원인균 탄저병은 탄저균에 감염된 동물과 접촉하거나 공중에 퍼져 있는 탄저병 포자를 흡입해 전파되는 감염성 질병 탄저균을 섭취하면 초기에는 병이 잠복한 상태로 감기와 유사한 증상이 나타나고, 이어서 폐에 울혈이 발생한다. 그러다 일정 시간이 지나 엄청난 수의 병원균이 자라면서 생명체를 죽음으로 이끈다. ..PAGE:7 3. 생각 만들기 : 기후변화로 인한 팬데믹과 영향 [활동1] 팬데믹과 그 영향? ..PAGE:8 3. 생각 만들기 : 기후변화로 인한 팬데믹과 영향 ▶팬데믹 사례별로 각각 특징을 분석해보자. 항목 홍콩독감 신종인플루엔자 코로나 19(추정) 치사율 감염률 전파 차단 대책 감염원 ..PAGE:9 3. 생각 만들기 : 기후변화로 인한 팬데믹과 영향 [활동2] 기후변화와 팬데믹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 ..PAGE:10 3. 생각 만들기 : 기후변화로 인한 팬데믹과 영향 ▶팬데믹이 발생할 수 있는 3가지 요소의 사례를 영상에서 찾아보자. 항목 내용 동물접촉 국제교류 인구밀도 가축을 키우거나 인간에 의해 서식지가 파기되면서 인수공통 감염병이 증가하였다. 외국과의 무역로가 확대되거나 전쟁 등으로 감염경로가 증가하였다. 수렵채집사회에서 농경사회로 다시 농경사회에서 산업사회로 변화하면서 인구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염률이 높아졌다. ..PAGE:11 3. 생각 만들기 : 기후변화로 인한 팬데믹과 영향 ▶기후변화로 인해 감염병이 확산되는 사례를 설명해보자. 항목 내용 영구동토층 (permafrost) 해동 기온상승으로 아열대지역 확대 시베리아의 순록이 떼죽음을 당했다. 미국 남부가 아열대 기후가 되어 각종 감염병이 확산되었다. ..PAGE:12 3. 생각 만들기 : 기후변화로 인한 팬데믹과 영향 [활동3]팬데믹에서 살아남기 ▶다음은 코로나 19를 극복하기 위해 질병본관리본부에 배포한 행동수칙이다. ..PAGE:13 3. 생각 만들기 : 기후변화로 인한 팬데믹과 영향 ▶코로나 19 극복의 대책으로 국내외 교류가 현저하게 줄어들었다. 그에 따른 현상, 생태계 변화, 기후변화 영향을 정리해 보시오. 현상 생태계 변화 기후변화 영향 모임이 줄어들었다. 여행객이 줄어들었다. 하늘길이 막혔다. 온라인 교류가 증가했다. 온실가스 배출이 줄어들었다. 대기오염이 줄어들었다. 단기 영향 : 당장 기후변화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이다. 장기 영향 : 온실가스 배출이 줄어들어 기후변화가 완화될 것이다. ..PAGE:14 3. 생각 만들기 : 기후변화로 인한 팬데믹과 영향 ▶기후변화, 생태계 교란, 팬데믹의 관계를 설명해보자. 기후변화 ⇒ 생태계 교란 ⇒ 팬데믹 과도한 화석연료의 사용으로 지구온난화가 급속하게 진행된다. 급속한 기온상승으로 기후가 변화하고 바이러스의 전파력이 커진다. 기온상승으로 동토가 녹아 수 만 년 전 잠들어 있던 바이러스 창궐한다. 경험해 보지 못한 전염병의 창궐로 팬데믹이 발생한다. ..PAGE:15 4. 선택활동 : 위기를 기회로 ▶ 다음은 코로나로 인해 변해가는 지구촌의 모습을 그린 것이다. ..PAGE:16 4. 선택활동 : 위기를 기회로 ▶ 코로나 19 사태가 장기화 할 가능성이 높고, 종식 되어도 지속적으로 다른 형태의 염병이 출현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어서 ‘With corona’를 대비해야 한다고 한다. 위에서 보았듯이 코로나로 인해 화석연료의 사용이 줄어들어 기후변화에는 긍정적이다. 우리는 위기에 직면하고 있지만, 기후변화 대응 측면에서는 기회일 수도 있다. 코로나 19 확산을 막기 위해 대처했던 방식들이 기후변화를 줄이는 방법으로 삼는 경우를 찾아보자. 항목 내용 기후변화 대응효과 온라인수업 및 재택근무 학습에 필수적인 활동을 위해서 등교하고 나머지는 온라인으로 가능한 수업으로 전환한다. 이동이 꼭 필요한 업무를 제외하고는 집에서 업무를 처리한다. 이동에 필요한 에너지사용량이 줄어듦 해외 여행 필요한 정보는 책이나 인터넷에서 얻는다. 3D 영상으로 간접적으로 체험한다. 항공, 해운에 사용되는 에너지양이 줄어듦 ..PAGE:17 5. 생각 정리하기 - 자기평가 - 동료평가 ..PAGE:18 ThankYou ##@@## ..PAGE:1 14번 목표 선도 프로그램 지속가능한발전 교육(ESD) ..PAGE:2 학습목표 맹그로브 숲과 새우소비량의 관계를 통해 생태계 파괴와 에너지사용량 증가와의 관계를 말할 수 있다. 2. 지속가능한 해양자원 이용법이 무엇인지 말할 수 있다. ..PAGE:3 1. 생각열기 : 누가 새우를 다 먹었나? ▶ 다음은 새우소비량과 맹그로브 숲에 관한 이야기이다. ..PAGE:4 1. 생각열기 : 누가 새우를 다 먹었나? ▶ 다음은 새우소비량과 맹그로브 숲에 관한 이야기이다. ..PAGE:5 1. 생각열기 : 누가 새우를 다 먹었나? ▶ 새우소비량의 증가와 맹그로브 숲이 어떤 관계가 있을지 생각해보자. 다음 빈칸에 알맞은 말을 넣으시오. 모든 새우가 ( ) 숲에서 자라는 것은 아니지만 맹그로브 숲과 새우소비량의 증가, 즉 ( ) 양식은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 것이 분명하다. 맹그로브 새우 ..PAGE:6 2. 생각 키우기 : 몰디브를 지킨 맹그로브 숲 ..PAGE:7 3. 생각 만들기 : 새우양식으로 사라지는 맹그로브 숲 [활동1]맹그로브 숲의 손실과 새우소비량과의 관계 ..PAGE:8 3. 생각 만들기 : 새우양식으로 사라지는 맹그로브 숲 [활동1]맹그로브 숲의 손실과 새우소비량과의 관계 ..PAGE:9 3. 생각 만들기 : 새우양식으로 사라지는 맹그로브 숲 [활동1]맹그로브 숲의 손실과 새우소비량과의 관계 ..PAGE:10 3. 생각 만들기 : 새우양식으로 사라지는 맹그로브 숲 [활동1]맹그로브 숲의 손실과 새우소비량과의 관계 ..PAGE:11 3. 생각 만들기 :해양자원의 지속가능한 관리 [활동2] 해양자원의 지속가능한 관리 ..PAGE:12 3. 생각 만들기 :해양자원의 지속가능한 관리 [활동2] 윗글을 읽고 아래 내용을 정리해 봅시다. ..PAGE:13 4. 선택활동 : 독도의 수자원 ▶ 독도는 우리나라 최동단에 위치하고 있다는 의미도 있지만, 주변 바다에 수많은 해조류, 어류, 무척추동물, 미생물들이 서식하고 있어서 풍부한 수자원이 있는 보물이다. ..PAGE:14 4. 선택활동 : 독도의 수자원 ▶ 독도 바다에서 다음과 같은 새로운 생물이 나타났다고 가정해보자. 이 생물의 경제적 가치를 고려하여 독도와 관련해서 붙이고 그 이유를 쓰시오. ▶ 독도에는 아직 알려지지 않은 생물들이 많다. 이것과 관련해서 독도의 생태계를 지켜야 하는 이유를 생각해보자. ..PAGE:15 5. 생각 정리하기 - 자기평가 - 동료평가 ..PAGE:16 ThankYou 2004년 12월 26일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서부 해안 40km 지점에서 규모 M9.1-9.3의 초대형 해저 지진이 발생했다. 사망자 30만 명 실종 3만 명, 난민 169만 명 발생하였으며 20세기와 21세기 통틀어 세계 역사상 2번째로 컸었던 지진이다. 역사상 가장 큰 지진은 1960년 칠레 앞바다에서 일어난 9.5의 지진인데, 이때 사망자는 6,000명이었다. 그에 반해 인도네시아 지진 때 피해가 컸었던 것은 너무 많은 사람이 살고 있었고 평소에 지진이나 쓰나미 등에 대한 대비태세가 허술했기 때문이다. 더욱이 크리스마스 휴가를 보내러 온 외국인이 많아서 더더욱 피해가 컸다. 인도네시아 앞바다에서 발생했지만, 인도양 인근 21개국이 피해를 보아서 사실상 전 세계 해안에 쓰나미가 덮친 셈이다. 당시 아프리카 소말리아까지 피해를 보았는데 117척의 배가 가라앉고 2천여 명이 죽거나 다쳤지만, 보상이 거의 없었다. 이때 피해를 본 사람들이 대부분 어부여서 먹고 살길이 없어져 해적이 되었다는 의견까지 있다. 이런 난리 중에 몰디브는 사망자 82명에 이재민까지 다 합쳐도 500명 정도에 불과했는데 국토 80% 이상이 해발 1M임을 고려하면 기적과도 같은 일이었다. 왜 몰디브는 이렇게 피해를 적게 입었을까? 몰디브는 관광산업이 주요 수입원이어서 개발을 최대한 억제하여 산호초와 맹그로브 숲을 잘 보존해서 파도로부터 타격을 덜 받았다고 분석이 되었다. 앞에서 새우소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새우를 주로 생산하는 동남아의 바다가 파괴되고 있다고 밝혔다. 세계 맹그로브 숲이 손실되는 추이를 보면 아시아의 손실이 가장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시아 중 맹그로브 숲은 대부분 동남아에 있기 때문에 새우소비량의 증가와 동남아 맹그로브 숲의 손실과는 직접적인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새우 철(9월~11월)이 되면 맛난 새우에 소금을 뿌려서 구워 먹는 일은 즐거움 중의 하나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새우를 1년 내내 먹을 수 있습니다. 왜 이럴 수 있을까요? 이 새우들은 대부분 동남아에서 양식한 타이거 새우입니다. 그리고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새우 양식은 맹그로브 숲을 파괴한 후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곳에서 생산한 새우를 먹을수록 맹그로브 숲은 파괴됩니다. 새우 양식장인 방글라데시와 먹는 곳인 한국까지 약 3,800km 정도 된다. 반면 세계해양책임관리(ASC:Aquaculture Stewardship Council) 인증제도를 도입한 베트남의 사업체는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고, 생물다양성과 수자원을 더욱 강력히 보호하고, 동물의 건강과 근로조건 개선을 위한 까다로운 조건을 준수하는 등 더 나은 수산물 생산 규칙을 지키고 있다. 이 인증을 통해 새우 양식장들은 습지와 맹그로브 숲을 보전하고 바이러스와 역병의 전염을 조사하고 수질을 개선하며, 양질의 사료를 먹일 책임을 지고 생물다양성 문제를 알리는데 참여하여 양식이 주변 환경과 지역 사회에 주는 악영향을 구체적으로 줄일 목적을 갖고 있다. 우리의 입장을 4가지로 제시하고 이에 대해서 공감하는 사람의 숫자를 세어 기입해보자. 만일 4가지 외 다른 입장이 있다면 추가해도 좋다. 한 사람씩 왜 이런 주장을 하는지 발표해보자. 그리고 나의 입장을 정리해보자. ##@@## ..PAGE:1 15번 목표 선도 프로그램 지속가능한발전 교육(ESD) ..PAGE:2 학습목표 바이오블리츠의 정의와 방법을 말할 수 있다. 2. 우리학교 바이오블리츠를 작성할 수 있다. 3. 우리학교 육상 생태계의 보호와 중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PAGE:3 1. 생각열기 : 바이오블리츠가 무엇일까? 지구의 생물종이 사라지면 인류는 살 수 있을까? 닫힌 질문 : ‘예‘, ‘아니오’ 로 대답하는 질문 열린 질문 : 긍정이나 부정만으로 대답할 수 없는 질문 닫힌 질문 VS 열린 질문 ..PAGE:4 1. 생각열기 : 바이오블리츠가 무엇일까? ▶ 나의 질문을 기록하고 분류해보자. ▶ 위의 나의 질문 중 가장 중요한 질문을 하나만 선택하고, 선택한 이유를 적어보자. ▶ 다양한 생물종을 보존을 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PAGE:5 2. 생각 키우기 : 우리 학교 바이블리츠 ▶ 네이처링 앱(App)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를 해보자. ..PAGE:6 2. 생각 키우기 : 우리 학교 바이블리츠 ▶ 네이처링 앱(App)을 활용하여 생물종 탐사 방법을 알아보자. 앱 실행 미션 찾기 관찰 올리기 입력 확인하기 ..PAGE:7 3. 생각 만들기 : 우리 학교 생태계 탐사 시작 [활동1] 우리 학교 바이오블리츠 탐사를 시작해보자. ..PAGE:8 3. 생각 만들기 : 우리 학교 생태계 탐사 시작 ▶ 우리 학교 바이오블로츠 탐사 후, 나의 네이처링 앱(App)에 업로드 한 생물종은 무엇인가? ▶ 네이처링 앱(App)을 활용하여 생물종 탐사 후, 가장 인상이 깊은 생물종은 무엇이고, 이유는 무엇인가? ▶ 우리 학교의 다양한 생물종을 찾는 바이오블리츠 탐사 후, 느낀 점을 기록해보자. ..PAGE:9 3. 생각 만들기 : 우리 학교 생태계 탐사 시작 [활동2] 우리 학교 바이오블리츠 탐사 결과를 정리하고, 육상 생태계 중요성을 인식해보자. ▶ 나와 모든 학생들이 참가한 우리 학교 바이오블리츠 결과를 아래 그래프로 표현해 보자. ..PAGE:10 3. 생각 만들기 : 우리 학교 생태계 탐사 시작 ▶ 위의 그래프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생물종과 가장 적게 나타난 생물종이 무엇이고, 그 이유는 무엇일까? ▶ 우리 학교의 다양한 생물종을 보존하기 위해 우리 학교에서 실천해야 할 규칙은 무엇일까? ..PAGE:11 4. 선택활동 : 우리 동네 바이오블리츠와 활용 ▶ 우리 동네 바이오블리츠 탐사활동을 하여 그 결과를 아래 그래프에 표현해 보자. ..PAGE:12 ▶ 위의 그래프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생물종과 가장 적게 나타난 생물종이 무엇이고, 그 이유는 무엇일까? ▶ 우리 동네의 생물다양성 인식 확산을 위해 아래 실천 방법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구체적인 방법을 만들어 보자. 4. 선택활동 : 우리 동네 바이오블리츠와 활용 ..PAGE:13 5. 생각 정리하기 - 자기평가 - 동료평가 ..PAGE:14 ThankYou ##@@## ..PAGE:1 16번 목표 선도 프로그램 지속가능한발전 교육(ESD) ..PAGE:2 학습목표 평화와 정의 의미를 말 할 수 있다. 2. 평화와 정의를 지키기 위한 위인들의 가치를 설명할 수 있다. 3. 평화와 정의로운 사회를 위한 국가 정책 반영을 촉구 하는 연설을 할 수 있다. ..PAGE:3 1. 생각열기 : 방탄소년단의 UN ‘7분 감동 연설’ ..PAGE:4 1. 생각열기 : 방탄소년단의 UN ‘7분 감동 연설’ ▶ 위 영상을 보고 질문에 답변을 기록하세요. ..PAGE:5 2. 생각 키우기 : 평화와 정의를 지키는 위인들 평화 와 정의 ▶ 평화와 정의에 대한 개념의 2행시를 지어보자. ..PAGE:6 2. 생각 키우기 : 평화와 정의를 지키는 위인들 ▶ 평화와 정의를 수호한 위인 2명을 찾아 빈칸을 채우고, 6명의 업적을 기록해보자. ..PAGE:7 3. 생각 만들기 : 평화와 정의 수호 연설문 작성하기 [활동1] 평화와 정의 수호를 위한 각국의 반영 가능한 요구 정책 수립 제1조 모든 사람은 태어날 때부터 자유롭고, 존엄하며, 평등하다. 모든 사람은 이성과 양심을 가지고 있으므로 서로에게 형제애의 정신으로 대해야 한다. 제2조 모든 사람은 인종, 피부색, 성, 언어, 종교 등 어떤 이유로도 차별 받지 않으며, 이 선언에 나와 있는 모든 권리와 자유를 누릴 자격이 있다. ..PAGE:8 3. 생각 만들기 : 평화와 정의 수호 연설문 작성하기 제1조 제2조 제3조 ▶ 평화와 정의를 수호하기 위한 각국 정책에 반영할 선언문 3개의 조항을 기록해보자. ..PAGE:9 3. 생각 만들기 : 평화와 정의 수호 연설문 작성하기 [활동2] 구글 어스 프로젝트를 활용한 모의 UN에서 연설하기 ..PAGE:10 3. 생각 만들기 : 평화와 정의 수호 연설문 작성하기 ..PAGE:11 3. 생각 만들기 : 평화와 정의 수호 연설문 작성하기 [활동2] 구글 어스 프로젝트를 활용한 모의 UN에서 연설하기 ..PAGE:12 3. 생각 만들기 : 평화와 정의 수호 연설문 작성하기 ▶ 평화와 정의를 지킨 위인을 선정하여 일대기를 소개하고, UN 연설 스토리보드를 기록해보자. ..PAGE:13 3. 생각 만들기 : 평화와 정의 수호 연설문 작성하기 모의 UN 연설 ..PAGE:14 3. 생각 만들기 : 평화와 정의 수호 연설문 작성하기 ▶ 다른 모둠의 모의 UN 연설하기를 듣고, 아래 빈칸에 기록해보자. ..PAGE:15 4. 선택활동 : 남북의 평화 선언문의 영향 10·4 남북공동선언문 ..PAGE:16 4. 선택활동 : 남북의 평화 선언문의 영향 ▶ 남과 북이 평화와 번영을 위한 선언문에 대해 SWOT 분석해보자. ..PAGE:17 5. 생각 정리하기 - 자기평가 - 동료평가 ..PAGE:18 ThankYou ##@@## ..PAGE:1 17번 목표 선도 프로그램 지속가능한발전 교육(ESD) ..PAGE:2 학습목표 사회적 기업의 정의와 필요성을 말할 수 있다. 2. 사회적 기업의 설립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3.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사회적 기업의 중요성을 말할 수 있다. ..PAGE:3 1. 생각열기 : 사회적 기업‘아름다운 가게’ ..PAGE:4 1. 생각열기 : 사회적 기업‘아름다운 가게’ ▶ 아름다운 가게 홍보 영상을 보고 아래 질문에 답해보자. ..PAGE:5 2. 생각 키우기 : 사회적 기업이 무엇일까? ▶ 아래의 사회적 기업에서 무슨 일을 하고 있는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찾아보자. ..PAGE:6 2. 생각 키우기 : 사회적 기업이 무엇일까? ▶ 사회적 기업을 착한 기업이라고 말한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PAGE:7 3. 생각 만들기 : 우리 마을의 사회적 기업 설립 [활동1] 우리 마을에 필요한 사회적 기업을 찾아보자. ▶ 우리 마을에 필요한 사회적 기업을 설립해보자. ..PAGE:8 3. 생각 만들기 : 우리 마을의 사회적 기업 설립 ▶ 우리 마을에 필요한 사회적 기업이 사회적 기업 인증서를 받기 위해 아래의 체크리스트 에서 모두 ○가 되는지 점검해보자. ..PAGE:9 3. 생각 만들기 : 우리 마을의 사회적 기업 설립 ▶ 우리가 설립한 사회적 기업이 아래의 내용을 체크리스트에 체크해보자. [활동2] 우리가 설립한 사회적 기업이 지속가능한 사회로의 발전 가능성을 찾아보자. ..PAGE:10 3. 생각 만들기 : 우리 마을의 사회적 기업 설립 ▶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요소의 세부 내용에서 X가 많이 부분이 확인하고 그 이유와 사회적 기업 설립에서 추가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 ▶ 각 요소의 결과를 확인하고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해 우리가 설립한 사회적 기업의 발전 방향은 무엇일까? ..PAGE:11 4. 선택활동 : 사회적 경제의 정의와 유형 ▶ 사회적 경제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PAGE:12 5. 생각 정리하기 - 자기평가 - 동료평가 ..PAGE:13 ThankYou ##@@## ..PAGE:1 13번 목표 선도 프로그램 지속가능한발전 교육(ESD) ..PAGE:2 학습목표 1. 기후변화와 온실가스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2. 비대면 시대에서 온실가스 사용 현황을 인식하여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행동 실천을 할 수 있다. ..PAGE:3 ▶이번엔“코로나19가 기후변화 탓 ?” 1. 생각열기 : 코로나로 잠시 숨 쉬는 지구 기후 변화 ⇒ 1단계 2단계 3단계 ⇒ 기온이 올라 산불이 나고 가뭄이 발생한다. 사람과 접촉하며, 바이러스 공유 보금자리를 잃은 야생동물이 사람이 사는 거주지로 이동 코로나 19 전염병 발생 ..PAGE:4 1. 생각열기 : 코로나로 잠시 숨 쉬는 지구 ▶ 코로나19가 지구에 불러온 4가지 번호 지구의 변화 1 2 3 4 도로, 하늘길 등에서 인간의 이동이 멈췄다. (대도시 교통혼잡이 사라짐, 교통사고가 줄어듬, 항공편 90%가 줄어듬) 동물은 자유를 얻었다. 캥거루가 거리를 질주, 사슴이 마을 골목을 뛰어다님, 동물원은 야생동물의 놀이터 하늘이 맑아졌다. (봉쇄국가의 미세먼지 9%감소 인도마을에서 히말라야 보임) 지구가 조용해 졌다. 지진파 잡음이 1/3로 줄었음 ..PAGE:5 2. 생각 키우기 : 기후 변화와 온실가스의 관계 태양에서 오는 에너지와 지구에서 나가는 복사에너지의 균형이 맞아야 지구는 알맞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데, 우리가 화석연료를 태우고, 에어컨을 사용해서 발생하는 ㅇㅅㄱㅅ(초성퀴즈)가 많아지면 지구 밖으로 나갈 수 있는 에너지가 줄어들어 ㅈㄱㅇㄴㅎ(초성퀴즈)가 발생하여 지구의 기온이 점점 올라가게 된다. 그 결과 빙하가 녹고 각종 기상이변이 생기는 ㄱㅎㅂㅎ(초성퀴즈)가 발생하게 된다. ▶ 기후변화 초성퀴즈 ..PAGE:6 2. 생각 키우기 : 불편한 시설 찾기 ▶ 6대 온실가스 종류와 발생원 이산화탄소 (CO2) 메탄 (CH4) 아산화질소 (N2O) 수소불화탄소 (HFCs) 과불화탄소 (PFCs) 육불화황 (SF6) 자동차 배기 가스 에어컨, 냉장고냉매 가축사육 전자제품 생산 석유, 석탄 등의 화석연료연소 반도체 제조 ..PAGE:7 3. 생각 만들기 : 비대면 시대의 온실가스는? ▶ 비대면 시대에 온실가스는 어떻게 줄어들었나? 코로나19로 인해 우리는 엄마, 아빠, 형, 누나도 경험해 보지 못한, 수업을 하게 되었다. 학교에 가지도 못하고, 친구들과 운동장에서 뛰어 놀지도 못하고, 학교 급식도 먹지 못하고 집에서 컴퓨터로 선생님 얼굴을 보며 수업을 받게 되었다. 부모님은 일터에 출근도 못하시고 사람들은 거리두기에 적극 동참하고 있다. 주말이면 가족들과 함께 놀이공원도 가고 영화도 보고 좋은 관광지를 방문해 맛있는 것도 먹었었는데. 코로나19로 지구의 온실가스는 늘었을까? 줄었을까? 비대면시대 얼굴을 마주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코로나 19시대에 비대면이 늘어나면서 생긴 용어이다. ..PAGE:8 3. 생각 만들기 : 비대면 시대의 온실가스는? ▶ 우리 주변의 여러 장소에서 온실가스 발생량이 어떻게 변했을까? 장소 온실가스 발생 (늘었다, 줄었다)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 집 학교 도로 공항 극장 놀이공원 산업체 배달음식점 늘었다. 집에 계속 있어서 에너지를 많이 쓴다. 컴퓨터, TV 등을 많이 본다. 줄었다. 줄었다. 줄었다. 줄었다. 줄었다. 줄었다. 늘었다. 수업을 많이 안해 학교 전기를 안쓴다. 급식을 많이 하지 않아 에너지를 안쓴다. 거리두기, 자가격리로 이동이 줄었다. 폐쇄한 나라가 많아서 항공기가 못 다닌다. 개봉하는 영화도 없다. 극장에 가지 않는다. 사람이 모이는 곳에 가지 않는다. 문 닫은 공장도 많이 생겼다. 음식을 많이 하고, 오토바이도 많이 다닌다. ..PAGE:9 3. 생각 만들기 : 비대면 시대의 온실가스는? ▶ 비대면 시대의 저탄소 활동 ‘House Book' 만들기 비대면 시대로 인해 우리가족은 ‘집콕’하는 시간이 늘어났다. 전등을 켜는 시간도 늘어났고, TV는 항상 켜져 있고, 바깥 놀이를 못하니까 컴퓨터도 오래하게 되었다. 그리고, 외식을 하지 못하니, 집에서 배달시켜 먹거나 요리를 해먹어야 한다. 음식쓰레기도 많이 나오는 것 같다. 이젠 날도 더워져서 선풍기와 에어컨은 계속 켜 놓은 상황이다. 어떻게 하면 우리 집에서 나오는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을까? ..PAGE:10 3. 생각 만들기 : 비대면 시대의 온실가스는? ▶ 비대면 시대의 저탄소 활동 ‘House Book' 만들기 비대면 기간 동안 늘어난 우리집 온실가스를 줄이는 프로젝트를 시작합니다. 인터넷 기사, 신문 등에서 우리집 온실가스 줄이기와 관련 있는 그림이나 글을 찾아서 오려 붙여 봅시다. 거실 냉방온도는 28도 이하, 안보는 TV끄기 LED 조명 사용, 자연채광 활용 ..PAGE:11 3. 생각 만들기 : 비대면 시대의 온실가스는? ▶ 비대면 시대의 저탄소 활동 ‘House Book' 만들기 비대면 기간 동안 늘어난 우리집 온실가스를 줄이는 프로젝트를 시작합니다. 인터넷 기사, 신문 등에서 우리집 온실가스 줄이기와 관련 있는 그림이나 글을 찾아서 오려 붙여 봅시다. 주방 냉장고는 적당히 채우기, 고효율제품 사용하기 분리수거 잘하기, 물을 받아서 설거지 하기 ..PAGE:12 3. 생각 만들기 : 비대면 시대의 온실가스는? ▶ 비대면 시대의 저탄소 활동 ‘House Book' 만들기 비대면 기간 동안 늘어난 우리집 온실가스를 줄이는 프로젝트를 시작합니다. 인터넷 기사, 신문 등에서 우리집 온실가스 줄이기와 관련 있는 그림이나 글을 찾아서 오려 붙여 봅시다. 내방 컴퓨터 조금만 하기, 대기전력차단 콘센트 사용하기 ..PAGE:13 3. 생각 만들기 : 비대면 시대의 온실가스는? ▶ 비대면 시대의 저탄소 활동 ‘House Book' 만들기 비대면 기간 동안 늘어난 우리집 온실가스를 줄이는 프로젝트를 시작합니다. 인터넷 기사, 신문 등에서 우리집 온실가스 줄이기와 관련 있는 그림이나 글을 찾아서 오려 붙여 봅시다. 욕실 비누칠 할 때 양치할 때 수도꼭지 잠그기, 목욕대신 샤워하기 ..PAGE:14 3. 생각 만들기 : 비대면 시대의 온실가스는? ▶ 비대면 시대의 저탄소 활동 ‘House Book' 만들기 조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하우스 북(집 북)을 만들어 정리해봅시다. ..PAGE:15 4. 선택 활동: 기후변화 교육을 위한 노력 ▶ 오늘 배운 ‘비대면 시대 기후변화 이야기’를 다른 사람에게 알려줄 홍보지를 만들어 봅시다. 제 목 ‘ㅇㅇㅇ’의 기후변화 이야기 누구에게 보여줄 것인가? 부모, 할아버지 할머니, 형제자매, 친구, 1~2학년 학생들 주제는 무엇인가? 우리가 실천하면 지구가 숨 쉴 수 있다. 어떤 내용을 넣을 것인가? (온실가스 줄이는 방법) 어떻게 홍보할 것인가? 유튜브(YouTube), 내가 만든 활동자료 ..PAGE:16 5. 생각 정리하기 ▶나의 생각을 정리하여 점수에 체크하고 느낌점을 기록해보자. ▶수업 활동을 하면서 아래 내용을 적절하게 수행한 친구는? 평가내용 척도 1 2 3 4 5 나는 코로나가 준 지구의 변화를 다른 사람에게 설명할 수 있다. 나는 비대면 시대에 온실가스가 어떻게 줄었는지 이해할 수 있다. 나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온실가스를 줄이는 일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이다. 느낀 점을 자유롭게 기록하세요. 코로나 19 이후 지구변화에 대해 잘 작성한 친구는 ( )이다. 온실가스 발생 원인에 대해 가장 잘 기록한 친구는 ( )이다. 온실가스와 기후변화의 관계에 대해 가장 잘 설명한 친구는 ( )이다. 비대면 시대 온실가스 발생량 증감 이유를 가장 잘 작성한 친구는 ( )이다. 우리 집 온실가스 줄이기 프로젝트를 가장 적극적으로 한 친구는 ( )이다. ..PAGE:17 ThankYou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 ..PAGE:1 14번 목표 선도 프로그램 지속가능한발전 교육(ESD) ..PAGE:2 학습목표 1. 지속가능한 해양 자원 이용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2. 해양생태계에 대한 소중함을 깨달을 수 있다. ..PAGE:3 ▶바다생태계 관련 퀴즈 풀기 1. 생각열기 : 해양쓰레기와 해양 생물 1번 2번 3번 4번 ..PAGE:4 2. 생각 키우기 : 명태와 노가리 ▶ 명태가 줄어든 이유 찾아 보기 지난해 우리 연근해어업 생산량이 92만t에 그쳐 44년 만에 100만t 선이 무너졌습니다. 더욱 심각한 것은 단순히 생산량이 줄어드는 게 아니라 명태와 같은 '국민 생선'의 상업적 멸종이 발생했다는 점입니다. 1981년 약 17만t에 달했던 명태 어획량은 2008년에는 정부 공식통계상 '0'이 되었습니다. 최근에는 갈치 등 다른 국민 생선의 급격한 감소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갈치는 1974년에 17만t이 잡혀 고등어(8만t)의 두배를 넘었지만 지난해에는 3만t으로 줄었습니다. 그 결과 1974년에 ㎏당 52원으로 고등어(61원)보다 쌌던 갈치 가격이 지난해에는 8천506원으로 뛰어 국민 생선이 아니라 밥상에 올리기 어려운 '귀족 생선'이 되어가고 있습니다. 1986년에 32만7천t이 잡혀 노점상의 연탄불에 쉽게 오를 만큼 국민 간식거리였던 쥐포의 원료인 쥐치의 생산량도 지난해에는 2천t으로 급감했습니다. 주요 어종의 지난해 생산량을 역대 최대치와 비교하면 갈치는 80.6%, 고등어는 62.5%, 오징어는 51.8%, 멸치는 51.9% 줄었습니다. ..PAGE:5 2. 생각 키우기 : 명태와 노가리 ▶ 금어기 정책 바다 생물이 알을 낳거나 자라나는 시기에 맞추어 바다생물을 잡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금어기라고 합니다. 현재 금어기를 설정하고 있는 것은 은어 ·대구 ·연어 ·병어 ·대게 ·자라 ·꽃게 ·쏘가리, 새우류 중 돌닭새우 ·뻘닭새우 등이며, 조개류는 전복 ·키조개 ·새조개 ·소라 ·코끼리조개 등이고, 이외에 톳 ·감태류 ·우뭇가사리의 해조류도 있습니다. 보통 각 어종의 산란기를 중심으로 금어기간은 2~3개월간이 가장 많습니다. 그리고 길이에 따른 제한이 있는데 금어기가 아니더라도 어종의 길이에 따라 잡을 수 없게 되어 있습니다 ..PAGE:6 2. 생각 키우기 : 명태와 노가리 ▶ 수산자원 보호 토의하기 짝끼리 혹은 모둠별로 다음의 토의 주제를 한 개씩 골라 수자원 보호를 위해 적절한 방법이 무엇인지 토의해봅시다. 지속가능한 수자원을 이용하기 위해 수자원 보호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이야기해봅시다. ..PAGE:7 3. 생각 만들기 : 아낌없이 주는 바다 ▶ 아낌없이 주는 바다 각색하기 나무 한 그루와 소년이 있었습니다. 나무는 소년이 필요하다고 하는 자신의 나뭇잎, 나뭇가지, 줄기를 주었습니다. 소년은 나무에서 필요한 사과를 모두 땄습니다. 오랜 시간이 흐른 후 할아버지가 되어 돌아온 소년은 앉아 쉬고 나무는 쉬는 소년을 보며 행복해 하였습니다. ..PAGE:8 3. 생각 만들기 : 아낌없이 주는 바다 ▶ 아낌없이 주는 바다 각색하기 ..PAGE:9 3. 생각 만들기 : 아낌없이 주는 바다 ▶ 해양에 고마운 마음을 담아 바다를 보호하는 활동을 넣어 동화책의 결말을 완성해봅시다. ..PAGE:10 3. 생각 만들기 : 아낌없이 주는 바다 ▶ 바다가 주는 선물 꾸미기 ..PAGE:11 4. 선택 활동: 해양 오염 대응 활동 ▶ 태안 앞바다 기름 유출 기사 읽기 ..PAGE:12 4. 선택 활동: 해양 오염 대응 활동 ▶ 기름 제거 실험 준비물: 수조, 검은색 유화물감, 파란색 수성물감, 털실, 식용유, 스포이드, 흡착포 ..PAGE:13 5. 생각 정리하기 ▶나의 생각을 정리하여 점수에 체크하고 느낌점을 기록해보자. ▶수업 활동을 하면서 아래 내용을 적절하게 수행한 친구는? 평가내용 척도 1 2 3 4 5 나는 바다 생물이 우리 삶에 없어서는 안 될 매우 중요한 것임을 다른 사람에게 설명할 수 있다. 나는 해양 생태계를 지키고 보존하는 일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싶다. 나는 친구들과 함께 바다 생물의 다양함과 바다를 보존해야 하는 그림을 그리는 활동에 협력하였다. 느낀 점을 자유롭게 기록하세요. 바다 생태계가 우리들에게 꼭 필요하여 지속적인 자원이 되어야 함을 적극적으로 설명한 친구는 ( )이다. 풍부한 바다 만들기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친구는 ( )이다. 바다를 보호해야 하는 이유를 적극적으로 설명하고 기록한 친구는 ( )이다. 친구들에게 동화를 쓰고 그 내용을 발표할 때 경청한 친구는 ( )이다. ..PAGE:14 ThankYou 3 4 5 6 7 8 9 10 11 12 13 ##@@## ..PAGE:1 15번 목표 선도 프로그램 지속가능한발전 교육(ESD) ..PAGE:2 학습목표 1. 생물종 다양성의 가치를 설명할 수 있다. 2. 멸종위기종 동물을 알고 멸종위기동물을 보호하는 태도를 갖는다. ..PAGE:3 ▶도도새 이야기 읽기 1. 생각열기 : 도도새가 도돌이 되지 않도록 사진 속 새를 아나요? 도도새에요. 도도새 이야기를 읽어볼까요? 남태평양의 무인도 모리셔스 섬에 살고 있던 도도새는 천적이 없어 새이지만 날개가 퇴화하여 날지 않고 뒤뚱거리며 걸어다니는 새였어요. 포유류가 살지 않았던 모리셔스섬에 도도새를 잡아먹는 천적이 없었다고 해요. 이 무인도에 태풍으로 난파선과 함께 사람들이 들어오게 되었어요. 먹을 것이 없었던 사람들은 도도새를 마구잡아 먹었다고 해요. 그리고 사람들과 함께 들어온 쥐는 도도새의 알을 먹어 부화하지 못하게 하였어요. 그렇게 도도새는 모리셔스 섬에서 점차 사라지게 되었어요. 그런데 수 백년이 흘러 이 섬을 찾아간 학자는 이 섬에서 살아가던 카바리아 나무가 사라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어요. 이유를 고심하던 이들은 카바리아 나무 열매의 두꺼운 껍질을 도도새가 모래주머니로 깨트려 씨앗이 싹 틀 수 있게 도왔는데 도도새가 사라지고 나니 두꺼운 열매의 껍질을 깨트려 줄 수 있는 것이 없어 사라질 위기에 처함을 알았다고 해요. 도도새 이야기는 우리에게 많은 교훈을 주는데요. 생태계에서 생물종의 멸종이 어떤 의미를 우리에게 주는지 지금부터 생각해볼까요? ..PAGE:4 ▶서로 영향을 준 것들끼리 화살표로 연결해보고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써보기 1. 생각열기 : 도도새가 도돌이 되지 않도록 사람 도도새 도도나무(카바리아 나무) ..PAGE:5 2. 생각 키우기 : 멸종과 멸종위기 동물들 ▶ 생물의 멸종과 관련된 게임 이야기하기 북극곰 젠가 게임 나무 한그루의 동물 게임 게임이름 방법과 의미 북극곰 젠가 나무 한그루의 동물 ..PAGE:6 3. 생각 만들기 : 수달을 부탁해 ▶ 멸종 위기종 조사하기 멸종위기동물 조사 내용 ..PAGE:7 3. 생각 만들기 : 수달을 부탁해 ▶ 멸종 위기종 조사하기 멸종위기동물 조사 내용 ..PAGE:8 3. 생각 만들기 : 수달을 부탁해 ▶ 멸종 위기종 큐브만들기 ① 검은색 도화지를 준비합니다. (20cm*20cm) ② 가로 세로 4칸씩 접어요. ③ 색깔대로 멸종위기동물을 붙여요. <앞> <뒤> ④ 노란색에 있는 곳에 가위로 오립니다. ..PAGE:9 3. 생각 만들기 : 수달을 부탁해 ▶ 생물의 멸종을 막기 위한 표어를 만들기 ..PAGE:10 4. 선택 활동: 멸종 위기 식물 ▶ 멸종위기 식물 살펴보기 ..PAGE:11 4. 선택 활동: 멸종 위기 식물 ▶ 멸종위기 식물 보호 위해 해야 할 일 알아보기 ..PAGE:12 5. 생각 정리하기 ▶나의 생각을 정리하여 점수에 체크하고 느낌점을 기록해보자. ▶수업 활동을 하면서 아래 내용을 적절하게 수행한 친구는? 평가내용 척도 1 2 3 4 5 나는 종의 멸종이 생태계에 미치는 의미를 다른 사람에게 설명할 수 있다. 나는 멸종위기를 지키는 활동의 가치를 말할 수 있다. 나는 친구들과 함께 멸종위기동물 큐브 만들기를 협력하여 진행하였다. 느낀 점을 자유롭게 기록하세요. 멸종위기종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적극적으로 설명한 친구는 ( )이다. 멸종위기종 큐브 만들기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친구는 ( )이다. 생물 종이 다양해져야 하는 이유를 적극적으로 설명하고 기록한 친구는 ( )이다. 멸종위기종 큐브를 만들고 게임을 할 때 친구를 배려하고 존중하는 친구는 ( )이다. ..PAGE:13 ThankYou 3 4 5 6 7 8 9 10 11 12 ##@@## ..PAGE:1 16번 목표 선도 프로그램 지속가능한발전 교육(ESD) ..PAGE:2 학습목표 평화 교실, 평화 마을 만들기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여 발표할 수 있다. 2. 평화 교실, 평화 마을 만들기를 위한 공동의 목표를 세워 실천할 수 있다. ..PAGE:3 ▶초등학교에 입학하고 지금까지 학교를 다니며, 그리고 우리 마을에 살면서 가장 평화롭고 행복했던 순간은 언제였나요? 1. 생각열기 : 나, 너, 우리의 평화롭고 행복했던 추억! ..PAGE:4 2. 생각 키우기 : 이상적인 평화 교실, 평화 마을 ▶ 여러분이 전학을 가게 된다면, 이사를 가게 된다면 어떤 교실, 어떤 마을로 가고 싶나요? ‘이런 교실에서 공부하고 싶다.’, ‘이런 마을에서 살고 싶다.’라고 생각하는 이상적인 반은, 마을은 어떤 모습인지 아래의 예시처럼 곰곰이 생각한 후에 그림과 글로 표현해 봅시다. ..PAGE:5 3. 생각 만들기 : 학급과 마을의 공동 평화 목표 정하기 ▶ 나와 친구, 선생님이 평화롭고 행복하게 학급에서 지내기 위한 학급 공동 목표를 정해 봅시다. ..PAGE:6 3. 생각 만들기 : 학급과 마을의 공동 평화 목표 정하기 ▶ 나와 친구, 우리 이웃들이 평화롭고, 행복하게 마을에서 지내기 위한 마을 공동 목표를 정해 봅시다. ..PAGE:7 4. 선택활동 : 어린이 법제관 활동해보기 - 어린이 법제처 사이트 : https://www.moleg.go.kr/index.es?sid=a2 - 어린이 법제처 사이트에 들어가 어린이 법제관 되기 참여해보기. - 법제관 참여 소감 발표 ..PAGE:8 5. 생각 정리하기 - 오늘 내가 학습한 과정을 생각하며, 나 자신을 평가해 봅시다. - 오늘 우리가 학습한 과정을 생각하며, 동료를 평가해 봅시다. ..PAGE:9 ThankYou ##@@## ..PAGE:1 17번 목표 선도 프로그램 지속가능한발전 교육(ESD) ..PAGE:2 학습목표 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를 위한 마을 기업가의 필요성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2. 미래 마을 기업가가 되기 위한 실제적 계획을 수립하여 실천할 수 있다. ..PAGE:3 ▶그림을 유심히 관찰하여 다시 그림을 그려봅시다. 1. 생각열기 : 모아 그림 그리기 ▶원래 그림과 달라진 부분을 한 번 찾아봅시다. ..PAGE:4 2. 생각 키우기 : 나눔이란? ▶ 나눔 동영상 시청 ▶ 나눔 리스트 작성 ..PAGE:5 3. 생각 만들기 : 나눔 공작단 ..PAGE:6 3. 생각 만들기 : 나눔 공작단 ..PAGE:7 3. 생각 만들기 : 나눔 공작단 [활동 2] 로치데일 협동조합의 선순환적 가치를 생각하며 다음의 영상을 봅시다. ✔ 공감에서 배우는 사회적 경제 : 사회적 경제나 일반 시장경제나 가장 중요한 요소는 ‘사람’과 ‘돈’입니다. 다만 어떤 것이 그 흐름의 중심에 있느냐의 문제인데 시장경제가 ‘돈’의 흐름에 따라 모든 것이 결정된다면, 사회적 경제는 ‘돈’이 흘러가는 중심에 ‘사람’의 가치와 역할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제활동입니다. 사람은 서로 공감하기 때문에 배려할 수 있고, 갈등이나 욕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입니다. 영상을 보고 난 후 ‘로치데일 협동조합’과 같은 사회적 협동조합이 우리에게도 필요한 이유에 대해 한 가지 이상 적어봅시다. ..PAGE:8 3. 생각 만들기 : 나눔 공작단 [활동 3] 나도 마을 기업가! 다음 두 가지 제품의 차이점을 비교해 보고 수익이 누구에게 돌아가는지, 지역 경제에 어떤 영향이 있는지 생각해봅시다. ..PAGE:9 3. 생각 만들기 : 나눔 공작단 - 학교위탁매점과 학교매점협동조합 비교하기 하나. 학교위탁매점과 학교매점협동조합은 무엇이 다를까요? 둘. 학교매점협동조합을 운영할 경우 예상되는 좋은 점과 문제점을 모둠별로 토의해봅시다. ..PAGE:10 3. 생각 만들기 : 나눔 공작단 - 우리 학교 협동조합 만들기 ✔ 학교생활 불편사항 개선하기 ..PAGE:11 3. 생각 만들기 : 나눔 공작단 - 우리 학교 협동조합 만들기 ✔ 우리 학교 협동조합 만들기 학교생활 불편 개선하기 활동을 통해 나온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협동조합을 만들어 봅시다. 우리 모둠에서 만들고 싶은 협동조합은 무엇이고, 만들고 싶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PAGE:12 4. 선택활동 : 내가 이 공장의 주인이라면? - 나눔설탕 무스코바도 : https://www.youtube.com/watch?v=p5asaX-ZJrg - 내가 이 설탕 공장의 주인이라면? ..PAGE:13 5. 생각 정리하기 - 오늘 내가 학습한 과정을 생각하며, 나 자신을 평가해 봅시다. - 오늘 우리가 학습한 과정을 생각하며, 동료를 평가해 봅시다. ..PAGE:14 ThankYou ##@@## 최종보고서 부록 1 2020년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연계 선도프로그램 개발 과제 최종 보고서 (학생용 프로그램) 2020. 12. 목 차 1. 초등학생용 프로그램 1 2. 중학생용 프로그램 54 3. 고등학생용 프로그램 100 초등학생용 프로그램 온실가스와 비대면 시대 SDG 13 선도프로그램 ��관련 교과목 및 단원�� ▣ 사회 : 세계의 다양한 삶의 모습 ▣ 과학 : 에너지와 생활 ▣ 창의적 체험활동(환경·지속가능발전교육) ▣ 관련 SDGs ✢ 목표 13. 기후변화 대응 ✢ 세부목표 13.3. 기후변화 완화, 적응, 영향 감소, 조기 경보 등에 관한 교육, 인식제고 및 인적·제도적 역량 개선 ▣ 관련 K-SDGs ✢ 목표 13. 기후변화 대응 ✢ 세부목표 13.3. 기후변화 완화 및 감축 교육 활성화 ��프로그램의 개관�� • 이 프로그램은 사례 조사 및 발표 학습, 탐구 학습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코로나 19 이전과 이후의 온실가스 사용 현황을 확인하고,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실천해야 하는 방안을 생각하고, 이를 실천해보는 과정으로 구성하였다. • ‘1차시’ 코로나 19로 인해 발생한 비대면 시대의 달라진 다양한 사례를 탐색하고, 기후변화와 온실가스에 대해서 학생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산화탄소 이외의 온실가스에 대해 사다리 타기 활동을 통해 온실가스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 ‘2차시’ 우리의 삶에서 온실가스가 얼마나 줄었는지 직접 탐구하도록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 집에서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도록 하였다. 모둠활동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실천할 수 있는 방안을 북아트를 이용해 정리하게 하면서 기후변화 대응 실천활동을 내면화하도록 한다. <학습목표>  기후변화와 온실가스의 관계에 대하여 설명할 수 있다.  비대면 시대에서 온실가스 사용 현황을 인식하여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행동 실천을 할 수 있다. ✿ 이 주제를 왜 학습해야 하는가? 기후변화는 우리의 삶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우리의 일상 역시 기후변화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화석연료의 사용과 산업의 발전, 환경 파괴 등은 지구온난화 현상을 가져왔으며, 지구온난화로 대표되는 기후변화의 다양한 현상들은 미래세대인 학생들에게도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인식하게 되었다. 기후변화의 원인과 영향을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응 방안과 적응 방안을 모색하려는 방안으로 코로나 19로 인한 범유행으로 달라진 비대면의 삶은 우리가 온실가스를 적게 쓰는 방법에 대한 통찰을 주었다. 따라서 이러한 현상을 역으로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기후변화의 원인과 발생하는 현상에 대한 대응할 방안을 탐구해보는 것은 매우 적절하다. 이 프로그램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중 13.3은 "기후변화 완화, 적응, 영향 감소, 조기 경보 등에 관한 교육, 인식 제고, 인적·제도적 역량을 강화한다."를 바탕으로 구성하였다. 우리가 하는 어떤 실천과 행동은 기후변화를 예방하는 대응책으로 많이 부족할 수 있다. 다만 기후변화를 완화하고 적응하여 영향을 감소시키는 것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기후변화의 인식을 제고하는 교육과 미래세대의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따라서 이 프로그램은 이러한 세부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이해하고, 기후변화 현상을 탐구하여, 이에 대응하는 방안을 생각해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코로나로 잠시 숨 쉬는 지구 2020년 4월 프란치스코 교황은 인터뷰에서 “코로나 19는 기후변화에 대한 자연의 응답 중 하나일 수 있다.”라고 말했다. 지구 기후환경의 변화와 환경생태계의 파괴가 코로나 19와 같은 바이러스를 탄생시킨 원인이 아니었을까 한다. 반면, 코로나는 우리가 그동안 경험하지 못한 것을 보여주기도 했는데, 코로나 19 감염병은 사람을 멈추게 하고, 자연환경을 깨우고, 지구를 잠시 숨 쉬게 했다. 출처: JTBC 날씨박사(2020.04.09) 이번엔“코로나 19가 기후변화 탓”?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9TO15bxWl3I, 2020.06.20.접속 출처: 중앙일보(2020.4.22), 코로나 19가 지구에 불러온 4가지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BtBMyTgFDJ0, 2020.06.20.접속 위 날씨 뉴스를 보고 코로나 19 발생이 기후변화가 원인이라고 주장하는 의견을 정리해 봅시다. 기후 변화 ⇒ 1단계 2단계 3단계 ⇒ 코로나 19 전염병 발생 기온이 올라 산불이 나고 가뭄이 발생한다. 보금자리를 잃은 야생동물이 사람이 사는 거주지로 이동 사람과 접촉하며, 바이러스 공유 위 4가지 변화 영상을 보고 코로나 19 이후 달라진 지구의 변화를 정리해 봅시다. 번호 지구의 변화 1 (예시) 도로, 하늘길 등에서 인간의 이동이 멈췄다. (대도시 교통 혼잡이 사라짐, 교통사고가 줄어듬, 항공편 90%가 줄어듬) 2 동물은 자유를 얻었다. 캥거루가 거리를 질주, 사슴이 마을 골목을 뛰어다님, 동물원은 야생 동물의 놀이터 3 하늘이 맑아졌다. (봉쇄국가의 미세먼지 9% 감소 인도 마을에서 히말라야 보임) 4 지구가 조용해졌다. 지진파 잡음이 1/3로 줄었음 기후변화와 온실가스의 관계 기후변화는 일정한 지역에서 오랜 시간에 걸쳐 진행되는 기상의 변화이다. 온실가스는 기후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우리는 온실가스 발생을 줄일 수 있고 그만큼 기후변화를 늦출 수도 있다. 온실가스에 대해서 알아보자. 온실가스가 어떻게 기후변화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자. 2 1 3 태양에서 오는 에너지와 지구에서 나가는 복사에너지의 균형이 맞아야 지구는 알맞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데, 우리가 화석연료를 태우고, 에어컨을 사용해서 발생하는 ㅇㅅㄱㅅ(초성퀴즈)가 많아지면 지구 밖으로 나갈 수 있는 에너지가 줄어들어 ㅈㄱㅇㄴㅎ(초성퀴즈)가 발생하여 지구의 기온이 점점 올라가게 된다. 그 결과 빙하가 녹고 각종 기상이변이 생기는 ㄱㅎㅂㅎ(초성퀴즈)가 발생하게 된다. 인구 증가와 경제성장으로 온실가스 발생량이 증가하고 있다. 6대 온실가스 종류와 발생원을 알아보자. 이산화 탄소 (CO2) 메테인 (CH4) 아산화질소 (N2O) 수소불화탄소 (HFCs) 과불화탄소 (PFCs) 육불화황 (SF6) 자동차 배기가스 에어컨, 냉장고 냉매 가축사육 전자제품 생산 석유, 석탄 등의 화석연료 연소 반도체 제조 비대면 시대의 온실가스는? [활동 1] 비대면* 시대에 온실가스는 어떻게 줄어들었나? 코로나 19로 인해 우리는 엄마, 아빠, 형, 누나도 경험해 보지 못한, 수업을 하게 되었다. 학교에 가지도 못하고, 친구들과 운동장에서 뛰어놀지도 못하고, 학교 급식도 먹지 못하고 집에서 컴퓨터로 선생님 얼굴을 보며 수업을 받게 되었다. 부모님은 일터에 출근도 못 하시고 사람들은 거리 두기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고 있다. 주말이면 가족들과 함께 놀이공원도 가고 영화도 보고 좋은 관광지를 방문해 맛있는 것도 먹었었는데. 코로나 19로 지구의 온실가스는 늘었을까? 줄었을까? 우리 주변의 여러 장소에서 온실가스 발생량이 어떻게 변했을까? 생각해봅시다. 장소 온실가스 발생 (늘었다, 줄었다)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 집 늘었다. 집에 계속 있어서 에너지를 많이 쓴다. 컴퓨터, TV 등을 많이 본다. 학교 줄었다. 수업을 많이 안 해 학교 전기를 안 쓴다. 급식을 많이 하지 않아 에너지를 안 쓴다. 도로 줄었다. 거리 두기, 자가 격리로 이동이 줄었다. 공항 줄었다. 폐쇄한 나라가 많아서 항공기가 못 다닌다. 극장 줄었다. 개봉하는 영화도 없다. 극장에 가지 않는다. 놀이공원 줄었다. 사람이 모이는 곳에 가지 않는다. 산업체 줄었다. 문 닫은 공장도 많이 생겼다. 배달음식점 늘었다. 음식을 많이 하고, 오토바이도 많이 다닌다. 비대면: 얼굴을 마주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코로나 19시대에 비대면이 늘어나면서 생긴 용어이다. [활동 2] 비대면 시대의 저탄소 활동 ‘House Book' 만들기 비대면 시대로 인해 우리 가족은 ‘집콕’하는 시간이 늘어났다. 전등을 켜는 시간도 늘어났고, TV는 항상 켜져 있고, 바깥 놀이를 못 하니까 컴퓨터도 오래 하게 되었다. 그리고 외식을 하지 못하니, 집에서 배달시켜 먹거나 요리를 해 먹어야 한다. 음식쓰레기도 많이 나오는 것 같다. 이젠 날도 더워져서 선풍기와 에어컨은 풀가동 하는 상황이다. 어떻게 하면 우리 집에서 나오는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을까? 비대면 기간 동안 늘어난 우리 집 온실가스를 줄이는 프로젝트를 시작합니다. 인터넷 기사, 신문 등에서 우리 집 온실가스 줄이기와 관련 있는 그림이나 글을 찾아서 오려 붙여 봅시다. 거실 주방 냉방 온도는 28도 이하, 안보는 TV 끄기 LED 조명 사용, 자연채광 활용 냉장고는 적당히 채우기, 고효율제품 사용하기 분리배출 잘하기, 물을 받아서 설거지하기 내방 욕실 컴퓨터 조금만 하기, 대기전력차단 콘센트 사용하기 비누칠할 때 양치할 때 수도꼭지 잠그기, 목욕 대신 샤워하기 조사한 내용을 바탕으로 하우스 북(집 북)을 만들어 정리해 봅시다. 기후변화 교육을 위한 노력 우리 주변에서 온실가스를 줄이는 실천 방법에 대해 마인드맵으로 그려보자. 여행 가족끼리 자전거 여행을 계획한다. ‘쓰레기 제로’ 여행을 계획한다. 학교/공부 이면지를 활용한다. 자투리 종이를 활용한다. 양면인쇄를 활용한다. 식사 운동/놀이 먹을 만큼만 담는다. 채식 선택권을 존중한다. 운동 및 놀이 기구 등을 잃어버리지 않고 잘 보관한다. 탄소 배출이 적은 놀이를 생각한다. 오늘 배운 ‘비대면 시대 기후변화 이야기’를 다른 사람에게 알려줄 홍보지를 만들어 봅시다. 제 목 ‘ㅇㅇㅇ’의 기후변화 이야기 누구에게 보여줄 것인가? 부모, 할아버지 할머니, 형제자매, 친구, 1~2학년 학생들 주제는 무엇인가? 우리가 실천하면 지구가 숨 쉴 수 있다. 어떤 내용을 넣을 것인가? 온실가스 줄이는 방법 어떻게 홍보할 것인가? 유튜브(YouTube), 내가 만든 활동자료 자기평가 평가내용 척도 1 2 3 4 5 나는 코로나가 준 지구의 변화를 다른 사람에게 설명할 수 있다. 나는 비대면 시대에 온실가스가 어떻게 줄었는지 이해할 수 있다. 나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온실가스를 줄이는 일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것이다. 느낀 점을 자유롭게 기록하세요. 동료평가 코로나 19 이후 지구변화에 대해 잘 작성한 친구는 ( )이다. 온실가스 발생 원인에 대해 가장 잘 기록한 친구는 ( )이다. 온실가스와 기후변화의 관계에 대해 가장 잘 설명한 친구는 ( )이다. 비대면 시대 온실가스 발생량 증감 이유를 가장 잘 작성한 친구는 ( )이다. 우리 집 온실가스 줄이기 프로젝트를 가장 적극적으로 한 친구는 ( )이다. 기후변화 행동을 하는 학생들 청소년 기후변화 행동 선언 2020년 3월 청소년기후행동이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소극적으로 규정한 현행법령은 청소년의 생명권과 환경권 등 기본권을 침해한다며 헌법소원을 냈다. 청소년기후행동은 이날 서울 광화문 센터포인트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과 시행령 제25조 제1항 등이 위헌임을 확인해달라는 헌법소원을 청구한다고 밝혔다. 청소년기후행동은 기후 위기에 대한 적극적 대응을 촉구하는 청소년 단체다. 청소년기후행동은 "한국은 온실가스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5위 규모로 다량 배출하는데도 2016년 녹색성장법 시행령을 개정을 통해 '2020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폐기하고 퇴행적인 수준의 2030년 감축 목표'를 설정했다"고 주장했다. 청소년기후행동은 "현행 감축 목표는 파리기후변화협약 등을 통해 국제적으로 합의된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평균기온 상승을) 2도보다 낮은 수준으로 억제'한다는 목표를 달성하기에 턱없이 부족하다"며 "청소년들의 기본권을 보호하기 위한 최소한의 보호조치에 이르지 못한다"라고 강조했다.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2003138991Y 출처: 한국경제 2020.3.13. 청소년기후행동 "소극적 기후위기 대응은 위헌"…헌법소원 어리지만 강한 활동가 ‘그레타 툰베리’ 2003년 스웨덴에서 태어난 툰베리는 2011년 기후변화에 대해 처음 듣고 난 뒤 그 심각성에도 불구하고 왜 사람들이 아무것도 하지 않는지 의문을 품게 된다. 이후 기후변화에 관해 공부를 시작하지만, 공부하면 할수록 절망감에 빠지기도 했다. 15세가 되던 2018년 여름, 262년 만에 가장 더웠던 스웨덴의 불볕더위와 산불을 겪으면서 행동에 나선다. 그해 8월 학교를 결석하고 스웨덴 국회의사당 앞에서 기후변화 대책 마련을 촉구하는 1인 시위를 벌인 것이다. '기후를 위한 학교 파업(school strike for climate)'이라는 피켓을 들고 시위를 벌였다. 이 시위는 세계적 기후 운동인 '미래를 위한 금요일(Fridays for Future)'로 이어져, 그레타의 호소에 감화된 전 세계 수백만 명의 학생들이 기후 재앙에 반대하며 매주 금요일 등교를 거부하고 동조 시위를 벌였다. 이후 툰베리는 12월 폴란드 카토비체에서 열린 UN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4)에 참가해 각국 정부를 상대로 기후변화 대비를 촉구하는 연설을 하기도 했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그레타 툰베리(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바다 생물들의 불편 해소 SDG 14 선도프로그램 ��관련 교과목 및 단원�� ▣ 과학 : 생물과 환경 ▣ 사회 : 지속가능한 지구촌 ▣ 미술 : 표현 ▣ 관련 SDGs ✢ 목표 14.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대양, 바다, 해양자원 보존과 지속가능한 이용 ✢ 세부목표 14.4. 최소한 생물학적 특성에 따라 결정되는 최대 지속가능 산출량을 생산할 수 있는 수준까지 가능한 한 최단 기간에 어족자원을 복원하기 위하여, 2020년까지 효과적으로 어획을 규제하고, 남획, 불법・비규제 어업 및 파괴적인 어업 관행을 종식시키며, 과학에 기초한 관리계획 이행 ▣ 관련 K-SDGs ✢ 목표 14. 해양 생태계 보전 ✢ 세부목표 14.4. 수산자원을 지속가능하게 관리하고 과도한 어업을 지양한다. ��프로그램의 개관�� • 이 프로그램은 스토리텔링학습, 사례 조사 및 발표 학습, 탐구 학습 등 융합적 교수・학습 방법으로 해양 및 해양자원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해양자원을 보존하기 위한 관심과 해양 환경 감수성을 북돋아 해양오염으로부터 해양자원을 보존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 ‘1차시’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의 지역적 특성을 바탕으로 해양 생태계를 위협하는 요소와 남획을 인식하여, 해양 생태계 자원의 소중함을 깨달을 수 있는 ‘아낌없이 주는 바다’ 동화를 쓰고 탐구활동을 한다. • ‘2차시’에서 1차시 내용을 바탕으로 알게 된 해양자원과 생태계를 표현하는 바닷속 꾸미기를 통해 자원을 지속가능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양에 대한 소중한 태도를 갖는다. <학습목표>  지속가능한 해양 자원 이용의 중요성을 알 수 있다.  해양생태계에 대한 소중함을 깨달을 수 있다. ✿ 이 주제를 왜 학습해야 하는가? 우리나라는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다. 바다에는 수많은 가능성이 있다. 우리의 생활은 바다의 가능성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바다는 미세플라스틱과 해양 쓰레기 등으로 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바다에 사는 수많은 해양 생물들은 우리의 삶을 지속가능하게 하는데 커다란 공헌을 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해양자원 종류를 알고 확인하는 일은 해양을 보전하는 데 매우 필요한 일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해양 생태계의 중요성을 깨달아 해양자원의 보존에 앞장서게 될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중 14번째 해양과 해양자원 보존과 지속가능 이용을 위해 개발되었다. 이 목표에는 해양 생태계의 영향 최소화, 해양 쓰레기와 영양염류 오염 예방, 어족자원 복원, 파괴적인 어업 관행을 종식하는 등의 세부 목표가 포함되어 있다. 이 중 14.2는 ‘부정적 영향을 피하기 위해 회복력을 강화하는 방법으로 해양 및 연안 생태계를 지속가능하게 관리 및 보호하고 건강하고 생산적인 대안으로 만들기 위해 복구 조치들을 이행한다.’이며, 14. 1은 ‘2025년까지 해양 쓰레기와 영양염류 오염을 포함하여, 특히 육지기반 활동으로부터 발생하는 모든 종류의 해양오염을 예방하고 상당한 수준으로 감소한다.’이다. 따라서 이 프로그램은 이러한 세부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해양 및 해양자원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해양자원을 보존하기 위한 관심과 감수성을 북돋아 해양오염으로부터 해양자원을 보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해양쓰레기와 해양생물 다음의 문제를 모둠 친구들과 함께 풀어보세요. 1번 2번 3번 4번 바다 식목일 있다(O) 준다(O) 있다(O) 명태와 노가리 지난해 우리 연근해어업 생산량이 92만ton에 그쳐 44년 만에 100만ton 선이 무너졌다. 더욱 심각한 것은 단순히 생산량만 줄어드는 게 아니라 명태와 같은 '국민 생선'의 상업적 멸종이 발생했다는 점이다. 1981년 약 17만ton에 달했던 명태 어획량은 2008년에는 정부 공식통계상 '0'이 되었다. 최근에는 갈치 등 다른 국민 생선도 급격한 감소가 나타나고 있다. 갈치는 1974년에 17만ton이 잡혀 고등어(8만ton)의 두 배를 넘었지만, 지난해에는 3만ton으로 줄었다. 그 결과 1974년에 ㎏당 52원으로 고등어(61원)보다 쌌던 갈치 가격이 지난해에는 8천 506원으로 뛰어 국민 생선이 아니라 밥상에 올리기 어려운 '귀족 생선'이 되어가고 있다. 1986년에 32만 7천ton이 잡혀 노점상의 연탄불에 쉽게 오를 만큼 국민 간식거리였던 쥐포의 원료인 쥐치의 생산량도 지난해에는 2천ton으로 급감했다. 주요 어종의 지난해 생산량을 역대 최대치와 비교하면 갈치는 80.6%, 고등어는 62.5%, 오징어는 51.8%, 멸치는 51.9% 줄었다. 국민 생선이던 명태가 우리 연근해에서 사라진 것은 무엇보다 어린 물고기 남획 때문이다. "아직도 통계청 생산 분류 항목에 남은 노가리는 어종의 명칭이 아니라 보호해야 할 명태의 어린 새끼"라며 "1970년부터 노가리 어획이 허용되면서 어획량이 급증했고 1976년에는 전체 명태 어획량의 약 94%를 차지해 결국 멸종에 이르렀다"고 지적했다. 결국, 어린 물고기를 보호하지 못한 정부와 사려 깊지 못한 국민의 소비가 명태의 멸종을 불러왔다고 이 실장은 강조했다. 어린 물고기를 잡는 행위는 다 자라서 최소한 한 번의 산란을 통해 자원 재생산에 기여할 기회마저 박탈하기 때문에 '바닷속 저출산'으로 이어지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한다. 바다에서 물고기가 사라지면 어업과 관련 산업이 존재할 수 없으며, 국민 밥상의 풍요로움도 사라진다. 정부는 2014년부터 사라진 명태 복원 등 '사라진 어종 살리기 사업'을 벌이고 있다. 어린 물고기 남획을 막고 보호해 자원을 회복하는 관리 방안을 마련하고 강력하게 추진할 의지를 보인다. 하지만 정부의 힘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신문기사에서 명태가 줄어든 이유를 찾아 써 보세요. 어린 물고기를 남획했기 때문이다. <잡은 새끼 우럭은 다시 바다로 보내줌> 삼시세끼 어촌편 중 <금어기 정책> 바다 생물이 알을 낳거나 자라나는 시기에 맞추어 바다 생물을 잡는 것을 제한하는 것을 금어기라고 한다. 현재 금어기를 설정하고 있는 것은 은어·대구·연어·병어·대게·자라·꽃게·쏘가리와 새우류 중 돌닭새우·뻘닭새우 등이며, 조개류는 전복·키조개·새조개·소라·코끼리조개 등이고, 이외에 톳·감태류·우뭇가사리의 해조류도 있다. 보통 각 어종의 산란기를 중심으로 금어기간은 2~3개월간이 가장 많다. 그리고 길이에 따른 제한이 있는데 금어기가 아니더라도 어종의 길이에 따라잡을 수 없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송어 12cm, 전복 7cm(다만, 제주도산은 10cm), 새꼬막 5cm, 소라고둥 5cm(다만, 제주도산은 6cm), 대게 12cm, 피조개 7cm, 방어 20cm, 쏘가리 18cm, 산천어 18cm, 재첩 1cm, 말조개 9cm 등이다. 현재 국민 물고기였던 ‘명태’는 1년 내내 포획을 금지했다. 짝끼리 혹은 모둠별로 다음의 토의 주제를 한 개씩 골라 수산자원 보호를 위해 적절한 방법이 무엇인지 토의해봅시다. 지속가능한 수산자원을 이용하기 위해 수산자원 보호를 위한 다양한 방안을 이야기해봅시다. 위에 제시한 방법이 모두 방안이 될 수 있다. 방안이 되는 근거에 대해서 깊이 있게 이야기하도록 한다. 아낌없이 주는 바다 바다는 전 지구 생물종 80% 이상이 살고 있는 자원의 보물창고입니다. 육상생물 자원의 고갈로 인하여 해양생물 자원의 중요성이 매우 커지고 있는데요. 현재까지 개발된 해양생물 자원은 1% 미만이어서 바다는 개발 가능성이 무한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양한 해양생물 자원은 현재에도 다양한 가치를 만들어 내고 있습니다. [활동 1] 아낌없이 주는 바다 아낌없이 주는 나무를 아낌없이 주는 바다로 각색해서 포스트잇에 그림을 그리고 글을 써서 붙여 보세요. 나무 한 그루와 소년이 있었습니다. 나무는 소년이 필요하다고 하는 자신의 나뭇잎, 나뭇가지, 줄기를 주었습니다. 소년은 나무에서 필요한 사과를 모두 땄습니다. 오랜 시간이 흐른 후 할아버지가 되어 돌아온 소년은 앉아 쉬고 나무는 쉬는 소년을 보며 행복해 하였습니다. 바다는 소년은 아낌없이 주는 바다의 결말을 바꾸어 보도록 합시다. 아낌없이 주는 해양에 고마운 마음을 담아 우리가 바다를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하는지 생각해보고, 바다를 보호하는 활동을 넣어 동화책의 결말을 완성해봅시다. 바다는 소년은 [활동 2] 바다가 주는 선물과 풍부한 바다를 만들기 위한 노력을 하는 사람들을 그린 ‘활동1’의 포스트잇으로 ‘바다가 주는 선물’을 꾸며보세요. 해양오염 대응 활동 최근까지 우리나라 바다에 기름이 유출되어 바다에 사는 해양생물들이 터전을 잃을 뻔한 사건이 있었습니다. 2020년 8월까지 인천 바다에서는 12건의 해양 기름 유출 사고가 있었습니다. 2007년 태안 앞바다 기름 유출 사고에서는 전국에 많은 자원봉사자가 유출된 기름을 제거하는 데 힘을 보탰습니다. 다음 글을 읽어보세요. 매년 해양오염사건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해양경찰청은 2018년 해양오염사고가 288건이 발생했고 기름 등 오염물질은 251kℓ가 유출됐다고 발표하였다. 해양 기름 유출 사고는 해양 생태계에 치명적인 영향을 끼치며 피해를 복구하기 어렵다. 2007년 12월 7일 충남 태안군 앞바다 8㎞ 지점에서 유조선과 해상 크레인이 충돌해 원유 1만 2,547㎘가 유출되는 최악의 환경오염 사고가 발생했다. 하지만 오염된 바다는 예상보다 빨리 회복됐다. 세계자연보전연맹은 사고 9년 만인 2016년 태안해안국립공원을 청정해역으로 인정했다. 연인원 123만 명의 자원봉사자들이 해변에 묻은 기름을 일일이 천으로 닦아 만든 ‘기적’이었다. 출처: 동아미디어 공식블로그 2019.11.28., 출처: https://www.ydp.go.kr/DATA/photo/46//DPP-230025.JPG 기름을 제거하는 방법입니다. 준비물을 살펴보고 오염된 바다를 깨끗하게 하는 활동을 해보세요. 준비물: 수조, 검은색 유화물감, 파란색 수성물감, 털실, 식용유, 스포이트, 흡착포 출처: https://kidshyundai.tistory.com/492 [키즈현대] 자기평가 평가내용 척도 1 2 3 4 5 나는 바다 생물이 우리 삶에 없어서는 안 될 매우 중요한 것임을 다른 사람에게 설명할 수 있다. 나는 해양 생태계를 지키고 보존하는 일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싶다. 나는 친구들과 함께 바다 생물의 다양함과 바다를 보존해야 하는 그림을 그리는 활동에 협력하였다. 느낀 점을 자유롭게 기록하세요. 동료평가 바다 생태계가 우리들에게 꼭 필요하여 지속적인 자원이 되어야 함을 적극적으로 설명한 친구는 ( )이다. 풍부한 바다 만들기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친구는 ( )이다. 바다를 보호해야 하는 이유를 적극적으로 설명하고 기록한 친구는 ( )이다. 친구들에게 동화를 쓰고 그 내용을 발표할 때 경청한 친구는 ( )이다. 미세플라스틱과 해양 보호 생물 ■ 해양 미세플라스틱 “마스크를 끊어서 버리자” 코로나 19의 확산 방지를 위해 전 세계 사람들이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다. 수많은 마스크가 생산되고 사용되면서 한 달에 버려지는 마스크만 무려 1,290억 장에 달한다. 문제는 마스크가 무분별하게 버려지면서 동물과 환경에 치명적인 위협이 되고 있다. 마스크의 주요 소재는 폴리프로필렌, 즉 플라스틱이다. 땅에 묻혀도 수백 년 동안 썩지 않고, 바다로 흘러 들어가면 미세플라스틱으로 분해된다. 이미 프랑스와 홍콩 바닷속에서는 버려진 마스크들이 발견되고 있다. 2020년 영국 에식스주에서 발견된 갈매기는 마스크 귀걸이에 두 다리가 칭칭 감겨 같은 자리만 맴돌았던 사건이 있었다. 시민의 구조요청으로 병원에 이동된 갈매기는 발 부위가 퉁퉁 부어오른 상태였다. 이에 영국의 국립 동물학대방지협회는 마스크를 폐기할 때도 책임감 있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무책임하게 폐기되는 마스크가 많아진다면, 야생 동물과 새들은 점점 더 마스크 귀걸이에 몸이 걸리고 묶이게 될 것입니다” 이 사건과 사진을 계기로 “마스크를 끊어서 잘 버리자”라는 캠페인이 SNS를 통해 빠르게 전파되고 있다. ■ 해양 보호 생물이란? 해양수산부는 2006년 「해양 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생존을 위협받거나 보호해야 할 가치가 높은 해양생물을 「해양 보호 생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 해양 보호 생물의 구분과 대상 현재 해양 보호 생물로 지정된 종은 포유류 16종, 무척추동물 34종, 해조류(해초류 포함) 7종, 파충류 4종, 어류 5종, 조류 14종으로 총 80종이다. 생물종이 다양해야 건강해요 SDG 15 선도프로그램 ��관련 교과목 및 단원�� ▣ 과학 : 생물과 환경 ▣ 사회 : 지속가능한 지구촌 ▣ 창의적 체험활동(환경·지속가능발전교육) ▣ 관련 SDGs ✢ 목표 15. 육상 생태계 ✢ 세부목표 15.c 지역공동체의 지속가능한 생계 기회 추구 역량 증대 등을 통하여 보호종의 밀렵. 밀매 방지 노력에 대한 글로벌 지원을 강화한다. ▣ 관련 K-SDGs ✢ 목표 15. 육상 생태계 보전 ✢ 세부목표 15-1 자연 서식지의 황폐화를 줄이기 위한 시급하고 중요한 조처를 하고 생물 다양성의 손실을 중단시키며, 2020년까지 멸종위기종을 보호하고 멸종을 예방한다. ��프로그램의 개관�� • 이 프로그램은 경험학습, 사례 조사 및 발표 학습, 탐구 학습 등 융합적 교수・학습 방법으로 육상 생태계 등의 보호와 지속가능 이용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육상 생태계 자원을 보존하기 위한 노력과 멸종위기종에 대한 환경적 감수성을 자극하여 육상 생태계에 나쁜 영향을 끼치는 다양한 요인으로부터 육상 생태계를 보호할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 ‘1차시’는 도도새 이야기를 통해 생물종 다양성이 우리에게 미치는 영향을 확인해 보고, 우리나라의 멸종위기종 큐브 만들기 활동을 통해 멸종위기종과 생물종 다양성의 인식을 심화한다. • ‘2차시’에서 1차시에서 만든 멸종위기 동물 큐브 게임 활동을 통해 멸종위기종을 보호해야 하는 까닭을 생각해보고, 생물종이 왜 다양한 것이 우리 모두를 위한 것인지 표어로 써서 전시함으로써 생물 다양성 보존에 대한 의지를 알릴 수 있도록 한다. <학습목표>  생물종 다양성의 가치를 설명할 수 있다.  멸종위기 동물을 알고 멸종위기 동물을 보호하는 태도를 갖는다. ✿ 이 주제를 왜 학습해야 하는가? 생태계에는 다양한 생물학적 종이 모여 상호작용을 하며 살아가고 있다. 지구에 약 1,000만 종 이상의 생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그중 180만여 종의 생물종이 발견되었다. 이렇게 다양한 생물이 지구상에 존재하는 것은 생태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고 보전할 수 있는 밑바탕이 된다. 그러나 현재 많은 종의 동식물이 멸종될 위기에 처해 있다. 이러한 멸종위기의 원인은 자연적인 현상이 아니라 인위적 개발로 인한 서식지 파괴, 경제적 이익을 위한 포획 등이 문제가 된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멸종위기에 있는 동물들을 알고 감수성을 키우는 일은 지속가능한 생태계와 사람들이 살아가는 공동체에도 매우 필수불가결한 일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육상 생태계에서 멸종되어가는 종의 보존이 얼마나 중요한지 깨달을 수 있으며, 육상 생태계의 보전에 앞장서게 될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중 15번째 육상 생태계 등의 보호와 지속가능 이용을 위해 개발되었다. 이 중 15.5는 ‘자연 서식지의 황폐화를 줄이기 위한 시급하고 중요한 조처를 하고, 생물 다양성의 손실을 중단시키며, 2020년까지 멸종위기종을 보호하고 멸종을 예방한다.’며, 15.4는 ‘2030년까지 생물 다양성을 포함하여 생태계를 보호한다.’이다. 따라서 이 프로그램은 이러한 세부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멸종한 도도새 이야기를 통해 다시 복원하기 어려운 육상 생태계의 특성을 알고, 멸종위기종을 보호하는 의지를 가질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하였다. 도도새가 도돌이 되지 않도록 도도새 이야기를 읽어봅시다. 사진 속 새를 아나요? 도도새예요. 도도새 이야기를 읽어볼까요? 남태평양의 무인도 모리셔스 섬에 살고 있던 도도새는 천적이 없어 새이지만 날개가 퇴화하여 날지 않고 뒤뚱거리며 걸어 다니는 새였어요. 포유류가 살지 않았던 모리셔스 섬에 도도새를 잡아먹는 천적이 없었다고 해요. 이 무인도에 태풍으로 난파선과 함께 사람들이 들어오게 되었어요. 먹을 것이 없었던 사람들은 도도새를 마구 잡아먹었다고 해요. 그리고 사람들과 함께 들어 온 쥐는 도도새의 알을 먹어 부화하지 못하게 하였어요. 그렇게 도도새는 모리셔스 섬에서 점차 사라지게 되었어요. 그런데 수백 년이 흘러 이 섬을 찾아간 학자는 이 섬에서 살아가던 카바리아 나무가 사라지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어요. 이유를 고심하던 이들은 카바리아 나무 열매의 두꺼운 껍질을 도도새가 모래주머니로 깨트려 씨앗이 싹 틀 수 있게 도왔는데 도도새가 사라지고 나니 두꺼운 열매의 껍질을 깨트려 줄 수 있는 것이 없어 사라질 위기에 처함을 알았다고 해요. 도도새 이야기는 우리에게 많은 교훈을 주는데요. 생태계에서 생물종의 멸종이 어떤 의미를 우리에게 주는지 지금부터 생각해볼까요? 이 이야기를 듣고 서로 영향을 준 것들끼리 화살표로 연결해보고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써보세요. 도도새 사람 도도나무(카바리아 나무 멸종과 멸종위기 동물들 멸종은 생물의 한 종류가 완전히 없어짐 혹은 어떠한 종이 영원히 사라지는 것이라고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도 수많은 동물 종이 서식지 개발과 기후변화로 멸종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멸종위기종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봅시다. 멸종(滅種) 생물의 한 종류가 완전히 없어짐. 어떠한 종이 영원히 사라지는 것. Extinction : The disappearance of a species so that it is lost forever. 다음의 게임들은 생물의 멸종과 관련된 게임입니다. 게임의 방법을 예상해보고 어떤 의미가 있는지 친구들과 이야기해보세요. 북극곰 젠가 게임 나무 한 그루의 동물 게임 게임이름 방법과 의미 북극곰 젠가 하나씩 나무토막을 빼내고 안 무너지면 다음 순서가 됨 각각의 종이 멸종하면 그 생태계가 무너질 수 있다는 의미가 있음 나무 한 그루의 동물 나무 한 그루와 관련된 다양한 생물들을 맞추는 게임 각각의 생물이 맞추어져야 비로소 나무도 완성되므로 생태계가 상호작용에 있음을 알 수 있음 수달을 부탁해 국제학술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를 통해 육지 척추동물 500종 이상이 20년 안에 사라질 것이라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팀은 "인간 활동의 영향으로 점차 생물 멸종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며 "지난 100년간 척추동물 총 543종이 사라졌는데, 20년 안에 이와 비슷한 숫자의 척추동물이 멸종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우리나라에서 사라져가고 있는 멸종위기에 처한 동물들을 알아봅시다. [활동 1] 멸종위기종 조사하기 인터넷 검색을 통해 우리나라 멸종위기 동물들의 이름을 완성해봅시다. ㅅ ㄷ (수달) ㄷ ㄹ ㅁ(두루미) ㄴ ㄷ(늑대) ㅅㄹㅅㄴ (스라소니) ㅎ ㄹ ㅇ (호랑이) ㅅ ㅅ (사슴) ㄴ ㄹ (노루)-사향노루 ㅂ ㄷ ㄱ (반달곰) 우리나라 멸종위기 동물들을 조사해봅시다. 멸종위기 동물 조사 내용 유럽 ·북아프리카 ·아시아에 널리 분포한다. 한국의 경우 과거에는 전국적으로 볼 수 있었으나 모피수(毛皮獸)로 남획되고 하천이 황폐화하면서 그 수가 줄었다. 1982년 11월 4일 전국 일원에 천연기념물 제330호로 지정되었고, 2012년 7월 27일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두루미과의 대형 조류로 크기는 150cm가 넘는다. 전체적으로 희며 둘째 및 셋째 날개깃이 검다. 이마와 눈앞 부분, 정수리 부분이 붉다. 앞이마에서 뺨, 목까지 이어지는 부분과 다리는 검다. 국내에는 겨울 철새로 찾아와 10월 하순부터 이듬해 3월까지 철원, 연천, 파주, 강화 등 비무장지대 주변의 하구나 갯벌, 습지, 농경지에 머문다 개과 개속에 속하는 포유동물. 개와 비슷하게 생겼으나 전체적으로 더 건장하고 귀가 서 있으며 꼬리는 내려뜨리고 있다. 가족생활을 하며 집단으로 사냥한다. 유라시아 대륙과 아메리카에 분포했으나 개체 수가 많이 감소했으며 한국의 남부에서는 절멸 상태로 보인다. 배 쪽에 사향샘이 있는데, 보통 생후 3년이 넘은 수컷에게 발달되어 있으며, 한 마리에서 28∼30g의 사향을 채취할 수 있다. 뿔 모양의 사향은 잘라 말려서 상품화한다. 또 향기가 좋아 향약·분향 등으로도 사용된다. 한국·중국·중앙아시아·사할린섬·시베리아·몽골(서부)에 분포한다. 한국에서는 1968년 11월 20일 천연기념물 제216호로 지정되었고, 2012년 7월 27일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식육목 고양이과의 포유류. '링크스'라고도 한다. 모피는 황갈색 혹은 회색 바탕에 검정이나 갈색 또는 흰 타원형 반점이 있고 생김새는 표범과 비슷하며 성질이 사납다. 한국·유럽·터키·이란·히말라야·중국 동북부·시베리아·사할린·캄차카 등지에 분포하며 평원이나 삼림, 때로는 사막에도 서식한다. 한국에서는 2012년 7월 27일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백두산 호랑이는 ‘한국 호랑이'라고도 불리며 예전에는 시베리아 호랑이랑 다른 종으로 분리했지만 최근 학계에서는 같은 종으로 보고 있습니다. 현재 남한에서는 완전히 멸종되었으며 멸종 이유는 인구의 증가로 호랑이의 터전까지 농경지로 개간하면서 호랑이가 서식지를 잃었다고 합니다. 또한, 20세기 초에 서구 열강 등이 야생 동물을 수렵했으며 이후 일제에 의해 남획되어 지금은 거의 볼 수 없는 동물이 되었습니다. 어깨높이는 약 92㎝이다. 여름털은 연분홍빛을 띤 밤색이고, 등면과 옆구리에는 노란색 반점이 있으며, 흰색의 경반은 비교적 작다. 겨울털은 몸통이 어두운 갈색이고, 머리·목·어깨는 여름털의 반점 흔적이 엿보인다. 수컷끼리 또는 암컷끼리 무리를 이루거나 혼합 무리를 이룬다. 먹이는 주로 나뭇잎과 풀의 잎·줄기, 메밀·조·밤·도토리 등도 먹는다. 한국과 중국 북동부 등지에 분포한다. 남한의 경우 1940년대에 멸종된 것으로 보이며, 2012년 7월 27일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아시아 흑곰의 아종. 한국과 중국 북동부에 분포하며, 천연기념물 제329호로 지정돼 있다. 광택이 나는 검은색 털로 뒤덮여 있고, 앞가슴에 반달 모양의 흰무늬가 존재한다. 번식기는 7~9월이고, 한 번에 두 마리의 새끼를 낳는다. 한국에서는 지리산 북부 1,500m 이상 고산지대에서 서식한다. [활동 2] 멸종위기 동물 큐브 만들기 다음의 설명을 보고 멸종위기종 큐브 만들기를 하고 친구들과 퍼즐을 맞추어 봅시다. ① 검은색 도화지를 준비합니다. (20cm*20cm) ② 가로, 세로 4칸씩 접어요. ③ 색깔대로 멸종위기 동물을 붙여요. <앞> <뒤> ④ 노란색에 있는 곳에 가위로 오립니다. ▪ 도도새가 멸종하면서 카바리아 나무가 사라지는 것처럼, 우리나라의 생물이 멸종하면 어떻게 될지 생각해보고 생물의 멸종을 막기 위한 표어를 만들어 봅시다. 하나의 생물종이 사라지면 모두 사라질 수 있다. 우리가 생물종을 멸종시키면, 그 결과가 우리에게 돌아온다. 모든 생물들은 연결되어 있고! 서로 함께 살아야 하고! 멸종위기 식물 다음은 멸종위기 식물입니다. 이밖에도 어떤 것들이 있는지 찾아보고 한 가지 식물을 그려봅시다. 출처: http://nationalatlas.ngii.go.kr/pages/page_138.php 멸종위기 식물을 보호하기 위해서 어떤 일을 해야 할까요? 산이나 들에서 예쁘거나 향이 좋다고 함부로 꺾어 오면 안 된다. 식물들이 살고 있는 것을 함부로 없애거나 모두 개발해서는 안 된다. 자기평가 평가내용 척도 1 2 3 4 5 나는 종의 멸종이 생태계에 미치는 의미를 다른 사람에게 설명할 수 있다. 나는 멸종위기를 지키는 활동의 가치를 말할 수 있다. 나는 친구들과 함께 멸종위기 큐브 만들기를 협력하여 진행하였다. 느낀 점을 자유롭게 기록하세요. 동료평가 멸종위기종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적극적으로 설명한 친구는 ( )이다. 멸종위기종 큐브 만들기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친구는 ( )이다. 생물종이 다양해져야 하는 이유를 적극적으로 설명하고 기록한 친구는 ( )이다. 멸종위기종 큐브를 만들고 게임을 할 때 친구를 배려하고 존중하는 친구는 ( )이다. 생물다양성 ● 생물 다양성이란? 생물다양성(Biological Diversity)이란 지구상의 생물종(Species)의 다양성, 생물이 서식하는 생태계(Ecosystem)의 다양성, 생물이 지닌 유전자(Gene)의 다양성을 총체적으로 지칭하는 말이다. 종 다양성(Species diversity)은 한 지역 내의 종의 다양성 정도를 말하는 것으로서 분류학적 다양성을 지칭하며, 생태계 다양성(Ecosystem diversity)은 한 생태계에 속하는 모든 생물과 무생물의 상호작용에 관한 다양성을 말한다. 또한, 유전적 다양성(Genetic diversity)은 종내의 유전자 변이를 말하는 것으로 같은 종내의 여러 집단들을 의미하거나 한 집단내 개체들 사이의 유전적 변이를 의미한다. 출처: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 생물종 다양성을 위협하는 생물종 멸종위기 동식물 구 분 대 상 종 포유류(12종) 붉은박쥐, 늑대, 여우, 표범, 호랑이, 스라소니, 수달, 바다사자, 반달가슴곰, 사향노루, 대륙사슴, 산양 조류(13종) 노랑부리백로, 황새, 노랑부리저어새, 저어새, 혹고니, 흰꼬리수리, 참수리, 검독수리, 매, 두루미, 넓적부리도요, 청다리도요사촌, 크낙새 양서․파충류(1종) 구렁이 어류(6종) 감돌고기, 흰수마자, 얼룩새코미꾸리, 미호종개, 꼬치동자개, 퉁사리 곤충류(5종) 장수하늘소, 두점박이사슴벌레, 수염풍뎅이, 상제나비, 산굴뚝나비 무척추동물(5종) 나팔고둥, 귀이빨대칭이, 두드럭조개, 남방방게, 칼세오리옆새우 식물(8종) 섬개야광나무, 죽백란, 한란, 나도풍란, 풍란, 광릉요강꽃, 암매, 만년콩 ● 생물 다양성을 위한 국제적 노력 1987년 6월 : 유엔환경계획(UNEP) 집행이사회에서 협약제정을 위한 특별실무위원회 개최 결정 1992년 5월 : 생물다양성협약 전권대표 회의에서 생물다양성협약 채택(케냐, 나이로비) 1992년 6월 : 유엔환경개발회의 협약 개방, 우리나라 포함 158개국 서명 (UNCED)(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 1993년 1월 : 생물다양성협약에 관한 국제회의 1993년 12월 : 생물다양성협약 발효 1994년 10월 : 생물다양성협약에 우리나라 공식 가입 1994년 11월 : 제1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 (바하마, 낫소) 2005년 3월 : 188개국 가입(대다수 선진국 가입, 미국 미가입) 2014년 10월 : 제12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 (대한민국, 평창) 평화 교실, 평화 마을 만들기 SDG 16 선도프로그램 ��관련 교과목 및 단원�� ▣ 사회 : 인권 존중과 정의로운 사회 ▣ 국어 : 일이 일어난 까닭 ▣ 창의적 체험활동(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 학급회의 하기) ▣ 관련 SDGs ✢ 목표 16. 평화, 정의, 강력한 제도 ✢ 세부목표 16.3. 국가적•국제적 수준에서 법치를 증진 하고, 모두에게 정의에 대한 평등한 접근 보장 ��프로그램의 개관�� • 이 프로그램은 사례 조사 및 발표 학습, 토의토론 학습 등 융합적 교수・학습 방법으로 학급과 마을, 나라를 평화롭고 정의롭게 만들기 위해 학생 수준에서 지켜야 할 규칙과 규범을 정하고, 이를 실천해보는 과정에서 평화와 정의를 실천하는 세계시민의 경험을 해 볼 수 있도록 그 내용을 구성하였다. • ‘1차시’는 학생들이 매주 진행하고 있는 학급회의에서 결정된 지켜야 할 일들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통해 강력한 제도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할 수 있도록 기본 개념 교육 및 반성의 경험을 제공한다. • ‘2차시’에서는 1차시 내용을 바탕으로 실제 평화롭고 정의로운 학급, 마을, 나라를 만드는 데 필요한 규칙과 규범을 정하고, 이를 이행하는 데 필요한 강력한 제도를 직접 계획하고, 적용해 볼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평화와 정의를 강력한 제도를 통해 지켜나가는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학습목표>  평화 교실, 평화 마을 만들기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여 발표할 수 있다.  평화 교실, 평화 마을 만들기를 위한 공동의 목표를 세워 실천할 수 있다. ✿ 이 주제를 왜 학습해야 하는가? 코로나 19 바이러스의 전 세계적 위협으로 인해 이제 한 사람의 문제가 마을, 국가, 전 세계와 밀접한 관련성을 맺고 있으며, 평화롭고 정의로운 세계를 만들어 나가기 위해 강력한 제도가 필요함을 전 세계가 인식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이에 초등학교 학생의 수준에서 생각해보고 적용해 볼 수 있는 학급 규칙, 마을 공동 규칙, 나라의 규칙을 토의토론을 통해 학생들이 스스로 정하고 실천하는 경험을 제공하고자 본 수업을 계획하였다. 본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학급 자치, 마을 공동 위원회, 나라 공동 위원회로서의 자격과 하는 일을 경험하고 세계시민으로서 공동의 문제를 평화롭고, 정의롭게 해결하는 경험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중 16번째 평화, 정의, 강력한 제도를 학생들이 직접 경험해 볼 수 있도록 구안되었다. 특히 세부목표 중 16.3인 ‘국가적·국제적 수준에서 법치를 증진하고, 모두에게 정의에 대한 평등한 접근 보장’에 주안점을 두었다. 따라서 이 프로그램은 이러한 세부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학생들이 평화로운 학급과 마을, 나라를 만들기 위해 지켜야 할 규칙과 규범을 정하고 학교 및 학교 밖 생활 속에서 몸소 실천해 볼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하였다. 나, 너, 우리의 평화롭고 행복했던 추억! 초등학교에 입학하고 지금까지 학교에 다니며, 그리고 우리 마을에 살면서 ‘가장 평화롭고 행복했던 순간’은 언제였나요? 친구와 재미있게 피구 했던 기억 가족들과 함께 공원을 산책했던 기억 이상적인 평화 교실? 평화 마을? 여러분이 전학을 가게 된다면, 이사를 가게 된다면 어떤 교실, 어떤 마을로 가고 싶나요? ‘이런 교실에서 공부하고 싶다.’, ‘이런 마을에서 살고 싶다.’라고 생각하는 이상적인 반은, 마을은 어떤 모습인지 아래의 예시처럼 곰곰이 생각한 후에 그림과 글로 표현해 봅시다. 항상 친구들과 사이좋게 지내는 반입니다. 항상 하고 싶은 것들을 마음껏 할 수 있는 반입니다. 싸우지 않는 반입니다. 내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평화로운 반은? 내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평화로운 반은? 내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평화로운 마을은? 학급과 마을의 공동 평화 목표 정하기 [활동 1] 나와 친구, 선생님이 평화롭고 행복하게 학급에서 지내기 위한 학급 공동 목표를 정해 봅시다. 이제 친구들과 함께 우리 반 ‘학급 공동 평화 목표’를 정해 봅시다. ※ 학급 공동 평화 목표를 정하기 위한 TRIZ 기법 활용 아이디어 도출 활동지 TRIZ 사고법이란? * 중심(학습) 문제 – 평화로운 우리 학급을 만들기 위해 어떤 일을 해야 할까? 학생들은 수준에 따라 평화로운 학급을 만들기 위한 새롭고 혁신적인 방안을 탐색하여 제시하도록 한다. TRIZ에서의 발명 수준은‘자명한 해결책’, ‘작은 개선’, ‘획기적인 개선’, ‘신개념’, ‘발견’의 5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학생들은 개인적 사고 수준에 따라, 학년별 수준에 따라 적합한 단계의 발명 아이디어를 제시하도록 한다. 특히 사고가 미분화된 초등 저학년의 경우, 낮은 발명 수준으로 활동하고, 제시한 아이디어의 현실 가능성이 작더라도 비판하지 않아야 하며, 다양한 아이디어를 생성할 수 있도록 허용적인 학습 분위기를 조성한다. 만약 수준에 따른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시하기에 어려움을 느끼는 학생은 기존의 제품이나 방법에서 조금이라도 수정∙보완할 수 있는 것을 찾아보도록 한다. 문제 : 평화로운 우리 학급을 만들려면? 수준 주요내용 자명한 해결책 친구끼리 싸우지 않기 작은 개선 욕하지 않기 획기적인 개선 고운 말 사용 지킴이단 운영 신개념 건강하고 재미있는 고운 말 사용 실천 발견 고운 말 사용 적립 약속 팔찌 착용 <모둠 활동지> “학급 공동 평화 목표”아이디어 ( )초등학교 ( )학년 ( )반 ( )모둠 모둠원 : 문제 : 평화로운 학급을 만들기 위해 우리 모둠이 선정한 아이디어는? 수준 주요내용 자명한 해결책 작은 개선 획기적인 개선 신개념 발견 우리 반이 함께 세운 ‘학급 공동 평화 목표’를 꾸준히 지키려면 어떻게 실천해야 좋을지 이야기 나누어 봅시다. 함께 정한 ‘학급 공동 평화 목표’를 지키기 위해 어떻게 노력하면 좋을지 생각해보고, 구체적인 지침을 만들어 봅시다. [활동 2] 나와 친구, 우리 이웃들이 평화롭고, 행복하게 마을에서 지내기 위한 마을 공동 목표를 정해 봅시다. 이제 친구들과 함께 우리 마을 ‘마을 공동 평화 목표’를 정해 봅시다. ※ 우리 마을 공동 평화 목표를 정하기 위한 브레인라이팅 토의 활동지 <모둠 활동지> 우리 마을 공동 평화 목표 정하기 ( )초등학교 ( )학년 ( )반 ( )모둠 모둠원 : 토의문제 : 우리 마을을 평화로운 마을로 만들기 위해 마을 주민으로서 우리가 해야 할 일 찾기 A1 A2 A3 마을 길 청소 자원봉사 B1 B2 B3 C1 C2 C3 D1 D2 D3 E1 E2 E3 F1 F2 F3 ※ 활동지 활용 방법 1. 브레인스토밍 4대 원칙을 그대로 준수한다.(비판엄금, 질보다 양, 자유분방, 결합과 개선) 2. 시작을 알리면 가로 A1, A2, A3에 자신의 아이디어를 기입한다. 3. 세 가지 아이디어를 기입하고 나면, 그 종이를 책상의 가운데 종이와 바꾼다. 4. 이미 기입되어 있는 세 가지 아이디어 아래 칸 B1, B2, B3에 새로운 아이디어 세 가지를 써넣는다. 5. 위와 같은 방법으로 모둠원끼리 돌려가며 모둠원 수에 맞게 F 칸까지 아이디어를 써넣는다. 우리 반이 함께 세운 ‘마을 공동 평화 목표’를 꾸준히 지키려면 어떻게 실천해야 좋을지 이야기 나누어 봅시다. 함께 정한 ‘마을 공동 평화 목표’를 지키기 위해 어떻게 노력하면 좋을지 생각해보고, 구체적인 지침을 만들어 봅시다. 어린이 법제관 활동해보기 아래의 사이트에 들어가 어린이 법제관 제도에 대해 알아봅시다. 어린이 법제처 사이트 : https://www.moleg.go.kr/index.es?sid=a2 어린이 법제처 사이트에 들어가 어린이 법제관 되기 참여해보기. 법 제안하기 참여 소감 나누기 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쓰레기 총량제 세금 감면법 내가 제안한 법: 쓰레기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방법을 생각하고 고민해 보게 되었다. 참여 소감: 자기평가 평가내용 척도 1 2 3 4 5 자료 조사 활동을 성실하게 수행하였는가? 나는 팬데믹으로 인해 우리가 받는 영향을 말할 수 있다. 모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는가? 모둠원과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였는가? 느낀 점을 자유롭게 기록하세요. 동료평가 우리 학급과 마을의 평화 공동 목표를 가장 잘 제안한 친구는 ( )이다. 우리 학급과 마을의 평화를 지켜나가기 위한 자료를 가장 잘 수집하여 정리한 친구는 ( )이다. 우리 학급과 마을의 평화를 해치는 요인들을 가장 잘 알고 이를 환경문제와 관련지어 설명한 친구는 ( )이다. 프로젝트 주제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한 친구는 ( )이다. 주제에 맞게 탐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적절한 방법을 구안하고 실행한 친구는 ( )이다. 솔로몬 부자학 31장(갈등의 원인) 서로 성격도 다르고 생각도 다양한 사람들이 살아가는 세상에서 크고 작은 갈등이 없을 수는 없습니다. 따라서 갈등 자체를 만들지 않으려고 노력하기보다는 갈등이 생겼을 때 그 원인과 극복하는 방법을 알고 대처하는 것이 바람직한 인간관계를 만드는 데 더 도움이 될 것입니다. 스티븐 스콧의 “솔로몬 부자학 31장”이라는 책을 보면 갈등의 원인 5가지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고 있습니다. 1. 자존심 우리의 성격 중에서도 거만함과 자존심은 그 어떤 요소보다 많은 말썽을 일으키는 주범입니다. 따라서 갈등에 휘말리기 전에 당신을 그 갈등 속으로 밀어 넣은 힘이 어디에서 오는지 살펴보는 것이 좋습니다. 2. 분노 평소에 분노를 늘 품고 다니고 있다면 먼저 분노가 사라지지 않는 근본 원인을 찾을 필요가 있습니다. 분노는 중요한 인간관계를 끊어 놓을지도 모릅니다. 분노를 늘 품고 다니는 사람이 있다면 그와 함께하는 시간을 줄이는 한이 있더라도 그 사람의 분쟁 속에 휘말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3. 불쾌한 말 싸움을 일으키는 데에는 불쾌한 말과 상처를 주는 말 몇 마디면 충분합니다. 하지만 이것은 싸움의 정당한 이유도 또 싸움을 제대로 하는 방법도 아닙니다. 갈등을 불러일으키는 불쾌한 말들 대신 긴장감을 잠재울 수 있는 친절하고 다정한 말을 하도록 합시다. 4. 충동과 반발 싸움은 보통 충동적으로 시작됩니다. 만일 충분히 생각할 시간을 갖는다면 싸움이 일어나지는 않을 것입니다. 하지만 충동에서 시작된 논쟁과 갈등은 결국 상처로 남을 뿐입니다. 5. 참견 상황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상황에서 어느 한쪽 편을 든다면 재앙이 시작됩니다. 누군가 자신들의 분쟁을 거들어 달라고 부탁할지라도 깊이 생각하고 많은 조언을 구하기 전까지는 섣불리 끼어들어서는 안 됩니다. 거절하기를 두려워하지 말고 당사자들에게 당신이 그 싸움과 전혀 상관이 없다는 것을 알리는 것이 적절한 행동입니다. 갈등 없는 인간관계는 없습니다. 갈등을 두려워하거나 피하지 말고 현명하게 잘 해결하는 지혜를 구합시다. 나도 마을 기업가! SDG 17 선도프로그램 ��관련 교과목 및 단원�� ▣ 사회 : 우리나라의 경제 발전 ▣ 국어 : 짜임새 있게 구성해요 ▣ 창의적 체험활동(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 마을 기업가 되기) ▣ 관련 SDGs ✢ 목표 17. SDGs를 위한 파트너십 ✢ 세부목표 17.9. 남북•남남•삼각 협력 등을 통하여, 모든 지속가능발전목표를 이행하기 위한 국가 계획을 지원할 개도국들의 효과적•선별적인 역량구축 이행에 대한 국제적 지원을 강화 ��프로그램의 개관�� • 이 프로그램은 학생들이 개인에서 나아가 세계시민으로서 마을 기업가 공동체 활동 실천을 위한 지구촌 협력 방안을 모색하고, 실천해볼 수 있도록 교육적 경험을 제공해주고자 그 내용을 구성하였다. • ‘1차시’는 순환과 공생의 사회적 경제의 기본 개념 이해, 소비를 통한 순환과 공생 체험 활동 등을 통해 사회적 경제, 마을 기업의 필요성과 자신의 역할에 대해 고민해 보도록 구성하였다. • ‘2차시’에서는 1차시 내용을 바탕으로 실천 가능한 마을 기업을 디자인해 보고, 마을 기업가가 되기 위한 실천 활동을 계획하고 실천할 수 있는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대기업 아이템 및 로컬 기업 아이템 비교분석 활동, 마을 기업 찾아보기, 마을 기업가 되기 등의 순차적 활동을 계획하였다. 따라서 본 수업의 전 과정을 통해 학생들은 SDGs 달성을 위한 마을 공동체 활동, 세계시민 참여활동을 경험할 수 있을 것이다. <학습목표>  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를 위한 마을 기업가의 필요성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 미래 마을 기업가가 되기 위한 실제적 계획을 수립하여 실천할 수 있다. ✿ 이 주제를 왜 학습해야 하는가? 코로나 19 바이러스의 전 세계적 위협으로 인해 이제 한 사람의 문제가 마을, 국가, 전 세계와 밀접한 관련성을 맺고 있으며, 세계시민으로서 신중하게 행동해야 함을 깨닫게 되었다. 세계시민으로 사는 삶의 기본 단위라고 할 수 있는 가족, 친구, 학교, 마을을 하나의 장으로 설정하여 초등 수준에 적합한 마을 기업가 되기 프로그램을 계획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SDGs의 달성을 위한 전 세계의 파트너십을 강조하는 SDG 17의 목표에 부합될 수 있도록 학생들이 속한 마을과 학교의 실정에 맞는 공감과 나눔, 다양성, 협동의 파트너십 활동을 체험해볼 수 있는 미래 마을 기업가 육성 프로그램이다. 학생들이 미래 마을 기업가가 되기 위하여 사회적 경제의 순환과 공생의 개념과, 소비를 통한 순환과 공생, 그리고 머스코바도 설탕 공장 이야기를 통해 개념 심화가 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수업 전 과정을 통해 공동체로서의 협력 방안을 실천하는 마을 기업가가 되기 위한 과정을 경험하고, 미래 진로로 마을 기업가를 설정하여 계획 및 실천해 볼 수 있도록 체득형 교육으로 이 구안하였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SDGs 달성을 위한 전 지구적 협력이 필요함을 깨달아 실제 마을 공동체로서의 마을 기업을 디자인하고 꿈꿀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생들은 세계시민성, 의사소통능력 등 다양한 ESD 중점역량 및 교육과정 핵심역량을 함양할 수 있을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SDG 17을 달성하기 위해 학생들이 순환과 공생의 사회적 경제 개념이해를 바탕으로 미래 마을 기업을 디자인하고, 마을 기업가를 꿈꿀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수업의 전 과정 속에서 학생들은 웹 기반 토의토론 및 네트워크 구축의 ICT 소양을 바탕으로 세계시민으로서의 마을 공동체 활동을 전 지구적 협력 방안으로 승화시킬 수 있는 SDGs 파트너십을 체험할 수 있을 것이며, 교실은 SDGs 달성을 위한 실천의 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모아 그림 그리기 다음의 그림은 여섯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여섯 명의 친구들이 한 모둠을 이룬 후 각자 한 부분만 유심히 관찰하여 그림을 그려봅시다. 각자 완성한 그림을 모아서 완성본을 확인하도록 합니다. 친구들과 각자 그린 부분을 다시 모았을 때 원래 그림과 달라진 부분이 있나요? 있다면, 왜 달라졌는지 생각해봅시다. 원래 그림과 다른 새로운 그림이 되어버렸어요. 나눔이란? 나눔이란 무엇일까요? 아래 동영상을 본 후 나눔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는지 적어봅시다. 작은 재능 나누기 : https://youtu.be/cY9RojzQ2tQ 나눔은 나의 것을 기꺼이 나누어 주는 것이다. 내가 가진 것 중에 나눌 수 있는 것이 무엇이 있을지 생각해보고, ‘나눔의 방법’을 구체적으로 생각하여 ‘나눔 리스트’를 작성해 봅시다. 나의 나눔 리스트 나눔 방법 1 재능 나의 건강한 몸으로 봉사활동을 열심히 한다. 2 지식 친구들이 수학 문제 푸는 것을 도와준다. 3 물품 내 장난감을 어린 동생들에게 나누어준다. 4 장소 내 방에서 친구, 동생들과 함께 공부한다. 5 그외 출처: 유성희 작가 나눔 공작단 [활동 1] 개인별 ‘나눔 리스트’ 중 공통된 것을 모아서 모둠별 ‘나눔 리스트’를 작성한 후, 우리 모둠이 실천할 수 있는 나눔의 방법 세 가지를 적어봅시다. 봉사활동 : 우리 마을, 교실 청소하기 나눔을 개인이 했을 때와 여러 명이 함께 했을 때 어떻게 달라질지 생각해 봅시다. 나 스스로 뿌듯한 마음이 들었다. 뿌듯한 마음과 기쁨이 더 커지는 것 같았다. [활동 2] 로치데일 협동조합의 선순환적 가치를 생각하며 다음의 영상을 봅시다. ✔ 공감에서 배우는 사회적 경제 : 사회적 경제나 일반 시장경제나 가장 중요한 요소는 ‘사람’과 ‘돈’입니다. 다만 어떤 것이 그 흐름의 중심에 있느냐의 문제인데 시장경제가 ‘돈’의 흐름에 따라 모든 것이 결정된다면, 사회적 경제는 ‘돈’이 흘러가는 중심에 ‘사람’의 가치와 역할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제활동입니다. 사람은 서로 공감하기 때문에 배려할 수 있고, 갈등이나 욕구를 조절할 수 있는 것입니다.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4TXHdcKwz6U&feature=share 영상을 보고 난 후 ‘로치데일 협동조합’과 같은 사회적 협동조합이 우리에게도 필요한 이유에 대해 한 가지 이상 적어봅시다. 가난한 사람도 걱정 없이 맛있는 음식을 먹을 수 있다. [활동 3] 나도 마을 기업가! 다음 두 가지 제품의 차이점을 비교해 보고 수익이 누구에게 돌아가는지, 지역 경제에 어떤 영향이 있는지 생각해 봅시다. 고추, 설탕... 고추, 설탕... 직원이 많다. 직원이 적다. 생산공장, 도매상, 소매상, 마트... 생산공장에서 직접 판매 회사 사장, 직원 등등 마을 주민 회사의 이익이 늘어난다. 나와 우리 마을이 잘 산다. 학교위탁매점과 학교매점협동조합 비교하기 하나. 학교위탁매점과 학교매점협동조합은 무엇이 다를까요? 구분 학교위탁매점 (개인사업자) 학교매점협동조합 누가 운영하나요? 개인사업자 왜 운영하나요? 이윤 극대화 무엇을 판매할까요? 최대한의 수익을 낼 물품 판매 수익은 어떻게 사용할까요? 개인사업자 이윤 둘. 학교매점협동조합을 운영할 경우 예상되는 좋은 점과 문제점을 모둠별로 토의해 봅시다. 맛있는 간식을 싸게 사 먹을 수 있다. 우리 학교 협동조합 만들기 ✔ 학교생활 불편사항 개선하기 학교생활 불편사항 토의 모둠원끼리 우리 학교 불편사항 찾기 토의 모둠원이 내놓은 의견 중 가장 시급한 문제나 해결했을 때 가장 긍정적인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되는 문제를 대표 문제로 선정하기 선정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에 대해 토의하고, 그중에서 가장 적합한 해결방법 한 가지 선정하기 학교생활의 불편한 점 의견 내기 간식을 편하게 사 먹을 수 없다. 대표 문제점은 무엇입니까? 간식을 편하게 사 먹을 수 없다. 해결방안은 무엇입니까? 학교 매점 만들기 해결방안이 학교에 적용되었을 때 학교에 어떤 변화가 생길까요? 학교 협동조합 매점을 만들면, 저렴한 가격으로 맛있는 간식을 사 먹을 수 있고, 학교와 우리에게 그 이익이 돌아온다. ✔ 우리 학교 협동조합 만들기 학교생활 불편 개선하기 활동을 통해 나온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협동조합을 만들어 봅시다. 우리 모둠에서 만들고 싶은 협동조합은 무엇이고, 만들고 싶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협동조합의 이름 협동조합의 목표 참새 방앗간 학생 건강 증진, 학교와 학생을 위한 수익 증대 협동조합을 만드는 데 필요한 것 찾기 목표에 맞는 슬로건 맛있는 간식, 건강해지는 우리! 무슨 사업을 할까? 학교 협동조합 매점 만들기 누구와 함께할까? (조합원 구성) 친구들, 선생님, 부모님 모두 조합원이 해야 할 일 매점 관리와 간식 만들기, 판매, 기부 수익은 어떻게 사용할까? 학교 놀이시설 만들기, 준비물 등등 우리가 만든 협동조합은 우리 학교와 지역사회에 어떤 기여를 할 수 있을까? 우리 마을 일자리 만들기, 학교 발전 등등 내가 이 공장의 주인이라면? 아래의 사이트에 들어가 나눔설탕 무스코바도와 정제 설탕의 제조공정을 비교해 봅시다. 나눔설탕 무스코바도 : https://www.youtube.com/watch?v=p5asaX-ZJrg 내가 이 설탕 공장의 주인이라면 어떻게 운영할까? 자기평가 평가내용 척도 1 2 3 4 5 자료 조사 활동을 성실하게 수행하였는가? 우리 학교 협동조합을 만들기 위한 분석과 합리적인 의견을 제시하였는가? 모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는가? 모둠원과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하였는가? 느낀 점을 자유롭게 기록하세요. 동료평가 나눔 리스트를 공감, 나눔을 실천할 수 있도록 가장 잘 제안한 친구는 ( )이다. 우리 학교 불편사항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잘 알아 이를 해결하기 위한 협동조합 만들기를 계획한 친구는 ( )이다. 우리 학교 불편사항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을 잘 알아 이를 해결하기 위한 협동조합 만들기 활동에 가장 적극적으로 참여한 친구는 ( )이다. 프로젝트 주제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한 친구는 ( )이다. 주제에 맞게 탐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적절한 방법을 구안하고 실행한 친구는 ( )이다. 나눔을 실천한 돈 호세 마리아 신부 몬드라곤협동조합복합체 몬드라곤협동조합복합체는 유럽에서도 ‘변두리’에 위치한 스페인 바스크 지방의 한 작은 마을에 있는 세계적인 협동조합복합체이다. 스페인 내전이 한창이던 1941년 돈 호세 마리아 아리스멘디 아리에타 신부가 이곳에 부임하면서 몬드라곤의 역사는 시작된다. 1956년 돈 호세 마리아 신부는 5명의 제자들과 함께 몬드라곤의 첫 번째 노동자협동조합인 ‘울고(ULGOR)’(석유난로 공장)를 창립하였다. 이후 노동자금융협동조합인 ‘카자 라보랄(Caja Laboral)’과 자체 사회복지협동조합인 ‘라군 아로(Lagun Aro)’를 창립하는 등 지역사람들에게 많은 일자리를 만들어주었다. 1987년에 몬드라곤협동조합 그룹(Group of Co-operative Mondragon)에서 1991년 몬드라곤협동조합기업(Mondragon Co-operative Corporation)으로 발전하면서 협동조합 기업집단으로 거듭나게 되었다. 돈 호세 마리아 신부는 이 세상에 없지만, 그가 남긴 몬드라곤은 60여 년 이상의 연륜을 쌓아 직원 8만여 명, 연간 매출 58억 유로(한화 약 8조 1천억), 110여 개의 협동조합 그룹으로 거듭나 있다. ※ 협동의 원리: 참여, 책임, 배려 그리고 민주주의 협동조합의 운영원리와 주식회사의 운영원리는 어떤 점에서 다를까? 협동조합이나 주식회사나 둘 다 자본을 출자해서 조합(또는 회사)이 많은 이익을 내기를 바라는 것은 똑같다. 하지만 목적과 운영원리는 확연히 다르다. 주식회사는 주주의 최대이익을 내는 것이 사업의 유일한 목적이지만 협동조합은 참여한 모두의 공동(共同) 또는 공공(公共)의 이익을 추구한다. 주식회사는 주식을 가장 많이 가진 사람(대주주)이 경영권을 가져간다. 이익도 대주주가 가장 많이 가져간다. 모든 의사결정은 대주주의 ‘입김’에 따라 움직일 수밖에 없다. 하지만 협동조합의 경영권은 조합원 대표 또는 조합원이 직접 선출하거나 선임한 사람이 경영을 위임받으며, 이사회 또는 총회에 보고하고, 평가받는다. 당연히 출자를 많이 한 사람의 ‘입김’은 작용할 수 없으며 민주적인 의사결정 구조가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중학생용 프로그램 기후변화와 감염병 SDG 13 선도프로그램 ��관련 교과목 및 단원�� ▣ 환경 : 지역 환경과 지구 환경 ▣ 사회 : 환경문제와 지속가능한 환경 ▣ 관련 SDGs ✢ 목표 13. 기후변화 대응 ✢ 세부목표 13.3. 기후변화 완화, 적응, 영향 감소, 조기 경보 등에 관한 교육, 인식 제고 및 인적·제도적 역량 개선 ▣ 관련 K-SDGs ✢ 목표 13. 기후변화 대응 ✢ 세부목표 13.3. 기후변화 완화 및 감축 교육 활성화 ��프로그램의 개관�� • 이 프로그램은 팬데믹이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게 하고, 과거의 팬데믹으로 인한 영향을 분석하여 현재 그리고 앞으로 다가올 기후변화로 인한 팬데믹을 극복할 방법을 학습하도록 구성하였다. • ‘1차시’ 팬데믹으로 인한 그 영향을 과거 사례를 통해 알아보고 코로나 19의 영향을 추정해 본다. • ‘2차시’ 기후변화와 팬데믹의 관계를 동물접촉, 국제교류, 인구밀도의 측면에서 알아보고, 기후변화로 인해 감염병이 확산하는 사례를 정리해 본다. • ‘3차시’ 팬데믹에서 살아남는 방법을 알아보고 국내외 교류와 인구밀도의 측면에서 해야 할 일들을 생각해보고, 기후변화, 생태계 교란, 팬데믹과의 관계를 정리해 본다. <학습목표>  팬데믹으로 인한 영향을 말할 수 있다.  기후변화와 팬데믹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 일상생활에서 기후변화로 인한 팬데믹을 극복할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 이 주제를 왜 학습해야 하는가? 2019년 청소년기후소송단이 결성되어 결석시위를 하는 등 기후변화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세계적인 이슈가 되었다. 그러나 코로나 19 사태로 잠시 관심에서 멀어져 있는 듯하다. 하지만 기후변화와 감염병은 많은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사례를 공부하면서 기후변화 대응을 어떻게 할 것인가를 학습하는 것이 시의적절한 것으로 생각한다. 우리나라는 코로나 19사태를 극복하면서 K방역의 우수성을 세계적으로 널리 알리고 있다. 기후변화가 팬데믹을 몰고 올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대응으로 어떻게 방역체계를 확립해야 하는지를 학습하는 것은 기후변화 위기를 실감하게 하고 현실감 있는 기후변화 대응 교육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프로그램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13.3 "기후변화 완화, 적응, 영향 감소, 조기 경보 등에 관한 교육, 인식 제고, 인적·제도적 역량을 강화한다."를 바탕으로 구성하였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기후변화, 생태계 교란, 팬데믹의 관계를 분석해보고, 팬데믹으로 인한 재난을 극복할 방법을 알아보도록 구성하였다. 이로써 팬데믹은 기후변화로 발발할 수 있으며, 팬데믹의 극복은 기후변화 대응으로써 적응인 것을 인식하도록 구성하였다. 줄어드는 빙산과 빙하 다음 그림은 빙산과 빙하이다. 이 둘의 차이점을 생각해보자. 빙산 빙하 빙산은 ( A )이 얼어서 생성된 것이다. 반면 빙하는 육지에 ( B )이 쌓여 언 것이다. 따라서 빙산은 녹아도 ( A )의 수위가 그리 많이 높아지지는 않는다. 약간 상승하는데 그 이유는 빙산이 녹는 정도의 기온이면, 물의 부피가 팽창하기 때문이다. 빙하의 경우는 육지에 있던 것이라 녹는다면 그대로 바다에 유입되기 때문에 ( A )수위가 높아진다. A와 B에 적당한 단어는? A : 바닷물 B : 눈 아래 그림은 킬리만자로의 빙하가 변한 모습이다. 이렇게 된 이유를 생각해봅시다. 시베리아에 나타난 탄저균의 공포 시베리아에 번지는 탄저병 공포---75년 만에 또 습격 러시아에서는 1941년 탄저병이 75년만인 2016년에 또다시 발병해 12세의 목동이 숨졌고 순록 2천 300여 마리가 떼죽음을 당했다. 이에 정부는 지역 주민들을 다른 지역으로 이주시켰고, 현지에 화생방 부대 소속 전문가들을 파견하였다. 전문가들은 이상 고온 현상으로 영구 동토층이 녹으면서 탄저균에 감염된 동물 사체가 노출되어 감염병이 퍼졌다고 말하고 있다. 탄저균에 대해서 알아보자. 구분 내용 정의 탄저균은 바실러스 안트라시스(Bacillus anthracis)라는 공식 명칭을 가지는 흙 속에 서식하는 세균으로 길이 4~8㎛, 너비 1~1.5㎛이다. 감염경로 탄저병은 탄저균의 포자를 섭취해야 일어나며 주로 소, 양 등의 초식동물에게 발생하고 육식동물이나 사람에게는 발생 빈도가 적은 편이다. 사람이 탄저균을 접촉하게 되는 경로는 주로 동물의 배설물이나 사체 또는 흙을 통한 방법이며, 피부나 호흡기를 통하여 체내로 들어오거나 곤충에 물려서 감염되는 예도 있다. 탄저균 vs 탄저병 탄저균은 인수공통전염병인 탄저병(Anthrax)을 일으키는 원인균 탄저병은 탄저균에 감염된 동물과 접촉하거나 공중에 퍼져 있는 탄저병 포자를 흡입해 전파되는 감염성 질병 탄저균 감염 증상 탄저균을 섭취하면 초기에는 병이 잠복한 상태로 감기와 유사한 증상이 나타나고, 이어서 폐에 울혈이 발생한다. 그러다 일정 시간이 지나 엄청난 수의 병원균이 자라면서 생명체를 죽음으로 이끈다. 기후변화로 인한 팬데믹과 영향 [활동 1] 팬데믹과 그 영향은? ■ 다음은 WHO에서 선포한 팬데믹 선포 사례이다. 팬데믹 사례별로 각각 특징을 분석해보자. 항목 홍콩독감 신종인플루엔자 코로나 19(추정) 치사율 감염률 전파 차단 대책 감염원 [활동 2] 기후변화와 팬데믹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 ■ 다음 영상을 보고 물음에 답해보자.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65P9nWyM4so 팬데믹이 발생할 수 있는 3가지 요소의 사례를 영상에서 찾아보자. 항목 내용 동물접촉 가축을 키우거나 인간에 의해 서식지가 파기되면서 인수공통 감염병이 증가하였다. 국제교류 외국과의 무역로가 확대되거나 전쟁 등으로 감염경로가 증가하였다. 인구밀도 수렵채집사회에서 농경사회로 다시 농경사회에서 산업사회로 변화하면서 인구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염률이 높아졌다. 기후변화로 인해 감염병이 확산되는 사례를 설명해보자. 항목 내용 영구동토층 (permafrost) 해동 시베리아의 순록이 떼죽음을 당했다. 기온상승으로 아열대지역 확대 미국 남부가 아열대 기후가 되어 각종 감염병이 확산되었다. [활동 3] 팬데믹에서 살아남기 ■ 다음은 코로나 19를 극복하기 위해 질병본관리본부에 배포한 행동수칙이다. 코로나 19 극복의 대책으로 국내외 교류가 현저하게 줄어들었다. 그에 따른 현상, 생태계 변화, 기후변화 영향을 정리해 보시오. 현상 생태계 변화 기후변화 영향 모임이 줄어들었다. 여행객이 줄어들었다. 하늘길이 막혔다. 온라인 교류가 증가했다. 온실가스 배출이 줄어들었다. 대기오염이 줄어들었다. 단기 영향 : 당장 기후변화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이다. 장기 영향 : 온실가스 배출이 줄어들어 기후변화가 완화될 것이다. 기후변화, 생태계 교란, 팬데믹의 관계를 설명해보자. 기후변화 ⇒ 생태계 교란 ⇒ 팬데믹 과도한 화석연료의 사용으로 지구온난화가 급속하게 진행된다. 급속한 기온상승으로 기후가 변화하고 바이러스의 전파력이 커진다. 기온상승으로 동토가 녹아 수 만 년 전 잠들어 있던 바이러스 창궐한다. 경험해 보지 못한 전염병의 창궐로 팬데믹이 발생한다. 위기를 기회로 다음은 코로나로 인해 변해가는 지구촌의 모습을 그린 것이다. Before corona After corona 출처: https://www.businessinsider.com/satellite-images-air-pollution-drop-china-coronavirus-2020-3 평균 대류권 NO2 농도(uM/m2) 코로나 19 사태가 장기화 할 가능성이 높고, 종식 되어도 지속적으로 다른 형태의 감염병이 출현할 가능성이 커지고 있어서 ‘With corona’를 대비해야 한다고 한다. 위에서 보았듯이 코로나로 인해 화석연료의 사용이 줄어들어 기후변화에는 긍정적이다. 우리는 위기에 직면하고 있지만, 기후변화 대응 측면에서는 기회일 수도 있다. 코로나 19 확산을 막기 위해 대처했던 방식들이 기후변화를 줄이는 방법으로 삼는 경우를 찾아보자. 항목 내용 기후변화 대응효과 온라인수업 및 재택근무 학습에 필수적인 활동을 위해서 등교하고 나머지는 온라인으로 가능한 수업으로 전환한다. 이동이 꼭 필요한 업무를 제외하고는 집에서 업무를 처리한다. 이동에 필요한 에너지사용량이 줄어듦 해외여행 필요한 정보는 책이나 인터넷에서 얻는다. 3D 영상으로 간접적으로 체험한다. 항공, 해운에 사용되는 에너지양이 줄어듦 자기평가 평가내용 척도 1 2 3 4 5 나는 빙산과 빙하의 차이점을 다른 사람에게 설명할 수 있다. 나는 팬데믹으로 인해 우리가 받는 영향을 말할 수 있다. 나는 기후변화와 팬데믹이 어떤 관계에 있는지 말할 수 있다. 나는 기후변화를 막기 위해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말할 수 있다. 느낀 점을 자유롭게 기록하세요. 동료평가 빙산과 빙하의 차이점을 과학 지식을 이용해서 잘 설명한 친구는 ( )이다. 팬데믹으로 인해 우리가 받는 영향을 사회, 경제, 환경적인 측면에서 고루 잘 설명한 친구는 ( )이다. 기후변화와 팬데믹의 관계를 과학적으로 잘 설명한 친구는 ( )이다. 기후변화를 막기 위해 우리가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논리적으로 말한 친구는 ( )이다. 코로나 19가 장기화될 경우 기후변화를 막기 위한 기회를 어떻게 이용해야 하는지 해 우리가 해야 할 일이 무엇인지 설득력 있게 설명한 친구는 ( )이다. 기후변화에 대한 10가지 사실들 기후변화로 인한 광범위한 영향들 위 그림은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들을 물리적 시스템, 생물학적 시스템, 인간과 관리 시스템 측면에서 관측한 것을 과학적인 연구에 따라 정리한 것이다. 하지만 이에 대한 원인 규명을 위해서는 좀 더 과학적 증거가 필요하다. 유념해야 할 것은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이 위 지도에 없다고 해서 그러한 영향이 일어나지 않았다는 것은 아니다. 아시아의 북쪽 즉, 시베리아의 경우 눈 모양이 채워져 있는 동토로 추측되며 동토의 변화가 기후변화 기여도가 높다고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원인 규명 신뢰도가 3개이므로 시베리아의 동토가 기후변화에 의해 변화하고 있다는 것은 어느 정도 과학적으로 타당성이 증명된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군서 도서의 경우 어류 그림이 채워져 있으므로 어류의 번식 변화가 기후변화에 의한 기여도가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원인 규명 신뢰도가 4개이므로 상당히 과학적으로 규명인 된 것으로 판단된다. 출처: IPCC 5차 보고서(2014) 맹그로브 숲과 새우 SDG 14 선도프로그램 ��관련 교과목 및 단원�� ▣ 사회 : 지구 곳곳에서 일어나는 자연재해 ▣ 도덕 : 사회공동체와의 관계 ▣ 환경 : 지속가능한 사회 ▣ 관련 SDGs ✢ 목표 14.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대양, 바다 및 해양자원보존과 지속가능한 이용 ✢ 세부목표 14.6. 개도국과 최빈개도국에 대한 적절하고 효과적인 특별 차등 대우가 세계무역기구 수산보조금 협상의 필수 부분이 되어야 할 것을 인지하면서, 2020년까지 과잉 어획능력 및 남획을 초래하는 유형의 수산보조금을 금지하고, 불법・비보고・ 비규제(IUU) 어업을 초래하는 보조금을 근절하고, 이와 유사한 신규 보조금의 도입을 제한한다. ▣ 관련 K-SDGs ✢ 목표 14. 해양 생태계 보전 ✢ 세부목표 14.6. 해양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통해 경제적 이익을 확보한다. ��프로그램의 개관�� • 이 프로그램은 맹그로브 숲의 파괴와 새우 소비의 증가가 관련이 있음을 인식하여, 해양자원을 보호하는 일이 먼 곳의 일이 아니라 우리의 식생활을 바꾸어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 ‘1차시’ 맹그로브 숲의 손실과 새우 소비 증가와의 상관관계를 생태계 파괴와 에너지의 관점에서 분석해본다. • ‘2차시’ 대게와 꽃게 금어기 사례를 통해 지속가능한 해양자원 이용법이 무엇인지 알아보는 활동을 한다. <학습목표>  맹그로브 숲과 새우소비량의 관계를 통해 생태계 파괴와 에너지사용량 증가와의 관계를 말할 수 있다.  지속가능한 해양자원 이용법이 무엇인지 말할 수 있다. ✿ 이 주제를 왜 학습해야 하는가? 바다는 아직도 미지의 영역이기 때문에 인간에 의해 개발되려는 시도가 끊임없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지금도 쓰레기의 무단 투기로 바다는 병들고 있으며, 특히 미세플라스틱에 의해서 수많은 해양 동물들이 죽어가고 있다. 또한, 미세플라스틱을 먹은 물고기를 인간이 다시 먹게 되어, 그 부메랑이 우리에게 돌아오고 있다. 따라서 해양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 방법에 관한 공부가 절실한 시점이다. 이 프로그램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14.6 “개도국과 최빈개도국에 대한 적절하고 효과적인 특별 차등 대우가 세계무역기구 수산보조금 협상의 필수 부분이 되어야 할 것을 인지하면서, 2020년까지 과잉 어획 능력 및 남획을 초래하는 유형의 수산보조금을 금지하고, 불법・비보고・비규제(IUU) 어업을 초래하는 보조금을 근절하고, 이와 유사한 신규 보조금의 도입을 제한한다.”를 바탕으로 구성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이러한 세부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맹그로브 숲의 파괴로 새우의 서식지가 파괴되는 사례를 살펴보고, 수자원의 현황과 보존 방법을 학습하며, 종합적으로 해양자원을 지속가능하게 보호하는 방법이 무엇인지 탐구하도록 구성하였다. 누가 새우를 다 먹었나? 다음은 새우소비량과 맹그로브 숲에 관한 이야기이다. 일본인은 전 세계에서 가장 새우를 많이 소비하고 있다. 세계 새우의 70%를 먹는다는 말이 있을 정도이다. 이 많은 새우가 어디서 공급되고 있을까? 태국, 인도네시아 등 동남아 지역에서 양식으로 공급하고 있다. 1950년대만 해도 일본에서 소비되는 새우는 일본에서 생산된 것이었다. 그러다가 인건비가 저렴한 동남아서 새우양식이 옮겨간 것이다. 그런데 이 새우양식으로 인해 바다의 생태계가 교란되고 있다. 그리고 주목해야 할 것은 우리나라 역시 소득이 증가하면서 새우소비량이 증가하고 있어서 우리도 환경파괴의 책임을 면하지 못할 것이다. 맹그로브(mangrove)는 아열대나 열대의 하구 기수역의 염성 습지나 해변에서 자라는 교목이나 관목이다. 기수역은 민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것을 말하며 교목은 8m 이상 곧은줄기로 자라는 나무를 말하며, 관목은 2m 이하로 덤불로 구성된 나무를 말한다. 맹그로브는 조수에 따라 물속에 잠기기도 하고 나오기도 하여 뿌리가 겉으로 드러나기도 한다. 전 세계적으로 동남아시아, 남태평양, 호주, 인도 근해, 아프리카, 아메리카, 일본 오키나와현과 가고시마현 등 일부에서 맹그로브 숲이 있다. 새우소비량의 증가와 맹그로브 숲이 어떤 관계가 있을지 생각해보자. 다음 빈칸에 알맞은 말을 넣으시오. 모든 새우가 (맹그로브) 숲에서 자라는 것은 아니지만 맹그로브 숲과 새우소비량의 증가, 즉 (새우)양식은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 것이 분명하다. 몰디브를 지킨 맹그로브 숲 2004년 12월 26일 인도네시아 수마트라섬 서부 해안 40km 지점에서 규모 M9.1-9.3의 초대형 해저 지진이 발생했다. 사망자 30만 명 실종 3만 명, 난민 169만 명 발생하였으며 20세기와 21세기 통틀어 세계 역사상 2번째로 컸었던 지진이다. 역사상 가장 큰 지진은 1960년 칠레 앞바다에서 일어난 9.5의 지진인데, 이때 사망자는 6,000명이었다. 그에 반해 인도네시아 지진 때 피해가 컸었던 것은 너무 많은 사람이 살고 있었고 평소에 지진이나 쓰나미 등에 대한 대비태세가 허술했기 때문이다. 더욱이 크리스마스 휴가를 보내러 온 외국인이 많아서 더더욱 피해가 컸다. 인도네시아 앞바다에서 발생했지만, 인도양 인근 21개국이 피해를 보아서 사실상 전 세계 해안에 쓰나미가 덮친 셈이다. 당시 아프리카 소말리아까지 피해를 보았는데 117척의 배가 가라앉고 2천여 명이 죽거나 다쳤지만, 보상이 거의 없었다. 이때 피해를 본 사람들이 대부분 어부여서 먹고 살길이 없어져 해적이 되었다는 의견까지 있다. 이런 난리 중에 몰디브는 사망자 82명에 이재민까지 다 합쳐도 500명 정도에 불과했는데 국토 80% 이상이 해발 1M임을 고려하면 기적과도 같은 일이었다. 왜 몰디브는 이렇게 피해를 적게 입었을까? 몰디브는 관광산업이 주요 수입원이어서 개발을 최대한 억제하여 산호초와 맹그로브 숲을 잘 보존해서 파도로부터 타격을 덜 받았다고 분석이 되었다. 출처: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190517/95572897/1 새우양식으로 사라지는 맹그로브 숲 사는 새우 [활동 1] 맹그로브 숲의 손실과 새우 소비량의 관계 앞에서 새우소비량이 증가함에 따라 새우를 주로 생산하는 동남아의 바다가 파괴되고 있다고 밝혔다. 세계 맹그로브 숲이 손실되는 추이를 보면 아시아의 손실이 가장 크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시아 중 맹그로브 숲은 대부분 동남아에 있기 때문에 새우소비량의 증가와 동남아 맹그로브 숲의 손실과는 직접적인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출처: http://www.fao.org/3/a1427e/a1427e04.pdf. wwf-Korea에서 재가공. 새우 철(9월~11월)이 되면 맛난 새우에 소금을 뿌려서 구워 먹는 일은 즐거움 중의 하나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새우를 1년 내내 먹을 수 있습니다. 왜 이럴 수 있을까요? 이 새우들은 대부분 동남아에서 양식한 타이거 새우입니다. 그리고 위에서 말한 바와 같이 새우 양식은 맹그로브 숲을 파괴한 후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곳에서 생산한 새우를 먹을수록 맹그로브 숲은 파괴됩니다. 새우 양식장인 방글라데시와 먹는 곳인 한국까지 약 3,800km 정도 된다. 반면 세계해양책임관리(ASC: Aquaculture Stewardship Council) 인증제도를 도입한 베트남의 사업체는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고, 생물다양성과 수자원을 더욱 강력히 보호하고, 동물의 건강과 근로조건 개선을 위한 까다로운 조건을 준수하는 등 더 나은 수산물 생산 규칙을 지키고 있다. 이 인증을 통해 새우 양식장들은 습지와 맹그로브 숲을 보전하고 바이러스와 역병의 전염을 조사하고 수질을 개선하며, 양질의 사료를 먹일 책임을 지고 생물다양성 문제를 알리는데 참여하여 양식이 주변 환경과 지역 사회에 주는 악영향을 구체적으로 줄일 목적을 갖고 있다. 우리의 입장을 4가지로 제시하고 이에 대해서 공감하는 사람의 숫자를 세어 기입해보자. 만일 4가지 외 다른 입장이 있다면 추가해도 좋다. 한 사람씩 왜 이런 주장을 하는지 발표해보자. 그리고 나의 입장을 정리해보자. *푸드마일리지 : 생산지에서 소비자까지 오는데 걸린 수송 거리에 수송량을 곱한 값으로 구한다. 세계화로 먹을거리의 수송 거리가 늘어나면서 화석에너지 소비가가 늘어나고, 그에 따라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늘어나는 환경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고안된 개념이다. 출처: 해양생명보고서(WWF, 2015) 입장 내용 명 수 A 나는 친환경적으로 새우양식을 한다면 푸드마일리지가 커도 맹그로브 숲을 파괴하지 않으므로 새우를 기꺼이 먹겠다. B 나는 아무리 친환경적으로 새우양식을 한다고 해도 푸드마일리지가 큰 새우를 먹지 않겠다. C 나는 베트남 경제에서 새우양식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으므로 만일 새우 소비가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새우양식에 종사하는 베트남인들에게 경제적 타격이 크므로 새우를 먹겠다. 기타 나의 입장 [활동 2] 해양자원의 지속가능한 관리 해양수산부는 수자원 보호를 위해 6월 21일부터 8월 20일까지 대게와 꽃게를 비롯한 5개 어종에 대해서 포획, 채취 금지 기간을 정한 금어기를 시행한다. 또한, 3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울진 근처를 조업금지구역으로 선포하고 있다. 그리고 암컷 대게는 연중 포획을 금지하고 있다. 연평도 주변 백령・대청・소청도 주변 어장, 대청도 어업구역은 산란 시기가 늦어 7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를 금어기로 선정하고 있다. 이렇게 금어기를 정한 이유는 꽃게의 산란기는 5~9월이며 주 산란기는 6~7월이어서 이때를 피해야 꽃게가 잘 번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참홍어, 낙지, 펄닭새우도 6월 1일부터 금어기가 시작된다. 이런 노력은 해양자원을 지속가능하게 이용하기 위함이다. 윗글을 읽고 아래 내용을 정리해 봅시다. 독도의 수자원 독도는 우리나라 최동단에 위치하고 있다는 의미도 있지만, 주변 바다에 수많은 해조류, 어류, 무척추동물, 미생물들이 서식하고 있어서 풍부한 수자원이 있는 보물이다. 독도의 수자원이 풍부한 이유는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류와 난류가 만나서 독도 유역을 회유하는 냉수성 어종과 제주도 지역에서나 사는 아열대성 어류가 공존하기 때문이다. 독도 지역에는 말쥐치, 조피볼락, 볼불락, 망상어를 포함한 8목 23과 53종의 어류가 발견되었다. 그리고 독도의 해수와 토양을 채취해서 연구한 결과 새로운 미생물이 다수 발견되었는데 이를 독도 이름을 따서 박테리아 3개 속은 독도한국, 독도동해이라고 붙였고 박테리아 5개 신종은 버지바실러스독도, 마리박터독도, 마리노모나스독도, 바리오보락스독도, 바리오보락스독도, 포필로박터독도라고 붙였다. 독도 바다에서 다음과 같은 새로운 생물이 나타났다고 가정해보자. 이 생물의 경제적 가치를 고려하여 독도와 관련해서 붙이고 그 이유를 쓰시오. 형태 관찰 결과 이름과 이유 - 크기 : 5mm 형태 : 일정하지 않음 먹이 : 미세플라스틱을 분해하는 능력이 있음. 독도에는 아직 알려지지 않은 생물들이 많다. 이것과 관련해서 독도의 생태계를 지켜야 하는 이유를 생각해보자. 자기평가 평가내용 척도 1 2 3 4 5 나는 맹그로브 숲의 생태계에서 역할을 설명할 수 있다. 나는 맹그로브 숲의 파괴와 새우소비량의 증가 사이의 상관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나는 먼 외국에서 생산된 식품을 국내에서 소비할 때 발생하는 문제를 에너지의 관점에서 말할 수 있다. 나는 해양자원을 지속가능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말할 수 있다. 느낀 점을 자유롭게 기록하세요. 동료평가 맹그로브 숲의 생태계에서 역할을 가장 정확하게 말한 친구는 ( )이다. 맹그로브 숲의 파괴와 새우소비량의 증가 사이의 상관관계를 가장 잘 설명한 친구는 ( )이다. 외국에서 생산된 식품을 국내에서 소비할 때 발생하는 문제를 생태계 파괴의 관점에서 가장 잘 설명한 친구는 ( )이다. 외국에서 생산된 식품을 국내에서 소비할 때 발생하는 문제를 푸드마일리지 관점에서 가장 잘 설명한 친구는 ( )이다. 해양자원의 지속가능한 사용법을 가장 잘 설명한 친구는 ( )이다. 해양자원 보호를 위한 노력들 지구 표면의 70%를 차지하는 광활한 바다는 주인이 없어 보인다. 그러나 인류는 오랜 역사 속에서 바다를 둘러싼 자원과 군사문제로 끊임없는 경쟁을 벌여왔다. 이에 바다 위 경계가 분명해지면서 분쟁을 막기 위해 해양법에 관한 유엔 협약(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UNCLOS)이 제3차 해양법에 관한 유엔 회의(UNCLOS-III, 1973년~1982년)의 결과 1982년 국제 협약이 채택되었다. 이 법은 바다와 그 부산 자원을 개발·이용·조사하려는 나라의 권리와 책임, 바다 생태계의 보전, 해양과 관련된 기술의 개발 및 이전, 해양과 관련된 분쟁의 조정 절차 등을 320개의 조항에 걸쳐 규정하고 있다. 세계 각국 해양법의 기준이 되는 협약이기에 흔히 국제 해양법이라고도 불린다. 이 법은 20세기 중반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면서 그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전쟁이 끝나고 국가 재건에 노력을 기울이던 각국 나라들은 해양자원에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다. 바다의 연구가 본격화되자 수산 자원은 물론이고 심해저의 광물자원도 풍부하다는 것이 밝혀지자 해양 경계와 자원 개발을 둘러싸고 분쟁이 증가하였다. 이 협약은 1982년 12월 10일 자메이카의 몬테고 베이(Montego Bay)에서 작성과 동시에 서명 개방[1] 되었으며, 1994년 11월 16일부로 효력이 발생한 현행 국제법이다. 2013년 현재 UNCLOS를 비준한 나라, 즉 정식 회원은 166개이고, 대한민국은 1983년 3월 14일 정부의 서명 이후 국회에서 1996년 1월 29일 이를 비준함으로써 여든넷째 회원국이 되었다. 북한은 1982년 12월 10일 정부 서명 이후 현재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의 비준을 앞두고 있다. 출처 : 위키백과 우리 학교 바이오블리츠와 활용 SDG 15 선도프로그램 ��관련 교과목 및 단원�� ▣ 환경 : 생태계의 구성과 상호작용 ▣ 과학 : 생물 분류 목적과 방법 ▣ 창의적 체험활동(환경·지속가능발전교육) ▣ 관련 SDGs ✢ 목표 15. 육상 생태계 ✢ 세부목표 15.4. 2030년까지 지속가능한 발전에 필수적인 이익을 주는 산림 생태계의 수용력을 증진하기 위해, 생물다양성을 포함한 산림 생태계 보전을 보장한다. ✢ 세부목표 15.a. 생물다양성과 생태계의 보전 및 지속 가능한 사용을 위해 모든 재원을 동원하고 대폭 확대한다. ▣ 관련 K-SDGs ✢ 목표 15. 육상 생태계 보전 ✢ 세부목표 15.1. 육상과 내륙담수의 생태계 다양화를 위한 보전과 복원 활동을 활성화한다. ��프로그램의 개관�� • 이 프로그램은 육상 생태계의 지속가능한 보호・복원・증진으로 인류의 삶과 생계를 유지하기 위한 지속가능성에 기여하고 생태계의 생물다양성을 확인하고, 기록하는 것은 생태계 보전을 목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 ‘1차시’는 바이오블리츠의 정의를 이해하고, 바이오블리츠 작성 방법을 확인하여 모둠별 최종 결과물 작성 방법을 이해한다. • ‘2차시’에서 모둠별로 네이처링 앱(App)을 이용하여 우리 학교 바이오블리츠 탐사활동을 진행한다. • ‘3차시’에서는 모둠별로 작성한 탐사 결과물을 정리하여 발표하고, 우리 학교의 육상 생태계의 보호와 중요성에 대해 인식한다. <학습목표>  바이오블리츠의 정의와 방법을 말할 수 있다.  우리 학교 바이오블리츠를 작성할 수 있다.  우리 학교 육상 생태계의 보호와 중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 이 주제를 왜 학습해야 하는가? 생태계란 생명과 그를 둘러싼 환경의 상호관계이다. 우리 학교 바이오블리츠 활동을 통해 생물다양성 탐사의 기록을 가치 있는 자료로 남기고, 쉽고 간단하게 활용하여 가능하다면 매년 마다 우리 학교의 생태계를 탐사하여 비교 분석하여 변화에 대한 원인을 진단하고, 그 대응책을 제시하여 지속가능한 육상 생태계 유지의 필요성을 인식해야 한다. 이를 위해 숲을 지속가능하게 관리하고 생물다양성을 보전하며, 사막화로 인한 토지 파괴를 방지하고 복원해야 한다. 생물다양성 파괴는 토지황폐화를 가속시키고, 식량자원과 수자원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생태계를 보전하는 것은 인류가 사회적, 경제적 지속가능하게 발전하기 위한 근원적 토대가 되는 목표라고 할 수 있다. 이 프로그램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중 15번째 육상 생태계 등의 보호와 지속가능 이용을 위해 개발되었다. 이 목표의 세부 목표 중 15.1은 ‘육상과 내륙담수의 생태계 다양화를 위한 보전과 복원 활동을 활성화한다.’이다. 따라서 이러한 세부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학생들이 가장 많이 생활하고 있는 학교에서의 멸종위기 동식물을 비롯하여 육상 생태계의 식물, 곤충, 어류 등의 찾아 탐사하는 과정에서 육상 생태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우리의 삶의 육상 생태계의 모습을 인식하여 더 나아가 우리 동네, 공원, 보호지역 등의 육상과 내륙담수의 생태계 다양화를 위한 보전과 복원 활동과 중요성을 인식하도록 구성하였다. 바이오블리츠가 무엇일까? 바이오블리츠가 무엇인지 알아봅시다. 바이오블리츠라는 용어는 생명을 뜻하는 ‘bio’와 순식간에 내리치는 번개를 의미하는 ‘blitz’를 조합한 합성어다. 즉, 24시간이라는 짧은 시간 내에 해당 지역에 사는 모든 생물종을 찾아내어, 이를 데이터화하는 것으로서, 생물다양성 현황을 파악하는 기초 활동이라고 볼 수 있다. 바이오블리츠를 추진하는 이유는 지구에는 수많은 생물들이 살고 있고, 인간도 그 생물 중의 하나이기 때문이다. 출처: 산림청, http://www.forest.go.kr/ 미처 생물의 소중함을 깨닫지 못했던 과거에는 인간이 다른 생물을 이용하거나, 멸종시키면서도 이를 당연한 것으로 여겼다. 하지만 인류의 지식이 발전하면서, 다른 생물들이 살지 못하고 멸종된다면, 결국에는 인간도 살 수 없다는 점을 깨닫게 되었다. 다양한 생물을 보존하고 지속가능하도록 만드는 것이 인간의 의무임을 자각한 것이다. ■ 윗글을 읽고 아래 질문에 대해 생각해보고, 또 다른 나의 질문을 기록하고 분류해보자. 지구의 생물종이 사라지면 인류는 살 수 있을까? 순번 나의 질문 1 생물종과 인류의 생존과 무슨 관계가 있을까? 2 3 ■ 위의 나의 질문 중 가장 중요한 질문을 하나만 선택하고, 선택한 이유를 적어보자. 내가 선택한 질문 질문을 선택한 이유 ■ 다양한 생물종을 보존을 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지구기후변화에 대한 대응, 지속 가능한 에너지 자원의 확보, 인간의 삶의 질 개선 및 녹색경제의 건설 등이 이다. 우리 학교 바이오블리츠 우리 학교의 생물다양성을 확인하기 위한 바이오블리츠를 하기 위해 모둠을 구성하고, 온라인 기반의 자연활동 공유 플랫폼인 ‘네이처링’을 자신의 스마트폰에 앱(App)을 설치하여 생물종 탐사를 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네이처링 앱(App)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를 해보자. ➜ ➜ ➜ ① 앱 찾기 ② 앱 설치 ③ 앱 인트로화면 ④ 소개 ➜ ➜ ➜ ⑤ 회원가입 ⑥ 로그인 ⑦ 시작 수락 ⑧ 녹화 허용 ➜ ➜ ➜ ⑨ 위치 허용 ⑩ 엑세스 허용 ⑪ 로그인 완료화면 ⑫ 앱 초기화면 네이처링 앱(App)을 활용하여 생물종 탐사 방법을 알아보자. ➜ ➜ ➜ ① 앱 실행 ② 미션 찾기 ③ 관찰 올리기 ④ 위치정보 동의 ➜ ➜ ➜ ⑤ 생물이름 터치 ⑥ 해당 생물선택 ⑦ 생물 입력 ⑧ 서식지 선택 ➜ ➜ ➜ ⑨ 사진,영상,소리 선택 ⑩ 입력 확인 ⑪ 입력 완료 ⑫ 관찰기록 확인 네이처링 앱(App)의 설치와 활용 후, 아래의 체크리스트에서 모두 ○가 되는지 점검해보자. 요소 세부 내용 ○ × 설치 • 나의 스마트폰에 네이처링 앱을 설치하였는가? • 네이처링에 회원가입을 하였는가? 활용 • 앱을 활용하여 생물종을 사진 찍어 업로드 해 보았는가? • 내가 찍은 생물종이 무엇인지 확인하였는가? • 나와 다른 친구들이 올린 생물종을 확인해 보았는가? 의지 • 나는 우리 학교 바이오블리츠 탐사활동 할 자신이 있는가? 우리 학교 생태계 탐사 시작 [활동 1] 우리 학교 바이오블리츠 탐사를 시작해보자. 네이처링 앱(App)을 활용하여 탐사하기 위해 생물 분류에 대해 알아야 한다. 관속식물은 조직 속에 관다발을 지닌 식물, 선태류는 육상생활에 적응한 식물군으로 흔히 이끼식물, 포유류는 젖을 먹여 새끼를 키우는 동물, 조류는 하늘을 날 수 있는 척추동물, 파충류는 기온에 따라 몸의 온도가 변화는 변온동물, 양서류는 물이나 땅에서 모두 생활하는 동물, 어류는 수중생활을 하고 지느러미가 있으며 아가미로 호흡하는 척추동물, 곤충은 머리, 가슴, 배의 3부분의 마디로 구분되는 동물, 거미류는 몸은 머리가슴부와 배부의 두 부분으로 구분되는 동물, 갑각류는 수중생활을 하며 아가미가 있고 물속에서 호흡하며 몸은 머리, 가슴, 배로 나뉘는 동물, 연체동물은 몸이 연하며 외투막을 가진 동물, 균류/지의류는 단일한 생물체가 아니며 광합성을 하는 미생물을 말한다. 우리 학교 바이오블로츠 탐사 후, 나의 네이처링 앱(App)에 업로드 한 생물종은 무엇인가? 네이처링 앱(App)을 활용하여 생물종 탐사 후, 가장 인상이 깊은 생물종은 무엇이고, 이유는 무엇인가? 인상 깊은 생물종 이유 우리 학교의 다양한 생물종을 찾는 바이오블리츠 탐사 후, 느낀 점을 기록해보자. [활동 2] 우리 학교 바이오블리츠 탐사 결과를 정리하고, 육상 생태계 중요성을 인식해보자. 나와 모든 학생들이 참가한 우리 학교 바이오블리츠 결과를 아래 그래프로 표현해 보자. 위의 그래프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생물종과 가장 적게 나타난 생물종이 무엇이고, 그 이유는 무엇일까? 가장 많은 나타난 종 가장 적게 나타난 종 이유 우리 학교의 다양한 생물종을 보존하기 위해 우리 학교에서 실천해야 할 규칙은 무엇일까? 규칙 내용 규칙1 학교 화단 청소를 주기적으로 한다. 규칙2 규칙3 규칙4 규칙5 우리 동네 바이오블리츠와 활용 우리 동네 바이오블리츠 탐사활동을 하여 그 결과를 아래 그래프에 표현해 보자. 위의 그래프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생물종과 가장 적게 나타난 생물종이 무엇이고, 그 이유는 무엇일까? 가장 많은 나타난 종 가장 적게 나타난 종 이유 우리 동네의 생물다양성 인식 확산을 위해 아래 실천 방법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구체적인 방법을 만들어 보자. 행사, 홍보(SNS, 홈페이지 등), 캠페인, 이벤트, 홍보단 운영 등 기준 실천할 구체적 방법 누가 언제 어디서 무엇을 왜 어떻게 자기평가 평가내용 척도 1 2 3 4 5 나는 바이오블리츠 탐사활동에 적극적으로 참가하였다. 나는 네이처링 앱(App) 을 활용하여 탐사활동을 하였다. 나는 생물의 다양성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 나는 우리 학교의 다양한 생물종 보존 수칙을 만들었다. 느낀 점을 자유롭게 기록하세요. 동료평가 바이오블리츠에 대한 창의적인 질문을 한 친구는 ( )이다. 다양한 생물종을 보존해야 하는 이유를 논리적으로 발표한 친구는 ( )이다. 네이처링 앱을 활용하여 바이오블리츠 탐사활동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기록한 친구는 ( )이다. 우리 학교 다양한 생물종을 찾는 바이오블리츠 탐사 후, 느낀 점을 발표한 친구는 ( )이다. 우리 학교 바이오블리츠 결과를 그래프로 표현하고, 생물종 다양성 확보를 위한 실천 수칙을 창의적으로 발표한 친구는 ( )이다. 우리나라의 생물다양성 생물다양성협약 제2조에 따르면 생물다양성(biological diversity; biodiversity)이란 "육상·해상 및 그 밖의 수중 생태계와 이들 생태계가 부분을 이루는 복합생태계 등 모든 분야의 생물체 간의 변이성을 말하며, 이는 종내의 다양성, 종간의 다양성 및 생태계의 다양성을 포함"한다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다시 말하면 생물다양성이란 지구상의 생물종(Species)의 다양성, 생물이 서식하는 생태계(Ecosystem)의 다양성, 생물이 지닌 유전자(Gene)의 다양성을 총체적으로 지칭하는 말입니다. 종 다양성 생태계 다양성 유전자 다양성 종종 식물, 동물 및 미생물의 다양한 생물종으로 이해되고, 일반적으로 한 지역내 종의 다양성 정도, 분류학적 다양성을 지칭합니다. 사막, 삼림지, 습지대, 산, 호수, 강 및 농경지 등의 생태계의 다양성을 의미하고 한 생태계에 속하는 모든 생물과 무생물의 상호작용에 관한 다양성을 의미합니다. 종 내의 유전자 변이를 말하는 것으로 같은 종 내의 여러 집단을 의미하거나 한 집단 내 개체들 사이의 유전적 변이를 의미합니다. 생물다양성의 가치 생물다양성의 손실은 인류의 문화와 복지, 더 나아가서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요인입니다. 인류는 의식주, 특히 음식물과 의약품 및 산업용 산물들을 생물다양성의 구성요소로부터 얻어 왔고, 한때는 거의 모든 의약품들이 식물과 동물로부터 비롯되기도 하였습니다. 미국의 경우 조제되는 약 처방의 25%가 식물로부터 추출된 성분을 포함하고 있고, 3,000종류 이상의 항생제가 미생물에서 얻어지며 동양 전통의약품도 5,100여 종의 동식물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생물다양성의 가치는 특히 농업에서 분명하게 드러나는데 육종가나 농부들은 오래전부터 생산력을 늘리기 위해 유전적으로 뚜렷한 몇몇 품종들을 교배하여 유전적 다양성을 늘리고, 변화하는 환경조건에 적절히 반응하기 위해 유전적 다양성을 이용하여 왔습니다. 생물다양성은 환경오염물질을 흡수하거나 분해하여 대기와 물을 정화하고, 토양의 비옥도와 적절한 기후조건을 유지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생물다양성의 감소 국제자연보존연맹(IUCN)에 의하면 지구상 생물종의 분포는 한대 1~2%, 온대 13~24%, 열대 74~84%로 추정되며, 열대지역 중에서도 열대우림은 지구 표면적의 7% 정도인 데 비하여 지구 생물종의 약 반수가 서식하고 있다고 합니다. 개발도상국에 주로 속해 있는 열대우림은 최근 해마다 각국의 경제개발에 의하여 그 파괴의 속도가 급증하여 1985년까지 매년 약 0.6%(약 1,120만ha)가 감소하고 있는데 특히 1990년에는 1981년에 비하여 1.5~2배로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고 경고된 바 있습니다. 이러한 추세로 생물다양성의 파괴가 지속된다면 인류의 생존에 큰 위협이 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출처: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https://species.nibr.go.kr/index.do. 평화와 정의를 위한 외침! SDG 16 선도프로그램 ��관련 교과목 및 단원�� ▣ 환경 : 지속가능발전 ▣ 사회 : 사회생활과 법, 개인과 사회 ▣ 국어 : 말하기·듣기 ▣ 관련 SDGs ✢ 목표 16. 평화, 정의 강력한 제도 ✢ 세부목표 16.3. 국가적·국제적 수준에서 법치를 증진하고, 모두에게 정의에 대한 평등한 접근 보장한다. ▣ 관련 K-SDGs ✢ 목표 16. 인권・정의・평화 ✢ 세부목표 16.6. 효과적이고 책임감 있는 정부정책과 제도를 수립・이행한다. ✢ 세부목표 16.11. 차별을 지양하기 위한 법과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한다. ��프로그램의 개관�� • 이 프로그램은 인류의 평화와 정의로운 사회에 기여한 인물을 찾아보고, 구글 어스 프로젝트(Google Earth Project)를 활용하여, 그 가치를 국가의 정책에 반영을 촉구하는 모의 UN 연설문을 만들어 발표하도록 구성하였다. • ‘1차시’ 방탄소년단의 UN 연설의 의미와 정의와 평화를 지키기 위해 헌신한 위인들을 찾아 전 세계 국가들의 정책에 반영 내용 선정을 해본다. • ‘2차시’ 평화와 정의를 지켰던 위인을 선정하고, 일대기를 구글 어스 프로젝트를 활용하여 모의 UN 연설을 준비하는 활동을 한다. • ‘3차시’ 모둠별로 모의 UN 연설을 하고 피드백을 받는다. <학습목표>  평화와 정의 의미를 말할 수 있다.  평화와 정의를 지키기 위한 위인들의 가치를 설명할 수 있다.  평화와 정의로운 사회를 위한 국가 정책 반영을 촉구하는 연설할 수 있다. ✿ 이 주제를 왜 학습해야 하는가? 평화적이고 정의로운 사회 구성의 인식 부족으로 국제 강력범죄, 어린이 폭력, 인신매매 그리고 성폭력 위협 등이 발생하고 있다.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평화롭고 정의로운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보다 효율적이고 투명성 높은 규제 등을 전체적으로 고려된 정부의 실천적인 정책을 수립되어야 합니다. 세계 각국의 정책 수립의 촉진과 도움을 주기 위해 공신력 있는 국제기구에서의 평화와 정의로움이 사회 전반에 뿌리내릴 수 있는 정책 수립을 위한 기본적인 수립 방향성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 프로그램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중 16번째 평화, 정의, 강력한 제도를 학생들이 직접 경험해 볼 수 있도록 구안되었다. 특히 세부목표 중 16.3인 ‘국가적․국제적 수준에서 법치를 증진하고, 모두에게 정의에 대한 평등한 접근 보장’에 주안점을 두었다. 따라서 이 프로그램은 이러한 세부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평화와 정의로움이 보편화 될 수 있도록 관련 위인들의 일생을 구글 어스 프로젝트(Google Earth Project)로 실감 있게 찾아가 본다. 위인들이 강조했던 가치에 대해 전 세계 국가들의 정책에 반영과 변화를 촉구하는 선언문을 작성하여, 모의 UN에서 연설을 하여 평화와 정의 그리고 강력한 제도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내용을 구성하였다. 방탄소년단의 UN ‘7분 감동 연설’ 다음은 동양 학생과 서양 학생을 바라보는 일반적인 시각 차이를 나타낸 그림이다. 2018년 9월 24일 미국 뉴욕 UN 본부 연단에 올라 각국 정상 앞에서 방탄소년단(BTS)은 ’나 자신을 사랑하라‘는 메시지를 담고 있는 7분 연설을 하여 가슴 뭉클한 감동에 선사하여 전 세계 사람들의 주목을 받았다. 방탄소년단이 연설한 행사는 ’제너레이션 언리미티드‘(Generation Unlimited)라는 10∼24세 청소년과 청년들을 대상으로 한 지원을 확대하기 위해 추진하는 UN의 새로운 글로벌 파트너십 프로그램이다. 아래 영상을 확인해보자. 방탄소년단 UN 연설 영상 (한글 자막 포함) 출처: 연합뉴스, 방탄소년단, 유엔총회연설, https://youtu.be/6wF0508Afc4, 2020.04.24.접속 방탄소년단의 UN 연설 영상을 보고, 질문에 해당하는 답변을 알맞게 기록하세요. 질문 답변 질문 답변 연설자는 누구인가요? 김만준 방탄소년단이 유니세프와 함께한 캠페인은? LOVE Myself 캠페인 삶의 어려움을 극복 하게 해준 앨범 이름은? LOVE Myself 연설자가 모두에게 질문하는 것은 무엇인가? 여러분들의 이름은 무엇인가요? 방탄소년단의 UN 연설 영상을 다시 보고, 연설문에 내포하는 의미가 무엇인지 기록해주세요. 질문 답변 UN 연설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각국 정상들에게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는 무엇일까요? 평화와 정의 지키는 위인들 정의는 사회를 구성하고 유지하기 위해 사회 구성원들이 공정하고 올바른 상태를 추구해야 한다는 가치이다. 평화는 좁은 의미로 전쟁을 하지 않는 상태이지만 현대의 평화 의미는 분쟁과 다툼이 없이 서로 이해하고, 우호적이며, 조화를 이루는 상태를 말한다. 인류가 목표로 하는 가장 완전한 상태를 말한다. 여러분들이 생각하는 평화와 정의에 대한 개념을 2행시를 지어보자. 정 의 평 화 평화와 정의를 수호한 위인 2명을 찾아 빈칸에 채우고, 6명의 업적으로 기록해보자. 위인 업적 간디 김대중 슈바이처 마틴 루서 킹 ( ) ( ) 평화와 정의 수호 연설문 작성하기 [활동 1] 평화와 정의 수호를 위한 각국의 반영 가능한 요구 정책 수립 1948년 12월 10일 UN 총회에서 억압과 차별에 대응하는 방벽으로서 세계인권선언문을 채택하였다. 인간의 역사상 가장 야만적인 범죄들로 황폐한 세계대전 당시, 세계인권선언문은 처음으로 개인의 권리와 자유를 상세하게 밝혔다. 인권선언문은 또한 세계 최초로 인권과 기본적 자유가 개개인 모두에게 어디에서든 적용되는 것임을 알렸다. 이로써, 오늘날 사람들의 생활과 법률 제정에 영향을 미치고 인권 운동을 고취시키게 되었다. 제1조 모든 사람은 태어날 때부터 자유롭고, 존엄하며, 평등하다. 모든 사람은 이성과 양심을 가지고 있으므로 서로에게 형제애의 정신으로 대해야 한다. 제2조 모든 사람은 인종, 피부색, 성, 언어, 종교 등 어떤 이유로도 차별받지 않으며, 이 선언에 나와 있는 모든 권리와 자유를 누릴 자격이 있다. 제3조 모든 사람은 자기 생명을 지킬 권리, 자유를 누릴 권리, 그리고 자신의 안전을 지킬 권리가 있다. ⋮ 평화와 정의를 수호하기 위한 각국 정책에 반영할 선언문 3개의 조항을 기록해보자. 제1조 제2조 제3조 [활동 2] 구글 어스 프로젝트를 활용한 모의 UN에서 연설하기 구글 어스(Google Earth)는 구글이 제공하는 가상 지구본 서비스이다. 사용자는 전 세계 위성사진과 고해상도 사진으로 이뤄진 지구를 PC에서도 자유롭게 볼 수 있다. 이런 구글 어스에 새로운 프로젝트 생성 기능이 있다. 좋아하는 장소를 등록하고 목록화하고 직접 텍스트와 이미지를 추가하거나 지도에 표시를 붙일 수 있게 된 것이다. 구글 어스 프로젝트 사용법을 익히고 여러분들이 선택한 평화와 정의를 지킨 위인들의 일대기를 표현해 보자. 구글 어스 프로젝트 튜토리얼 출처:https://youtu.be/JgPtAnuOP1A. 2020.04.24.접속 구글 어스 프로젝트를 사용 준비 순서를 알아보자. 1단계 2단계 3단계 구글 어스 프로젝트 기능을 알아보자. 평화와 정의를 지킨 위인을 선정하여 일대기를 소개하며, UN 연설 스토리보드를 기록해보자. 주요 내용 발표 원문 발표자 소개 위인 소개 위인의 탄생 위인의 유년기 위인의 청소년기 위인의 사건1 위인의 사건2 위인의 사건2 위인이 추구하는 가치 평화와 수호 선언문 3가지 다른 모둠의 모의 UN 연설하기를 잘 듣고, 아래 빈칸에 기록해보자. 남북의 평화 선언문의 영향 다음은 10・4 남북공동선언문이다. 남북관계 발전과 평화 번영을 위한 선언 1. 남과 북은 6.15 공동선언을 고수하고 적극적으로 구현해 나간다. 2. 남과 북은 사상과 제도의 차이를 초월하여 남북관계를 상호존중과 신뢰 관계로 확고히 전환해 나가기로 하였다. 3. 남과 북은 군사적 적대관계를 종식시키고 한반도에서 긴장완화와 평화를 보장하기 위해 긴밀히 협력하기로 하였다. 4. 남과 북은 현 정전체제를 종식시키고 항구적인 평화체제를 구축해 나가야 한다는데 인식을 같이하고 직접 관련된 3자 또는 4자 정상들이 한반도지역에서 만나 종전을 선언하는 문제를 추진하기 위해 협력해 나가기로 하였다. 5. 남과 북은 민족경제의 균형적 발전과 공동의 번영을 위해 경제 협력 사업을 공리공영과 유무상통의 원칙에서 적극 활성화하고 지속적으로 확대 발전시켜 나가기로 하였다. 6. 남과 북은 민족의 유구한 역사와 우수한 문화를 빛내기 위해 역사, 언어, 교육, 과학기술, 문화예술, 체육 등 사회문화 분야의 교류와 협력을 발전시켜 나가기로 하였다. 7. 남과 북은 인도주의 협력 사업을 적극 추진해 나가기로 하였다. 8. 남과 북은 국제무대에서 민족의 이익과 해외 동포들의 권리와 이익을 위한 협력을 강화해 나가기로 하였다. 2007년 10월 4일 남과 북이 평화와 번영을 위한 선언문에 대해 SWOT 분석으로 기록해보자. 강점을 서술하시오. 약점을 서술하시오. 기회를 서술하시오. 위협을 서술하시오. 자기평가 평가내용 척도 1 2 3 4 5 나는 평화와 정의의 의미를 다른 사람에게 설명할 수 있다. 나는 평화와 정의를 지키는 위인의 가치를 말할 수 있다. 나는 구글 어스 프로젝트를 친구들과 함께 협력하여 진행하였다. 나는 방탄소년단의 UN 연설에 대한 의미를 알고 있다. 느낀 점을 자유롭게 기록하세요. 동료평가 평화와 정의를 수호하기 위한 정책 반영 선언문 작성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친구는 ( )이다. 구글 어스 프로젝트를 활용한 UN 연설을 논리적으로 발표한 친구는 ( )이다. UN 연설 스토리보드를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기록한 친구는 ( )이다. 다른 모둠의 구글 어스 프로젝트 활용 모의 UN 연설을 잘 듣고 기록한 친구는 ( )이다. 구글 어스 프로젝트를 기능을 잘 알고 사용 능력이 뛰어났던 친구는 ( )이다. 아이스크림 회사 벤&제리의 평화헌장 미국의 아이스크림회사인 벤&제리(BEN & JERRY’S) 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일환으로 회사의 가치를 평화구축(Peace-Building)으로 설정하고 모두가 평화로운 사회에서 살기 위한 건강한 공동체, 모두를 위한 사회 정의 및 경제 정의에 투자하고, 전 세계 사람들 사이의 존중하는 대화를 해야 한다고 알리고, 그 일환으로 우리가 실천할 수 있다. 세계 평화를 앞당기는 방법을 아래와 같이 제시하고 있다. ① 이메일, 팩스, 사진, 그리고 뉴스레터 등을 통해 평화의 메시지를 전달하자. ② 평화집회에 참여하자. ③ 평화 연설자들을 직장이나 지역사회로 초청해 그들의 강연을 듣자. ④ 이웃들을 알기 시작하자. 지역사회는 평화운동에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공동체이다. ⑤ 자신과는 다른 인종, 민족성, 나이, 능력들을 가진 사람들과 만나면서 다양함을 배우자. ⑥ 여러 문화의 비교 이해는 평화를 앞당기기 위해 꼭 필요한 요소이다. 다양한 문화를 존중하는 이웃 마을 또는 나라들을 방문해보자. ⑦ 여행은 가르침을 일깨워준다. 여행을 다니며 다른 곳의 문화를 배우고 이해하고, 또 자신의 지역사회와 비교하여 배우는 것은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⑧ 운전할 때에는 인내심을 가지고 운전해야 한다. 도로와 고속도로의 평화를 구축하자. ⑨ 항상 귀를 기울이자. 불필요한 충고를 해주기 전에 꼭 먼저 듣는 것을 배우자. 문제를 해결하는 것 보다 듣는 것이 먼저임을 잊지 않는 것은 중요하다. ⑩ 미안하다는 말을 진심으로 하는 것을 아끼지 말자. ‘미안합니다’ 한 마디는 폭력과 문제를 단 한 번에 없앨 수 있는 해결책이다. ⑪ 항상 도움을 주는 사람이 되자. 예기되지 않은 때에 베푸는 친절은 더욱 평화로운 사회를 만들 수 있다. ⑫ 어린이들과 종종 시간을 보내자. 우리가 이들과 보내는 시간은 진정한 평화가 무엇인지 우리 에게 알려주기도 한다. ⑬ 인내심을 기르자. 경솔한 판단이나 행동을 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⑭ 평화에 대해서 이야기하자. 평화에 대해 듣고, 이야기를 나누는 일들은 민주사회 구축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⑮ 아이들을 바르게 키우고 보호하는 것을 알려주는 지역사회의 부모 워크숍 등에 참여하자. ⑯ 평화는 가정에서부터 비롯된다. 우리 자신의 가족들을 돌보고 평화를 앞당기는 일에 참여하자. ⑰ 신이 가지고 있는 편견을 관찰해 보자. 여태까지 가지고 있었던 여러 편견들이 우리 자신에게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 뒤돌아보자. ⑱ 평화의 노래를 하나씩 만들어 보자. 평화의 노래들은 사람들을 불러 모으는 데 큰 영향을 끼칠 것이다. ⑲ 음악, 미술, 이야기와 연극들을 통하여 평화와 비폭력에 대하여 더 깊이 관찰하여 보자. ⑳ 플래카드, 포스터, 배지, 티셔츠와 스티커 등의 매체들을 통해 평화의 메시지를 널리 전달하자. 출처: https://www.benjerry.com/values/issues-we-care-about/peace-building 더불어 행복한 지역사회를 만드는 착한기업 SDG 17 선도프로그램 ��관련 교과목 및 단원�� ▣ 환경 : 지속가능한 사회와 삶 ▣ 사회 : 사람이 만든 삶터, 도시 ▣ 창의적 체험활동(지속가능발전교육) ▣ 관련 SDGs ✢ 목표 17. SDGs를 위한 파트너십 ✢ 세부목표 17.3. 파트너십들의 경험과 재원조달 전략에 기초하여 효과적인 공공·민관·시민사회 파트너십을 장려하고 증진한다. ▣ 관련 K-SDGs ✢ 목표 17. 지구촌 협력 확대 ✢ 세부목표 17.7. 효과적인 공공, 공공-민간 및 시민사회 간 파트너십을 권장하고 촉진한다. ��프로그램의 개관�� • 이 프로그램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지역사회의 사회적 경제기업으로서 착한 기업의 의미를 알아보고, 우리 지역에 필요한 착한 기업을 설립하는 과정에서 공공-민간 분야의 파트너십의 중요성을 인식하기 위해 구성되었다. • ‘1차시’ 우수한 사회적 기업을 알아보기 활동으로 사회적 기업의 정의와 필요성을 인식한다. • ‘2차시’ 에서는 우리 마을에 필요한 사회적 기업을 설립하기 위한 사업계획서를 작성한다. • ‘3차시’ 에는 작성한 사업계획서가 사회적 기업 인증 체크리스트로 점검하고, 사회적 기업이 지속가능한 사회로 발전되기 위한 중요성을 알게 된다. <학습목표>  사회적 기업의 정의와 필요성을 말할 수 있다.  사회적 기업의 설립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사회적 기업의 중요성을 말할 수 있다. ✿ 이 주제를 왜 학습해야 하는가? 성공적인 지속가능발전은 정부ㆍ민간ㆍ시민사회 간의 협력을 필요로 한다. 원칙과 가치, 비전 및 인류와 지구를 중심으로 하는 공동목표를 바탕으로 한 이러한 포괄적인 파트너십이 전 세계적ㆍ지역적ㆍ국가적ㆍ지역 차원으로 접근을 해야 한다. 전 세계 국가의 지속가능발전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수 조 달러의 민간 자원의 힘을 바탕으로 전환ㆍ개방하기 위한 긴급조치가 요구된다. 이러한 역할을 지원하고 원활한 운영을 위해 여러 지역의 순수한 민간 조직으로 구성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풀뿌리 파트너십이 기초가 되어야 한다. 이 프로그램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중 17번째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위한 파트너십을 경험할 수 있도록 구안되었다. 특히 세부목표 중 17.3인 ‘파트너십들의 경험과 재원조달 전략에 기초하여 효과적인 공공・민관・시민사회・파트너십을 장려하고 증진한다.’에 주안점을 두었다. 따라서 이 프로그램은 이러한 세부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회적 기업의 정의와 필요성을 인식하고, 사회적 기업의 설립과정을 알아보고, 결과적으로는 지역사회의 사회적 기업이 지속가능한 사회로 발전되기 위한 방향과 중요성에 대해 알게 된다. 지역사회의 지속가능한 사회가 국가적 측면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의미 있는 경험이 될 것이다. 사회적 기업 ‘아름다운 가게’ 다음은 동양 학생과 서양 학생을 바라보는 일반적인 시각 차이를 나타낸 그림이다. 아름다운 가게(Beautiful Store)는 영국의 옥스팜을 본보기로 하여 2002년 출범한 비영리 기구이자 사회적 기업이다. 아름다운 가게의 가장 핵심적인 주제이자 사명은 나눔과 순환 그리고 시민의 참여이다. 아름다운 가게는 영리를 추구하지 않으며 그 수익금을 제3세계 사람들과 사회적 약자를 위해 사용하고 있다. 또한, 아름다운 가게는 종교적 편향을 지양한다. 아름다운 가게의 원동력이자 활력소는 시민의 참여이다. 낡거나 오래된 물건을 기증받으면 아름다운 가게는 다시 이 물건들을 되살려 시장으로 보낸다. 사람들이 자신에게 더 이상 쓸모없는 물건을 기증하면 다른 사람들은 기증된 물건을 다시 사간다. 다시 말해 자원의 순환을 이용한 시민운동이다. 아름다운 가게는 부의 편중과 빈부격차에 대해 서로가 이해하고, 나누는 활동을 통해 자원의 더 긴 순환과 유통을 실현하고자 하며, 이를 되살림 정신이라 칭한다. 아름다운 가게 홍보영상 출처: 아름다운가게 홍보영상. https://youtu.be/dbaPfhuhqSw. 2020.07.30.접속 아름다운 가게 홍보 영상을 보고 아래 질문에 답해보자. 질문 답변 구성원들은 누구인가요? 자원활동가 하는 일이 무엇인가요? 사람들의 기부를 통해 자원을 재순환 추구하는 비전은 무엇인가요? 모두가 함께하는 나눔과 순환의 아름다운 세상 만들기 수익은 어떻게 하나요? 수익의 일부는 나눔 파트너들과 공유 지역사회를 위해 무엇을 하나요? 시간과 재능을 나누어 자신과 지역사회를 발전시킴 사회적 기업이 무엇일까? 사회적 기업은 경제협력개발기구 OECD는 "공공의 이해를 위해 수행되며, 이윤 극대화가 아닌 특정한 사회 경제적 목표 달성을 최종 목적으로 하는 기업"으로 정의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사회(공공)서비스 또는 일자리를 제공하며 취약계층과 지역 주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면서 생산, 판매, 서비스 등 영리활동을 하는 기업 및 조직’으로 정의하고 있다. 소셜비즈니스(social business)라고도 불린다. 노벨평화상 수상자이자 경제학자인 무함마드 유누스는 "사회 문제 해결을 위해 창립되고 설계된 사업"이라고 정의한다. 협동조합과 함께 사회적 경제를 대표하는 형태 중 하나다. 아래의 사회적 기업에서 무슨 일을 하고 있는지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찾아보자. 사회적 기업 하는 일 메자닌아이팩 북한 이탈 주민과 저소득 취약계층에게 안정적인 일자리를 제공하여 그분들이 자립할 수 있도록 종이 재질의 상자를 제작하여 판매하는 기업 휴먼케어 노인과 장애인에게 돌봄서비스를 제공하는 사회서비스 제공형 사회적 기업 행복도시락 공공급식 사회서비스 품질개선과 양극화 해소, 근로빈곤층의 빈곤 완화를 이한 결식아동지원 도시락 사업 노리단 재활용을 바탕으로 사회적 활력과 지속가능한 즐거운 디자인을 지향하는 공공적 문화예술기업 행복한 학교 방과 후 위탁사업으로 방과 후 강사 일자리 및 교육문제 해결을 통한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기업 사회적 기업을 착한 기업이라고 말한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우리 마을의 사회적 기업 설립 [활동 1] 우리 마을에 필요한 사회적 기업을 찾아보자. 사회적 기업의 유형은 5가지가 있다. 첫째, 일자리 제공형은 조직의 주된 목적이 노약자, 장애인, 한 부모 가정 등의 취약계층에게 일자리를 제공하는 경우이다. 장애인을 고용할 때에는 일자리를 만들어주는 시혜와 동정이 되어서는 안 되고, 장애 유형에 맞는 일자리 제공이 필요하다. 둘째, 사회서비스 제공형은 조직의 주된 목적이 취약계층에게 사회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이다. 셋째, 혼합형은 조직의 주된 목적이 취약계층 일자리 제공과 사회서비스 제공이 혼합된 경우이다. 넷째, 기타형은 사회적 목적의 실현 여부를 위에 표시된 취약계층 고용비율과 사회서비스 제공 비율 등으로 판단하기 곤란한 경우 사회적 기업 육성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고용노동부장관이 사회적 목적의 실현 여부를 판단한다. 다섯 번째, 지역사회 공헌형은 지역사회 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의 목적으로 설립할 경우이다. 우리 마을에 필요한 사회적 기업을 설립해보자. 구분 내용 유형 사회적 목적 하고자 하는 일 조직의 구성원 의사결정 구조 이윤의 재투자 방법 우리 마을에 필요한 사회적 기업이 사회적 기업 인증서를 받기 위해 아래의 체크리스트에서 모두 ○가 되는지 점검해보자. 요소 세부 내용 ○ × 유급근로자 고용 모든 구성원들이 고용보험에 가입하였는가? 사회적 목적의 실현 취약계층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거나 지역사회 공헌 등 사회적 목적의 실현을 조직의 주도니 목적인가?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의사결정 구조 서비스 수혜자, 근로자 등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의사결정 구조인가? 영업활동을 통한 수입 영업활동을 통해 얻은 수입이 노무비의 50% 이상인가? 이윤의 사회적 목적 사용 배분 가능한 이윤의 발생한 경우 2/3을 사회적 목적을 위해 사용할 것인가? [활동 2] 우리가 설립한 사회적 기업이 지속가능한 사회로의 발전 가능성을 찾아보자. 우리가 설립한 사회적 기업으로 인해 지역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이 가능해야 한다. 환경을 보호하고 빈곤을 구제하며, 장기적으로 성장을 이유로 단기적인 자연자원을 파괴하지 않는 경제적인 성장이 창출되어야 한다. 사회적 기업의 설립과 운영으로 취약계층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 지역사회에 공헌함으로써 지역 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는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면서 재화 및 서비스의 생산 및 판매 등 영업활동이 진행되어야 한다. 우리가 설립한 사회적 기업이 아래의 내용을 체크리스트에 체크해보자. 요소 세부 내용 ○ × 경제적 지역사회에서 생산과 소비로 일자리와 경제성장에 기여하는가? 기업의 운영 성과가 모든 세대에 고루 배분되는가? 환경과 사회의 발전을 고려한 기업의 운영이 가능한가? 사회적 사회적 약자에게 편리를 제공하고 도움을 주고 있는가? 사회적 기업 활동이 지역사회의 안정과 통합을 위해 영향을 미치는가? 사회적 불평등을 축소하기 위해 방안이 포함되었는가? 환경적 자원의 고갈과 환경을 훼손하지 않고 지속적 발전이 가능한가? 사람들이 쾌적하게 편안한 삶에 살 수 있는데 기여하는가? 생태계와 환경의 보전이 가능한 가치가 포함되어 있는가? 위의 체크리스트에서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요소의 세부 내용에서 X가 많이 부분이 확인하고 그 이유와 사회적 기업 설립에서 추가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 각 요소의 결과를 확인하고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해 우리가 설립한 사회적 기업의 발전 방향은 무엇일까? 사회적 경제의 정의와 유형 다음은 사회적 경제에 대한 소개이다. 사회적 경제는 무엇인가? 사회적 경제는 시장원리주의 및 신자유주의의 한계로 인해 발생한 소득 양극화와 사회·경제적 불평등을 극복하고자 공동체 원리에 입각한 ‘따뜻한 사회’, ‘나눔경제’, ‘공유경제’를 지향하는 새로운 경제시스템을 말한다. 사회적 경제는 국가의 영역(재분배)과 시장의 영역(이윤추구)의 영역이 아닌 제 3의 영역으로 광범위한 영역을 의미하며, 상호 간의 연대와 협력, 호혜의 부조 등 자발적인 참여를 바탕으로 사회서비스 확충 및 복지 증진, 지역공동체 강화, 일자리 창출 등의 모든 경제적 활동을 말한다. 사회적 경제기업의 유형 - 사회적 기업 : 취약계층에 대한 고용창출과 사회서비스 확충 등 사회적 가치실현을 목적으로 하는 기업 - 협동조합 : 공동소유, 민주적 운영을 통해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필요와 욕구를 이루려는 사람들의 자발적인 결성조직 - 마을기업 : 마을공동체에 기반하여 지역주민들의 자발적 참여와 협동적 관계망을 통해 주민들의 욕구와 지역문제 해결을 추구하는 기업 - 자활기업 : 저소득 실업자의 경제적 자활(자립)과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생산 활동을 하는 기업 사회적 경제기업의 범위 출처: 사회적경제지원센터, https://www.gyeyang.go.kr/ 사회적 경제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일까? ` 자기평가 평가내용 척도 1 2 3 4 5 나는 사회적 기업의 정의를 말할 수 있다. 나는 우리 마을에 필요한 사회적 기업을 설립하였다. 나는 사회적 기업 인증을 받는 사회적 기업을 설립하였다. 나는 사회적 기업과 지속가능한 발전의 영향을 알았다. 느낀 점을 자유롭게 기록하세요. 동료평가 아름다움 가게 홍보 영상을 보고 논리적으로 발표한 친구는 ( )이다. 사회적 기업을 착한 기업이라고 말하는 이유에 대해 설득력 있게 발표한 친구는 ( )이다. 우리 마을에 필요한 사회적 기업 설립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친구는 ( )이다. 사회적 기업 인증서를 받기 위한 사회적 기업 설립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친구는 ( )이다. 사회적 기업의 설립과 지속가능발전과의 연계성을 적절하게 표현한 친구는 ( )이다. 해외의 사회적 기업 성공사례 캐나다의 어웨이 익스프레스 택배회사(A-Way Express Courier) 어웨이 익스프레스는 1987년 정신질환자들을 위한 일자리 제공을 목적으로 하는 지역사회 주택인 프로그레스 플레이스(Progress Place)와 하우스링크 커뮤니티주택(Houselink Community Homes)에 의해 설립되었습니다. 어웨이 익스프레스는 대중교통을 이용한 택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정신질환을 겪었거나 겪고 있는 직원들의 정신적, 신체적인 안정과 회복을 촉진할 수 있는 근무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 중 다수가 사회적 편견으로 인해 일자리를 구하지 못하고 있다. 어웨이 익스프레스는 정신질환자에 대한 사회적 편견과 인식 개선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탈리아의 산 파트리냐노 커뮤니티(San Patrignano Community) 많은 사람이 약물 및 마약 중독은 사회 문제로만 인식을 하고 있는데, 이는 보다 복합적이고 심각한 문제로 지역경제 및 지속가능한 경제와도 직결되는 사안이다. 약물, 마약 중독으로 초래될 수 있는 위험을 알려 예방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를 시작으로 더 많은 예방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산 파트리냐노가 추구하면서 해결하고자 하는 가치는 치료의 목적은 자신과 타인, 환경에 대한 존중이고 약물 및 마약치료 경로는 본질적으로 교육적이고 재활을 제공하고 비용은 모두 무료로 제공한다. 미국의 탐스 슈즈(TOMS shoes) “내일을 위한 신발” (Shoes for Tomorrow)라는 슬로건으로, 소비자가 한 켤레의 신발을 구입하면, 다른 한 켤레의 신발을 제3세계 어린이들에게 일대일로 기부하는 사회적 경제 기업이다. TOMS Shoes는 미국 캘리포니아에 본사를 두고 있는 신발 회사이다. 내일을 위한 신발(Shoes for Tomorrow)라는 슬로건으로 소비자가 한 켤레의 신발을 구입하면, 다른 한 켤레의 신발을 제3세계 어린이들에게 일대일로 기부하는 사회적 경제기업이다. 창업자 Blake Mycoskie가 2006년 여름에 아르헨티나를 여행하는 중에 많은 아이들이 맨발로 걸어 다니는 것을 목격하고, 맨발로 다니는 어린이들에게 신발을 제공해야겠다는 목적으로 TOMS Shoes를 창립하였다. 영국의 스트리트 리그(Street League) 스트리트 리그는 영국에서 청년 실업의 마지막을 볼 때까지 가능한 많은 젊은이들을 돕는데 전념하고 있다. 이를 위해서는 젊은 층의 모든 단계에서 총체적인 지원을 해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다. 이러한 지원은 계속해서 스트리트 리그의 혁신적인 스포츠 프로그램에 포함될 것이며, 젊은이들의 복지에 초점을 맞춰 나갈 것이다. 출처: 해외 사회적경제기업 성공사례 : 포용적 성장, 착한 기업의 성공스토리(김미옥 외, 2019) 고등학생용 프로그램 우리의 기후변화 대응 이야기 SDG 13 선도프로그램 ��관련 교과목 및 단원�� ▣ 통합사회 : 생활공간과 사회 ▣ 세계지리 : 세계의 자연환경과 인간 생활▣ 환경 : 지속가능한 사회 ▣ 관련 SDGs ✢ 목표 13. 기후변화 대응 ✢ 세부목표 13.1. 모든 국가에서 기후 관련 위험과 자연재해에 대한 회복력 및 적응력 강화한다. ▣ 관련 K-SDGs ✢ 목표 13. 기후변화 대응 ✢ 세부목표 13.3. 기후변화 완화, 적응, 영향 감소, 조기 경보 등에 관한 교육, 인식 제고, 인적・제도적 역량을 강화한다. ��프로그램의 개관�� • 이 프로그램은 사례 조사 및 발표 학습, 탐구 학습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기후변화 현상을 직접 조사하고,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실천해야 하는 방안을 생각하고, 이를 실천해보는 과정으로 구성하였다. • ‘1차시’ 우리나라가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과 국가별 기후변화대응 지수를 이해하고, 기후변화에 대응을 위한 행동을 요구하는 활동을 이해한다. 또한, 청소년들의 기후변화 대응 활동과 노력에 대해 알아본다. • ‘2차시∼3차시’ 국가 열지도 시스템을 통해 우리 주변의 기후변화 원인과 대응 요소에 대해 살펴본다. 또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각국의 노력을 모티브로 다양한 실천 방안을 논의하고, 발표한다. 모둠활동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실천할 수 있는 물건을 선정하고, 기후변화 대응 기술 아이디어를 고민하는 활동을 한다. <학습목표>  기후변화 대응 활동에 관해 설명할 수 있다.  열이 발생하거나 소비되는 사례를 말할 수 있다.  국가 열지도 시스템을 이용하여 우리 주변의 기후변화 원인요소를 찾을 수 있다. ✿ 이 주제를 왜 학습해야 하는가? 이제 기후변화는 현실이다. 화석연료의 과다한 사용과 지나친 산림 개발 등에 따른 지구온난화가 생물과 인간의 생존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기후변화의 원인과 영향을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응 방안과 적응 방안을 모색하며, 나아가 국제 사회의 협력이 중요함을 인식한다. 따라서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기후변화의 원인과 발생하는 현상에 대한 대응할 방안을 탐구해보는 것은 가장 적절한 방법일 것이다. 본 프로그램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중 13번째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개발되었다. 이 목표에는 등이 기후변화 대응조치, 기후변화 완화를 위한 교육, 인식 제고, 제도적 역량 등의 세부 목표가 포함되어 있다. 이 중 13.1은 ‘모든 국가에서 기후 관련 위험과 자연재해에 대한 회복력과 적응력 강화한다.’이며, 13.3은 "기후변화 완화, 적응, 영향 감소, 조기 경보 등에 관한 교육, 인식 제고, 인적·제도적 역량을 강화한다.”이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은 이러한 세부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이해하고, 기후변화 현상을 탐구하여 이에 대응하는 방안을 생각해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우리나라가 기후 악당 국가? 영국의 기후변화 전문 미디어 '클라이밋 홈 뉴스'는 2016년 4월 ‘한국이 2016년 기후 악당을 선도하고 있다(South Korea leads list of 2016 climate villains).’는 제목의 기사를 보도했다. ‘기후 악당 국가’는 기후변화 대응에 가장 무책임하고 게으른 국가를 말한다. 매체는 국제환경단체인 기후행동추적(Climate Action Tracker·CAT)의 분석 결과를 인용해 한국을 사우디아라비아, 호주, 뉴질랜드와 세계 4대 기후 악당의 하나로 꼽았다. 아래 영상을 시청한 후, 물음에 답해 보자. EBS뉴스 <교육현장 속으로; 청소년들, 기후변화 대응 촉구> 출처: 한겨레 기사 <한국 세계 ‘기후변화 4대 악당국가’로 등극> (2016.11.6.). ‘청소년들, 기후변화 대응 촉구’ 영상을 보고, 아래의 빈칸에 알맞게 기록하세요. 질문 답변 질문 답변 학생들은 왜 거리로 나왔나요? 기후변화 대응을 촉구하기 위해 세계 청소년들의 기후행동을 처음 시작한 환경운동가의 이름은? 그레타 툰베리 영상을 보고 느낀 점을 자유롭게 서술하세요. 보충자료에 제시된 <국가별 기후변화 대응지수(CCPI) 2020>을 보고 질문에 답하세요. 질문 답변 질문 답변 CCPI의 4가지 카테고리를 쓰시오. 온실가스 배출, 신재생에너지, 에너지 사용, 기후관련 정책 우리나라의 CCPI 순위와 점수는 무엇인가? 58위, 26.75점 CCPI의 최상위 4개 국가를 쓰시오. 스웨덴, 덴마크, 모로코, 영국 CCPI의 최하위 4개 국가를 쓰시오. 미국, 사우디아라비아, 대만, 한국 큰일을 하는데 너는 결코 작지 않아 미국 시사 주간지 ‘타임’은 ‘2019 올해의 인물’로 17세 환경운동가 그레타 툰베리를 선정했다. 툰베리는 ‘올해의 인물’ 92년 역사상 최연소 주인공이자 최초의 10대(선정 당시 16세)다. 앞서 생각열기 동영상에 등장한 그레타 툰베리는 급격히 악화되고 있는 지구 온난화 위기를 줄이고 기후변화 대응 행동을 촉구하기 위해 매주 금요일마다 학교 등교를 거부하는 국제 환경운동(미래를 위한 금요일, Fridays for Future)을 전개하였다. 영국 콜린스 사전이 ‘기후파업(climate strike)’을 ‘올해의 단어’로 선정했다. 단어의 뜻이 무엇인지 찾아 쓰시오. 기후변화 대책 마련을 요구하는 시위에 참여하기 위해 학교에 결석하거나 출근하지 않는 것. '기후'에 파업, 혹은 시위라는 뜻의 '스트라이크(strike)'를 붙여 만든 이 신조어로 2015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린 유엔 기후변화 회의 당시 펼쳐진 집회를 계기로 처음 사용됐다.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기후변화 대응 활동 사례를 찾아 기록해보자. - 청소년 19명 ‘기후변화’ 관련 헌법소원 - 기후변화 대응 촉구 ‘책상 시위’ 이와 같은 ‘기후파업’과 같은 기후변화 대응 활동에 참여하는 것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가? 본인이라면 기후파업에 참여하겠는가? 만약 본인이 기후변화 대응 활동에 참여한다면 어떤 구호를 외치겠는가? 참여 여부 이유 구호 한반도, 열 받는 곳은 어디? [활동 1] 국가열지도 시스템 탐색활동 열지도(Heat Map)란? 열지도는 열이 발생(공급)하거나 소비(수요)되는 곳의 온도, 열량 등의 데이터를 파악하여, 지리정보시스템(GIS)을 기반으로 표시한 지도를 말한다. 열지도를 활용하면 지역별로 상세한 열 발생과 소비를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활용 열을 인접 수요지에 연결했을 때 대략적인 경제성과 사업성을 파악할 수 있어 긍정적인 영향을 기대할 수 있다. 그림출처 : 현재 구축된 국가열지도 1단계 모습 위의 설명 중 밑줄 친 부분(열의 발생과 소비)의 예를 찾아 쓰시오. 발생(공급) 발전소(발전자회사, 민간발전사), 제철소, 산업체(국가・지방 산업단지 등), 폐기물(주요 매립지, 소각장) 등 소비(수요) 냉난방용, 농어업용, 산업용으로 구분하여 조사 우리나라의 열거래 플랫폼- 국가열지도(Korea Heat Map)시스템 탐색 (1) 국가열지도 시스템 접속(출처: https://www.k-heatmap.com/) ⇒ <국가열지도 서비스>로 들어가기 (2) <본인이 사는 도시>를 중심으로 열의 공급, 수요, 집단에너지 등의 위치와 수를 파악 열 공급 시설의 수 발전소( ), 소각시설( ), 하천수열( ), 회수열( ), 연료전지( ) 열 수요 시설의 수 건축물( ), 온실( ), 공급주택( ), 농어업( ), 집단에너지 시설 수 사업자( ), 고시지역( ) 기타 시설 수 LNG 생산기지( ), 산업단지( ) 우리 지역 지도를 보고, 기후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찾아보자. 기후변화 원인요소 이 유 (예시) 도로, 교차로 자동차, 트럭 등이 이동하면서 온실가스를 내뿜는다. 지하철역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지하철에서 온실가스가 배출된다. 아파트 단지 많은 사람들의 주거 지역으로 배출되는 쓰레기의 양이 많다. 우리 지역 지도를 보고,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요소를 찾아보자. 기후변화 대응 요소 이 유 (예시) 습지 하천변 습지에서는 광합성을 하는 수많은 수중 식물이 살고 있다. 공원 나무와 풀이 많은 공원에서도 산소 배출량이 많다. [활동 2] 녹색 마을지도 만들기 우리 마을을 친환경 녹색 마을로 만들기 위해 모둠원들과 토의하여 아래의 제시된 예시 마을지도처럼 가장 친환경적인 우리 마을지도를 만들어 보자. 그리고 주요 시설들을 각 위치에 배치한 이유에 대해서도 토의해보도록 한다. 출처: STEAM 교사연구회_도시의 오아시스 녹색 마을로 변화시키는 데 필요한 대응 요소들을 마인드맵으로 그려보기 기존의 도시 문제점들을 파악하고,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는 데 필요한 요소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마인드맵으로 그려보자. 우리 동네를 녹색 마을로 변화시키는 데 필요한 요소를 구체화하기 우리 동네가 지속가능한 공간으로 변화되기 위한 요소들은? 내가 사는 곳의 부족한 것 혹은 문제점들은 무엇일까? 2. 부족한 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은 무엇이 있는가? 3. 새로운 대안을 가장 친환경적으로 만드는 방법은 무엇이 있을까? 녹색 마을지도 만들기 지금까지의 모든 활동(생각 열기, 생각 키우기, 생각 만들기)들을 종합하여, 자신이 사는 동네(혹은 학교 주변)를 친환경적인 마을지도를 만들어 보자. 필요한 경우 답사를 가서 기후변화의 원인요소와 대응 요소를 찾아보고, 직접 온도를 측정하여 원인을 분석해본다. 온실가스 저장 및 활용기술 이산화탄소 포집과 저장(Carbon Capture and Storage) 기술이란? CCS 기술은 화력 발전소와 같은 산업 시설로부터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고 이송을 위해 압축한 후 지하 깊은 곳에 저장한다. 저장은 “지질학적으로 조용한 환경”에서 이루어지는데, 단층선이나 화산이 없는 지역으로 근방 지역사회의 식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곳이 이상적이다. 최근에는 CCS 개념에서 발전하여 CCUS(탄소 포집‧활용‧저장)로 확대되었으며,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활용하여 고부가 제품을 생산하려는 노력을 하고 있다. 그림출처 : GE리포트 코리아(2015) 위의 설명 중 밑줄 친 부분(지질학적으로 조용한 환경)에 해당하는 곳이 우리나라의 경우 어느 위치에 해당할지 토의해보자. 위치 이유 이산화탄소를 활용하는 기술(CCU)에는 어떤 사례가 있는지 조사하여 기록해보자. 자기평가 평가내용 척도 1 2 3 4 5 나는 기후변화 대응 활동을 다른 사람에게 설명할 수 있다. 나는 열이 발생하거나 소비되는 사례를 말할 수 있다. 나는 국가열지도 시스템을 이용하여 우리 주변의 기후변화 원인요소를 찾을 수 있다. 느낀 점을 자유롭게 기록하세요. 동료평가 녹색 마을지도 만들기 평가지 모둠명 주제 성 취 기 준 성취 수준 5점 4점 3점 2점 1점 1. 아이디어 발상이 참신한가? 2. 아이디어가 구체적이며 실현 가능성이 있는가? 3. 지도에 필요한 요소들이 제대로 구현되어 있는가? 4. 지도에 마을의 특성을 반영되었는가? 5. 발표자는 작품을 명확하게 설명하고 있는가? 총 점 작품 의견 우수한 점 부족한 점 국가별 기후변화 대응지수(CCPI) ‘물고기 아파트’로 해양자원 보존하기 SDG 14 선도프로그램 ��관련 교과목 및 단원�� ▣ 통합사회 : 자연환경과 인간 ▣ 환경 : 환경의 체계 ▣ 기술가정 : 기술의 감동을 나누는 적정기술 ▣ 관련 SDGs ✢ 목표 14. 해양 생태계 ✢ 세부목표 14.4. 2020년까지 최소한 생물학적 특성에 따라 결정되는 최대지속생산량 수준까지 가능한 한 최단 기간 내에 어족자원을 회복하기 위해, 효과적으로 어획을 규제하고, 남획, 불법・비보고・비규제(IUU) 어업 및 파괴적인 어업 관행을 종식하며, 과학에 기초한 관리계획을 이행한다. ▣ 관련 K-SDGs ✢ 목표 14. 해양 생태계 보전 ✢ 세부목표 14.2. 바다의 생태환경과 수산자원의 서식처를 적극적으로 관리한다. ��프로그램의 개관�� • 이 프로그램은 사례 조사 및 발표 학습, 탐구 학습 등 융합적 교수・학습 방법으로 해양 및 해양자원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실천 사례 등을 통해 해양자원을 보존하고, 지속가능한 관리 방법을 탐구해보는 활동이다. • ‘1차시’는 무분별한 남획의 문제를 우리나라 사례를 통해 이해하고, 다양한 원인으로 바다 생태계가 위기에 처한 상황을 이해하고, 국제 어획량의 변화, 양식 등의 현황을 통해 문제를 인식한다. • ‘2~3차시’에서 1차시 내용을 바탕으로 해양자원의 보존을 위한 물고기 아파트를 디자인해 보고, 공익광고 만들기 활동을 계획하고 실천한다. <학습목표>  우리나라에서 물고기가 사라지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 바다의 산성화, 수온상승, 산소결핍의 원인을 말할 수 있다.  인공어초가 필요한 이유를 알고 있다. ✿ 이 주제를 왜 학습해야 하는가? 바다는 온도, 화학구조, 해류, 생물을 조절해 지구를 인간이 살기에 적합한 곳으로 만들어준다. 날씨, 기후, 식수, 많은 식량 심지어는 우리가 숨을 쉬는 산소까지 인간이 누리는 모든 것들이 궁극적으로는 바다로부터 나온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계속되는 오염 때문에 연안 수질이 악화되고, 해수 산성화가 심해져 해양 생태계와 생물다양성 기능이 심각하게 훼손되고 있다. 그래서 해양 보존 지역을 효과적으로 관리하여 해양자원들을 확보하는 것과 동시에 남획, 해양오염, 해양 산성화 등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이 프로그램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중 14번째 해양과 해양자원 보존과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해 개발되었다. 이 중 14. 4는 ‘2020년까지 최소한 생물학적 특성에 따라 결정되는 최대 지속생산량 수준까지 가능한 한 최단 기간 내에 어족자원을 회복하기 위해 효과적으로 어획을 규제하고, 남획, 불법・비보고・비규제(IUU) 어업 및 파괴적인 어업 관행을 종식하며, 과학에 기초한 관리계획을 이행한다.’이다. 이 프로그램은 이러한 세부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과도한 남획으로 인한 문제를 이해하고, 이를 해결하는 사례를 찾는 활동을 통해 종합적으로 해양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 방법이 무엇인지 탐구하도록 구성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사라지는 물고기 1981년 약 17만t에 달했던 명태 어획량은 2008년에는 정부 공식통계상 '0'이 되었다. 최근에는 갈치 등 다른 국민 생선의 급격한 감소가 나타나고 있다. 갈치는 1974년에 17만t이 잡혀 고등어(8만t)의 두 배를 넘었지만, 지난해에는 3만t으로 줄었다. 그 결과 1974년에 ㎏당 52원으로 고등어(61원)보다 쌌던 갈치 가격이 2017년에는 8천 506원으로 뛰어 국민 생선이 아니라 밥상에 올리기 어려운 '귀족 생선'이 되어가고 있다. 국민 생선이던 명태가 우리 연근해에서 사라진 것은 무엇보다 어린 물고기 남획 때문이다. 어린 물고기를 잡는 행위는 다 자라서 최소한 한 번의 산란을 통해 자원 재생산에 기여할 기회마저 박탈하기 때문에 '바닷속 저출산'으로 이어지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한다. 해양수산부 <수산자원을 부탁海> Save the Sea 사진출처: Greenpeace/Alex Hofford ‘수산자원을 부탁海’ 영상을 보고, 아래의 빈칸에 알맞게 기록하세요. 질문 답변 다음 단어의 뜻을 서술하세요. 남획(濫獲) : 자원을 무분별하게 채집해 그 개체수가 감소하는 것 혼획(混獲) : ‘맛있고 수익성이 좋은’ 어종을 포획하는 과정에서 의도치 않게 상어, 거북이, 고래 또는 비식용 어류가 함께 잡히는 것 영상을 보고 느낀 점을 자유롭게 서술하세요. 우리나라에서는 어떤 물고기가 사라지고 있는지 조사해보고, 발표해보세요. 갈치, 참조기, 쥐치, 정어리, 병어, 갈치, 참조기, 말쥐치, 명태, 까나리, 강달이, 갯장어, 대구, 전어, 붕장어 등 불법어업 문제뿐일까? 삼중고(산성화, 수온상승, 산소결핍)로 힘들어하는 바다 생태계 산성화 수온상승 산소결핍 사진출처: 기후변화행동 사진출처: NOAA 사진출처: 한국경제(2019.08.04.) 발생원인 : 대기 중에 있는 이산화탄소의 양이 많아지면서 바다에 흡수, 물과 만나 탄산이 발생하여 산성화 진행 피해사례 : 산호초 부식, 물고기 보금자리 없어짐, 어패류 감소로 해양 산업 피해 발생원인 : 급증하고 있는 온실가스 때문에 육지에서 발생하는 열을 바다가 흡수 피해사례 : 물고기와 바닷새들, 바다거북과 해파리 등이 행동방식과 거주지 바꿈. 식물성 플랑크톤과 동물성 플랑크톤, 크릴새우와 같은 생명군들에게 가장 큰 영향. 상위 먹이 사슬에 영향을 줌. 발생원인 : 해양 부영양화 부영양화란 바닷속에 인(P)이나 질소(N) 같은 영양분이 과도하게 공급되면서 조류가 급격하게 증가, 이 조류가 막대한 양의 산소를 소비하면서 산소 부족 발생 피해사례 : 참치나 청새치, 상어처럼 빠르게 움직여 많은 산소가 있어야 하는 물고기들은 용존산소 감소에 취약함. 바다 산성화 과정의 화학 반응식 rmH _{2} CO _{3} 물은 매우 여러 가지 물질을 녹일 수 있는 용매이며 특히 이산화탄소는 물에 잘 녹아 탄산을 형성한다. 이 때문에 대기 중 이산화탄소의 상당 부분은 바다로 녹아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당량의 이산화탄소가 바다로 흡수되기 때문에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더 급격하게 증가하지 않는 장점도 있다. 문제는 이산화탄소가 바다에 녹아 들어가면 바다가 산성화된다는 사실이다. rm CO _{2} `````+```H _{2} O ↔ ↔ rm HCO _{3} ^{-} `````+``H ^{+} ↔ rm CO _{3} ^{2-} `````+``2H ^{+} 이산화탄소 물 탄산 중탄산염 수소 탄산염 수소 따라서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을수록 탄산의 농도도 높아질 것이며, 해양 속의 수소이온 농도 역시 따라서 올라갈 것이기 때문에 점차 산성화가 진행된다. 내가 만드는 ‘물고기 아파트’ [활동 1] 인공어초 만들기 활동 인공어초란? 바닷속 아파트라 불리는 인공어초는 인공적으로 어류 생태촌을 조성하여 어업을 하는 바다목장이라고 불린다. 이러한 물고기 아파트는 물고기의 무분별한 남획과 해양 환경의 악화로 수산자원이 고갈됨에 따라 환경보호와 생산 두 가지를 동시에 만족시키기 위해 만들어 낸 새로운 어업 방식이다. 그림출처: FIRA 인공어초의 종류 인공어초는 바닷속 환경, 수심, 서식 어종에 따라 다양하게 설치된다. 어류용 어초(사각형, 육각형, 잠보형 등), 패조류용 어초(반구형, 육교형, 원통형 등), 어·패류용(테트라형 등)이 있다. 사각형 육각형 잠보형 반구형 육교형 원통형 테트라형 어류용 패조류용 어·패류용 물고기 아파트를 설계해 보자. [활동 2] 해양자원 보존을 위한 실천 방안 : 모둠별 공익광고 만들기 해양자원 보존을 위한 홍보물 제작 모둠명 : 모둠원 : 1. [메시지 선정] 우리 모둠에서 전달하고자 하는 해양자원 보존을 위한 메시지는? 이 메시지를 선정한 이유는? 2. [매체 선정] 우리 모둠은 이 메시지를 어떤 방식으로 전달할 것인가? □ 5분 이내의 UCC □ 포스터 □ 노래 가사 바꾸기 □ 기타( ) 3. [아이디어 토의] 홍보물 제작을 위한 시나리오, 디자인 등 필요한 아이디어를 토의해보자. ※ UCC를 선택한 경우 보충자료에 제시된 스토리보드 워크시트를 활용할 것. 4. [홍보물 제작] 기획한 바대로 해양자원 보존을 위한 홍보물을 제작하자. - (역할 분담) 누가, 무엇을, 어떻게 할 것인가? - (제작 진행 과정 및 소요 시간) 어떤 순서로 할 것인가? 5. [활용 방안] 제작한 홍보물을 구체적으로 어떻게 활용할 것인가? ‘빅데이터’로 알아보는 해양자원보존 빅데이터 분석 우리는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람들이 어떤 검색어를 많이 검색하는지, 검색 양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연관검색어는 어떤 것인지, 어떤 사람들이 검색하는지 등을 미리 확인하여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다음 그림은 K-ICT 빅데이터센터의 소셜분석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온 상승’이란 단어를 분석한 것이다. 이처럼, 그동안 이 프로그램에서 다룬 여러 키워드(예: 불법어업, 남획, 산성화, 수온상승, 인공어초 등)를 아래의 도구를 활용하여 분석해보자. A : 빅데이터 전략센터 : http://search.kbig.kr/experience/home.do B : 네이버 트렌드 : http://trend.naver.com/ C : 구글 트렌드 : https://www.google.co.kr/trends/ D : Odpia 소셜맵 : https://www.odpia.org 분석한 결과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을 모둠원들과 나눠보자. 자기평가 평가내용 척도 1 2 3 4 5 나는 우리나라에서 물고기가 사라지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나는 바다의 산성화, 수온상승, 산소결핍의 원인을 말할 수 있다. 나는 바다 산성화 과정의 화학 반응식을 설명할 수 있다. 나는 인공어초가 필요한 이유를 알고 있다. 느낀 점을 자유롭게 기록하세요. 동료평가 정의적 능력 평가요소 질문내용 해당학생 흥미 과제활동을 하는 동안 활동을 흥미 있고 즐겁게 이끈 학생은? 수업준비 과제활동이 마무리될 때까지 성실하게 활동을 진행한 학생은? 과제활동을 하는 동안 준비가 되지 않아 팀 활동에 지장을 준 학생은? 참여도 팀의 역할 분담에 어려운 과제를 자발적으로 맡은 학생은? 상호작용 다양한 의견을 조율하고 타협하며 합리적으로 조정해 준 학생은? 산성화되는 바다 그림출처 : 매일경제신문(2018.04.20.) 바다가 톡 쏘는 맛이 나는 `탄산수`로 변하고 있다. 인간이 대기 중으로 내뿜은 이산화탄소 때문이다. 바다로 유입된 이산화탄소는 산호초뿐 아니라 먹이 사슬 밑바닥을 차지하는 플랑크톤 성장을 방해하면서, 바다 생태계를 파괴하고 있다. 과학자들은 인간이 배출하는 이산화탄소량을 줄이지 못한다면 2050년께부터 바다 생태계가 돌이킬 수 없을 정도로 악화될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바다의 파괴는 고스란히 인류 생존 위협으로 연결된다. 인간의 이기심이 인류 파멸을 앞당기는 부메랑이 돼 돌아올 수 있다는 엄중한 경고다. 지구의 70%를 차지하는 바다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거대한 스펀지 역할을 한다. 인간이 만들어 낸 이산화탄소의 약 4분의 1을 흡수한다. 이산화탄소가 녹아든 바다는 조금씩 변화하고 있다. 해양자원 보존을 위한 홍보 동영상 제작(UCC 제작을 위한 스토리보드 작성하기) Cut Video Context Audio Time 종 다양성? 생물다양성? SDG 15 선도프로그램 ��관련 교과목 및 단원�� ▣ 통합과학 : 생물다양성 ▣ 생태와 환경 : 지속가능발전 ▣ 생명과학Ⅰ : 생물다양성 ▣ 관련 SDGs ✢ 목표 15. 육상 생태계 ✢ 세부목표 15.4. 2030년까지 지속가능개발에 필수적인 편익 제공 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생물다양성을 포함한 산지 생태계 보전을 보장 ▣ 관련 K-SDGs ✢ 목표 15. 육상 생태계 보전 ✢ 세부목표 15-4. 생물다양성 손실을 예방하기 위해 멸종위기종을 보호한다. ��프로그램의 개관�� • 이 프로그램은 사례 조사 및 발표 학습, 탐구 학습, 실습 등 융합적 교수・학습 방법으로 육상 생태계에서 생물다양성에 중점을 두고 개발하였으며, 특히 종 다양성과 종자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토종 종자의 보전에 대한 중요성을 파악하는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 ‘1차시’는 품종 개량과 변종에 따른 야생 겨자의 달라진 모습을 보고 흥미를 유발하고, 캐번디시를 통해 유전적 다양성이 중요한 이유를 생각해본다. 그리고 다양한 종자의 모습을 보고 분류하면서 종 다양성에 대해서 알아본다. • ‘2차시’에서 토종 종자와 GMO에 대해서 알아보고 토종 종자가 중요한 이유를 최근 기업의 작물 개발과 관련하여 설명하고, 종자 보전의 중요성에 대한 감수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학습목표>  생물다양성과 유전자 다양성을 설명할 수 있다.  종자를 분류해보고, 유전자 다양성의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 토종 종자와 GMO에 대해서 알고 토종 종자의 중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 이 주제를 왜 학습해야 하는가? 샐러드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파프리카나 고품질 토마토의 씨앗은 g당 가격이 같은 양의 금보다 비싸게 거래되고 있다고 한다. 채소나 과일을 먹을 때 무심코 지나쳤던 씨앗, 하지만 지금은 품종 보호제도에 따라서 종자 로열티를 해당 국가와 기업에 지급하고 있다 보니 금보다 비싼 씨앗이 생기고 있다. 이런 현상은 많은 해외의 기업들이 종자 사업에 뛰어들어 지식재산권을 사들이면서 더욱 가속화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농가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뿐만 아니라 생명공학이나 바이오 기술이 발달하면서 씨앗에 대한 투자와 경쟁을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지속가능한 육상 생태계를 만드는 데에 있어서 다양한 토종 종자를 보전하고 개발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여기서는 유전적 다양성, 종 다양성, 생태계 다양성으로 설명되는 생물다양성과 종자의 중요성에 대해서 생각해보고자 한다. 또 종자의 중요성과 생물다양성을 이해하고, 토종 종자에 대해서 학습하면서 육상 생태계 보전에 대한 필요성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 프로그램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중 15번째 육상 생태계 등의 보호와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해 개발되었다. 특히 15.4는 2030년까지 지속가능개발에 필수적인 편익 역량을 강화하기 위하여 생물다양성을 포함한 산지 생태계 보전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유전적 다양성, 종 다양성, 생태계 다양성으로 설명되는 생물다양성과 연관 지어 종자의 중요성과 생물다양성을 이해할 수 있는 활동을 구성하고, 토종 종자에 대한 감수성을 높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양배추와 브로콜리는 같은 식물? 다음은 동양 학생과 서양 학생을 바라보는 일반적인 시각 차이를 나타낸 그림이다. 다음 사진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정답은 겨자이다. 각각 겨자꽃, 갓, 겨자(mustard) 소스, 갓김치의 그림이다. 우리가 먹는 갓은 겨자의 잎에 해당한다. 겨자씨를 갈아서 만든 겨자 소스를 다양한 핫도그와 함께 즐기는 것 이외도 우리는 겨자를 다양하게 이용하고 있다. 야생겨자(Brassica oleracea)를 인위 선택하여 양배추와 브로콜리뿐만 아니라 케일, 콜라비, 콜리플라워, 방울양배추를 만들었다. 양배추와 브로콜리는 원래 같은 식물이었다. 인위 선택(artificial selection)이란 생물의 다양한 변이 중에서 원하는 형질을 가진 개체를 교배하여 품종을 개량하는 과정을 말한다. 야생겨자에서 줄기를 이용하여 콜라비를, 잎을 이용하여 케일을, 꽃과 줄기를 이용하여 브로콜리를, 끝눈을 이용하여 양배추를, 꽃 집단을 이용하여 콜리플라워를 얻어냈다. 야생겨자 외에 인위 선택을 통한 품종 개량의 예를 찾아보자. 1960년대 미국의 포드와 카네기가 출자하여 필리핀에 세워진 국제쌀연구소에서는 새로운 단간성 벼를 육종하였다. 식량 증대를 최대 과제 가운데 하나로 여기던 대한민국에서는 이 벼를 "통일벼"라는 이름으로 도입하였다. 변이(variation)는 개체 간의 서로 다른 특성으로, 같은 종 또는 하나의 집단 내에서 종(種)간에 나타나는 형질의 차이를 말한다. 변이가 일어나는 원인은 무엇일까? 일반적으로 변이는 유전정보를 증가시키며, 각 세대마다 조합을 통해 증가하는 유전정보 이외에도 무작위적인 변화가 가능해진다. 이러한 증가된 유전정보에는 선택압의 영향이 작용할 수 있게 된다. 유전정보가 기록된 DNA분자가 여러 가지 요인 (예: 전자기파, 방사선, 화학물질, 외부/내부 유전자 등)에 의하여 원본과 달라지게 된다. https://ko.wikipedia.org/wiki/%EB%8F%8C%EC%97%B0%EB%B3%80%EC%9D%B4 https://www.youtube.com/watch?v=YniWxmJDB8c 유전자 다양성은? 바나나가 멸종한다고? 변종 파나마병(TR4)에 당하고 있는 캐번디시 바나나, 똑같은 유전자가 원인 현재 전 세계적으로 소비되고 있는 바나나의 품종은 캐번디시 바나나 단 한 종으로, 유전자가 모두 똑같다. 이유는 캐번디시 종이 무성생식의 일종인 영양생식을 하기 때문이다. 영양생식이란 생식기관이 아닌 줄기·뿌리·잎 등 식물의 체세포가 그대로 자라 다음 세대가 되는 것을 말한다. 일종의 복제품이 만들어지는 것이다. 돌연변이가 탄생할 염려가 없어 같은 맛의 과일을 대량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어버이의 유전적 형질을 자손이 똑같이 물려받다 보니 유전적 다양성이 부족한 것이 흠이다. 캐번디시 바나나의 유전자에는 큰 결함이 있다. 바로 변종 파나마병인 트로피칼 레이스 4(TR4)에 내성이 없다는 것이다. 캐번디시 바나나는 유전자가 모두 같으므로 한 나무가 병에 걸리면 곧바로 다른 나무들에 번진다. 출처: 바나나 멸종 막을 나무…이제 딱 5그루 남았다, 중앙일보 유전자 다양성이란? 생물종의 유전자 구조가 가지고 있는 유전적 특징의 수를 뜻하며 특정한 개체군의 생존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유전자 구성의 수를 증가하거나 감소시켜 환경에 적응한다. 생물종과 유전자가 다양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 말해보자. (ex. 환경에 대한 방어, 포식자로부터의 회피) 유전자 다양성 문제는 멸종의 위험으로 이어질 수 있다. 주로 소규모 집단에서 발생하는 근친교배와 유전적 부동은 멸종의 위험을 높일 수 있다. 개체의 진화에서 중요한 특징인 유전자 유동이 적기 때문이다. 동물이 이주하면서 유전자 조합을 확산시키면 멸종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https://news.v.daum.net/v/20200618054105816 다른 농작물과 비교해서 바나나가 멸종의 위기에 처한 이유를 조사해보고 설명해보자. (ex. 바나나 번식 방법, 유전자 다양성의 정도 등) 지난 2011년 3월 14일 EBS 지식채널e ‘안녕, 바나나’에서 파나마병으로 인해 멸종되다시피 한 통통하고, 더 맛있었던 바나나 ‘그로 미셸’과 그 대체품종으로 파나마병에 강한 내성을 가진 캐번디시 품종을 소개했었습니다. 하지만, 단일 품종을 대량생산하는 방식이 전염병에 속수무책으로 바나나가 멸종될 수 있는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출처: EBS 지식채널e ‘안녕, 바나나’ 유전자 다양성과 종 다양성 [활동 1] 몇 종의 옥수수가 있을까? 수확량이 많고 눈으로 보기에도 예쁜 곡물, 채소, 과일, 콩류를 생산하려는 경쟁 속에서 인류는 식량 공급 체계를 궁지에 몰아넣었다. 인간이 만든 현대 작물들은 질병과 기후변화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특성을 잃어버렸다. 그러나 다행히도 유전적 다양성 대부분이 오래된 종자와 야생 식물 종에서 보존되고 있다. 예전에는 이와 같은 과거의 종에 관심을 두는 사람이 거의 없었다. 하지만 현재 전 세계의 연구자들은 야생종을 저항력이 덜한 길들여진 친척과 교배시킬 수 있으리라는 희망으로 이들을 보존하는 데 열중하고 있다. 짝꿍과 함께 준비된 옥수수 알갱이를 객관적인 기준에 맞추어 각각의 종으로 분류해보자. 제공된 옥수수 알갱이를 최대한 많은 그룹으로 나누어 보고 기준을 말해보자. 옥수수 알갱이의 모양과 색깔을 이용하여 구분하였습니다. 자신들이 분류한 옥수수는 몇 가지 종으로 이루어져 있을까? 옥수수의 색깔과 무늬가 다양하게 나타나는 이유를 조사해보자. 3종으로 이루어져 있을 것입니다. 흰색, 노란색, 검은색 옥수수 알갱이로 구분했으며, 다른 종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옥수수에 알록달록한 무늬가 만들어지는 것은 자리바꿈 유전자에 의한 것입니다. 자리바꿈 유전자는 어디로 튈지 모르는 유전자로 유전자 사이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 유전자가 다양하면 유리한 점이 무엇일까? 과거 말의 조상처럼 유전적 변이가 다양한 종을 만든다. 이러한 유전적 변이가 일어나면 우리는 진화했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유전자가 다양하지 않으면 어떤 일이 발생할까? 어떻게 유전자가 다양하지 않게 되는지 게임을 통해 설명해보자. 출처: https://byuldbyul.blogspot.com/2016/05/blog-post.html 유전자 부동(遺傳子 浮動) 또는 유전적 부동(genetic drift)은 생물 집단의 생식 과정에서 유전자의 무작위 표집으로 나타나는 대립형질의 발현 빈도 변화를 가리키는 생물학 용어이다. 유전자 부동의 결과 자식 세대는 무작위적으로 선택된 부모 세대의 유전형질을 물려받으며 이로써 발현된 유전형질은 생존과 재생산을 할 새로운 기회를 얻게 된다. 유전적 다양성이 낮은 것은 바나나가 질병에 약하게 만드는 원인이 되었으며, 유전자 부동에 의해 유전자의 손실이 일어날 수 있다. 인구 증가에 따른 식량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먹거리 자원을 확보하고 보존해야 하는 현재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기울인 노력을 찾아보자. 세계 식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캠페인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10월 16일 세계 식량의 날을 만들어서 식량 부족 문제에 대한 경각심을 갖도록 하며 전쟁, 경제난 도시화 등의 다양한 원인에 따라 발생하는 식량 문제, 기후변화로 인한 식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활동 2] 종자 전쟁 – 토종 종자와 GMO 알아보기 유전자 변형 생물(GMO)과 게놈 편집 식품 유전자 변형 생물(GMO: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GEO: Genetically Engineered Organism)은 기존의 생물체 속에 다른 생물체의 유전자를 끼워 넣음으로써 기존의 생물체에 존재하지 않던 새로운 성질을 갖도록 한 생물체이다. 본래 유전자를 변형 및 조작하여 생산성 및 상품의 질을 높이는 등의 목적으로 생산되고 있다. 게놈 편집(Genome editing)이란 유전자가위 기술을 이용한 품종 개량을 뜻한다. 유전자가위로 식물 유전자의 일부를 잘라내 돌연변이를 일으켜 영양가를 올리거나 수확량을 끌어올리는 식이다. 반면 GMO는 다른 유전자를 주입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진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순차적으로 보면 우선 다른 작물에서 추출한 유전자를 운반 매개체인 세균에 투입한다. 그런 다음 개량하고 싶은 작물에 해당 세균을 주입해 형질을 바꾼다. 이런 유전자 변형 기술은 주로 병충해나 농약에 강한 작물로 개량할 때 쓰인다. 출처: 일본 ‘게놈 편집 식품’ 시판 허용 https://news.joins.com/article/23415736, 중앙일보 유전자 변형 생물이 갖는 장단점에 대해서 알아보자. 장점 단점 기존 식물에게 해충 저항성, 제초제 내성 유전자 등을 주입하여 생선성이 증진됩니다. 아직 위험성이 있을 수 있다초제 내성을 갖는 수퍼 잡초와 해충 저항성을 갖는 해충이 출현할 수 있습니다. 전 세계에 종자회사가 1개라면 어떻게 될까? 자기 생각을 말해보자. 독점 회사가 제시하는 가격에 맞추어 물건을 구입할 수 밖에 없으며, 비싼 가격에 물건을 판매한다해도 대처할 방법이 없을 것이다.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UuCPBunUF98 종자를 보존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토종 종자를 보존하고 개발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지 말해보자. 생태계에는 생물의 다양성이 필요하며 이것이 환경 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개체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토종 종자의 경우 다른 작물에 없는 특별한 유전자가 있으며 유전적 다양성 측면과 토종 작물의 재배지 확대라는 목적에 맞게 보존하고 개발해야 할 것입니다. 토종 종자는 오랫동안 한반도에 전해 내려온, 선조로부터 물려받은 귀중한 유산이다. 이들 종자는 우리의 먹거리와 저탄소 녹색 성장을 지원하는 소중한 것들이다. 농민들과 농촌진흥청에서는 기후변화, 도시화, 산업화 등으로 사라져 가는 토종 종자를 발굴하고 보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영상을 보고 다음을 찾아보자.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mGw68W5TH2s 우리나라의 토종 종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찾아보고, 보존 및 개발에 문제점이 있다면 찾아보고 개선 방안을 말해보자. 토종 종자 문제점 개선 방안 코끼리마늘 국내에서 멸종됨. 과거 미국이 수집해갔던 우리의 토종 씨앗인 코끼리마늘 씨앗과 더불어 몇 종이 2007년 국내로 들어오게 됨. 이를 개선 개발해야 함. 토종 작물 키우기 학교 텃밭을 이용한 토종 작물 키우기 학교 텃밭이란? 도시농업의 육성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제8조 도시농업의 유형 분류에 의하면 학생들의 학습과 체험을 목적으로 학교의 토지나 건축물 등을 활용한 도시농업을 학교 교육형 도시농업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밭 만들기 채소가 잘 자라기 위해서는 먼저 토양(흙)의 물리성이 좋아야 하므로, 씨앗을 뿌리거나 모종을 옮겨심기 2주일 전에 완숙(분해가 잘 된) 퇴비나 유기질 비료를 알맞게 뿌리고 깊이 갈아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양의 산도가 낮을 경우(pH 6.0 이하)에는 퇴비를 줄 때 석회질 비료를 같이 넣어서 골고루 섞어 주어 토양의 산도를 알맞게 만들어야 작물이 필요로 하는 영양분을 골고루 흡수할 수 있다. 화학비료를 줄 때, 씨앗 뿌리기, 또는 모종 옮겨심기 1주일 전에 인산질 비료는 모두, 질소질과 칼륨질 비료는 절반 정도를 밑거름으로 주는 것이 좋다. 무, 배추를 재배할 때는 붕사를 제곱미터당 1g 정도 주는 것이 좋다. 뿌리가 잘 자라기 위해서는 작물이 자라고 있는 토양(흙)의 물 빠짐이 좋아야 하므로, 이랑의 높이를 20~30cm 정도로 높게 만드는 것이 좋다. 파종과 모종 이식 고추, 토마토, 가지, 오이, 호박 같은 열매채소는 봄철에 씨를 뿌리면 기온과 토양 온도가 낮으므로 싹이 늦게 나오고 생장이 느리다. 따라서 이들은 씨를 뿌리는 것보다는 온실에서 오랫동안 키워서 크게 자란 모종을 심으면 빨리 자라고 열매도 빨리 수확할 수 있다. 가을에 심는 김장 배추도 온실에서 20~25일 키운 모종을 심는 편이 생육이 빨리 이루어져 속이 빨리 차게 된다. 그러나 무, 당근 같은 뿌리채소는 모종을 심으면 뿌리가 여러 갈래로 갈라져서 품질이 떨어지므로 반드시 씨앗을 뿌려야 한다. 상추, 엔다이브, 치커리 등의 쌈채소 청경채, 다채 등의 배춧과 작물, 잎들깨, 완두, 옥수수 같은 것은 씨앗을 뿌리거나 모종을 옮겨 심어도 큰 문제가 없다. 엇갈이배추, 열무, 시금치, 쑥갓, 근대, 아욱 등 빨리 수확할 수 있는 채소는 굳이 모종을 이용할 필요가 없이 씨를 뿌리는 것이 좋다. 4월 상순부터 5월 중순쯤까지는 열매채소뿐만 아니라 잎채소도 많은 종류가 모종을 만들어 판매되고 있으나, 가을철에는 배추와 상추 일부만 모종으로 공급이 되므로 이때는 씨를 뿌리는 수밖에 없다. 8월 하순부터 9월 하순 사이에 씨앗을 뿌리면 겨울이 오기 전에 충분히 먹을 수 있을 정도로 키울 수 있다. 출처: https://www.nongsaro.go.kr/portal/ps/psz/psza/contentMain.ps?menuId=PS00389&tabMenuNo=PS04117 토종 작물 씨앗 분양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에서 씨앗 은행을 운영하고 있다. 토종 종자를 보존하기 위해 기탁을 받기도 하지만 자원을 분양하기도 한다. 사이트에 접속하여 분양신청서를 받아서 제출하는 방식으로 분양이 가능하며 교육기관과 국공립연구소 소속 회원은 1회당 300점 이내에서 무상으로 종자 유전자원을 분양받을 수 있다. 출처: https://genebank.rda.go.kr:2360/plantUserPromotionView.do 학교 텃밭을 가꾸어 토종 작물을 키워보자. 작물을 수확한 후 느낀 점을 말해보자. 텃밭에서 상추, 무순, 토마토, 고추, 호박을 키우고 가정실을 빌려서 전과 비빔밥을 해먹으면서 보람과 즐거움을 느꼈다. 자기평가 평가내용 척도 1 2 3 4 5 나는 유전자 다양성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나는 종자를 분류하고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나는 유전자 다양성을 이해하고 있으며 다양성이 떨어지면 나타날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나는 토종 종자의 종류를 알고 토종 종자의 중요성에 대한 의미를 설명할 수 있다. 느낀 점을 자유롭게 기록하세요. 동료평가 유전자 다양성이 필요한 이유를 논리적으로 발표한 친구는 ( )이다. 옥수수 종자를 분류해보고 종자의 특성을 파악하여 다양성과 연관 지어 설명한 친구는 ( )이다. 유전자 다양성의 예를 찾아서 적절히 설명한 친구는 ( )이다. 토종 종자와 GMO를 조사하고, 토종 종자의 중요성과 관련지어 설명한 친구는 ( )이다. 재래 작물 키우기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친구는 ( )이다. 종자 은행이란 무엇일까? 식물판 노아의 방주 ‘국제 종자저장고’ 오랜 지구의 역사에서 생명체의 멸종은 피하기 어려운 숙명일 수도 있는데, 첫 생명체가 탄생한 이후로 수십억 년의 세월 동안 다섯 번의 대멸종을 포함하여 크고 작은 멸종사태를 겪어 왔다. 최근 여러 이유로 인하여 생물들의 멸종 속도가 급격히 빨라지면서 이른바 ‘제6의 대멸종’이 임박한 것 아닌가 하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이와 같은 동식물의 급격한 멸종은 지구의 생물다양성 유지에 커다란 위협일 뿐 아니라, 인간에게도 큰 재앙으로 다가올 수 있다. 특히 인간을 포함한 수많은 동물의 먹이가 되는 식물종의 대량 멸종은 지구 생태계 전체에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밖에 없다. 식물의 90% 이상은 씨앗에 의해 번식하는 종자식물인데, 환경오염이나 지구온난화, 또는 전쟁 등 각종 재앙에 의해 특정 식물 종자가 사라지는 상황을 대비하기 위한 시설이 북극 근처에 마련되어 있다. 노르웨이령인 스발바르제도의 스피츠베르겐(Spitsbergen) 섬에 2008년 설립된 스발바르 국제 종자저장고(Svalbard Global Seed Vault)가 이곳이다. 이곳은 북극점으로부터 약 1,300km 떨어진 북위 78도의 북극권 영구 동토층에 위치하므로, 식물들의 씨앗을 보관하기에 안성맞춤인 곳이다. 또한, 스피츠베르겐 섬은 지진, 화산 기타 자연재해의 위험이 상당히 적은 지역이다. 물론 자연 상태로도 추운 곳이기는 하지만, 저장고에 냉동시설을 가동하여 세계 각국에서 보내온 약 450만 종의 씨앗을 저장, 보관하고 있다. 세 곳의 지하 저장고에는 최대 1,500만 종의 식물 종자를 보관할 수 있는 시설을 갖추고 있다고 한다. 국제 종자저장고는 구약성서에 나오는 노아의 방주에 비유하여, ‘최후의 날 저장고(Doomsday vault)’라고 불리기도 하는데, 별칭에 걸맞게 강한 지진이나 소행성 충돌, 핵폭발에도 견딜 수 있도록 바위산의 120m 지하에 튼튼하게 지어져 있다. 각종 씨앗은 싹이 트지 않도록 영하 18℃의 상태로 알루미늄 백에 밀폐되어 보관되는데, 전기 공급이 끊기는 최악의 상황에서도 상당 기간 동안 자연적으로 냉동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국제 종자저장고에는 해마다 세계 여러 나라로부터 수만 개 이상의 씨앗이 새로 입고되는데, 우리나라 역시 2008년부터 콩, 벼, 보리, 기장 등 각종 재래 식물의 씨앗을 1만 종 이상 보내서 보관하고 있다. 국제연합 산하 세계작물 다양성 재단에서 기금을 출연하고, 세계 각국 정부 및 NGO, 비영리재단 등으로부터 지원을 받아 운영된다. 저장 비용은 원칙적으로 무상이며, 전쟁이나 각종 재해 등으로 특정 지역의 종자가 없어지는 경우, 국제 종자저장고에 요청하면 종자를 받아올 수 있다. 오랜 내전으로 시리아의 식물 종자들이 위기에 처하자, 몇 년 전 국제 종자저장고에서 수만 개의 씨앗을 시리아로 보내준 적도 있다. 저장고 건물은 공공건물의 디자인을 중시하는 노르웨이 정부의 방침에 따라 노르웨이 출신의 저명 작가가 설계하여, 북극의 환경과 조화를 이루면서 세련되고 예술성이 높도록 건축되었다. 건물 외관의 광섬유 조명은 2009년 노르웨이 조명상도 받은 바 있다. 지구온난화가 가속화되면서 최근 국제 종자저장고 자체가 심각한 위기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몇 년 전부터 급격한 기온 상승으로 영구 동토층이 녹으면서, 2017년에는 지하 저장고 중 한 곳의 입구 터널이 침수되는 사고가 일어난 적도 했다. 저장고가 위치한 스발바르제도 일대가 지구상에서 가장 빠르게 더워지고 있다는 조사 결과마저 나오면서 큰 충격을 주고 있다. 출처: 사이언스타임즈 http://gg.gg/l5evx 같은 것은 같게, 다른 것은 다르게 SDG 16 선도프로그램 ��관련 교과목 및 단원�� ▣ 통합사회 : 평화와 정의 ▣ 세계지리 : 공존과 평화의 세계 ▣ 생태와 환경 : 지속가능발전 ▣ 관련 SDGs ✢ 목표 16. 평화, 정의, 강력한 제도 ✢ 세부목표 16.10. 국내법 및 국제협정에 따라 정보에 대한 대중의 접근을 보장하고 기본적 자유 보호 세부목표 16.b.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비차별적 법 그리고 정책을 증진하고 시행 ▣ 관련 K-SDGs ✢ 목표 16. 인권・정의・평화 ✢ 세부목표 16-6. 효과적이고 책임감 있는 정부정책과 제도를 수립·이행한다. 16-11. 차별을 지양하기 위한 법과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한다. ��프로그램의 개관�� • 이 프로그램은 조사 및 발표 학습, 모의 시나리오 바탕의 프로젝트학습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으로 정의를 실현하는 방법을 이해하고, 체험해 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국제사회 속에서 정의를 위한 사회적 합의의 과정을 청소년의 입장에서 경험할 수 있는 토론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 ‘1차시’는 4차 산업혁명과 인공지능의 발달에 따른 사회적 변화를 보고 뉴스를 통한 기본소득제에 대한 논의를 살펴본다. 그리고 기본소득제에 대한 기초 조사를 한다. • ‘2차시’에서는 기본소득제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정리하여 기조연설문을 작성하고, 토론 활동에 참여한다. 토론의 과정에서 사회적 합의에 도달하는 경험을 하고 자신의 의견을 정리한다. <학습목표>  정의란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다.  4차 산업혁명과 기본소득제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 기본소득제에 대한 찬반 토론을 경험하고 자신의 의견을 제시할 수 있다. ✿ 이 주제를 왜 학습해야 하는가? 평등이라는 것은 아리스토텔레스의 말처럼 같은 것은 같게, 다른 것은 다르게 처우함에 있다. 인간이 사회의 구성원으로 살아가는 이상 나를 다른 사람과 비교해 보면 현재 상황이 평등한지 따져보는 것은 자연스러운 것이다. 학생들은 학교 안에서 짝꿍과 나 자신의 성적과 가정형편, 용돈 등 여러 잣대를 견주기도 하고 친구와의 진로를 비교하기도 한다. 이런 과정에서 다르게 대해주기를 바라는 것 그것이 평등이다. 정의를 이야기하면서 평등은 매우 중요한 것이다. 나의 상황과 잘못의 경중이 다를 때 다르게 처벌하는 것이 바로 정의로운 일이기 때문이다. 여기서는 정의가 무엇인가에 대해서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하였으며,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인공지능의 발전에 따른 기본소득제에 대한 논의에 자신의 의견을 정립해보고, 토론에 참여해 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중 16번째 평화, 정의와 강력한 제도를 달성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특히 16.10은 국내법 및 국제협정에 따라 정보에 대한 대중의 접근을 보장하고, 기본적인 자유를 보호하는 것이며, 16.b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비차별적 법 그리고 정책을 증진하고 시행하는 것이다. 효과적이고 책임감 있는 제도를 수립하고, 이행하는 방법으로 사회적으로 합의하는 과정을 경험하게 함으로써 제도와 법이 만들어져가는 과정을 이해하고, 어떤 것이 정의인지를 스스로 생각해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소득세! 주민세! 로봇세? 로봇세(robot tax)를 아시나요? 세금은 국가나 지방 자치 단체가, 정부는 지방정부를 운영하기 위해 국민으로부터 법에 따라 걷는 돈이다. 소득세는 개인이 여러 가지 경제활동을 통하여 얻는 개인의 소득에 대하여 내는 세금이며, 지방자치단체가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에게 부여하는 세금이다. 그럼 로봇세는?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인 빌 게이츠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연봉 5만 달러(약 5,700만 원)를 받는 노동자는 자신의 연봉에 비례하는 소득세와 건강 보험료를 낸다. 로봇도 마찬가지다. 만약 ‘로봇 인간’이 5만 달러어치 일하면 그에 상응하는 각종 세금을 내야 한다는 것이다.” 로봇이 인간의 일자리를 빼앗게 될까.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접어들면서 고용 문제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다. 일단 일자리에 대한 전망은 그리 낙관적이지 못하다. 적지 않은 전문가가 로봇, 인공지능 등의 기술 발달로 인해 일자리가 줄어들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해 1월 세계경제포럼(WEF)은 일자리 관련 보고서를 통해 2020년까지 500만 개의 일자리가 사라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 가운데 “로봇을 가진 사람이나 기업에 세금을 내게 하자”는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MS) 창업자의 ‘로봇세’ 주장이 큰 관심을 끌고 있다. 그는 로봇세로 거둬들인 돈으로 일자리를 잃은 사람들을 위한 직업 재교육과 복지 등에 활용할 것을 제안했다. 아직은 로봇세 도입에 대한 찬반 논의만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어 로봇세가 부과되고 있지는 않지만 머지않아 인간이 세금을 내듯이 로봇이 세금을 내는 날도 올지 모른다. ● 다음 영상을 확인하고 물음에 답해보자. https://www.youtube.com/watch?v=SNyW4xjV9Fg 로봇세 도입, 4차 산업혁명 일자리 위기의 해법일까? 로봇세는 왜 논란이 되었을까? 미래세대에서 필요로 하는 인간의 역량을 무엇일지 말해보자. 미래세대에서는 자율적으로 행동하기 위해 넓은 시각이 필요하며, 인생을 계획하고 자신의 권리, 관심, 한계, 욕구를 알고 주장할 줄 알아야 한다. 또 언어, 상징, 텍스트를 활용하고 지식과 정보를 활용, 기술을 상호작용하도록 사용하는 능력등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다른 사람과 관계를 맺는 능력이 필요하다. 정의란 무엇인가? 정의의 여신상에 담긴 의미를 찾아보자. 저울은 법의 형평성을 나타내며, 칼은 그 법을 엄정하게 집행하겠다는 강력한 의지이다. 때에 따라 유혹을 받지 않고 공정한 판결을 하기 위하여 눈가리개를 하는 모습으로 표현되기도 한다. 출처: http://gg.gg/my372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정의의 여신 디케(Dike)는 신들의 왕 제우스와 율법의 여신 테미스(Themis)의 딸이다. 로마 신화에는 정의의 여신이 유스티티아(Justitia)로 나오는데 모두 정의의 여신을 뜻한다. 오늘날 Justice는 Justitia에서 유래했다. 정의(正義, Justice)는 사회를 구성하고 유지하기 위해 사회 구성원들이 공정하고 올바른 상태를 추구해야 한다는 가치로, 대부분의 법이 포함하는 이념이다. 우리는 정의에 맞게 공정한 사회를 이루고 있을까? 무상급식, 비정규직 문제, 기본소득제 등 다양한 사회 이슈가 터질 때마다 공정성 문제나 정의의 관점에서 날카롭게 대립하는 갈등들이 반복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정의란 무엇일까?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fn-uYC8aiMs 국제 사회에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의 16번 목표로 평화, 정의, 강력한 제도를 제시한 이유가 무엇일까? 영상에서 설명하는 정의의 측면을 정리해 보자. 과거에는 주로 공동체의 법을 준수하는 것이나 정해진 몫을 공정하게 나눠주는 것이 중요했지만 사회가 복잡해지면서 사회적 규칙과 제도가 공정해야한다고 생각하게 되었으며 이를 실현하기 위해 지속가능발전목표를 선정하였다. 정의로운 사회는 기본적으로 공정성을 실현하는 사회이다. 공정성이란 공평하고 올바른 것을 의미한다. 정의로운 사회로 나가는데 필요한 기준은 무엇일까? 공정성을 실현하려면 재화와 가치의 분배가 공평한 출발점에서 이루어지고, 그 분배 과정이 부당하지 않으며, 결과적으로 각 개인의 정당한 몫과 인간다운 삶에 필요한 몫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기본소득제는 필요할까? [활동 1] 4차 산업혁명과 기본소득제 알아보기 출처: http://gg.gg/my36f 제4차 산업혁명은 인공지능으로 자동화와 연결성이 극대화되는 산업 환경의 변화를 의미한다.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변화로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을 말해보자. 긍정적인 측면은 서비스 개선, 자원의 절약, 일자리 증가, 여가 시간의 증가 등이 있으며, 부정적 특면은 또다른 일자리의 감소, 국가 부채 증가, 양극화 등의 우려가 있다. 2016년 6월 5일, 스위스 국민들은 국민투표를 통해 정부가 모든 국민에게 일정액의 기본소득을 무상으로 주는 것에 반대했다. 기본소득은 핀란드 영국 네덜란드 등에서도 논의되고 있다. 우리나라도 일부 의원들을 중심으로 도입해야 한다는 의견들이 나온다. 기본소득제란 무엇이고 스위스 국민들은 왜 ‘공짜’를 거부했을까? 우리나라도 기본소득제를 도입해야 할까? 기본소득(Universal Basic Income)은 재산이나 소득이 높든 적든, 일하든 않든 정부가 국민 모두에게 똑같이 지급하는 돈이다. 모든 국민이 최소한의 인간다운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정부가 보장하자는 취지다. 기본소득은 △가구가 아니라 개인에게 지급되며 △다른 소득 여부와 관계없고 △취업하려는 의지가 있다거나 노동을 했다는 등의 증명이 필요 없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사회보장제도와 차이가 있다. 출처: https://eiec.kdi.re.kr/publish/naraView.do?cidx=10631 출처: http://gg.gg/my367 기본소득제 찬반 의견 Fact Check 기본소득제 찬성 의견 4차 산업혁명 및 인공지능(AI) 기술 도입에 따른 일자리 감소다. 기술 진보로 많은 일자리가 사라지게 되면서 일하고 싶어도 할 수 없는 인구가 늘어나고 이들에 대한 소득보장 정책이 필요하다. FACT CHECK 근거 내용 당장 일자리 자체가 사라지지 않더라도 과거에 비해 안정적인 일자리가 감소하고 있는 것 출처 https://www.hankyung.com/news/article/2020061956581 바르게 고쳐보기 기본소득제 반대 의견 한국의 경제 규모와 산업 생산력의 한계가 분명히 존재하는 만큼 매달 수십만원을 국민 모두에게 나눠주는 기본소득은 구조적으로 불가능하다. 기본소득을 통한 경기 부양 효과도 기대에 못 미칠 것이다. 전 국민을 대상으로 푸는 돈이 늘어나는 만큼 돈의 가치가 떨어져 실제 구매력은 푸는 돈만큼 나타나지 않을 것이다. FACT CHECK 근거 내용 과격한 증세론을 현실화시키더라도 월 30만원 지급에 필요한 187조원을 조달하기는 어렵다. 100만 달러 초과 자산에 80%의 특별세율을 부과하자는 프랑스 학자 토마 피케티의 부유세 주장을 국내에 도입하더라도 그에 따른 세수 증가 효과는 연 5조원으로 추산된다. 출처 https://www.hankyung.com/news/article/2020061956581 바르게 고쳐보기 [활동 2] 기본소득제에 대한 찬반 토론 경험하기 등장 배경 1. 선별 복지 제도의 한계 그동안 조직문화 부적응 등의 이유로 노동이 고통스럽고 적성에 맞지 않는 사람들에 대한 사회적 배려가 부족하였다. 여러 나라에서는 이들을 위해 선별적 복지를 시행하고 있지만, 완벽한 선별이 어려워서 부적격자가 허점을 파고들어 부당한 혜택을 취하거나, 복지가 정말로 절실한 사람들이 오히려 사각지대에 방치되어 지원을 받지 못하는 문제가 끊이지가 않고 있다. 2. 인공지능 및 자동화의 발전과 노동 가치의 하락 기술 혁신으로 등장한 인공지능과 자동화의 영향으로 사람의 손길이 필요하던 일들이 점차 기계만으로 충분해지면서 노동자의 가치가 낮아지고, 이로 인해 실업자가 많이 늘어났다. 인공지능의 발전이 급격하게 진행되면서 인공지능에 의한 자동화에 의해 상당수의 직종이 대체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면서 기본소득제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졌다. 게다가 인공지능의 수준이 향상되면서 단순한 업무에서 복잡한 종합적인 사고능력을 요구하는 고도의 업무도 수행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이 점차 확신을 얻기 시작하면서, 현재 인간이 하는 많은 일은 이후 인공지능에 의해 대체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3. 소득의 양극화 고부가가치 산업이 소수의 숙련된 엘리트들만을 필요로 하고, 향상된 생산성에 따른 이득은 이 계층에 집중된다. 인공지능과 자동화의 발전으로 일자리가 점점 사라지고 있다. 인간이 노동생산성을 늘리는 데는 한계가 있으며, 사람 하나하나의 생산성보다는 자본의 축적과 투입이 더 큰 부가가치를 만들어 내며, 이는 성공한 소수 계층에게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출처: http://gg.gg/my35x 정의로운 사회를 위해 기본소득제의 실시에 대한 의견을 모둠별로 발표해보자. 다양한 시민참여 방법 알아보기 투표, 공청회, 국민참여재판, 1인 시위의 방법을 통한 시민참여 방법에 관한 내용이다. 투표 선거 또는 어떤 안건을 결정할 때 표에 의사를 표시하여 지정된 곳에 내는 행위를 말한다. 민주주의 국가에서 시민의 가장 대표적인 정치 참여이자 권리 행사 방법이다. 공청회 국회나 행정 기관, 공공 단체에서 중요한 정책을 결정하거나 법령 제정 또는 개정안을 심의하기 이전에 이해관계자나 해당 분야의 전문가에게서 의견을 듣는 제도를 말한다. 국민 참여 재판 국민이 형사 재판에 참여하는 제도로, 배심원으로 선정된 국민은 피고인의 유죄·무죄에 관하여 평결을 내리고 적정한 형벌에 대해 토의하는 활동을 한다. 1인 시위 자신의 소신과 요구를 표현하고자 혼자 하는 시위를 말한다. 1인 시위에는 집회에 관한 법률 규정이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상황에 활용되고 있다. 대기업에 다니는 아버지가 노동조합 설립을 위해서 위원장 활동을 했다는 이유로 해고를 당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어떤 방식으로 사회참여를 할 것인지 위의 방법 이외에 다른 방법들을 찾아보고 말해보자. 이익 집단을 만들어 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활동을 정당화할 수 있는 집단에 소속되어 활동하거나 공익 추구를 위한 시민 단체 활동가들과 함께 정당성을 호소할 수 있다. 자기평가 평가내용 척도 1 2 3 4 5 나는 평화와 정의의 의미를 다른 사람에게 설명할 수 있다. 나는 4차 산업혁명과 기본소득제에 대해 말할 수 있다. 나는 기본소득제에 대한 찬반 토론에 참여하고, 나의 의견을 개진할 수 있다. 나는 다양한 시민참여 방법에 대해서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느낀 점을 자유롭게 기록하세요. 동료평가 정의의 여신상에 담긴 의미로 평화와 정의를 적절히 설명한 친구는 ( )이다. 4차 산업혁명과 기본소득제의 출현 배경에 관해 적절히 설명한 친구는 ( )이다. 기본소득제에 대한 찬반 의견과 Fact check를 가장 잘 정리한 친구는 ( )이다. 기본소득제에 대한 찬반 토론에 참여하고 자신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전달한 친구는 ( )이다. 정의의 실현을 위한 시민참여 방법을 적절히 조사한 친구는 ( )이다. 청소년 참여 포털? 청소년 참여 포탈이란? 청소년 참여 포탈(WITH YOUTH)은 청소년특별회의, 청소년참여위원회, 청소년운영위원회 그리고 민간 청소년참여기구 청소년들이 서로의 생각과 활동을 펼칠 수 있게 만들어진 "참여와 소통의 공간"입니다. 청소년 참여기구 청소년특별회의 청소년참여위원회 청소년운영위원회 청소년대표 및 청소년 전문가들이 연간 토론과 활동을 통해 청소년의 시각에서 청소년이 바라는 정책과제를 발굴하고 소관부처에 건의하여 정책화하는 청소년 참여기구입니다.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청소년 정책을 만들고 추진해가는 과정에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마련된 제도적 기구입니다. 생활권 청소년수련시설의 운영 관련 자문평가를 통해 청소년이 주인이 되는 시설이 되도록 마련된 제도적 기구입니다. 청소년 참여의 현황 UN, EU 등에서는 청소년 참여를 주요 과제로 선언하고 헌장을 공포하는 등 청소년을 우수한 역량을 가진 사회 구성원, 인류발전의 동반자로 인식하는 것이 세계적 추세입니다. ※ UN아동권리협약(1989년) 제12조 제1항 - 아동은 자신에게 영향을 미치는 모든 문제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말할 권리가 있다. 최근 인터넷의 발달 등으로 청소년의 지적 수준 및 정보 접근성이 크게 향상되었고, 자신과 관련된 사회 문제에 관한 관심과 영향력이 증대됨에 따라, 청소년 정책도 이러한 시대적 흐름에 맞추어 변화가 요구되고 있습니다. 출처: https://www.youth.go.kr/ywith/index.do 우리가 세계 리더 SDG 17 선도프로그램 ��관련 교과목 및 단원�� ▣ 통합사회 : 국제 갈등과 협력 ▣ 정치와 법 : 국제 문제해결 ▣ 환경 : 환경탐구 ▣ 관련 SDGs ✢ 목표 17. SDGs를 위한 파트너십 ✢ 세부목표 17.6. 모든 국가, 특히 개발도상국의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을 지원하기 위해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글로벌 파트너십 강화. 지식, 전문성, 기술, 재원을 동원하고 공유하는 다양한 이해관계자간 파트너십으로 글로벌 파트너십 보완 ▣ 관련 K-SDGs ✢ 17. 지구촌 협력 확대 ✢ 17-6. 개도국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다양한 글로벌 파트너십을 강화한다. ✢ 17-7. 효과적인 공공, 공공-민간 및 시민 사회간 파트너십을 권장하고 촉진한다. ��프로그램의 개관�� • 이 프로그램은 국제 사회 속에서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가의 협력을 목표로 국제기구의 역할 등을 이해하고, 국제화 시대에 세계 민주주의 속에서 지속가능한 발전 방향에 고민하고, 새로운 국제기구를 제안하는 과정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 ‘1차시’는 적십자의 구호 활동을 중심으로 나라를 뛰어넘는 가치에 대해서 생각해보고, 감염병에 대해 국가 간의 협력 과정을 찾아볼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WHO의 역할을 조사하고 내용을 텍스트 마이닝을 해본다. • ‘2차시’에서는 세계 민주주의 속에서 글로벌 파트너십 향상을 위한 국제기구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국제기구 창설을 계획한다. 앞으로 필요성이 있는 국제기구에 대해서 생각해서 창설 과정을 조사하고, 평화, 건강, 환경, 인권, 경제 등의 지속가능발전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많은 국가의 협력과 공감을 일으킬 수 있는 국제기구를 제안한다. <학습목표>  범국가적 단체의 필요성을 알고 국제기구의 역할을 설명할 수 있다.  감염병에 대응하는 국제 협력에 관해 설명할 수 있다. 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필요한 국제기구를 제안할 수 있다. ✿ 이 주제를 왜 학습해야 하는가? 세계화‧국제화 과정에서 테러와 같은 평화와 안보 위협, 절대적 빈곤 문제, 환경문제, 보건 및 감염병 등 다양한 국제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 특징은 그 영향이 국경을 초월하고 포괄적인 다수에게 무차별적으로 나타나며 다음 세계에까지 영향력을 미친다는 것이다. 또 피해에 대한 적절한 보상을 받기 어려운 구조이기 때문에 다자 간 공조와 협력이 필요하다. 국제적으로는 공조 체제와 구축, 개별 국가 간의 협력을 확대하는 것이 중요하고, 내부적으로는 지역 사회의 민간과 공공의 상호작용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국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포괄적인 파트너십이 필요하다. 특히 최근 감염병의 확산에 따라서 국제적으로 쟁점이 되고 있으며, 다양한 국가의 대책과 국제협력기구의 조율 등에 관심이 크기 때문에 이런 문제를 바탕으로 국제 사회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세계 시스템 속에서 파트너십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국제기구를 비전, 목표 등을 수립하여 창설하고, 이행 수단 강화와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글로벌 파트너십을 활성화하기 위한 연설문을 작성하여 국제기구의 명확한 방향성을 이해하도록 한다. 이 프로그램은 지속가능발전목표 중 17번째 SDGs를 위한 파트너십을 달성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이 목표에는 지속가능발전목표의 이행수단 강화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글로벌 파트너십의 활성화 등이 세부 목표에 포함되어 있다. 특히 17.6은 지속가능발전목표의 이행수단 강화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글로벌 파트너십의 활성화 등이 포함되며, 이를 위해 K-SDGs는 개도국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다양한 글로벌 파트너십 강화 등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감염병의 해결을 위한 국가 간의 노력과 협력체의 구조, 파트너십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며,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국제기구를 창설하는 과정에서 세부목표를 생각해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내가 자가 격리된다면? 가족 모두 외국 여행 후 입국부터 갑작스레 2주간 자가 격리 조치를 받았다면 어떨까? 생활의 어려운 점, 느껴지는 기분, 의식주의 해결방법 등에 대해서 자유롭게 말해보자. 당장 혼자 생활할 수 있는 곳이 없고 생필품을 구매할 수 없다. 고독감과 외로움에 혼자 버티기 어려울 수 있을 것이다. 코로나-19와 같은 국가적 재난 사태에 국가가 해줄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에 대해서 말해보자. 국가가 도울 수 있는 점 국가가 도와주기 어려운 점 국가적 기본 방역, 시민 통제, 질서 유지, 치안 유지, 치료제 개발 지원 등 개인 청결 유지, 집합 시 거리 유지 등 시민 의식이 필요한 부분 사진은 지진, 태풍, 코로나 19 등 재난이 발생했을 때 대한적십자사의 활동이다. 자연 현상으로 인하여 피해가 발생하거나 예상되는 경우를 자연재난이라 한다. 홍수·호우·강풍·태풍·풍랑·해일·대설·낙뢰·가뭄·지진·황사·적조 등이 이에 해당한다. 대형 재난 앞에서 국가가 지원해줄 수 없는 것들이 있으며, 지원한다고 하더라도 실질적 지원에 당사자에게 오기까지 많은 시간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에 사람이라면 당연히 ‘내가 가서 도와주고 싶다.’라고 생각하겠지만 막상 직접 남을 도우러 가기 어려울 수 있다. 이럴 때 필요한 것이 재난지원 단체이다. https://www.youtube.com/watch?v=BP13NaNpp8w https://www.youtube.com/watch?v=pxCP66YuVQQ 국제 적십자 운동을 조사해보자. 전쟁, 자연 재해 등에서의 희생자들과 기아, 선상의 난민들을 돌보기 위한 목적으로 중립, 평등, 독립, 자발적 섬김, 일관성과 보편성의 실천을 원칙으로 한다. 이는 전쟁 시에 구호 활동을 위한 차량이나 시설이 공격받지 않게 하려는 것이다. 국제기구의 역할 알아보기 국제기구는 어떤 일을 할까?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JKNidXQSKVw 영상을 보고 세계보건기구(WHO)에서 하는 일에 관해서 설명해보자. WHO의 목적은 세계 모든 사람들이 가능한 한 최고의 건강 수준에 도달하는 것으로, 보건 시설 강화를 위한 정부 도움, 질병학, 통계학 등의 행정상의 문제 해결, 보건 분야 정보 제공, 국제 협정 건의, 음식 생물 등 약에 관련된 국제적인 기준 설립 등이 있다. 국제 사회의 주된 행위의 주체는 국가, 국제기구, 비정부 기구(NGO)가 있다. 국제기구는 어떤 국제적인 목적이나 활동을 위해서 두 개 이상의 주권 국가로 구성되어 국제법상 독자적인 지위를 갖는 조직이다. 크게 국제 비정부기구(INGO)와 국제 정부 기구(IGO)로 나뉜다. 국제 비정부기구(INGO)는 국제적으로 운영되는 비정부기구(NGO)로 국제 비영리 단체, 세계 스카우트 운동 기구, 국제 적십자 위원회, 국경없는 의사회 등이 있다. 국제 정부 기구(IGO)라고도 알려진 국제 정부 기관(IGO)은 주로 주권 국가로 구성된 조직으로 유엔(UN), 유럽 안보협력기구(OSCE), 유럽위원회(COE), 국제노동기구(ILO), 국제형사경찰기구(INTERPOL) 등이 있다. 비정부 기구(NGO)는 공공의 이익을 실현하기 위해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결성한 비영리 시민 단체를 말한다. 국제 사회는 자원, 영토, 민족, 인종, 종교, 인권 문제 등 다양한 양상의 국제 갈등이 일어난다. 국제 갈등은 여러 가지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 일어나며, 한 국가의 노력으로만 해결하기 어렵다. 특히 정부의 해결 능력이 부족하거나 대립이 극심할 경우 국제기구의 조정이 필요하다. 국제기구의 종류와 역할에 대해서 알아보자. 국제기구의 역할은 정치적 협상을 중재하고 정치적 주도권을 위한 장소를 제공하며 연합을 위한 촉매 역할을 하는 국제적 의제를 정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또한 국제기구들은 중요한 이슈를 정의하고 어떤 이슈를 함께 분류할 수 있는지 결정함으로써 정부의 우선순위 결정이나 기타 정부 준비에 도움이 된다. 국제기구 만들어 보기 [활동 1] 감염병에 대응하는 국제 네트워킹 사스, 메르스, 코로나 19 사태에서 국제 협력 과정을 조사하고, 조사 결과를 텍스트 마이닝으로 표현해 보자. 세계보건기구(WHO) 총회에서 포스트 코로나 19 시대 대비를 위한 국제협력 호소 제73차 세계보건기구(WHO) 총회는 시모네타 소마루가(Simonetta Sommaruga) 스위스 대통령, 안토니오 구테헤스(Antonio Guterres) UN 사무총장과 문재인 대통령을 포함한 6개국 정상(한국, 남아프리카공화국, 중국, 프랑스, 독일, 바베이도스)의 초청 연설로 시작되었다. 문 대통령은 한국의 우수한 방역 노력과 성과를 공유하고, ‘자유의 정신’에 기반한 연대와 협력이 코로나 19와의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다고 강조하며, 국제사회에 ① 보건취약국가에 대한 인도적 지원, ② 백신·치료제 개발을 위한 협력과 공평한 보급, ③ WHO 국제보건규칙(IHR) 정비 등을 제안하였다. 박능후 장관은 기조연설에서 코로나 19 이후 변화된 환경에서의 일상과 경제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각국의 다각적이고 혁신적인 노력과 더불어 국제 사회의 적극적인 협력이 필요하다고 호소하였다. 우선, 전 세계적인 코로나 19 대유행 상황에서도 필수적이고 지속가능한 사회기반 시스템은 유지되어야 한다고 발언하였다. 또한, 각국이 가진 코로나 19 관련 각종 정보의 투명하고 신속한 공유를 제안하고 이제까지 한국의 다양한 대응 조치, 파악된 환자 특성 및 분석 정보 등을 투명하게 전 세계와 공유해 왔다고 발언하였다. 앞으로도 다양한 자료 및 다원화된 소통 수단으로 국제사회와 코로나 19 대응 경험을 공유하겠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각국이 코로나 19 치료제와 백신의 개발과 보급에 적극적으로 동참해 줄 것을 제안하였다. 박능후 장관은 코로나 19 이후 변화된 환경을 살아가기 위해 방역 조치와 더불어 일상과 경제를 어떻게 회복해 나갈 것인지에 대한 전 세계의 고민을 확인하였으며, 코로나 19로부터 일상을 회복하기 위한 한국의 시도와 그로 인한 정책 결과는 다른 국가의 정책 결정에 좋은 참고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출처: http://gg.gg/l5bik # 빙고 챌린지 국제기구 이름 안다면 깨시민 UNESCO EU IOC OECD ILO IAEA UNICEF WHO UN UNFCCC OPEC WTO FAO IMF APEC IBRD [활동 2]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국제기구 만들기 유엔 환경 계획(UNEP) United Nations Environment Programme 1972년 스웨덴의 스톡홀름에서 열린 《유엔인간환경회의》의 결정에 따라 1973년에 설립되었으며, 케냐의 나이로비에 본부를 두고 있다. 환경과 관련된 다른 국제기구나 국가에 경비와 기술 인력을 지원해 환경보전 활동에 도움을 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출처: http://gg.gg/l5c5r 환경, 경제, 사회문화와 관련된 국제기구와 그 역할을 조사해보자. 생물다양성과학기구(IPBES) 1.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지속가능한 이용, 2. 장기적 인류복지 3. 지속가능발전을 위하여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서비스에 대한 과학과 정책간의 상호연계(interface)를 강화 다양한 국제기구 중 필요성이 점차 줄어드는 단체, 업무의 증가로 분리가 필요한 단체, 기존에 없지만 필요한 단체에 대해서 자신의 생각을 말해보자. 필요성이 점차 줄어드는 단체 유럽 석탄, 철강 공동체 업무의 증가로 분리가 필요한 단체 세계 보건 기구(질병과 의약품을 구분해야 함) 기존에 없지만 필요한 단체 지속가능발전기구 국제기구 즉, 정부간 조직(intergovermental organization, IGO)은 공공 국제법의 중요한 측면이다. IGO는 그룹을 창설하는 헌장 역할을 하는 조약에 의해 설립된다. 여러 주의 합법적 대표(법정)들이 비준 절차를 거치면서 국제법적 성격을 띠게 될 때 조약이 체결된다. 출처: http://gg.gg/l5cdg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국제기구를 설명해보자. 기구 명칭 국제 교사 협회 필요한 이유 4차 산업 혁명에 맞추어 미래세대의 발전과 적응을 위한 교육적 논의를 실시하는 국제기구가 필요함. 주요 활동 각 나라의 미래사회 역량별 교육 방식 공유 민간 정책 참여 방법 알기 광화문 1번가를 아시나요? 시민의 정책 참여 방법은 의무이자 권리인 투표, 공청회 참석, 국민참여재판, 1인 시위 등 다양하지만, 국민 참여 사이트를 이용할 수도 있다. 광화문 1번가는 주요 정책참여 기제와 각 부처·자치단체의 사이트를 한 곳에서 접속 및 토론, '광화문 1번가 열린소통포럼' 온·오프라인 연계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018년 5월에는 기존의 광화문 1번가 플랫폼에서 정책토론 기능에 초점을 맞춘 플랫폼인 '열린소통포럼'으로 재개편하고, 정부서울청사 별관 1층에 토론공간을 개소하였다. 출처: https://www.gwanghwamoon1st.go.kr/front/main/index.do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정책 제안해보기 자기평가 평가내용 척도 1 2 3 4 5 나는 국제기구의 종류와 역할에 관해서 설명할 수 있다. 나는 감염병에 대한 국제 협력 과정에 대해 말할 수 있다. 나는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새로운 국제기구를 제안할 수 있다. 나는 민간의 정책 참여 방법에 대해서 알고 이를 설명할 수 있다. 느낀 점을 자유롭게 기록하세요. 동료평가 국제 적십자 운동에 대해서 적절히 설명한 친구는 ( )이다. 범국가적 단체의 필요성과 국제기구의 역할에 대해서 논리적으로 발표한 친구는 ( )이다. 감염병에 대응하는 국제 협력을 조사하고 의미 있는 텍스트마이닝을 수행한 친구는 ( )이다.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창의적 국제기구를 제안한 친구는 ( )이다.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의미 있는 정책을 제안해본 친구는 ( )이다. 국경없는의사회 국경없는의사회는 국제 인도주의 의료 구호 단체이다. 의료 지원의 부족, 무력 분쟁, 전염병, 자연재해 등으로 인해 생존의 위협에 처한 사람들을 위해 긴급구호 활동을 펼치고 있다. 의료 지원 활동은 인종, 종교, 성별, 정치적 성향에 따른 어떠한 차별도 없이 이루어진다. 국경없는의사회는 1971년 프랑스 의사들과 의학 전문 언론인들에 의해 설립되었다. ‘활동’과 ‘발언’, ‘치료’와 ‘증언’은 국경없는의사회 설립 당시 중요한 표어이다. 국경없는의사회는 국제 인도주의 의료 구호 단체로 의료 지원을 받지 못하거나 무력 분쟁, 전염성 질병, 영양실조, 자연재해 등으로 고통 받는 사람들을 위한 긴급구호 활동을 하고 있다. 구호 활동 분야 의료영역 무력분쟁 분쟁 지역에서 우리는 오로지 의료적 필요를 바탕으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며, 도움이 가장 절실한 사람들을 지원하는 활동을 한다. 의료사각지대 국경없는 의사회 활동의 상당 부분은 의료 서비스와 같은 기본적인 사회적 지원에서 소외된 사람들에게 의료 지원을 한다. 자연재해 국경없는 의사회는 구호 활동가 네트워크와 세계 곳곳의 물류 창고 덕분에, 대규모 재해에서 국소 지역의 긴급 상황에 이르기까지 모든 재난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전염병 창궐 국경없는 의사회는 수면병, 리슈마니아증, 샤가스병 등 잘 알려지지 않은 열대성 소외질환들이 ‘남모르게’ 확산될 때에도 대응 활동을 실시한다. HIV/AIDS 전 세계 에이즈 혈청 양성 환자는 3,300만 명으로 추산되고 있습니다. 에이즈 바이러스와 살고 있는 인구 중 70%가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국가에 있으며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결핵 해마다 1,000만여 명이 활동성 결핵에 걸리고, 180만 명이 이로 인해 목숨을 잃는다. 구호품 배급 국경없는 의사회의 최우선 과제는 의료 지원이지만, 긴급 상황에서 국경없는 의사회 팀들은 사람들의 생존에 필수적인 구호품을 배급하는 일도 기획한다. 이 구호품에는 옷, 담요, 침구, 거처, 세면도구, 취사도구, 연료 등이 포함된다. 보건 홍보 활동 보건 홍보 활동의 목적은 건강을 증진시키는 한편, 사람들이 의료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권장하는 것이다. 출처: https://msf.or.kr/ 주 의 문 1. 본 연구의 주장이나 제언은 연구진의 견해이며, 한국과학창의재단의 공식적인 공식 입장이 아닙니다. 2. 이 보고서 내용을 대외적으로 공개하거나 발표할 때에는 반드시 한국과학창의재단과 사전에 상의해야 합니다. ##@@## 최종보고서 부록 2 2020년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연계 선도프로그램 개발 과제 최종 보고서 (교사용 지도서) 2020. 12. 목 차 1. 초등학생용 지도서 1 2. 중학생용 지도서 61 3. 고등학생용 지도서 116 초등학생용 지도서 초등 SDG 13 온실가스와 비대면 시대 ❑ 수업의 개요 주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온실가스 줄이기 관련 SDGs 13. 기후변화 관련 K–SDGs 13. 기후변화 대응 13.3. 기후변화 완화, 적응, 영향 감소, 조기 경보 등에 관한 교육, 인식제고, 인적·제도적 역량을 강화한다. 관 련 교 과 및 성취기준 교과/비교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사회 [6사07-03] 세계 주요 기후의 분포와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기후 환경과 인간 생활 간의 관계를 탐색한다. 과학 [6과17-02] 자연 현상이나 일상생활의 예를 통해 에너지의 형태가 전환됨을 알고,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토의할 수 있다. 창의적 체험활동(환경・지속가능발전교육) E S D 내 용 요 소 사회•정치•문화 환경 경제 ‣ 시민참여 ‣ 환경문제 ‣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E S D 중 점 역 량 인지•기능 태도 ‣ 통합적 문제 해결 역량 ‣ 전락적 역량 ‣ 자아 인식 역량 ‣ 자아성찰적 태도 : 반성적 태도 ‣ 타자지향적 태도 : 협동, 갈등관리, 공감, 감수성 ‣ 민주시민적 태도 : 책임감, 도덕성 ‣ 국제문화적 태도 : 다양성, 글로벌 공동체 의식 S D G s - E S D 성 취 기 준 [13-3] 기후변화 완화, 적응, 영향 감축 및 조기 경보 등 기후변화를 대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2 0 1 5 개 정 교 육 과 정 핵 심 역 량 지식정보 처리 역량 ‣ 주요 활동 : 비대면 시대와 온실가스 이해 ‣ 역량신장 내용 : 비대면 시대에 달라진 사회현상과 에너지 사용에 대한 뉴스 및 통계 자료 등을 통해 비대면 시대의 온실가스에 대한 지식정보 처리 역량을 함양할 수 있다. 창의적 사고 역량 ‣ 주요 활동 : 비대면 시대의 저탄소 활동 제안 ‣ 역량신장 내용 : 우리가 살고 있는 공간을 중심으로 비대면 시대 저탄소 활동들에 대해 예측하고, 상상하며, 우리 집에서 탄소를 줄이기 위한 활동을 창의적으로 제안할 수 있다. 의사소통 역량 ‣ 주요 활동 : 비대면 시대의 달라진 점 이야기 나누고 성과물 만들기 ‣ 역량신장 내용 : 모둠별, 개인별 의사소통 과정을 통해 비대면 시대의 달라진 점을 이야기 나누고,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탄소를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성과물을 만들어 공유할 수 있다. ❑ 학생 생활기록부 기재 방법(안) ● 온실가스, 기후변화, 저탄소 활동에 대한 기본 개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과학, 사회, 국어 교과 내용과 관련한 성취기준 도달 정도를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 비대면 시대에 달라진 사회현상과 에너지 사용에 대한 뉴스 및 통계 자료 등을 통해 비대면 시대에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는 방법에 대해 탐구하고,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관찰 및 동료평가 내용을 활동지 작성 내용을 참고하여, 본 활동 내용 및 교과 내용을 결부시켜 학생의 노력을 포함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 ESD 평가지의 ‘자기평가를 해보자.’의 생활기록부에 위의 역량별 평가 자료를 바탕으로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 교사의 관찰 평가와 동료평가를 통해 평가 자료를 바탕으로 본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교수 목적에 도달했는지의 정도를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학교생활기록부 작성 예시 지식정보처리 역량 비대면 시대에 달라진 사회현상과 에너지 사용에 대한 뉴스 및 통계 자료 등을 통해 비대면 시대의 온실가스 변화를 분석할 수 있음. 창의적 사고 역량 우리가 살고 있는 공간을 중심으로 비대면 시대 저탄소 활동들에 대해 예측하고 상상하며, 우리 집에서 탄소를 줄이기 위한 활동을 창의적으로 제안할 수 있음. 의사소통 역량 모둠별, 개인별 의사소통 과정을 통해 비대면 시대의 달라진 점을 이야기 나누고,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탄소를 줄일 수 있는 방법으로 성과물을 제시할 수 있음. 차시 프로그램 평가 내용 비대면 시대에 달라진 사회현상을 바탕으로 에너지 사용에 대한 다양한 자료 등을 통해 온실가스 변화를 분석하여, 우리 집에서 탄소를 줄이기 위한 활동을 창의적으로 제안하고,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탄소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효과적으로 제시할 수 있음. ❑ 수업 지도안 전체 지도상 유의점 및 TIP ▸활동 과정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 13번 목표와 세부목표에 부합될 수 있도록 교수활동을 진행한다. ▸기후위기는 매우 중요하고 사회, 환경, 경제 전반에 영향을 끼치는 문제이므로 학생들이 기후변화, 지구온난화, 온실가스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온실가스 저감에 대한 필요성을 인지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수업의 매 단계에서 격려하고 안내한다. ▸모둠 활동에서 모둠원들이 모두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지도하며, 방역지에 따라 어려운 점이 있다면 짝 활동이나 온라인 모둠활동으로 대체할 수 있다. ⁕ 한눈에 보는 수업 도입 생각 열기 코로나로 잠시 숨 쉬는 지구 10분 �� 생각 키우기: 기후변화와 온실가스의 관계 10분 교수 학습 활동 학습자료 및 유의점 ▶ 지구온난화 현상 이해하기 ▶ 온실가스 발생원 살피기 ▶ 온실가스가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 탐색 ▶ 6대 온실가스 종류와 발생원 연결하기 전개 생각 만들기 비대면 시대의 온실가스는? 15분 ▶ 비대면 시대에 온실가스는 어떻게 줄어들었나? ▶ 비대면 시대의 저탄소 활동 ‘House Book' 만들기 ▶ 온실가스 발생량이 변화 탐색 ▶ 우리 집 온실가스 줄이기가 표현된 하우스 북 제작 �� 정리 생각 정리하기(자기평가/동료평가) 보충자료: 기후변화 행동을 하는 학생들 5분 지도상 유의점 및 TIP ▸코로나 19와 기후변화의 원인과 관계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다루지 않도록 한다. ▸다만 코로나 19로 인해서 어떠한 변화가 사회, 경제, 환경적 측면에 있었는지 생각해보도록 한다. ▸코로나 19가 준 선물이 아니라, 코로나 19 이전 우리들의 활동에 대해서 한번 이야기 나눌 수 있도록 한다. 참고자료 코로나 19 대유행이 일시적으로나마 환경오염을 줄이고 있다. 경제활동 위축과 사회적 거리두기로 사람들의 활동이 줄어들자, 매연가스와 온실가스 등 공해물질 방출이 급격히 감소했기 때문이다. 미국 뉴욕 컬럼비아대학교의 ‘러몬트도허티 지구 관측소’에 따르면, 뉴욕시의 지난주 일산화탄소 방출량은 1년 전에 비하면 50%가 감축된 것으로 관측됐다고 <뉴욕 타임스>가 22일 보도했다. 뉴욕시의 차량 통행량도 35%나 줄었다. 사회적 거리두기의 영향으로 차량 운행이 줄자, 차량 운행 때 주로 방출되는 일산화탄소가 급격히 줄어든 것이다. 또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 방출량도 5~10% 줄고, 메테인 가스 역시 상당량 감소했다. 뉴욕시의 대기관측을 수행해온 로신 커메인 교수는 “뉴욕은 지난 1년 6개월 동안 예외적으로 높은 일산화탄소 수치를 보였다”며 “이번 조사는 내가 본 중에 가장 깨끗한 것이고, 통상 3월에 봤던 수준의 절반도 안 된다”고 평가했다고 <비비시>(BBC)가 전했다. 세계 최대의 오염물질 배출국인 중국에서도 에너지 사용과 매연 방출이 급격히 줄었다. 기후 웹사이트인 ‘탄소 브리프’가 수행한 분석을 보면, 중국은 지난 2주 동안 에너지 사용과 관련한 오염물질 방출이 25%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고 방송은 보도했다. 지난 2주 동안의 효과만 가지고도 올해 중국의 탄소 배출량은 약 1% 정도 감소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평가했다. 미국의 다른 주요 도시에서도 대기의 질이 좋아지고 교통체증이 사실상 사라지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유럽우주국의 센티널-5P 위성이 관찰한 바에 따르면, 로스앤젤레스에서는 지난 18일 평소에 비해 53%나 차 움직임이 원활했다. 샌프란시스코에서는 2주 전에 비해 교통량이 40% 감소했고, 시애틀에서도 약 40%의 교통 감소량을 보였다. 커메인 교수는 2009년 전부터 북반구에서는 이산화탄소 방출량이 5월에 정점을 이뤘다는 점을 상기시키며 “올해 5월에 우리는 가장 적은 이산화탄소 증가를 보게 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출처: 매연·온실가스 감소…뜻밖의 ‘코로나 19’ 효과, 한겨례, 2020-03-23 지도상 유의점 및 TIP ▸온실가스와 지구온난화의 관계에 대해 인지하도록 교사가 안내한다. ▸온실가스의 6가지 이름을 아는 것이 중요하지 않으며 온실가스의 영향에 대해서 알고, 어떻게 해야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는지를 알기 위한 사전 배경 지식으로서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사다리 타기 활동을 통해 온실가스가 어디에서 주로 나오는지를 확인하도록 한다. 참고자료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 1966년 세계기상기구(WMO_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가 ‘기후변화(climate change)’는 “자연적 혹은 인위적인 원인으로 10년 이상의 기간 동안 발생한 모든 형태의 기후 변동을 포함하는 것”이라고 제안했다(위키피디아, 2016). 인위적인 요인은 일반적으로 인간의 활동에 의한 온실효과 등이며, 자연적인 요인은 화산 폭발, 성층권의 에어로졸(aerosol) 증가 등이 포함된다. 하지만 인간 활동이 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이 점점 커짐에 따라 기후변화의 주요한 원인으로 자연적인 요인보다는 인위적인 요인에 초점이 맞추어지게 되었다. 지구온난화의 주요한 원인이라고 할 수 있는 온실가스(Green House Gases, GHGs)는 인류의 활동에 의하여 주로 발생하고, 그 배출량이 산업화 이전 시대부터 계속 증가하고 있다. 2004년의 이산화탄소량은 1770년에 비해 70% 증가한 것으로 측정·보고되었다(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2007). 화석연료의 연소에 의한 이산화탄소의 증가와 황화합물, 유기화합물, 그리고 검댕(black carbon) 등을 함유하는 에어로졸의 증가, 시멘트 제조 과정에서의 이산화탄소 배출, 오존의 감소, 축산 그리고 도시화 및 산업화로 인한 삼림 파괴는 지표면의 반사율 변화를 유발시켜 기후변화를 일으키는 인위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1997년 일본 교토에서 개최된 당사국 총회(COP3: Conference of Parties)에서 주요 6대 온실가스로 이산화탄소(CO2), 메테인(CH4), 아산화질소(N2O), 수소불화탄소(HFCs), 과불화탄소(PFCs), 육불화황(SF6)을 지정하였다. 출처: 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 및 기후변화 홍보 포털, 2016) 지도상 유의점 및 TIP ▸학생들에게 학습 부담을 덜기 위해서 집과 학교, 공항에서 온실가스 발생이 늘었는지 줄었는지 설명하고, 그렇게 생각한 근거를 안내한 후 이후에 도로, 극장, 놀이공원, 산업체 등에 적용한다. ▸늘었다 줄었다에 대한 정답을 찾기보다는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를 생각하고, 탐색해보도록 한다. ▸생각 만들기에 있는 분야를 제외하고, 교사가 다른 장소도 물어볼 수 있다. 학원 혹은 박물관 같은 곳 등 학생들에게 친숙한 공간을 확인한다. 참고자료 ▸2020년 CO2 배출량은 전년 대비 8% 감소한 30.6GtCO2으로 예상되며, 이는 산업·경제침체에 따른 전력수요 감소로 석탄사용의 감소가 주요 요인 - 이는 세계 금융위기로 인해 2009년 0.4Gt 줄어든 것에 비해 6배 크고, 제2차 세계대전 이전의 모든 감소량을 합친 것보다 2배가량 높음 출처: KEA 이슈 브리핑 242, 2020.06.20 지도상 유의점 및 TIP ▸앞서 활동한 내용은 다양한 장소였으나 본 활동은 집에서의 활동이다. 비대면 기간의 우리 집에 대해서 거실, 주방, 내방, 욕실 등 집의 곳곳에 대해서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한다. ▸모든 학생들이 거실과 주방, 욕실과 내방이 있는 것은 아니므로, 일반적인 주거의 형태에서 답을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하여, 소외당하는 학생들이 없도록 한다. 참고자료 ▸에너지원별 수요전망 ㅇ 각국의 봉쇄 영향으로 2020년 1분기 동안 수송 부문 석유 수요가 전례 없는 규모로 감소 - 전년 대비 4월 29% 하락에 이어 올 한해 전체 9% 감소할 것으로 추정 지도상 유의점 및 TIP ▸하우스 북 이외에도 다양한 북아트를 이용하여, 정리해 볼 수 있다. 계단책이나 병풍북 등을 활용하여, 앞의 내용을 정리할 수 있다. 참고자료 ㅇ 전년 대비 가스 수요는 5% 감소, 원자력 발전량은 3% 감소할 것으로 예상 - 화석연료 사용이 급감하며, 수요변화에 따라 발전량 조정이 필요 없는 재생에너지는 안정적으로 유지되었으며, 1분기 재생에너지 발전량은 3% 증가 지도상 유의점 및 TIP ▸본 선택 활동은 온실가스를 줄이는 실천 방법을 마인드맵으로 그려보는 활동이다. 여행에서 어떻게 하면 좀 더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는지 써보는 것이다. 자전거 여행, 친환경차 여행, 국내 여행, 해외여행 등을 비교하면서 온실가스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여행/학교 및 공부/식사/운동과 놀이 중에서 하나만 선택하여 활동할 수 있으므로 홍보지는 주어진 틀에 맞추어 쓰고, 간간히 꾸며서 만들 수 있도록 한다. 참고자료 출처: 환경부, 한국기후·환경네트워크 지도상 유의점 및 TIP ▸학생들의 자기평가에서 객관적인 자세로 자신의 학습활동을 돌이켜보고, 진실성 있게 평가하고, 자기 스스로 피드백을 하는 기회란 것을 강조한다. ▸전체의 활동에 대한 느낀 점을 정리할 수 있도록 지도하며, 특히 자신이 활동 과정에서 중점을 두고 참여했던 활동, 주도적으로 참여했던 활동 등을 중심으로 의미와 필요성, 자신·모둠원·학교·사회에서 저탄소를 위한 실천 활동에 대해서 서술할 수 있도록 지도함. ▸다른 학생의 동료평가에서 친분이나 한 가지 행동을 보고 평가하는 것을 지양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전체의 학습활동을 고려하여 평가하도록 지도한다. 참고자료 ▸동료평가는 활동을 함께 수행한 동료들이 동등한 관계에서 팀원의 성과와 역량을 평가하는 것으로 평가의 공정성과 결과 수용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협업 과정을 장려하고 개인의 역량 개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평가 과정에서 교과목의 지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역의 역량이 발휘될 수 있도록 진행해야 하며, 학생의 잠재력과 소질을 발견하고 진로를 개발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그리고 경쟁적 평가 풍토보다는 협력을 통한 동반 성장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지도상 유의점 및 TIP ▸기후변화 및 기후위기에 대한 행동 선언은 어른들만이 할 수 있거나 어른들만 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우리나라 학생들뿐만 아니라 다른 나라의 학생들도 기후위기의 심각성을 알리는 일을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음을 이해하도록 한다. ▸다만 기후위기비상행동에 따른 등교 거부에 대해서는 초등학생의 눈높이를 고려하여 다루지 않도록 한다. 참고자료 ▸9.21 기후위기비상행동 선언문 오늘, 기후위기에 맞선 담대한 행동을 시작합니다. 지금 말하고, 당장 행동하라. 우리 공동의 집이 불타고 있습니다. 지금은 비상상황입니다. 과학자들은 말합니다. 지구온도 상승이 1.5도를 넘어설 때, 돌이킬 수 없는 재앙이 시작된다고 합니다. 남은 온도는 0.5도. 지금처럼 화석연료를 사용한다면 남은 시간은 10년에 불과합니다. 폭염과 혹한, 산불과 태풍, 생태계 붕괴와 식량위기. 기후재난은 이미 시작되었습니다. 10년의 향방을 결정하는 각국의 계획이 2020년이면 유엔에 제출됩니다. 우리의 미래를 결정할 시간이 고작 1년 반 남았습니다. (중략) 역사의 어느 순간에서건 시민들이 먼저였습니다. 노예제와 인종차별, 노동착취와 성차별, 그리고 생물종차별까지, 이 모든 문제의 진실을 대면하고 시민들이 함께 행동할 때, 상식처럼 여기던 견고한 구조는 무너졌습니다. 오늘의 행동은, 아직 가보지 않은 길을 걷는 첫걸음입니다. 이 걸음이 기후위기를 넘어 새로운 사회로 이끌 것이라는 희망, 바로 오늘의 행동이 그 희망의 시작입니다. ▸ 기후위기 진실을 직시하라. ▸ 기후위기 비상상황 선포하라. ▸ 온실가스 배출제로 추진하라. ▸ 지금당장 기후정의 실현하라. 2019년 9월 21일 기후위기비상행동 참가자 일동 초등 SDG 14 바다 생물들의 불편 해소 ❑ 수업의 개요 주제 해양 생태계의 보호 관련 SDG 14.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대양, 바다, 해양자원 보존과 지속가능한 이용 관련 K–SDGs 14. 해양 생태계 14-1. 육상과 해상의 오염물질로부터 해양환경 보전을 위한 관리체계를 확립한다. 관 련 교 과 및 성취기준 교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사회 [6사08-05]지구촌의 주요 환경문제를 조사하여 해결방안을 탐색하고, 환경문제 해결에 협력하는 세계시민의 자세를 기른다. 과학 [6과05-03] 생태계 보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생태계 보전을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에 대해 토의할 수 있다. 미술 [6미02-03]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아이디어와 관련된 표현 내용을 구체화할 수 있다. E S D 내 용 요 소 사회•정치•문화 환경 경제 ‣ 시민참여 ‣ 환경문제 ‣ 지속가능한 자원 이용 E S D 중 점 역 량 인지•기능 태도 ‣ 창의적 사고 ‣ 예측 역량 ‣ 의사소통능력 ‣ 자아성찰적 태도 : 반성적 태도 ‣ 타자지향적 태도 : 협동, 갈등관리, 공감, 감수성 ‣ 민주시민적 태도 : 책임감, 도덕성 ‣ 국제문화적 태도 : 다양성, 글로벌 공동체 의식 S D G s - E S D 성 취 기 준 [14-3] 지속가능한 해양 생태계를 위한 올바른 해양자원의 활용과 해양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2 0 1 5 개 정 교 육 과 정 핵 심 역 량 지식정보 처리 역량 ‣ 주요 활동 : 해양생물의 개체수 감소와 금어기 정책 ‣ 역량신장 내용 : 해양생물의 개체수가 감소하는 원인에 대해 자료를 분석하여, 금어기 정책에 대한 정보를 처리할 수 있음 창의적 사고 역량 ‣ 주요 활동 : 아낌없이 주는 바다와 바다 생태계 꾸미기 ‣ 역량신장 내용 : 아낌없이 주는 나무 동화를 바탕으로 아낌없이 주는 바다 동화로 재해석하고, 해양 생태계를 보호하려는 다양한 노력을 표현해 보는 등 창의적 사고 역량이 함양됨 의사소통 역량 ‣ 주요 활동 : 금어기 정책에 대한 토의 주제를 선택하여 수산자원 보호 방안 발표하기 ‣ 역량신장 내용 : 모둠별, 짝별 의사결정 토의 과정을 통해 지속가능한 수산자원을 이용하기 위해 수산자원 보호를 어린 개체 대 성체, 암수, 시기와 수의 문제에 대해서 의견을 주고받으며, 토의할 수 있음 ❑ 학생 생활기록부 기재 방법(안) ● 해양생물 개체 수가 줄어드는 이유를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해양생물 보호 방안을 토의하고, 이를 표현하는 활동 과정을 국어, 사회, 과학 교과 내용과 관련한 성취기준 도달 정도를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 해양생물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탐색하고 해양 보호 활동을 제안하고, 표현하는 과정의 전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관찰 및 동료평가 내용을 워크북 작성 내용을 참고하여, 본 활동 내용 및 교과 내용을 결부시켜 학생의 노력을 포함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 ESD 평가지의 ‘자기평가를 해보자’의 생활기록부에 위의 역량별 평가 자료를 바탕으로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 교사의 관찰 평가와 동료평가를 통해 평가 자료를 바탕으로 본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교수목적에 도달했는지의 정도를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학교생활기록부 작성 예시 지식정보처리 역량 해양생물의 개체 수가 감소하는 원인에 대해 자료를 분석하여, 금어기 정책에 대한 정보를 처리할 수 있음. 창의적 사고 역량 아낌없이 주는 나무 동화를 바탕으로 아낌없이 주는 바다 동화로 재해석하고, 해양 생태계를 보호하려는 다양한 노력을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음. 의사소통 역량 해양생물 개체 수를 늘리기 위한 토의토론 과정을 통해 자신의 생각하는 바를 자유롭게 이야기하며 경청하는 태도를 보였으며, 반대 의견에 근거를 들어 적절히 말할 수 있음. 차시 프로그램 평가 내용 해양생물 개체수가 줄어드는 원인을 분석하고, 생물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탐색하여 해양 보호 활동을 제안하고,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과정에 참여하면서 해양생물을 보호하는 태도를 가짐. ❑ 수업 지도안 전체 지도상 유의점 및 TIP ▸활동 과정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 14번 목표와 세부목표에 부합될 수 있도록 교수활동을 진행하며, 특히 학생들의 지속가능발전목표를 내재화할 수 있도록 한다.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우리나라의 지역적 특성을 바탕으로 해양 생태계를 위협하는 요소 등을 인식하여, 해양 생태계자원의 소중함을 깨달을 수 있도록 한다. ▸해양 생태계 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규칙을 찾아보고, 실천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모둠 활동에서 모둠원들이 모두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지도하며, 방역지에 따라 어려운 점이 있다면 짝 활동이나 온라인 모둠활동으로 대체할 수 있다. ⁕ 한눈에 보는 수업 도입 생각 열기 해양쓰레기와 해양생물 10분 �� 생각 키우기 활동1. 명태와 노가리 10분 교수 학습 활동 학습자료 및 유의점 ▶ 남획과 관련된 기사 읽기 ▶ 금어기 정책과 관련된 토의하기 ▶ 금어기 정책 토의에 대해서 정해진 답은 없으므로 학생들이 토의하는 과정에서 금어기 정책에 관심을 가지고, 금어기 정책이 필요성을 깨닫도록 한다. 전개 생각 만들기 활동2. 아낌없이 주는 바다 15분 교수 학습 활동 학습자료 및 유의점 ▶ ‘아낌없이 주는 나무’ 각색하기 ▶ 바다가 주는 선물 ‘포스트잇’으로 꾸미기 ▶ 아낌없는 주는 나무를 아낌없이 주는 바다로 각색할 때, 주는 활동에서 끝나지 않고 학생들이 할 수 있는 활동도 생각하여 결말짓도록 한다. �� 정리 생각 정리하기(자기평가/동료평가) 보충자료: 해양 보호 생물 5분 지도상 유의점 및 TIP ▸전체 퀴즈게임을 통해 학생들에게 해양에 대한 관심을 갖도록 한다. ▸처음에는 초성 힌트 없이, 이후에는 초성 힌트를 주고 문제를 풀게 하며, 초성힌트를 주어도 잘 맞히지 못할 때는 또 다른 힌트를 줄 수 있다. ▸골든벨 게임처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퀴즈 활동 이후에 해양오염, 해양 환경문제에 대해서 교사가 자세히 안내할 수 있다. 참고자료 ▸바다식목일 수많은 동·식물들이 숲을 터전으로 하여 살아가듯 바다 생물들 역시 바로 이 바다숲에서 터전을 이루고 살아갑니다. 이렇게 소중한 바다숲이 점점 사라지고 있습니다. 바다사막화의 심각성이 날로 심각해지고 있기 때문이지요. 바다사막화는 해조류가 사라지고 시멘트와 같은 흰색의 *무절석회조류가 암반을 뒤덮어 바다가 사막화 되는 현상을 이야기합니다. 이 바다사막화를 진행하는 주요 원인 중 하나는 바로 갯녹음 현상입니다. (*무절석회조류: 탄산칼슘이 주성분인 무절석회조류는 수산생물에게 먹이로써 가치가 없음.) 갯녹음은 과도한 연안개발, 해양오염, 기후변화 등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합니다. 과도한 연안개발로 해양이 오염되면 내성이 강한 석회조류가 늘어나고, 조식동물의 섭식 활동으로 인해 해조류는 점점 더 감소합니다. 해수 중 이산화탄소가 증가하고 난류세력이 확장되어 고수온에 내성이 강한 석회조류가 우점하게 됩니다. 결국, 환경오염으로 인해 바닷속은 점점 사막화되어 가는 것이지요. 바다사막화로 인해 바다숲이 이대로 점점 줄어든다면 먹잇감과 산란처를 잃은 바다 생물들의 생태계가 파괴될 수밖에 없겠죠. 어족자원의 고갈로 인해 어민들의 생활이 어려워지는 것에서부터 해양 생태계의 파괴, 오염물질 정화기능 상실 등 다양한 문제점들이 발생하는 바다사막화는 우리가 막아야 할 환경오염 중 하나입니다.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에 따르면 동해 연안의 62%, 남해 33%, 제주 연근해 35%의 면적에서 바다사막화가 진행되고 있다고 합니다. 바다의 특성상 쉽게 눈에 보이지 않기 때문에 시민들의 관심이 보다 더 필요합니다. 때문에 정부에서는 2012년 세계 최초로 ‘바다식목일’을 국가기념일로 지정하며 바다숲 조성사업을 진행해오고 있습니다. 출처: 바다식목일 지키고 바다숲 조성해요|작성자 KORA 지도상 유의점 및 TIP ▸명태가 한반도의 바다에서 급감한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꼽힌다. 하나는 기후변화로 인한 수온 상승이며, 또 하나는 남획으로 인한 명태 수 급감이다. 여기에서는 남획으로 인한 명태 수 급감에 대해서만 다루고 금어기 정책과 관련된 다양한 주장과 자연스럽게 연결할 수 있도록 기사를 읽고 요지를 파악하도록 한다. ▸이후 학생들에게 수온 상승의 영향이 있다는 것도 알려준다. ▸명태와 노가리뿐만 아니라 고등어, 갈치 등 다른 어종에도 남획 등이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알게 한다. 참고자료 <수온상승 영향으로 명태 급감> 수온상승 탓에 남한 인근 해역에서 명태와 꽁치 등 한류성 어종의 어획량은 급감했지만, 난류성 어종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기후변화에 따른 주요 어종 어획량 변화'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어선이 연근해에서 잡은 명태가 지난 1986년 4만 6천여 톤에서 지난해 1톤으로 급감했습니다. 다른 한류성 어종인 꽁치 어획량은 지난해 7백여 톤을 기록해 지난 1975년의 3% 수준에 머물렀고, 도루묵도 1970년도에 비해 절반만 잡혔습니다. 반면 난류성 어종인 고등어류와 멸치는 지난해 각각 11만 5천여 톤과 21만여 톤이 잡혀 지난 1970년에 비해 3~4배 증가했습니다. 수온 상승 탓에 명태·꽁치, 어획량 급감 출처: 2018-6-25 MBC뉴스 지도상 유의점 및 TIP ▸금어기 정책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짝끼리 혹은 모둠별로 토의 주제를 골라 수산자원 보호를 위해서 어떻게 하는 것이 가장 적절한지 토의한다. ▸어린 개체 대 성체, 암컷과 수컷, 시기와 수 등을 고려해 볼 수 있도록 한다. 특별히 어느 것이 더 금어기 정책으로 효과적인지 답을 찾기보다는 학생들에게 금어기 정책의 효과성 및 필요성에 대해서 깊이 탐구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 ▸토의 활동을 할 때는 어느 한 학생이 토의를 주도하지 않도록 하고, 모두 토의에 잘 참여할 수 있도록 계속 독려한다. 참고자료 산란 직전의 주꾸미와 어린 주꾸미의 어획이 성행하면서 1990년대에 비해 주꾸미의 어획량이 1/4가량 크게 줄어들었다. 해양수산부는 점점 줄어드는 주꾸미의 어획량을 해결하기 위해 산란 직전의 어미 주꾸미와 충분히 자라지 않은 어린 주꾸미를 보호하는 주꾸미 금어기 신설을 2015년부터 추진했다. 그 결과 2016년도에 2,281톤까지 하락했던 주꾸미 어획량이 2017년도에는 3460톤까지 늘어나 2016년도에 비해 1,000톤가량 회복되는 성과를 거두었다. 출처: 울산항만공사 https://blog.naver.com/ulsan-port/221286582747 지도상 유의점 및 TIP ▸아낌없이 주는 나무라는 동화를 통해 아낌없이 주고 있는 해양자원의 소중함을 느끼게 한다. ▸그러나 아낌없이 주기만 하는 나무도 생명이 다하면 그 전에 주었던 것들을 주지 못하므로 지속가능한 해양자원의 이용에 대해서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한다. ▸해양자원의 생태계 보호 내용이지만 학생들이 바다의 다양한 자원(광물자원, 관광자원)에 대해서 이야기하더라도 허용한다. 참고자료 [바다 생물 서식지의 보호를 위한 해양보호구역(Marine Protection Area, MPA)] ▶ 해양보호구역이란 무엇인가? 해양보호구역이란 해양 생태계 및 해양경관 등 특별히 보전할 필요가 있어 국가 또는 지자체가 보호구역으로 지정하여 관리하는 구역을 의미하는데,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에서는 바다, 조간대, 해저와 그 지역에 서식하는 생물, 역사적/문화적 유산이 법/제도와 기타 관리수단에 의해 보전적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는 지역이라 정의하고 있다. ▶ 왜 필요한가? 해양보호구역은 해양 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25조와 습지보전법 제8조에 근거하여 해양생물보호구역, 해양 생태계보호구역, 해양경관보호구역으로 구분되는데, 도대체 해양보호구역은 왜 필요한 것일까? 이는 해양보호구역이 다양한 해양생물들의 ‘보금자리’이자, 각종 수산물을 제공하는 ‘식량공급원’이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오염퇴적물을 정화하는 ‘자연의 콩팥’ 역할을 하는 ‘자연방파제’이자 ‘생태관광지’로서 존재하기 때문에 연안 습지 및 해양 생태계 보전지역은 생활에 유익하고 중요한 곳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해양보호구역을 지정하면 해양 생태계 보호 및 수산자원 보전, 해양보호구역 관리사업 지원, 생태관광지 활용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출처: 해양보호구역센터 http://mpa.koem.or.kr/ 지도상 유의점 및 TIP ▸그림을 그리는 활동이 시간이 오래 걸리지 않도록 하며, 개별활동, 짝 활동, 모둠활동 등으로 유연하게 운영한다. ▸학생들에게 아낌없이 주는 바다의 지속가능한 자원 이용을 위해 결말을 달리할 수 있도록 한다. 결말에는 해양을 보호해야 할 필요성을 떠올리도록 안내한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일들을 떠올리고 표현하도록 한다. 참고자료 이야기 각색 결론 각색 지도상 유의점 및 TIP ▸앞서 한 활동 등을 바탕으로 포스트잇 등에 바다에 사는 다양한 해양생물과 해양생물을 보호하는 다양한 사람들의 모습을 자유롭게 붙일 수 있도록 한다. ▸예시안이 주어져 있지만, 실제 학생 수준에서 실천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활동 및 포유류, 조류, 해조류 등 다양한 해양생물을 그려볼 수 있도록 한다. ▸모둠별 활동도 가능하며 전체 활동도 가능하다. 참고자료 그린피스는 2018년 남극해 보호 캠페인을 시작으로 학계와의 협력을 통해 바다가 직면한 위기와 심각성, 그리고 바다보호의 필요성을 지속적으로 알려왔습니다.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이 지난 2016년 ‘2030년까지 전 세계 바다의 최소 30%를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하자’는 결의안을 채택한 이후 4월 영국 옥스퍼드 대학 및 요크 대학 연구팀과 IUCN 결의안 목표의 실현 가능성을 입증하는 보고서를 발행했습니다. 이후 그린피스 환경감시선이 북극에서 남극까지 항해하는 쉽투어를 통해 여러 가지 위기에 처한 바다에 관련한 과학적 연구조사 및 보고서들을 발행해 오고 있습니다. 지구를 위한 매일 챌린지 ㅇ 멸종위기 해산물 먹지 않기 ㅇ 치어(어린생선)나 생선 알은 먹지 않기 ㅇ 해변, 모래사장의 쓰레기 치우기 ㅇ 산호초를 죽이는 옥시벤존, 옥티녹세이트 등이 함유되지 않은 무기자외선차단제 쓰기 ㅇ 미세플라스틱이 들어 있는 세안제나 생활용품 사용하지 않기 https://www.greenpeace.org/korea/project-ocean/ 지도상 유의점 및 TIP ▸본 선택활동은 해양에서 기름이 유출되었을 때 제거하는 방법 중 오일펜스(바다 위에 유출된 기름이 더 이상 퍼져나가지 않도록 하는 도구)를 대신하여 실로 오염을 막아내고, 수면 위에 떠 있는 기름을 흡착포로 빨아들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동영상을 참고하여 해양에 기름이 유출되었을 때, 어떠한 활동이 이루어지는지 간접 체험할 수 있다. 참고자료 2007년 12월 7일에 일어난 태안 기름 유출 사고를 기억하는 분들이 계실 것입니다. 유조선과 해상 크레인이 충돌하여 1만 2,547㎘의 원유가 바다로 유출된 사건입니다. 이는 1995년 씨프린스호 기름유출사고의 유출량인 8,381㎘보다 2배 넘게 많은 양입니다. 하지만 123만 명의 자원봉사자들이 기름 제거작업에 힘쓴 덕에 태안 앞바다는 본래의 모습을 되찾고 있습니다. 기름유출사고는 생태계에 오랫동안 피해를 줍니다. 태안 기름 유출 사고의 경우 바다에서 유류 성분이 사라지기까지 7년 정도가 걸렸습니다. 크고 작은 기름 유출사고는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기름 유출 사고가 해양동물들에게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볼텐데요. 태안 기름 유출 사건을 잊지 않고, 해양 생태계 보호를 다짐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기름 유출로 인한 피해는 크게 물리적 피해와 화학적 피해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물리적 피해는 주로 기름의 점성에 의해 나타납니다. 어류의 아가미에 기름이 붙으면 어류가 질식사할 수 있고, 바닷새의 깃털에 붙으면 체온이 떨어져 죽을 수 있습니다. 또한, 해수 표면에 기름막이 생기면 해양생물의 호흡을 저해하기도 합니다. 화학적 피해는 기름에 포함된 유독 성분에 의해 발생합니다. 기름에 포함된 방향족탄화수소는 생물의 세포막을 파괴하고, 효소나 구조단백질에 영향을 줍니다. 특히 분자량이 크고 구조가 복잡한 탄화수소는 미생물에 의한 분해가 어려워 해양 생태계에 큰 피해를 줍니다. 출처: [유넵메신저] 해양생물을 아프게 하는 기름 유출 사고|작성자 유엔환경계획한국협회 지도상 유의점 및 TIP ▸학생들의 자기평가에서 객관적인 자세로 자신의 학습활동을 돌이켜보고, 진실성 있게 평가하고, 자기 스스로 피드백을 하는 기회란 것을 강조한다. ▸전체의 활동에 대한 느낀 점을 정리할 수 있도록 지도하며, 특히 자신이 활동 과정에서 중점을 두고 참여했던 활동, 주도적으로 참여했던 활동 등을 중심으로 의미와 필요성, 생태계 보호를 위한 긍정적인 변화에 대해서 서술할 수 있도록 지도함. ▸다른 학생의 동료평가에서 친분이나 한 가지 행동을 보고 평가하는 것을 지양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전체의 학습활동을 고려하여 평가하도록 지도한다. 참고자료 ▸동료평가는 활동을 함께 수행한 동료들이 동등한 관계에서 팀원의 성과와 역량을 평가하는 것으로 평가의 공정성과 결과 수용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협업 과정을 장려하고 개인의 역량 개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평가 과정에서 교과목의 지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역의 역량이 발휘될 수 있도록 진행해야 하며, 학생의 잠재력과 소질을 발견하고 진로를 개발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그리고 경쟁적 평가 풍토보다는 협력을 통한 동반 성장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지도상 유의점 및 TIP ▸해양 보호 생물에 대해 이해한다. 우리나라 해양 보호 생물은 총 80종이다. 해양은 해양 보호 생물의 서식지이므로 해양 보호 생물에 관심을 갖도록 한다. ▸해양 미세플라스틱 문제는 해양생물의 생존문제와 더불어 사람의 생물농축 등 심각한 환경문제이다. 특히 코로나 19 상황으로 인해 마스크 폐기물이 해양 생태계에 나쁜 영향을 끼치고 있으므로 “마스크 끊어서 버리기” “ 잘 버리기” 운동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 참고자료 ▸보호 대상 해양생물 지정현황 (해양수산부 '18.1월 기준 77종 지정) ▸ 파충류 번호 국명(보통명) 학명 1 매부리바다거북 Eretmochelys imbricata 2 붉은바다거북 Caretta caretta 3 장수거북 Dermochelys coriacea 4 푸른바다거북 Chelonia mydas ▸ 어류 번호 국명(보통명) 학명 1 가시해마 Hippocampus histrix 2 고래상어 Rhincodon typus ‘16.9.28. 신규 지정 3 복해마 Hippocampus kuda 4 점해마 Hippocampus trimaculatus ‘16.9.28. 신규 지정 5 홍살귀상어 Sphyrna lewini ‘16.9.28. 신규 지정 초등 SDG 15 생물종이 다양해야 건강해요 ❑ 수업의 개요 주제 육상 생태계의 생물종 다양성 관련 SDGs 15. 육상 생태계 관련 K–SDGs 15. 육상 생태계 보전 15-1. 육상과 내륙담수의 생태계 다양화를 위한 보전과 복원 활동을 활성화한다. 관 련 교 과 및 성취기준 교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사회 [6사08-05]지구촌의 주요 환경문제를 조사하여 해결 방안을 탐색하고, 환경문제 해결에 협력하는 세계시민의 자세를 기른다. 과학 [6과05-03] 생태계 보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생태계 보전을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에 대해 토의할 수 있다. 창의적 체험활동(환경ㆍ지속가능발전교육) E S D 내 용 요 소 사회•정치•문화 환경 경제 ‣ 시민참여 ‣ 환경문제 ‣ 지속가능한 자원의 이용 E S D 중 점 역 량 인지•기능 태도 ‣ 창의적 사고 ‣ 문제해결력 ‣ 규범적 역량 ‣통합적 문제 해결 역량 ‣ 자아성찰적 태도 : 반성적 태도 ‣ 타자지향적 태도 : 협동, 갈등관리, 공감, 감수성 ‣ 민주시민적 태도 : 책임감, 도덕성 ‣ 국제문화적 태도 : 다양성, 글로벌 공동체 의식 S D G s - E S D 성 취 기 준 [15-3] 지속가능한 육상 생태계를 위한 생물종 다양성 보존, 올바른 토양자원의 활용과 육상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2 0 1 5 개 정 교 육 과 정 핵 심 역 량 지식정보 처리 역량 ‣ 주요 활동 : 육상 생태계의 동물의 개체수 감소와 멸종위기 동물들 탐색하기 ‣ 역량신장 내용 : 해양생물의 개체수가 감소하는 원인에 대해 자료를 분석하여, 금어기 정책에 대한 정보를 처리할 수 있음 창의적 사고 역량 ‣ 주요 활동 : 생물들의 멸종을 막기 위한 표어 만들기 ‣ 역량신장 내용 : 멸종 위기 동물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표어로 표현해 보는 등 창의적 사고 역량이 함양됨 의사소통 역량 ‣ 주요 활동 : 멸종위기 동물들에 대한 정보 나누기 ‣ 역량신장 내용 : 모둠별, 짝별 의사소통 과정을 통해 지속가능한 육상 생태계자원을 이용과 멸종위기종들을 보호하기 위해 다양한 정보와 의견을 주고받으며, 의사소통할 수 있음 ❑ 학생 생활기록부 기재 방법(안) ● 멸종위기 동물과 생물종 다양성의 기본개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생태계 보호를 위한 활동 과정과 사회, 과학 교과 내용과 관련한 성취기준 도달 정도를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 멸종위기 동물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멸종위기 동물 큐브를 만들면서 이를 보호하기 위한 가치를 내면화하는 과정에서 구체적인 관찰 및 동료평가 내용을 활동지 작성 내용을 참고하여, 본 활동 내용 및 교과 내용을 결부시켜 학생의 노력을 포함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 ESD 평가지의 ‘자기평가를 해보자’의 생활기록부에 위의 역량별 평가 자료를 바탕으로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 교사의 관찰 평가와 동료평가를 통해 평가 자료를 바탕으로 본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교수 목적에 도달했는지의 정도를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학교생활기록부 작성 예시 지식정보처리 역량 육상생물의 개체 수가 감소하는 원인 및 멸종위기 자료를 인터넷 및 도서 등을 기반으로 조사하고, 멸종위기 동물 내용을 정리할 수 있음. 창의적 사고 역량 멸종위기 동물 및 육상 생태계를 보호하려는 다양한 노력을 표어 만들기를 통해 창의적으로 표현할 수 있음. 의사소통 역량 멸종위기 동물 큐브를 만드는 과정 및 멸종위기 보호를 위한 방안에 대해 자신이 생각하는 바를 예의 있게 이야기하며, 경청하는 태도를 보임. 차시 프로그램 평가 내용 육상 생태계의 육상생물 개체수가 줄어드는 원인을 탐색하고, 멸종위기 생물을 보호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탐색하여 멸종위기 동물 보호 활동을 제안하고,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과정에 참여하면서 생물종 다양성의 중요성을 인식함. ❑ 수업 지도안 전체 지도상 유의점 및 TIP ▸활동 과정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 15번 목표와 세부목표에 부합될 수 있도록 교수활동을 진행하며, 특히 학생들의 지속가능발전목표를 내재화할 수 있도록 한다. ▸멸종위기 동식물 등 육상 생태계자원의 소중함을 깨달을 수 있도록 한다. ▸육상 생태계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규칙을 찾아보고 실천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모둠 활동에서 모둠원들이 모두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지도하며, 방역지에 따라 어려운 점이 있다면 짝 활동이나 온라인 모둠활동으로 대체할 수 있다. ⁕ 한눈에 보는 수업 도입 생각 열기 도도새가 도돌이 되지 않도록 10분 �� 생각 키우기 활동1. 멸종과 멸종위기 동물들 10분 교수 학습 활동 학습자료 및 유의점 ▶ 북극곰 젠가, 나무한그루의 동물 게임 살펴보기 ▶ 생물의 멸종과 관련된 게임 살펴보기 전개 생각 만들기 활동2. 수달을 부탁해 15분 교수 학습 활동 학습자료 및 유의점 ▶ 멸종위기종 조사하기 ▶ 멸종위기 동물 큐브 만들기 ▶ 인터넷 검색을 통해 우리나라 멸종위기 동물들의 이름을 완성하기 ▶ 멸종위기 동물 큐브 놀이하기 �� 정리 생각 정리하기(자기평가/동료평가) 보충자료: 생물다양성 5분 지도상 유의점 및 TIP ▸도도새는 도도새의 멸종뿐만 아니라 하나의 종이 다른 종의 멸종에 영향을 끼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가 된다. ▸본 글을 읽을 때도 멸종위기 동식물 보호가 왜 중요한지 학생들이 깨달을 수 있도록 하며, 동식물의 멸종이 인간에게 올 수 있음도 이해하도록 한다. ▸자연적인 멸종도 있으므로 모든 멸종이 인위적인 아님을 알도록 한다. 참고자료 지구 생명체의 역사를 알려주는 화석 기록을 분석한 기존 연구결과, 지구상의 생물종들은 평균적으로 100만 종당 매년 0.1의 비율로 멸종했다. 만약 지구상에 1,000만 종의 생물종이 있다면 매년 1종 꼴로 멸종한 셈이다. 그런데 세계자연보존연맹(IUCN)은 지난 2010년대에만 467종이 멸종되었다고 선언했다. 매년 46.7종이 멸종한 것이다. 인간이 목록화한 생물종은 약 100만 종이니 지난 10년간은 자연 발생적인 멸종 비율보다 467배나 높은 속도로 멸종한 셈이다. 2010년대에 멸종한 동물 중 가장 화제가 되었던 사례 중 하나는 ‘랩스 청개구리(Rabbs’ Fringe-limbed Treefrog)’였다. 파나마 중부의 산악지역에서만 서식하던 이 개구리는 치명적인 곰팡이의 번식으로 인해 2006년에 거의 전멸했다. 그 때문에 곰팡이가 번지기 전인 2005년부터 미국 애틀랜타 식물원에서 살았던 ‘터피’라는 이름의 랩스 청개구리는 UN 뉴욕 본부 건물에 이미지가 투사될 만큼 멸종 위기종의 유명 동물이 됐다. 하지만 지구상에 딱 한 마리 남아 있던 랩스 청개구리 ‘터피’는 지난 2016년 9월 26일 식물원의 자기 집에서 죽은 채 발견됐다. 생전에 체외수정 등 이 종의 명맥을 잇기 위한 노력들이 모두 실패했기에, 터피의 죽음은 곧 랩스 청개구리의 멸종을 알리는 소식이 된 것이다. 출처: 지난 10년간 멸종된 동물은? 자연적인 멸종 비율보다 467배 빨라, 2020.01.10. 08:00, 더 사이언스타임즈 지도상 유의점 및 TIP ▸시간이 있다면 게임을 대여하여 직접 수업해 볼 수 있다. ▸게임의 규칙을 알고 게임을 하는 것보다는 본 활동을 통해서 어떤 게임인지 유추하고, 이야기 나눔으로써 멸종위기종과 생물다양성에 대해서 학생들이 인식하도록 한다. ▸생물종 다양성이 왜 중요한지에 대해서 생각해보도록 시간을 준다. 참고자료 유럽의 한 연구팀은 인간이 지구의 환경에 악영향을 끼치기 시작한 이후 멸종한 300여 종의 포유류를 대체하는 데 필요한 진화 기간이 얼마나 되는지 계산했다. 몇 년 전에 발표된 연구결과에 의하면 300만~700만 년의 세월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IUCN은 전 세계적으로 1만 6,928종이 향후 수십 년 내에 멸종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UN의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 서비스에 관한 정부 간 과학정책 플랫폼(IPBES)’은 그보다 훨씬 높은 수준의 경고를 하고 있다. 인간이 생물들을 보존하는 데 필요한 행동을 취하지 않을 경우 약 100만 종의 동식물이 멸종위기에 처할 것이라는 보고서를 지난해 5월에 발표한 것. 그에 의하면 전체 양서류 종의 40%, 산호류의 33%, 곤충의 약 10%가 멸종 명단에 포함된다. IPBES의 보고서는 생물다양성 위기의 근본 원인을 5가지로 파악했다. 첫째는 동식물이 서식하기 위한 공간의 감소다. 예를 들어 1980년부터 2000년 사이에 사라진 열대림만 해도 약 1억 헥타르(1ha는 1만㎡)에 이른다. 나머지 4가지 원인은 사냥 및 밀렵, 기후변화, 공해, 외래종 침입이 꼽혔다. 외래종 침입이란 세계화 현상으로 한 지역의 종이 다른 지역으로 이동해 토종 종들을 멸종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의 블랙번 교수팀은 1500~2005년 사이 멸종한 생물 중 16%가 외래종 때문이라는 연구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출처: The Sciencetimes 2020.01.10. 지난 10년간 멸종된 동물은? 지도상 유의점 및 TIP ▸초성을 보고 학생들이 이름을 유추해보도록 한다. ▸멸종위기종 동물의 이름을 통해 학생들이 멸종위기종 동물에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학생들이 이후 큐브 활동에서도 동물의 이름을 활용할 수 있으니, 학생들이 따라 읽어 볼 수 있게 한다. 참고자료 환경부는 1급과 2급으로 멸종위기 야생 동식물을 지정하고 멸종위기에 놓인 야생 동식물들을 보호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어렸을 때 흔히 볼 수 있었던 동식물들 중에도 환경부가 지정한 멸종위기 동식물에 속한 것들이 많이 있습니다. 지정된 동식물은 불법 포획, 채취, 유통 및 보관 등의 행위가 엄격히 금지되며, 3년 주기로 실시되는 ‘전국 분포 조사’의 대상이 되는 등 정부의 관리를 받게 됩니다. 멸종위기 야생 동식물 1급에는 자연적 또는 인위적 위협 요인으로 개체수가 현저히 감소하여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들이 속해 있습니다. 현재 50종의 동식물이 멸종위기 야생 동식물 1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는데, 이 중에는 늑대, 대륙사슴, 반달가슴곰, 붉은박쥐, 사향노루, 산양, 수달, 스라소니, 여우, 표범, 호랑이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멸종위기 야생 동식물 2급은 아직 멸종위기에 처해 있지는 않지만 개체수가 현저히 감소되고 있어 현재의 위협 요인이 제거되거나 완화되지 않을 경우 가까운 장래에 멸종위기에 처할 수 있는 야생 동식물들이 속해 있습니다. 현재 물개, 담비, 물범류, 삵, 큰바다사자, 토끼박쥐, 하늘다람쥐 등이 멸종위기 야생 동식물 2급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습니다. 출처: 한국환경공단 블로그 : http://keco.tistory.com/1093 지도상 유의점 및 TIP ▸수달, 두루미, 늑대, 스라소니, 호랑이 사슴, 노루, 반달곰 등은 멸종위기에 처해 있다. 이들 중 몇몇 동물은 학생들에게 매우 익숙하며 동화책에도 자주 등장한다. 한때 적지 않은 수였던 동물 등이 왜 급격하게 그 수가 줄었는지 의문을 가지고, 조사해보도록 한다. ▸수달, 두루미, 늑대, 스라소니, 호랑이 사슴, 노루, 반달곰 등에 대해 구체적인 정보를 알고 암기하는 것보다는 멸종위기종이 된 이유에 대해서 생각해보도록 한다. 참고자료 픽션동화로 정글북을 각색하여 멸종위기 동식물 편을 만들었다. 정글 숲속에서 자란 모글리는 사람을 잡아먹는 호랑이 시어칸이 사람이 쳐놓은 그물에 걸리자 모글리가 살려주는 동화 출처: https://tv.naver.com/v/883924 지도상 유의점 및 TIP ▸풀과 가위를 이용해서 멸종위기 동물을 붙일 수 있으나, 시간 관계상 스티커 A4용지에 출력하여 쉽게 붙일 수 있도록 한다. ▸4명이 모두 만나는 퍼즐인데, 8개까지 모두 맞출 수 있다. 완성하지 못하는 면은 바로 알려주지 않고 쉬는 시간이나 점심시간 등을 활용하여 완성할 수 있도록 하고, 다음날 정도에 답을 알려줄 수 있다. 참고자료 WWF-Korea(세계자연기금 한국본부) 소개 WWF는 세계 최대 규모의 환경보전기관으로, 전 세계 100개국에 500만 명의 회원들이 글로벌 네트워크를 통해 활발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 지난 10년간 환경보전 활동을 진행해왔으며, 2014년 공식적으로 WWF-Korea를 설립하였습니다. WWF-Korea는 생물의 다양성을 보전하고, 재생 가능한 천연자원들의 지속 가능한 활용 방안을 모색하며, 환경오염 및 낭비적 소비 절감에 대한 의식을 고취시킴으로써 지구의 자연환경 악화를 멈추고, 자연과 인간이 조화롭게 살 수 있는 미래를 만들고자 합니다. 출처: https://www.wwfkorea.or.kr/about/korea/ 지도상 유의점 및 TIP ▸본 선택 활동은 멸종위기 동물 이외의 멸종위기 식물에 대한 관심을 갖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우리 주변에는 다양한 식물이 있다. 식물도 잘 보호하지 못하면 멸종위기 되거나, 멸종이 될 수도 있음을 알도록 한다. ▸우리들이 할 수 있는 멸종위기 식물 보호 활동을 생각해보도록 한다. 참고자료 광릉요강꽃은 지구상에서 가장 진화한 식물로 알려져 있는 난초랍니다. 이 귀하고 우아한 꽃의 이름이 요강인 이유는 마치 요강처럼 생긴 꽃의 생김새와 뿌리 등 전초에서 지린내를 풍겨 광릉요강꽃으로 불리기도 합니다. 냄새가 지독해도 멸종위기종 1급으로 분류되는 아주 귀한 꽃이랍니다. 이름만큼 예쁘고 고운 ‘매화마름’. 꽃잎이 물매화와 비슷하고 잎은 붕어마름 같이 생겨서 지어진 이름이라고 하는데요. 안타깝게도 이 매화마름 역시 서식환경의 악화 등에 따라 그 개체수가 현저하게 감소되고 있다고 해요! 논에서 살아가는 매화마름은 논이 줄어들고 있을뿐더러 농민들에게는 잡초로 취급되어서 이제는 서해안 일부 섬에서만 볼 수 있게 된 ‘매화마름’. 점점 살 곳이 줄어듭니다. 지도상 유의점 및 TIP ▸학생들의 자기평가에서 객관적인 자세로 자신의 학습활동을 돌이켜보고, 진실성 있게 평가하고, 자기 스스로 피드백을 하는 기회란 것을 강조한다. ▸전체의 활동에 대한 느낀 점을 정리할 수 있도록 지도하며, 특히 자신이 활동 과정에서 중점을 두고 참여했던 활동, 주도적으로 참여했던 활동 등을 중심으로 의미와 필요성, 생태계 보호를 위한 긍정적인 변화에 대해서 서술할 수 있도록 지도함. ▸다른 학생의 동료평가에서 친분이나 한 가지 행동을 보고 평가하는 것을 지양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전체의 학습활동을 고려하여 평가하도록 지도한다. 참고자료 ▸동료평가는 활동을 함께 수행한 동료들이 동등한 관계에서 팀원의 성과와 역량을 평가하는 것으로 평가의 공정성과 결과 수용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협업 과정을 장려하고, 개인의 역량 개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평가 과정에서 교과목의 지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역의 역량이 발휘될 수 있도록 진행해야 하며, 학생의 잠재력과 소질을 발견하고 진로를 개발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그리고 경쟁적 평가 풍토보다는 협력을 통한 동반 성장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지도상 유의점 및 TIP ▸학교 공간 혁신의 다양한 사례를 찾아볼 수 있도록 한다. ▸덴마크 이외에도 북유럽 국가 중 많은 나라가 험난한 지형과 기후 탓으로 가족과 함께, 그리고 실내에서 지내는 겨울 시간이 많아 가구, 공간 구성 등 실내 공간에 대한 발전된 사례들이 많이 있다. 요즘 유행하는 스칸디나비아 디자인도 그중 하나라 할 수 있다. 참고자료 생물다양성협약(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은 영문 명칭의 약어인 CBD로 흔히 불린다. 생물다양성협약은 1993년 12월 29일부터 유효하며, 3개의 주요 목적을 지니고 있다. (1) 생물다양성을 보존하고, (2)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생물다양성의 요소를 사용하며, (3) 유전자원으로부터 유래되는 이익을 공정하고 형평에 맞게 공유하는 목적으로 전 세계 168개 국가가 맺은 협약이다. 출처: [네이버 지식백과] 생물다양성협약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식물학백과) 초등 SDG 16 평화 교실, 평화 마을 만들기 ❑ 수업의 개요 주제 평화로운 교실과 마을 만들기 관련 SDG 16. 평화, 정의, 강력한 제도 관련 K–SDGs 16-3. 인권, 정의, 평화; 국내‧국제적 차원에서 법치를 증진하며, 정의에 대한 평등한 접근을 모두에게 보장한다. ‣ 2030 목표치 • 법정의 전체판결건수 대비 무죄판결 건수 비율 확대 관 련 교 과 및 성취기준 교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사회 [6사02-02] 생활 속에서 인권 보장이 필요한 사례를 탐구하여 인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인권 보호를 실천하는 태도를 기른다. 국어 [6국01-02] 의견을 제시하고 함께 조정하며 토의한다. E S D 내 용 요 소 사회•정치•문화 환경 경제 ‣ 인권, 평화, 시민참여 ‣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 E S D 중 점 역 량 인지•기능 태도 ‣ 창의적 사고 ‣ 비판적 사고력 ‣ 문제해결력 ‣ 의사소통능력 ‣ 자아성찰적 태도 : 반성적 태도 ‣ 타자지향적 태도 : 협동, 갈등, 관리, 공감, 감수성 ‣ 민주시민적 태도 : 책임감, 도덕성 ‣ 국제문화적 태도 : 다양성, 글로벌 공동체 의식 S D G s - E S D 성 취 기 준 [16-1] 평화롭고 포용적인 사회 증진과 모두의 정의 실현을 위한 법과 제도의 의미와 형성과정에 대해 이해한다. 2 0 1 5 개 정 교 육 과 정 핵 심 역 량 지식정보 처리 역량 ‣ 주요 활동 : 학급‧마을 평화 공동목표 선정 ‣ 역량신장 내용 : 지속가능한 평화로운 학급과 마을을 만들기 위한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가장 합당한 학급 및 마을의 평화 공동 목표를 선정할 수 있음. 창의적 사고 역량 ‣ 주요 활동 : 학급‧마을 평화 공동목표 선정 ‣ 역량신장 내용 : 학급 및 마을의 평화 공동 목표를 선정하기 위한 다양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도출할 수 있음. 의사소통 역량 ‣ 주요 활동 : 학급‧마을 평화 공동목표 선정 ‣ 역량신장 내용 : 학급 및 마을의 평화 공동 목표를 선정하기 위한 모둠 토의토론 활동에 공감, 협력, 소통 능력을 보여줌. ❑ 학생 생활기록부 기재 방법(안) ● 지속가능한 학급, 마을을 만들기 위해 지켜야 할 규칙과 규범을 정하여 실천하는 과정과 평가 결과를 반영하는 내용을 국어, 사회 교과 내용과 관련한 성취기준 도달 정도를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 지속가능한 평화로운 학급과 마을을 만들기 위해 학생 수준에서 지켜야 할 규칙과 규범을 정하는 토의토론 및 실천의 전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관찰 및 동료평가 내용을 워크북 작성 내용을 참고하여, 본 활동 내용 및 교과 내용을 결부시켜 학생의 노력을 포함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 ESD 평가지의 ‘자기평가를 해보자’의 생활기록부에 위의 역량별 평가 자료를 바탕으로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 교사의 관찰 평가와 동료평가를 통해 평가 자료를 바탕으로 본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교수 목적에 도달했는지의 정도를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학교생활기록부 작성 예시 지식정보처리 역량 지속가능한 평화로운 학급과 마을을 만들기 위한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여, 적절한 규칙과 규범을 만들고, 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음. 창의적 사고 역량 현재의 학급과 마을의 평화를 저해하는 요인을 분석하여, 이에 적합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가지고, 올바른 규칙과 규범을 만듦. 의사소통 역량 공감과 협력의 자세로 지속가능한 평화로운 학급과 마을을 만들기 위한 규칙과 규범을 정하기 위한 토의토론 등 문제해결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함. 차시 프로그램 평가 내용 지속가능한 평화로운 학급과 마을을 만들기 위한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합당한 규칙과 규범을 정하며, 실생활 속에서 적극적으로 실천함. ❑ 수업 지도안 전체 지도상 유의점 및 TIP ▸활동 과정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 16번 목표와 세부목표에 부합될 수 있도록 교수활동을 진행하며, 특히 학생들의 지속가능발전목표를 내재화할 수 있도록 한다. ▸실제 학급 및 마을 내의 삶 가운데 평화를 저해하는 요인을 분석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과 정의롭고 평화로운 학급과 마을을 만들기 위한 적절한 방안을 모색할 수 있도록 한다. ▸모둠 활동으로 전 활동을 진행하며, 모둠 활동간 소외되거나 소극적으로 참여하는 학생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절한 역할과 환경을 조성한다. ⁕ 한눈에 보는 수업 도입 생각 열기 교실과 마을에서의 가장 평화롭고 행복했던 추억 떠올리기 - 추억을 생각하며, 내가 생각하는 가장 이상적인 평화 교실과 마을 상상해 보기. 15분 �� 생각 키우기 활동1. 학급 공동 평화 목표 정하여 실천하기 25분 교수 학습 활동 학습자료 및 유의점 ▶ 학급 공동 평화 목표 선정을 위한 TRIZ 기법 활용 아이디어 도출 ▶ 학급 공동 평화 목표 실천 지침 만들기 ▶ 학급 공동 평화 목표를 모둠별로 선정한 후, 생각 모으기 전체학습 활동을 통해 학급 공동 평화 목표 실천 지침 마련 전개 생각 만들기 활동2. 마을 공동 평화 목표 정하여 실천하기 25분 교수 학습 활동 학습자료 및 유의점 ▶ 마을 공동 평화 목표 선정을 위한 브레인라이팅 토의 ▶ 마을 공동 평화 목표 실천 지침 만들기 ▶ 마을 공동 평화 목표를 모둠별로 선정한 후, 생각 모으기 전체학습 활동을 통해 학급 공동 평화 목표 실천 지침 마련 �� 정리 생각 정리하기(자기평가/동료평가) 보충자료: 솔로몬 부자학 31장(갈등의 원인) 15분 지도상 유의점 및 TIP ▸클래식 음악 등을 감상하며, 학생들이 학교에 다니며, 마을에서 살면서 가장 평화롭고 행복했던 추억을 떠올려 볼 수 있도록 유도한다. ▸친구들과 재미있게 게임을 했던 경험, 마을 공원을 산책하거나 즐겁게 놀았던 경험 등 간단하게 예시를 알려줄 수 있다. ▸포스트잇을 활용한 카드스파이더 기법 등 다양한 창의적 사고기법을 활용할 수도 있다. 참고자료 ✔ “여섯 색깔 사고 모자” 창의적 사고기법(김선(2005). 교육과 창의성. 서울: 학지사 내용 요약)   ‘여섯 색깔 사고 모자(six thinking hats)란 의도적으로 한 번에 한 유형의 사고만을 유도하는 아주 간단한 사고기법이다. 색깔을 달리하는 여섯 개의 모자를 미리 준비해 놓고, 구성원들은 사회자가 지시하는 모자만을 다 같이 쓰고 그 모자가 의미하는 유형을 같이 생각하고 토의한다. 또한, 다른 양식의 모자의 사고로 바꿀 수도 있다. 모자를 바꾸어 쓰면 다시 그 모자가 의미하는 특정의 사고를 함으로써 폭넓은 창의적 사고를 가능하게 하는 매우 간단하면서도 강력한 기법이다.   여섯 색깔 사고 모자 기법은 의도적으로 한 번에 한 가지만을 사고하는 것을 통해서 감정과 논리를 분리시키고 정보와 독창성을 분리시킬 수 있다. 이 모자들은 특정한 사고와 사고 의지를 불러일으키고 일상적인 사고의 틀과는 다른 각도에서 사고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구체적인 틀을 제공한다. 여섯 색깔 사고모자 기법은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생성해 나가는 과정에서 어떤 것을 보는 방식 즉, 지각을 변화시키는 것이며 그리하여 새로운 시각, 새로운 아이디어에 이르도록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생성해 놓은 결과보다는 오히려 생성해 내는 과정을 중요시여기는 것이다.   - 여섯 색깔 사고 모자 기법의 특징   ① 한정된 역할을 제시한다. ② 사고에서 주의집중을 유도한다. ③ 사용이 간편하다.   ④ 서로 다른 색깔의 모자들은 뇌 속의 화학적 균형을 바꾸는 조건화 과정의 자극물질을 유도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⑤ 사고를 위한 게임이나 규칙을 설정해 준다.   - 색깔별 사고모자가 의미하는 사고의 형태   ① 하얀 모자: 중립이나 객관적인 사실이나 정보, 흰색 사고에서 제시된 자료나 정보는 더 나은 정보를 구하기 위한 방향 제시. 흰색 모자를 쓰고 정보를 제시할 때는 더욱 중립적이고 객관성을 유지하도록 노력해야 함.   ② 빨간 모자: 분노, 격정, 육감, 직감, 인상과 같은 감정이나 정서를 의미, 정당화 시킬 필요가 없고, 이유나 근거를 제시할 필요도 없다. 두려움, 싫음, 의심 등과 같은 부정적인 정서는 보통의 정서이고 예감, 직관, 인상 등의 정서는 복합적인 판단의 정서에 속한다.   ③ 노란 모자: 긍정적 사고, 낙관적인 사고, 건설적인 사고, 긍정적 사고는 호기심, 쾌락, 탐욕, 창의적 욕구의 혼합, 논리적, 실용적인 것에서 비전, 희망에 이르는 긍정적 단서 포함. 긍정적인 희망을 가지고 현재의 상황을 앞서가도록 유도하는 사고,  긍정적인 측면과 행복한 도취감(빨간모자)이나 새로운 아이디어의 생성(녹색모자)과는 구별해야 한다. 긍정적 판단에 대한 논리적 근거와 이유를 밝혀야 하며, 실행성(어떻게 달성될 수 있는지)을 찾아야한다.   ④ 검은 모자: 논리적이며 부정적인 측면에서의 사고를 의미. 부정적인 것에는 틀린 것, 부정확한 것, 오류인 것, 경험과 기존의 지식에 맞지 아니한 것, 위험, 모험 등이 포함. 부정적인 사고에 대하여 그 이유를 논리적으로 제시해야 한다. 아이디어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고, 일단 활용 가능하다고 판단되면 검은 모자 사고를 통해서 결점을 지적하면서 아이디어를 개선시켜 나간다. 검은 모자를 쓰고 사고하는 사람은 과학적 사실이나 연구 조사물, 잘 짜여진 자료 등에 대해서도 단호한 어조로 도전할 수 있다.   ⑤ 녹색 모자: 풍요로움, 성장, 생명력을 가진 씨앗을 상징.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생성하거나 대안을 탐색하도록 요구. 녹색 모자 사고는 새로운 아이디어와 사물을 보는 새로운 시각과 관련되며, 더 나은 것을 찾기 위해서는 기존의 아이디어에서 탈피해야 한다. 추가적인 대안생성이나 가능성과 가설을 제시하기 위한 것.   ⑥ 파란 모자: 전체적인 통제를 상징하고, 초연함과 냉정함을 나타낸다. 사고에 대한 사고, 사고에 대한 지시, 다른 모자의 통제를 할 수 있다. 문제를 정리하고, 토의의 초점을 설정하고, 요약하고, 결론까지 내리도록 유도한다. 사고를 전체적으로 고찰하고 요약하여 결론을 내릴 책임을 지고 있다.   5. 사고모자의 활용   ① 녹색 모자 사고에서 제시되는 아이디어를 수집한다.   ② 노란 모자 쓰고 녹색 사고에서 생성된 아이디어를 건설적인 방향으로 발전시킨다. 아이디어에 대해서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그 아이디어의 실행으로 예상되는 이익이나 효율성을 생각해본다.   ③ 검은 모자 쓰고 과연 그 아이디어가 실행 가능한지를 생각하며, 객관적인 사실이나 정보가 필요하면 흰색 모자 사고로 제시할 수 있다.   ④ 마지막 빨간 모자 단계이다. 최종적인 대안에 대한 판단은 주도면밀한 검은 모자나 노란 모자 사고를 통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 여러분이 놀이동산에 갔다고 가정하고 여섯 색깔 사고 모자 기법으로 사고해 봅시다. 지도상 유의점 및 TIP ▸내가 생각하는 가장 이상적인 평화로운 반, 마을을 떠올릴 때 어떤 의견이든 상관없이 무조건 수용을 원칙으로 한다. ▸자유로운 분위기 가운데 발산적 사고를 할 수 있도록 모둠활동 간 교사가 순시하며 격려한다. ▸부정어보다는 긍정어를 사용하여 가장 이상적인 평화로운 반, 마을을 떠올릴 수 있도록 한다. ▸자주 전학을 하거나, 이사를 한 경험이 있는 학생의 경우 시간과 장소를 한정하여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유도한다. 참고자료 이상적인 평화로운 반과 마을을 상상해 보는 데 있어서 중요한 핵심 포인트 - 본 수업의 핵심 키워드는 평화이다. 그 때문에 이상적인 평화로운 반을 이야기할 때, 평화가 없을 때 혼란이 야기되는 반의 예를 들어가며, 자연스럽게 평화의 필요성 문제를 제기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부정어 언어가 아닌 긍정의 언어로 학생들이 평화를 끌어낼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결국, 다양한 갈등과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힘이 바로 평화에 있음을 학생들이 자각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따라서 평화로운 반을 학생 수준에서 “친구들 사이에 고운 말 사용하기”, “서로 배려하고 봉사하는 반” 등의 다양한 의견이 나올 때, 반드시 모든 의견이 존중되어야 하며, 이 의견들의 공통 맥락을 찾을 수 있도록 교사가 적절하게 사고를 수렴해주는 역할을 할 필요가 있다. 단, 사고의 수렴 또한, 학생 스스로 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렇게 평화로운 반과 마을을 상상하는 과정조차도 평화로 와야 할 것이다. 때문에 허승환, 이보라 선생님이 지은 『교실 속 평화놀이』의 다양한 평화놀이를 가져와 활용해 보는 것 또한 좋은 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평화의 종이 뭉치 던지기, 평화 문장 퍼즐 게임 등 책 속에 소개되어 있다. 지도상 유의점 및 TIP ▸학급 공동 평화 목표를 선정하기 위한 사고활동으로 TRIZ 기법을 활용하여 아이디어를 도출할 수 있도록 한다. ▸제시된 사고기법 안내에 따라 단계별 사고 방법을 인지한 후 본 사고활동을 하며, 익숙하지 않은 경우 발명 등 이해하기 쉬운 제재를 가지고 연습을 해 본 후, 본 사고활동을 할 수도 있다. ▸모둠원이 각 단계별 하나의 과정씩 제시할 수도 있으며, 모둠원 모두가 모든 사고의 단계를 제시할 수도 있다. ▸최종적으로 가장 적합한 모둠의 아이디어를 최종안으로 선정할 수 있도록 토의토론 과정을 거친다. 참고자료 TRIZ : 알츠슐러가 개발한 창조적 문제해결 이론(Theory of Inventive Problem Solving, TIPS) * 기술, 발명, 혁신 분야의 창의적 문제해결을 돕는 방법 * 주어진 문제에 대하여 가장 이상적인 결과를 정의하고, 그 결과를 얻는 데 관건이 되는 모순을 찾아내어, 그 모순을 극복할 수 있는 해결안을 얻을 수 있도록 생각하는 방법 ex) 하드디스크의 핵심 원리는 기록용량과 정확도인데, 용량과 정확도는 보통 반비례 관계이다. (모순) → 이러한 모순을 극복하기 위해 최적화를 하여 수직자기기록이 발명되었고, 이는 기록용량과 정확도를 모두 높이게 해주었다. → 혁신적인 발명이나 개선에는 모순을 극복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 전 세계 수백만 건의 특허를 분석해서 도출한 발명의 핵심 원리 * TRIZ에서의 모순 : 기술적 모순, 물리적 모순, 행정적 모순(TRIZ는 기술적 모순을 해결하는데 중점이 되어있는 창의성 사고기법) * 기술적 모순 : 서로 다른 두 가지 이상의 변수가 충돌하는 상황(한 시스템 내에서 두 가지 이상의 요소가 대립되는 상황. 하나의 요소와 다른 요소가 반비례) ex) 하드디스크 : 기록의 용량이 커지면 기록의 정확도가 낮아짐. * 물리적 모순 : 하나의 변수가 서로 다른 특성을 동시에 가져야 하는 상황(하나의 시스템이 상반된 기능을 모두 가지고 있어야 하는 경우) ex) 자전거 체인 : 유연성과 단단함을 모두 가지고 있어야 함 * TRIZ의 발명 원리를 교육에 적용하는 단계 (1) 교사 : 원리의 개념을 설명하기 (2) 교사 : 원리를 쉽게 설명할 수 있는 사례 제시하기 (3) 학생 : 해당 원리를 설명할 수 있는 또 다른 사례 찾아보기 (4) 학생 : 해당 원리를 적용할 수 있는 문제 상황 제시하기 (5) 학생 : 해당 원리를 적용하여 문제 해결하기 지도상 유의점 및 TIP ▸앞선 아이디어 도출 활동 후 모둠의 의견을 수렴하여, 학급 공동 평화 목표를 최종적으로 선정한다. ▸실제 학생들이 살아가는 학교 교실 공간과 시간 속에서 실천 가능한 안이 될 수 있도록 그 타당성을 판단할 수 있도록 교사가 지도한다. ▸학급 공동 규칙의 가장 효과적인 규칙의 수는 대략 3가지에서 4가지이다. 이에 너무 많은 학급 공동 규칙을 세우지 않도록 한다. ▸실제적 실천이 가능한 규칙과 규범을 선정할 수 있도록 하며, 선정 후 일주일 또는 한 달 이상의 기간을 두고 실천해 볼 수 있도록 장을 마련해 준다. 참고자료 ※ 평화로운 학급을 만들기 위한 학급 공동의 목표를 세우는 활동은 관계의 문제로 이야기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활동에 앞서 관계 세우기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 장벽을 넘어서 활동: 한 학기가 다 지나도 반 친구의 이름을 모두 외우지 못한 사람도 있을 수 있다. 해서 본 활동은 반 친구의 이름을 크게 외쳐보며, 관계의 장벽을 넘어서는 활동이다. 방법은 반 전체를 두 팀으로 나누어 같은 편끼리 옹기종기 모여 앉은 후 가림막을 설치한다. 이후 각 팀의 대표 한 명이 맨 앞에 앉아서 하나, 둘, 셋 신호와 함께 가림막을 내렸을 때, 먼저 상대편 대표의 이름을 크게 외치는 팀이 이기는 활동이다. 이 활동은 팀이 하나가 되고, 상대 팀 친구의 이름을 외치며 상대 팀을 이해하고, 관계를 맺어보는 아주 단순하면서도 손쉽게 해 볼 수 있는 활동이다. 지도상 유의점 및 TIP ▸마을 공동 평화 목표를 선정하기 위한 사고활동으로 브레인 라이팅 토의 기법을 활용하여 아이디어를 도출할 수 있도록 한다. ▸제시된 사고기법 안내에 따라 단계별 사고 방법을 인지한 후 본 사고활동을 하며, 비판엄금, 질보다 양, 자유분방, 결합과 개선의 원칙을 지켜 토의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아이디어는 많을수록 좋다. 하지만 정해진 시간이 있으므로, 적절하게 통제한다. ▸최종적으로 가장 적합한 모둠의 아이디어를 최종안으로 선정할 수 있도록 토의토론 과정을 거친다. 참고자료 - 브레인 라이팅 사고기법의 이해 - 이 기법은 일명 6.3.5법이라고도 한다. 6명의 참가자가 각자 3개의 아이디어를 5분 이내에 적는 방식이라는 의미로 이렇게 부르기도 하는 것이다. 한 장의 종이에 주제와 관련하여 생각나는 의견이나 아이디어를 쓰고 5분(또는 3분)이 지나면 옆 참가자에게 종이를 전달한다. 종이를 받은 참가자는 적혀있는 아이디어를 발전시켜서 추가로 3개의 아이디어를 적는다. 인원이 많을 경우에는 대집단은 4~6명으로 세분하고, 위와 동일한 방법을 3개 이상의 아이디어를 5분(또는 3분) 동안 적고 돌리면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아이디어가 떨어질 때까지 하고 나면, 모든 참가자가 그 아이디어를 소유하게 된다. 과정 후에는 나온 의견들 중 좋은 아이디어를 각각 다섯 개 정도 뽑아서 참가자 전원이 평가하고 채택한다. 브레인 라이팅 사고기법의 장점은 특정 개인의 지배적인 영향이 줄어든다는 것이다. 예컨대 발언을 통해 의견을 모은다면 팀장님 뜻대로 가기에 십상이지만, 모두가 공평하게 적으며 누가 적었는지 모르는 상황(무기명)이라면 보다 자유롭게 의견 개진이 가능해질 수 있다. 누군가가 발표할 동안 자신이 아이디어를 생각하는 데 방해받지 않으며 모두의 참여를 끌어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서로 잘 모르는 참여자들이라면 편안한 의견 교환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첫 대면 하거나 서먹서먹한 사람들끼리 의견을 모을 때도 효과적이다. 단, 참가자들 간에 서로 토론하고 자극하는 상승효과 기대할 수 없고, 참여자들의 자발성이 떨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으므로 진행자의 역할이 중요하다. ※ 창의적 사고기법은 본 워크북에 제시된 활동 외에도 다양한 기법들이 있다. 그 때문에 학교 및 학급의 실정에 맞게 다양한 창의적 사고기법을 활용해도 좋을 것이다. 지도상 유의점 및 TIP ▸앞선 아이디어 도출 활동 후 모둠의 의견을 수렴하여 마을 공동 평화 목표를 최종적으로 선정한다. ▸실제 학생들이 살아가는 마을 공간과 시간 속에서 실천 가능한 안이 될 수 있도록 그 타당성을 판단할 수 있도록 교사가 지도한다. ▸마을 공동 규칙의 가장 효과적인 규칙의 수는 대략 3가지에서 4가지이다. 이에 너무 많은 학급 공동 규칙을 세우지 않도록 한다. ▸실제적 실천이 가능한 규칙과 규범을 선정할 수 있도록 하며, 선정 후 일주일 또는 한 달 이상의 기간을 두고 실천해 볼 수 있도록 장을 마련해 준다. 또한, 학급 친구를 넘어 가족, 마을주민과 함께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함께 실천해 볼 수 있도록 독려한다. 참고자료 마을 공동 평화 목표 세우기에 앞서 해보면 좋은 관계 맺기 놀이 활동 “고리 반전 / 고리 풀기” - 친구들과 원을 만들어 뒤집었다가, 꼬았다가, 풀었다가 마음대로 움직여 보는 활동입니다. » 남녀 따로 큰 원을 두 개 만들어주세요. » 고리 반전: 원의 중심을 바라본 방향에서 원의 밖을 바라보는 방향으로 고리를 반전시켜 주면 됩니다. » 고리풀기: 서로 손을 엉키게 잡고(바로 옆 사람이 아니라 마주 보는 사람의 손을 잡으면 되고, 양손을 모두 다른 사람과 잡아야 합니다.) 바르게 풀어 봅시다. » 앞의 ‘장벽을 넘어서’와 마찬가지로 책상을 뒤로 밀고 진행하는 활동입니다. 교사는 번거롭다고 느낄 수 있지만 반대로 학생들은 매우 신나게 활동합니다. 책상을 옮길 때는 3원칙을 주지시킵니다. ‘안전하게! 조용하게! 신속하게!’ » 고리 반전: 쉽게 하는 방법은 두 명의 친구가 맞잡은 손을 위로 들어 문을 만들고 나머지 친구들이 차례로 문을 통과하면, 종이를 뒤집듯 자연스럽게 반전이 됩니다. 먼저 학생들끼리 고민하게 한 후, 교사가 방법을 알려 주세요. » 고리 풀기 : 바로 옆의 친구와 손을 잡는 것이 아니라 맞은편의 서로 다른 두 친구와 양손을 잡고 바르게 풀어나가는 활동입니다. 고리 반전보다 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고리를 풀었을 때의 성취감과 협동심을 크게 느낄 수 있습니다. 지도상 유의점 및 TIP ▸본 선택 활동은 어린이 법제처 사이트에 들어가 직접 법제관 되기에 참여해보는 활동으로 학생의 수준에서 제안할 수 있는 법을 고민하고, 실천해 볼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는 활동이다. ▸어린이 법제처 사이트 자료를 활용하여, 단계별로 교육을 진행할 수 있다. 참고자료 어린이 법제처 사이트: https://www.moleg.go.kr/index.es?sid=a2 어린이 법제관 활동은 매년 3월 초~3월 말 어린이 법제처 홈페이지를 통해 어린이법제관 신청을 받습니다. 신청한 어린이 중 선발 과정을 거쳐 선발된 어린이는 등록절차를 거쳐 어린이법제관이 되고, 어린이법제관은 신청 시 등록한 각자의 이메일과 설정한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의견쓰기 등 온라인 활동과 각종 오프라인 행사 참가신청 등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년 초가 아닌 경우 사이트 내 온라인 법제교육, 온라인 토론 교육 등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으니, 법제관 활동을 대체할 수도 있습니다. 지도상 유의점 및 TIP ▸학생들의 자기평가에서 객관적인 자세로 자신의 학습활동을 돌이켜보고, 진실성 있게 평가하고, 자기 스스로 피드백을 하는 기회란 것을 강조한다. ▸전체의 활동에 대한 느낀 점을 정리할 수 있도록 지도하며, 특히 자신이 활동 과정에서 중점을 두고 참여했던 활동, 주도적으로 참여했던 활동 등을 중심으로 의미와 필요성, 생태계 보호를 위한 긍정적인 변화에 대해서 서술할 수 있도록 지도함. ▸다른 학생의 동료평가에서 친분이나 한 가지 행동을 보고 평가하는 것을 지양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전체의 학습활동을 고려하여 평가하도록 지도한다. 참고자료 ▸동료평가는 활동을 함께 수행한 동료들이 동등한 관계에서 팀원의 성과와 역량을 평가하는 것으로 평가의 공정성과 결과 수용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협업 과정을 장려하고 개인의 역량 개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평가 과정에서 교과목의 지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역의 역량이 발휘될 수 있도록 진행해야 하며, 학생의 잠재력과 소질을 발견하고 진로를 개발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그리고 경쟁적 평가 풍토보다는 협력을 통한 동반 성장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지도상 유의점 및 TIP ▸갈등의 원인이 되는 5가지를 이야기한 자료로 이외에도 갈등은 인간의 삶 가운데 당연한 것이며, 그 때문에 법과 질서가 필요한 것임을 교육할 수 있다. ▸이외에도 사회정의와 평화를 유지하고, 지켜나가기 위한 다양한 예시자료를 활용할 수 있다. 참고자료 사하라 원주민의 사연 사하라 사막 서쪽에는 사하라의 중심이라 불리는 작은 마을이 있습니다. 매년 적지 않은 여행자들이 이곳을 방문하기 위해 사막을 찾습니다. 하지만 레빈이라는 사람이 그곳을 발견하기 전까지는 그 마을은 전혀 개방되지 않은 시골 마을이었습니다. 이곳 사람들은 한 번도 사막을 벗어난 적이 없었습니다. 많은 이들이 이 척박한 곳을 떠나고 싶어서 탈출을 시도했지만 단 한 명도 성공한 사람이 없었던 것입니다. 레빈은 믿을 수가 없어 손짓 발짓으로 마을을 떠나지 못한 이유를 물어 보았더니 사람들의 대답은 모두 같았습니다. “어느 방향으로 가든 결국 처음 출발한 곳으로 다시 돌아오더라고요.” 그는 이 말이 사실인지 실험해 보기 위해 직접 북쪽을 향해 걸었고, 3일 만에 사막을 빠져나왔습니다. 그렇다면 마을 사람들은 왜 빠져나오지 못했던 것일까? 레빈은 답답한 마음에 마을 사람 가운데 청년 한 명을 데리고 그가 가는 대로 따라가 보았습니다. 밤낮없이 길을 걸었지만, 11일째 되는 날 마을 사람들의 말대로 그들은 다시 원점으로 돌아왔습니다. 레빈은 마침내 그들이 사막을 벗어나지 못하는 이유를 알아냈습니다. 마을 사람들은 바로 ‘북극성’의 존재를 몰랐던 것입니다. 레빈은 청년을 데리고 다시 함께 길을 떠났습니다. 그리고 낮에는 충분히 휴식을 취하며 체력을 아꼈다가 밤에 북극성을 따라 걷다 보면 사막을 벗어날 수 있을 것이라고 알려 주었습니다. 청년은 레빈의 말대로 했고, 과연 사흘 만에 사막의 경계 지역에 다다를 수 있었습니다. 그 청년은 훗날 사막의 개척자가 되었고, 개척지 중심에 그의 동상이 세워졌는데, 동상 아래에 이런 글귀가 새겨져 있었습니다. 새로운 인생은 방향을 찾음으로써 시작됩니다. ‘사하라 원주민의 사연’은 천주교 인천교구 차동엽 신부님이 쓰신 ‘무지개 원리’에 실린 글입니다. 사람은 나이가 많고 적음에 상관없이 삶의 목표를 정한 그날부터 진정한 인생의 항해가 시작되며, 이전의 날들은 그저 쳇바퀴 도는 듯한 생활에 불과합니다. 교실에도 우리 인생 여정의 길잡이가 되어 줄 북극성 같은 것이 필요합니다. 학기 초, 교실에서 함께 정한 ‘학급 평화 공동의 목표’와 ‘마을 평화 공동의 목표’는 일 년 동안 학급 여정의 길잡이가 될 북극성 역할을 해 줄 것입니다. 초등 SDG 17 나도 마을 기업가! ❑ 수업의 개요 주제 우리 학교협동조합 만들기 계획 관련 SDG 17. SDGs를 위한 파트너십 관련 K–SDGs 17-7. 효과적인 공공, 공공‧민간 및 시민사회 간 파트너십을 권장하고 촉진한다. ‣ 2030 목표치 • SDGs 이행을 위한 민관협의체 참여기관 및 정례회의 건수 확대 관 련 교 과 및 성취기준 교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사회 [6사06-01] 다양한 경제활동 사례를 통해 가계와 기업의 경제적 역할을 파악하고, 가계와 기업의 합리적 선택 방법을 탐색한다. 국어 [6국01-05] 매체 자료를 활용하여 내용을 효과적으로 발표한다. E S D 내 용 요 소 사회•정치•문화 환경 경제 ‣ 인권, 평화, 시민참여 ‣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E S D 중 점 역 량 인지•기능 태도 ‣ 창의적 사고 ‣ 비판적 사고력 ‣ 문제해결력 ‣ 의사소통능력 ‣ 자아성찰적 태도 : 반성적 태도 ‣ 타자지향적 태도 : 협동, 갈등, 관리, 공감, 감수성 ‣ 민주시민적 태도 : 책임감, 도덕성 ‣ 국제문화적 태도 : 다양성, 글로벌 공동체 의식 S D G s - E S D 성 취 기 준 [17-2]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필요한 개인, 국가 등 다양한 관계에서의 협력 방안에 대해 알아본다. 2 0 1 5 개 정 교 육 과 정 핵 심 역 량 지식정보 처리 역량 ‣ 주요 활동 : 나눔의 경제 이해 활동 ‣ 역량신장 내용 : 주어진 영상자료 및 나눔 리스트 작성 활동을 통해 나눔 경제의 기본 개념을 이해함 창의적 사고 역량 ‣ 주요 활동 : 나도 마을 기업가 되기 활동 ‣ 역량신장 내용 : 우리 학교협동조합 계획하기 활동을 통해 우리 학교와 매점의 지속가능을 위한 창의적 아이디어를 도출함 의사소통 역량 ‣ 주요 활동 : 나도 마을 기업가 되기 활동 ‣ 역량신장 내용 : 우리 학교협동조합 계획하기 활동 과정을 통해 나눔과 배려, 공감, 협력적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함 ❑ 학생 생활기록부 기재 방법(안) ●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가 이루어지는 나눔 경제활동을 위한 마을기업(우리 학교협동조합) 만들기 계획을 위한 전 과정과 평가 결과를 반영하는 내용을 국어, 사회 교과 내용과 관련한 성취기준 도달 정도를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가 이루어지는 나눔 경제활동을 위한 마을기업(우리 학교협동조합) 만들기 계획을 위한 전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관찰 및 동료평가 내용을 워크북 작성 내용을 참고하여, 본 활동 내용 및 교과 내용을 결부시켜 학생의 노력을 포함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 ESD 평가지의 ‘자기평가를 해보자.’의 생활기록부에 위의 역량별 평가 자료를 바탕으로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 교사의 관찰 평가와 동료평가를 통해 평가 자료를 바탕으로 본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교수 목적에 도달했는지의 정도를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학교생활기록부 작성 예시 지식정보처리 역량 나눔 경제활동의 필요성과 의미를 알아 나눔 리스트를 작성할 수 있음. 창의적 사고 역량 우리 학교와 마을의 현재의 필요를 알아 가장 적합한 우리 학교협동조합을 상상하여 계획할 수 있음. 의사소통 역량 공감과 협력의 자세로 우리 학교협동조합을 만들기 위한 토의토론 등 문제해결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함. 차시 프로그램 평가 내용 우리 학교협동조합을 만들기 위한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적합한 협동조합을 계획할 수 있으며, 나눔 경제의 필요와 중요성을 이해함. ❑ 수업 지도안 전체 지도상 유의점 및 TIP ▸활동 과정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 17번 목표와 세부목표에 부합될 수 있도록 교수활동을 진행하며, 특히 학생들의 지속가능발전목표를 내재화할 수 있도록 한다. ▸실제 우리 학교와 마을의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를 위해 필요한 협동조합을 상상하여 계획할 수 있도록 한다. ▸모둠 활동으로 전 활동을 진행하며, 모둠 활동간 소외되거나 소극적으로 참여하는 학생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절한 역할과 환경을 조성한다. ⁕ 한눈에 보는 수업 도입 생각 열기 모아 그림 그리기 및 나눔 경제 이해 활동 - 모아 그림 그리기와 나눔 리스트 작성활동을 통해 나눔 경제의 의미와 필요성 이해 15분 �� 생각 키우기 활동1. 우리 모둠 나눔 활동 작성 / 사회적 협동조합 알기 25분 교수 학습 활동 학습자료 및 유의점 ▶ 우리 모둠이 실천할 수 있는 나눔 방법 선정 ▶ 사회적 협동조합의 의미와 필요성 이해 ▶ 학생이 실제로 실천할 수 있는 나눔 방법을 선정해야 하며, 로치데일 협동조합의 선순환적 가치를 이해하도록 다양한 예시자료를 활용 가능 전개 생각 만들기 활동2. 나도 마을 기업가 되기 25분 교수 학습 활동 학습자료 및 유의점 ▶ 일반 기업 생산판매 고추장과 지역 생산판매 고추장 비교‧분석 활동 ▶ 우리 학교협동조합 만들기 계획 ▶ 대기업 생산판매의 부정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아니라 비교‧분석 활동을 통해 마을기업의 필요와 의미를 이해하는 데 초점을 맞춤 ▶ 다양한 협동조합의 아이디어가 나올 수 있도록 질보다 양에 먼저 집중한 후 협동조합 아이디어 개선이 이루어지도록 함 �� 정리 생각 정리하기(자기평가/동료평가) 보충자료: 나눔을 실천한 돈 호세 마리아 신부 15분 지도상 유의점 및 TIP ▸모둠원끼리 조각그림의 퍼즐을 맞춰 완성본을 확인하게 한다. ▸익숙한 그림을 자세히 탐구하면서 알게 된 것이 있는지, 느낌은 어땠는지 이야기한다. 또한, 익숙한 그림도 보는 사람에 따라 모두가 다르게 기억한다는 것을 이야기해 준다. 다른 것과 틀린 것은 동일한 의미가 아님을 이야기. ▸자유롭게 확산적 사고를 할 수 있도록 분위기 조성 참고자료 사회적 경제 속에 숨어있는 네 가지 가치 1 공감 : 남의 주장이나 생각, 의견, 감정 등에 대하여 자기도 그러하다고 느끼는 것 또는 그러한 마음. 사회적 경제는 이윤을 향해 한 방향으로만 달려가지 않습니다. 다수의 행복과 자원의 순환을 추구하는 경제활동입니다. 경제활동 과정에서 사람이 소외되지 않고, 이윤 때문에 양심을 포기하는 일은 없는지 항상 생각합니다. 사회적 경제가 공감하고자 하는 대상은 ‘사람’과 ‘사회’입니다. 2 나눔(분배) : 생산물이 그 사회 구성원에게 나누어지는 과정. 사회적 경제에서 나눔(분배)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소유하지 않고 공유(sharing)하는 것, 기부와 재능, 일자리 나눔도 나눔의 다양한 얼굴입니다. 나눔은 사회적 경제의 가장 기본적인 가치입니다. 3 다양성 : 여러 가지 양상을 가진 특성. 사회적 경제는 자본 중심이 아닌 사람을 먼저 생각하는 경제입니다. 개인의 다양성과 욕구가 반영되고 그것을 경제활동에 반영합니다. 로컬푸드, 사회적 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자활기업 등은 다양한 사람들의 다양한 경제활동을 존중하고 지향하는 사회적경제의 모습입니다. 4. 협동 : 서로 마음과 힘을 하나로 모으는 것. 개인이나 혹은 집단이 공동의 목적과 목표달성을 위해 협력하는 활동. 협동조합은 협동이라는 가치가 반영되어 있는 대표적인 사회적 경제 조직입니다. 협동조합은 공동(공공)의 이익을 위해 사업을 하면서도 구성원들이 골고루 열매를 나누어 가질 수 있는 운영시스템을 가지고 있습니다. 경쟁보다는 협력을, 독점보다는 공생을, 지역사회와 자연생태를 보전하고자 하는 정신을 기본으로 하고 있습니다. 출처: 안산시 사회적 경제 지원센터(2017). 우리들의 사회적 경제 이야기(교사용). 청맥. 지도상 유의점 및 TIP ▸나눔이란 자신이 가진 유형 또는 무형의 것을 대가 없이 타인과 공유하는 것 ▸아주 작은 것이라도 자신이 가지고 있는 것을 친구들과 주위 사람들과 나눌 때 그 의미가 배가 됨을 이해할 수 있도록 지도 참고자료 지도상 유의점 및 TIP ▸나눔 리스트 중 공통된 것이 없는 경우 우리 모둠에서 실천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나눔의 방법 선정 참고자료 그라민 은행 그라민 은행은 방글라데시 시민들의 빈곤 문제를 해결하고자 무함마드 유누스가 설립한 소액대출 은행이다. 무함마드 유누스는 온종일 일해서 번 돈을 고리대금업자로부터 빌린 돈의 이자를 내느라 빈곤에서 탈출하지 못하는 가난한 사람들을 구제하고자 1976년 그라민 뱅크를 설립하였다. 주변에서는 가난한 사람들이 과연 돈을 갚을 것인가에 강한 의문을 가졌지만 놀랍게도 90%이상의 상환율을 보였고, 그라민 은행과 유누스는 2006년에 노벨평화상을 공동으로 수상하기도 하였다. 이탈리아 사회적 협동조합 카디아이 이탈리아 볼로냐의 사회적 협동조합 카디아이(CADIAI)는 협동조합의 Cooperative, 재가 돌봄 Assistenza Domiciliare, 환자 Infermi, 노인 Anziani, 어린이 Infanzia의 머리글자를 따서 만든 사회적 협동조합이다. 노인, 장애인, 어린이 등에게 돌봄, 교육서비스를 제공하고, 취약계층을 고용하는 협동조합으로 활동하고 있다. 지도상 유의점 및 TIP ▸로치데일 협동조합 이외에도 다양한 사례를 활용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그라민 은행 등 다양한 사회적 협동조합 사례를 제시하며, 우리 학교와 마을, 그리고 우리나라에 필요한 사회적 협동조합을 상상해 볼 수 있도록 독려한다. ▸꼭 사회적 협동조합이 아니더라도, 사회적 경제라는 의미에 부합된 경제활동이 필요한 이유를 제시해도 좋다. ▸본 활동의 가장 중요한 핵심개념인 공유경제로서의 사회적 협동조합의 의미를 이해하고, 우리 사회에 필요한 이유를 고민해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핵심이다. 참고자료 몬드라곤 협동조합 : 몬드라곤 협동조합복합체는 유럽에서도 ‘변두리’에 위치한 스페인 바스크 지방의 한 작은 마을에 위치해 있는 세계적인 협동조합복합체이다. 스페인 내전이 한창이던 1941년 돈 호세 마리아 아리스멘디 아리에타 신부가 이곳에 부임하면서 몬드라곤의 역사는 시작된다. 1956년 돈 호세 마리아 신부는 5명의 제자들과 함께 몬드라곤의 첫 번째 노동자협동조합인 ‘울고(ULGOR)’(석유난로 공장)를 창립하였다. 이후 노동자금융협동조합인 ‘카자 라보랄(Caja Laboral)’과 자체 사회복지협동조합인 ‘라군 아로(Lagun Aro)’를 창립하는 등 지역사람들에게 많은 일자리를 만들어주었다. 1987년에 몬드라곤 협동조합 그룹(Group of Co-operative Mondragon)에서 1991년 몬드라곤 협동조합기업(Mondragon Co-operative Corporation)으로 발전하면서 협동조합 기업집단으로 거듭 나게 되었다. 돈 호세 마리아 신부는 이 세상에 없지만 그가 남긴 몬드라곤은 60여년 이상의 연륜을 쌓아 직원 8만여 명, 연간 매출 58억 유로(한화 약 8조1천억), 110여 개의 협동조합 그룹으로 거듭나 있다. 지도상 유의점 및 TIP ▸일반기업과 지역 생산판매 고추장 비교분석 간 지나치게 대기업 또는 일반기업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에 편중되지 않도록 주의한다. ▸아이디어는 많을수록 좋다. 하지만 정해진 시간이 있으므로, 적절하게 통제한다. ▸비교분석을 통해 마을기업의 필요와 의미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참고자료 지도상 유의점 및 TIP ▸학교매점 협동조합이 익숙하지 않은 초등학생들에게는 아래의 예시안을 제시해준 후, 함께 이야기해 볼 수도 있다. 참고자료 우리나라의 극장은 이윤중심 시장경제의 가장 대표적인 모습입니다. 흥행이 되어 ‘돈 되는’ 영화는 거의 모든 상영관에서 조조와 심야를 가리지 않고 상영합니다. 하지만 흥행영화 외에 다른 영화들은 상영될 틈도 없이 어느 날 갑자기 상영관에서 사라져 버립니다. 우리도 모르는 사이에 문화다양성을 경험할 기회를 박탈당하는 순간입니다. 사회적 경제는(돈 되는) 어느 하나만을 독점하지 않습니다. 사람이, 사회가 함께 공유할 수 있는 것이라면 다양한 사람과 조직이 함께 참여하는 ‘다양성’을 추구하게 되는 것입니다. ※ 협동조합의 운영원리와 주식회사의 운영원리는 어떤 점에서 다를까? 협동조합이나 주식회사나 둘 다 자본을 출자해서 조합(또는 회사)이 많은 이익을 내기를 바라는 것은 똑같다. 하지만 목적과 운영원리는 확연히 다르다. 주식회사는 주주의 최대이익을 내는 것이 사업의 유일한 목적이지만 협동조합은 참여한 모두의 공동(共同) 또는 공공(公共)의 이익을 추구한다. 주식회사는 주식을 가장 많이 가진 사람(대주주)이 경영권을 가져간다. 이익도 대주주가 가장 많이 가져간다. 모든 의사결정은 대주주의 ‘입김’에 따라 움직일 수밖에 없다. 하지만 협동조합의 경영권은 조합원 대표 또는 조합원이 직접 선출하거나 선임한 사람이 경영을 위임받으며 이사회 또는 총회에 보고하고, 평가받는다. 당연히 출자를 많이 한 사람의 ‘입김’은 작용할 수 없으며 민주적인 의사결정 구조가 자연스럽게 형성된다. 출처: 안산시 사회적 경제 지원센터(2017). 우리들의 사회적 경제 이야기(교사용). 청맥. 지도상 유의점 및 TIP ▸아래의 예시답안을 적절하게 제시하며, 학생들의 발산적 사고를 유도한다. 참고자료 (예시답안) 지도상 유의점 및 TIP ▸필리핀 무스코바도 설탕 공장의 사회적 경제 이야기 •필리핀 파나이섬의 무스코바도 설탕공장은 오래전부터 무스코바도 생산지로 잘 알려져 있었지만, 워낙 생산 시설이 열악한 탓에 시장에서 경쟁할 수 있는 설탕생산은 꿈도 꾸지 못하는 상황이었다. iCOOP소비자생활협동조합(아이쿱생협)과 필리핀 파나이 공정무역센터(PFTC, PANAY Fair Trade Center)는 판로개척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이 지역에 무스코바도 설탕공장 건립을 결정하고, 아이쿱생협은 재정지원을 맡았다. •아이쿱생협 조합원, 생산자 및 임직원들은 2010년 무스코바도 공장건립을 위해 한 달간 희망기금모금 캠페인을 펼쳐, 7,109명이 1억8천여만 원을 모금 •2010년 12월 착공식을 갖고 2011년 8월 준공 후 무스코바도 설탕이 생산·유통되기 시작하여 아이쿱 조합원들도 이 설탕을 구매하기 시작. 이러한 노력 덕분에 이 지역 생산자들의 경제적, 사회적 어려움은 줄어들고, 생산자회 농민들은 지속적인 고용과 수입을 얻게 되었다. 특히 무스코바도 설탕공장이 설립된 이 지역은 낮은 임금과 고용불안 등으로 빈곤에서 벗어나기가 어려운 형편이었다. 참고자료 지도상 유의점 및 TIP ▸학생들의 자기평가에서 객관적인 자세로 자신의 학습활동을 돌이켜보고, 진실성 있게 평가하고, 자기 스스로 피드백을 하는 기회란 것을 강조한다. ▸전체의 활동에 대한 느낀 점을 정리할 수 있도록 지도하며, 특히 자신이 활동 과정에서 중점을 두고 참여했던 활동, 주도적으로 참여했던 활동 등을 중심으로 의미와 필요성, 생태계 보호를 위한 긍정적인 변화에 대해서 서술할 수 있도록 지도함. ▸다른 학생의 동료평가에서 친분이나 한 가지 행동을 보고 평가하는 것을 지양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전체의 학습활동을 고려하여 평가하도록 지도한다. 참고자료 ▸동료평가는 활동을 함께 수행한 동료들이 동등한 관계에서 팀원의 성과와 역량을 평가하는 것으로 평가의 공정성과 결과 수용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협업 과정을 장려하고 개인의 역량 개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평가 과정에서 교과목의 지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역의 역량이 발휘될 수 있도록 진행해야 하며, 학생의 잠재력과 소질을 발견하고 진로를 개발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그리고 경쟁적 평가 풍토보다는 협력을 통한 동반 성장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지도상 유의점 및 TIP ▸이외의 다양한 협동조합의 예를 제시해도 좋다. 참고자료 중학생용 지도서 SDG 13 중등 기후변화와 감염병 ❑ 수업의 개요 주제 기후변화 대응하기 관련 SDGs 13. 기후변화 대응 관련 K–SDG 13. 기후변화 대응 13.3. 기후변화 완화, 적응, 영향 감소, 조기 경보 등에 관한 교육, 인식 제고, 인적・제도적 역량을 강화한다. 관 련 교 과 및 성취기준 교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사회 [9사(지리)10-01] 전 지구적인 차원에서 발생하는 기후변화의 원인과 그에 따른 지역 변화를 조사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역적・국제적 노력을 평가한다. 환경 [9환03-10]기후변화 현상의 원인을 구분하고, 기후변화로 발생되는 갈등 해결 방안을 지구공동체의 관점에서 토의한다. E S D 내 용 요 소 사회•정치•문화 환경 경제 ‣ 안전, 시민참여 ‣ 기후변화 ‣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E S D 중 점 역 량 인지•기능 태도 ‣ 창의적 사고 ‣ 비판적 사고력 ‣ 문제해결력 ‣ 의사소통능력 ‣ 자아성찰적 태도 : 반성적 태도 ‣ 타자지향적 태도 : 협동, 갈등, 관리, 공감, 감수성 ‣ 민주시민적 태도 : 책임감, 도덕성 ‣ 국제문화적 태도 : 다양성, 글로벌 공동체 의식 S D G s - E S D 성 취 기 준 [13-3] 기후변화 완화, 적응, 영향 감축 및 조기 경보 등 기후변화를 대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2 0 1 5 개 정 교 육 과 정 핵 심 역 량 지식정보 처리 역량 ‣ 주요 활동 : 팬데믹과 그 영향은? ‣ 역량신장 내용 : WHO에서 선포한 팬데믹의 선포 사례를 보고 사례별 치사율, 감염률을 정리해 보고 전파 차단 대책, 감염원 등을 분석할 수 있다. 창의적 사고 역량 ‣ 주요 활동 : 기후변화와 팬데믹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 ‣ 역량신장 내용 : 동영상 ‘기후위기는 새로운 바이러스와 접촉할 가능성을 높인다’를 보고 동물접촉, 국제교류, 인구밀도 면에서 팬데믹이 발생할 수 있는 사례를 융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의사소통 역량 ‣ 주요 활동 : 팬데믹에서 살아남기 ‣ 역량신장 내용 : 코로나 19로 인해 국내외 교류가 줄어들어 나타난 현상을 분석하고, 이에 따라 생태계 변화, 기후변화 영향이 무엇인지 모둠원과 토론을 통해 종합적으로 서술해 본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기후변화, 생태계 교란, 팬데믹의 관계를 정리해 본다. ❑ 학생 생활기록부 기재 방법(안) ● 팬데믹과 기후변화의 상관관계를 이해하고 기후변화로 인해 팬데믹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여, 현재 그리고 미래의 기후변화로 인한 팬데믹을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을 이해하는 도달 정도를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 코로나 19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나타난 생태계 변화와 기후변화 영향을 토론하는 과정에서 현상을 융합적인 방법으로 분석하고, 이를 검증하는 토론을 통해 얻게 된 학생의 역량을 포함하여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 ESD 평가지의 ‘자기 평가를 해보자’의 생활기록부에 위의 역량별 평가 자료를 바탕으로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 교사의 관찰 평가와 동료 평가를 통해 평가 자료를 바탕으로 본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교수 목적에 도달했는지의 정도를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학교생활기록부 작성 예시 지식정보처리 역량 WHO에서 선포한 팬데믹의 선포 사례를 보고, 사례별 치사율, 감염률을 정리해 보고, 전파 차단 대책, 감염원 등을 분석할 수 있음. 창의적 사고 역량 기후위기와 팬데믹의 관계를 동물접촉, 국제교류, 인구밀도 면에서 융합적으로 사고하여 분석하였음. 의사소통 역량 코로나 19로 인해 국내외 교류가 줄어들어 나타난 생태계 변화, 기후변화 영향 등을 토론하는 과정에 상대방의 의견을 수용하여, 기후변화, 생태계 교란, 팬데믹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음. 차시 프로그램 평가 내용 해양자원의 파괴와 나의 식생활과 연관성을 찾아보고, 대게와 꽃게 금어기를 통해 해양자원을 지속가능하게 사용하는 방법을 모색해 볼 수 있음. ❑ 수업 지도안 전체 지도상 유의점 및 TIP ▸활동 과정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 13번 목표와 세부목표에 부합될 수 있도록 교수활동을 진행한다. ▸도입단계는 재미있게 전개 단계는 학생들의 참여와 많은 사고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정리단계에서 결과의 긍정적 마인드와 칭찬하는 분위기 조성한다. ▸모둠 활동에서 모둠원들이 모두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한눈에 보는 수업 도입 생각 열기 줄어드는 빙산과 빙하 5분 생각 키우기 시베리아에 나타난 탄저균의 공포 5분 �� 생각 만들기 활동1. 팬데믹과 그 영향은? 10분 교수 학습 활동 학습자료 및 유의점 ▶ WHO에서 선포한 팬데믹 선포 사례 특징 분석하기 ▶ 팬데믹에 관한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B_45XgkNmdM 전개 생각 만들기 활동2. 기후변화와 팬데믹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 10분 교수 학습 활동 학습자료 및 유의점 ▶ 팬데믹이 발생할 수 있는 3가지 요소(동물접촉, 국제교류, 인구밀도)를 영상에서 찾아보기 ▶ 기후변화로 인해 감염병이 확산되는 사례 찾기 ▶ 기후변화와 팬데믹의 관계 동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65P9nWyM4so �� 생각 만들기 활동3. 팬데믹에서 살아남기 10분 교수 학습 활동 학습자료 및 유의점 ▶ 코로나 19 극복을 위한 행동수칙 분석해 보기 ▶ 코로나 19로 인해 나타난 현상, 생태계 변화, 기후변화 영향 알아보기 ▶ 기후변화, 생태계 교란, 팬데믹 관계 알아보기 ▶ 기후변화, 생태계 교란, 팬데믹의 인과 관계를 연결할 수 있도록 적시 적절한 설명을 제시해 주어 학생들의 이해를 돕는다. �� 정리 생각 정리하기(자기 평가/동료 평가) 보충자료: 기후변화에 대한 10가지 사실들 5분 지도상 유의점 및 TIP ▸지구상에 있는 얼음으로 존재하는 것들을 생각하게 하고, 그중에 빙산과 빙하의 유래를 생각하게 한다. ▸그리고 지구온난화로 기온이 높아졌을 때 녹아서 해수면 상승으로 이어지는 것이 어떤 것인지 알게 한다. ▸빙하가 사라지는 실제 사례를 제시하여 지구온난화가 지금 벌어지고 있는 일이라는 것을 알게 한다. 참고자료 ▸해수면 상승원인 1. 빙하의 해빙 북극 바다 위에 떠 있는 빙산은 녹아도 해수면이 상승하지 않는다. 반면 남극 대륙 위에 있는 두께 3km의 빙하는 녹으면 바다로 흘러 들어가 해수면이 상승할 것이다. 2. 물의 팽창 http://www.astronomer.rocks/news/articleView.html?idxno=85191 북극의 빙산은 녹아도 해수면이 상승하지 않는다고 안심할 수 있을까? 그렇지 않다. 빙산과 같이 흰 물체는 빛을 받으면 대부분 반사시키지만 바다와 같은 어두운 물체는 빛을 대부분 흡수한다. 북극의 빙산이 줄어들면 그만큼 바다의 면적이 늘어날 것이다. 그러면 빛을 반사하는 정도가 줄어드는 반면 열을 흡수하게 된다. 여기서 문제가 발생하는데 바다가 열을 흡수하면 물이 팽창하게 된다. 물질은 온도가 높아지면 분자운동이 활발해져서 부피가 증가하게 된다. 냄비에 물을 넣고 끓이면 물이 넘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물이 온도가 상승하면 팽창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바다 온도가 높아지면 물이 팽창하여 해수면이 상승할 것이다. 지도상 유의점 및 TIP ▸지구온난화로 인해 시베리아의 영구동토가 녹아서, 그 밑에 숨어 있던 탄저균 같은 것들이 퍼질 수 있다는 상관관계를 알아본다. ▸이 수업이 지구온난화와 바이러스 확산으로 인해 공포감을 조성하기 위함이 아니라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것임을 강조하여 지도한다. ▸지구온난화로 기온이 상승하여 시베리아와 같이 황무지가 유용한 땅으로 변할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개발이 확대되면 기후변화가 더 심각해질 수 있다는 내용을 안내한다. 모범답안 구분 내용 정의 탄저균은 바실러스 안트라시스(Bacillus anthracis)라는 공식 명칭을 갖고 있는 흙 속에 서식하는 세균으로 길이 4~8㎛, 너비 1-1.5㎛이다. 감염경로 탄저병은 탄저균의 포자를 섭취해야 일어나며 주로 소, 양 등의 초식동물에게 발생하고 육식동물이나 사람에게는 발생 빈도가 적은 편이다. 사람이 탄저균을 접촉하게 되는 경로는 주로 동물의 배설물이나 사체 또는 흙을 통한 방법이며, 피부나 호흡기를 통하여 체내로 들어오거나 곤충에 물려서 감염되는 경우도 있다. 탄저균 vs 탄저병 탄저균은 인수공통전염병인 탄저병(Anthrax)을 일으키는 원인균 탄저병은 탄저균에 감염된 동물과 접촉하거나 공중에 퍼져 있는 탄저병 포자를 흡입해 전파되는 감염성 질병 탄저균 감염 증상 탄저균을 섭취하면 초기에는 병이 잠복한 상태로 감기와 유사한 증상이 나타나고, 이어서 폐에 울혈이 발생한다. 그러다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엄청난 수의 병원균이 자라면서 생명체를 죽음으로 이끈다. 지도상 유의점 및 TIP ▸과거 WHO가 선언했던 팬데믹의 주요 내용을 학습하는 과정이다. ▸본 과정을 통해 과거 팬데믹의 특성을 근거로 코로나 19의 전개 상황을 예상해 볼 수 있다. ▸코로나 19의 진행 과정을 예상해 보고, 예방에 좀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는 것을 학습할 수 있다. 참고자료 ▸박쥐와 코로나 1918년 스페인 독감, 1957년 아시아 독감, 1968년 홍콩 독감, 2002년 사스, 2012년 메르스. 이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이들 독감의 원인은 바이러스이다. 독감의 원인이 바이러스라는 사실은 1930년대 전자현미경이 발명되면서 알려지게 되었다. 바이러스는 독립된 세포인 세균과는 다르다. 세균은 생물체 안에서 혼자 서식을 하나 바이러스는 세균보다 크기가 0.1~1% 작으면서 생물체를 숙주 삼아 번식해서 전염성이 강하다. 앞서 말한 것은 바이러스가 원인이나 장티푸스, 콜레라, 흑사병, 결핵, 폐렴, 한센병 등은 세균이 원인이다. 그런데 사스 사태가 터지면서 바이러스의 원인이 박쥐에서 발생했다는 것이 밝혀졌다. 메르스의 경우 박쥐에서 낙타 그리고 사람으로 전염되었다. 코로나 19의 경우 사스 바이러스와 79.5% 일치하고 박쥐에서 발견된 코로나바이러스와 96% 일치한다고 한다. 박쥐는 인수공통 바이러스를 설치류와 1, 2위를 다툴 정도로 많이 보유하고 있으나 박쥐의 바이러스가 사람에게 직접 피해를 끼치지는 않는다. 그런데 숲이 파괴되면서 과일을 먹는 박쥐가 과수원의 곤충과 과일을 먹거나 박쥐를 식용으로 하는 문화 때문에 사람과 접촉이 늘어나면서 감염병이 발생한 것이다. 지도상 유의점 및 TIP ▸앞서 배운 팬데믹이 기후변화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는 활동이다. ▸이 영상은 팬데믹을 동물접촉, 국제교류, 인구밀도의 측면에서 분석한 것이다. 그리고 환경 파괴로 임박한 지구의 임계점을 언급하면서 기후변화와 팬데믹의 관계를 설명하고 있다. 모범답안 팬데믹이 발생할 수 있는 3가지 요소의 사례를 영상에서 찾아보자. 항목 내용 동물접촉 가축을 키우거나 인간에 의해 서식지가 파기되면서 인수공통 감염병이 증가하였다. 국제교류 외국과의 무역로가 확대되거나 전쟁 등으로 감염경로가 증가하였다. 인구밀도 수렵채집사회에서 농경사회로 다시 농경사회에서 산업사회로 변화하면서 인구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염률이 높아졌다. 기후변화로 인해 감염병이 확산되는 사례를 설명해보자. 항목 내용 영구동토층 (permafrost) 해동 시베리아의 순록이 떼죽음을 당했다. 기온상승으로 아열대 지역 확대 미국 남부가 아열대기후가 되어 각종 감염병이 확산되었다. 지도상 유의점 및 TIP ▸팬데믹을 극복하기 위해서 우리나라 질병관리본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행동수칙을 알아보는 활동이다. ▸코로나 19로 인한 현상으로 오히려 생태계와 기후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이 나타나고 있는 것을 알아보는 활동이다. ▸위 내용을 바탕으로 기후변화, 생태계 교란, 팬데믹의 관계를 알아보는 활동이다. 모범답안 코로나 19 극복의 대책으로 국내외 교류가 현저하게 줄어들었다. 그에 따른 현상, 생태계 변화, 기후변화 영향을 정리해 보시오. 현상 생태계 변화 기후변화 영향 모임이 줄어들었다. 여행객이 줄어들었다. 하늘길이 막혔다. 온라인 교류가 증가했다. 온실가스 배출이 줄어들었다. 대기오염이 줄어들었다. 단기 영향 : 당장 기후변화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이다. 장기 영향 : 온실가스 배출이 줄어들어 기후변화가 완화될 것이다. 기후변화, 생태계 교란, 팬데믹의 관계를 설명해보자. 기후변화 ⇒ 생태계 교란 ⇒ 팬데믹 과도한 화석연료의 사용으로 지구온난화가 급속하게 진행된다. 급속한 기온상승으로 기후가 변화하고 바이러스 전파력이 커진다. 기온상승으로 동토가 녹아 수 만 년 전 잠들어 있던 바이러스 창궐한다. 경험해보지 못한 전염병의 창궐로 팬데믹이 발생한다. 지도상 유의점 및 TIP ▸본 선택 활동은 코로나 19로 인해 변해가는 지구촌의 모습을 분석하는 활동이다. 온라인수업 및 재택근무로 인해 지금까지의 기후변화가 사람의 활동으로 인한 것이라는 확실한 증거를 보여줄 수 있다. 모범답안 항목 내용 기후변화 대응효과 온라인수업 및 재택근무 학습에 필수적인 활동을 위해서 등교하고 나머지는 온라인으로 가능한 수업으로 전환한다. 이동이 꼭 필요한 업무를 제외하고는 집에서 업무를 처리한다. 이동에 필요한 에너지사용량이 줄어듦 해외여행 필요한 정보는 책이나 인터넷에서 얻는다. 3D 영상으로 간접적으로 체험한다. 항공, 해운에 사용되는 에너지량이 줄어듦 지도상 유의점 및 TIP ▸학생들의 자기 평가에서 객관적인 자세로 자신의 학습활동을 돌이켜보고, 진실성 있게 평가하고, 자기 스스로 피드백을 하는 기회란 것을 강조한다. ▸전체의 활동에 대한 느낀 점을 정리할 수 있도록 지도하며, 특히 자신이 활동 과정에서 중점을 두고 참여했던 활동, 주도적으로 참여했던 활동 등을 중심으로 의미와 필요성, 자신·모둠원·학교·사회의 긍정적인 변화에 대해서 서술할 수 있도록 지도함. ▸다른 학생의 동료 평가에서 친분이나 한 가지 행동을 보고 평가하는 것을 지양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전체의 학습활동을 고려하여 평가하도록 지도한다. 참고자료 ▸동료 평가는 활동을 함께 수행한 동료들이 동등한 관계에서 팀원의 성과와 역량을 평가하는 것으로 평가의 공정성과 결과 수용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협업 과정을 장려하고, 개인의 역량 개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평가 과정에서 교과목의 지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역의 역량이 발휘될 수 있도록 진행해야 하며, 학생의 잠재력과 소질을 발견하고 진로를 개발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그리고 경쟁적 평가 풍토보다는 협력을 통한 동반 성장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지도상 유의점 및 TIP ▸기후변화에 10가지 사실들을 통해 기후변화의 실체에 대해서 깨닫게 해 줄 수 있다. ▸기후변화가 광범위하게 지구적으로 주는 영향을 물리적 시스템, 생물학적 시스템, 인간과 관리 시스템 측면에서 관측한 결과를 정리했다. 참고자료 ▸IPCC 보고서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은 국제연합의 전문 기관으로 1988년 조직되었으며 인간 활동에 대한 기후변화의 위험을 평가한다. IPCC 보고서는 1990년 처음 발간되었으며 1995년, 2001, 2007년, 2014년 총 5번 만들어졌다. 이 보고서를 바탕으로 각국은 기후변화에 대한 정책을 수립하며, 신기후변화체제에 관한 국제적인 협상을 할 때 판단 기준이 되기 때문에 상당히 중요한 보고서라고 할 수 있다. SDG 14 중등 맹그로브 숲과 새우 ❑ 수업의 개요 주제 수자원 지속가능하게 사용하기 관련 SDGs 14. 해양 생태계 보전 관련 K–SDGs 14. 해양 생태계 보전 14.6. 해양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통해 경제적 이익을 확보한다. 관 련 교 과 및 성취기준 교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사회 [9사(지리)06-03] 지속가능한 자원의 개발 사례를 조사하고, 그것의 긍정적・부정적 효과를 평가한다. 도덕 [9도04-01] 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통한 삶의 중요성과 환경 보호의 필요성을 다각적으로 이해하고, 생태 지속가능성의 관점에서 소비 생활과 환경에 대한 가치관을 평가해 보며, 환경친화적인 실천 기술을 익힐 수 있다. 환경 [9환04­02] 지속가능발전과 관련된 국・내외 사례를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측면에서 해석하고, 자신의 삶과 지역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E S D 내 용 요 소 사회•정치•문화 환경 경제 ‣ 평화, 거버넌스 ‣ 자연자원, 식량생산, 지속가능한 촌락 ‣ 기업의 지속가능성 E S D 중 점 역 량 인지•기능 태도 ‣ 창의적 사고 ‣ 비판적 사고력 ‣ 문제해결력 ‣ 의사소통능력 ‣ 자아성찰적 태도 : 반성적 태도 ‣ 타자지향적 태도 : 협동, 갈등, 관리, 공감, 감수성 ‣ 민주시민적 태도 : 책임감, 도덕성 ‣ 국제문화적 태도 : 다양성, 글로벌 공동체 의식 S D G s - E S D 성 취 기 준 [14-6] 해양자원의 지속가능한 이용 방법과 경제적 이익을 확보하는 방법을 알아본다. 2 0 1 5 개 정 교 육 과 정 핵 심 역 량 지식정보 처리 역량 ‣ 주요 활동 : 맹그로브의 손실과 새우 소비량의 관계 ‣ 역량신장 내용 : 맹그로브 숲의 손실과 새우 소비량의 증가 관계를 분석하고, 푸드마일리지의 관점에서 환경문제를 분석할 수 있다. 창의적 사고 역량 ‣ 주요 활동 : 독도의 수자원 ‣ 역량신장 내용 : 독도의 수자원이 풍부한 이유를 지형 탐구를 통해 알아보고, 독도 생물자원의 가치를 분석해 본다. 의사소통 역량 ‣ 주요 활동 : 해양자원의 지속가능한 관리 ‣ 역량신장 내용 : 수자원 보호를 위해서 해양수산부가 공표하는 금어기 사례를 살펴보고, 수자원을 지속가능하게 사용하려면 같이 노력해야 할 것들이 무엇인지 정리해 본다. ❑ 학생 생활기록부 기재 방법(안) ● 맹그로브 숲의 파괴와 새우 소비의 증가가 관련 있음을 인식하여 해양자원을 보호하는 일이 먼 곳의 일이 아니라 우리 식생활을 바꾸어도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하는 정도를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 맹그로브 숲 손실이 새우소비 증가와 관련이 있음을 학습활동을 얻게 된 학생의 역량을 포함하여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 ESD 평가지의 ‘자기 평가를 해보자.’의 생활기록부에 위의 역량별 평가 자료를 바탕으로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 교사의 관찰 평가와 동료 평가를 통해 평가 자료를 바탕으로 본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교수 목적에 도달했는지의 정도를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학교생활기록부 작성 예시 지식정보처리 역량 맹그로브 숲의 손실과 새우 소비량의 증가 관계를 분석하고, 푸드마일리지의 관점에서 환경문제를 분석할 수 있음. 창의적 사고 역량 독도의 수자원이 풍부한 이유를 지형 탐구를 통해 알아보고, 독도 생물자원의 가치를 분석할 수 있음. 의사소통 역량 수자원 보호를 위해서 해양수산부가 공표하는 금어기 사례를 살펴보고, 수자원을 지속가능하게 사용하려면 같이 노력해야 할 것들이 무엇인지 정리할 수 있음. 차시 프로그램 평가 내용 육상생태계의 지속가능한 보호・복원・증진으로 인류의 삶과 생계를 유지하기 위한 지속가능성에 기여를 하고, 생태계의 생물다양성을 확인하고 기록하는 활동을 할 수 있음. ❑ 수업 지도안 전체 지도상 유의점 및 TIP ▸활동 과정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 14번 목표와 세부목표에 부합될 수 있도록 교수활동을 진행한다. ▸도입단계는 재미있게 전개 단계는 학생들의 참여와 많은 사고를 할 수 있도록 하고 정리단계에서 결과의 긍정적 마인드와 칭찬하는 분위기 조성한다. ▸모둠 활동에서 모둠원들이 모두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한눈에 보는 수업 도입 생각 열기 누가 새우를 다 먹었나? 5분 생각 키우기 몰디브를 지킨 맹그로브 숲 5분 �� 생각 만들기 활동1. 새우양식으로 사라지는 맹그로브 숲 15분 교수 학습 활동 학습자료 및 유의점 ▶ 맹그로브 숲의 손실과 새우 소비량 증가의 관계 분석하기 ▶ 푸드마일리지를 고려한 새우소비에 대해 알아보기 ▶ 푸드마일리지와 새우 소비에 대한 활동을 할 때 스스로 생각하고 결정을 내리도록 지도한다. 전개 생각 만들기 활동2. 해양자원의 지속가능한 관리 15분 교수 학습 활동 학습자료 및 유의점 ▶ 수자원 보호를 위해 해양수산부가 공포한 금어기에 대해 생각해 보기 ▶ 꽃게를 지속가능하게 잡을 수 있는 방법 생각해보기 ▶ 꽃게는 나무와 같이 재생가능한 자원임을 알게 하고 지속가능한 이용을 생각해 보게 한다. �� 정리 생각 정리하기(자기 평가/동료 평가) 보충자료: 해양자원 보호를 위한 노력들 5분 지도상 유의점 및 TIP ▸일본인들의 새우 소비량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데, 그 많은 새우를 어디서 조달하는지 생각해 보게 한다. ▸그리고 동남아 맹그로브 숲이 새우양식을 위해서 파괴되고 있는 상황을 소개한다. ▸일본인들의 새우소비량의 증가와 새우양식을 위해 동남아 맹그로브 숲을 파괴하는 것과의 상관관계를 생각해 보게 한다. 모범답안 새우 소비량의 증가와 맹그로브 숲이 어떤 관계가 있을지 생각해 보자. 다음 빈칸에 알맞은 말을 넣으시오. 참고자료 ▸바다 세계를 지탱하고 있는 새우 새우는 1~2cm에서 10cm를 넘기도 하는 등 그 크기가 다양하며 작은 물고기부터 고래까지 수많은 바다생물들의 먹이가 된다. 또한, 바다 생물들이 먹다 많은 찌꺼기들을 청소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새우가 없어지면 바다 먹이 사슬이 끊어져 버려서 바다 생태계가 심각하게 훼손될 수 있다. 지도상 유의점 및 TIP ▸2004년 동남아 지진 때 수많은 해변에 있는 지역이 해일로 피해를 보았지만 유독 피해가 덜한 몰디브를 소개한다. ▸몰디브는 관광산업의 일환으로 산호와 맹그로브 숲을 보호했고, 그 결과 해일이 발생했을 때 이것들이 몰디브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 것을 소개한다. ▸지구온난화로 기온이 상승하여 시베리아와 같이 황무지가 유용한 땅으로 변할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개발이 확대되면 기후변화가 더 심각해질 수 있다는 내용을 안내한다. 참고자료 ▸지구를 지키는 바다보물, 산호 아열대기후 지역의 얕은 바다에서 사는 산호는 그 모습이 아름답지만, 바다를 지키는 역할도 해서 아주 유용한 동물이다. 산호는 말미잘처럼 강장동물로 강장, 입, 촉수를 가진 동물로 작은 생명체들끼리 서로 붙어 한 군락을 형성한다. 이들은 야행성으로 낮에는 외골격에 숨어 있다가 밤이 되면 촉수를 이용해서 동물성 플랑크톤, 갑각류, 작은 물고기를 잡아먹는다. 이런 산호의 외골격이 쌓이면 산호초가 된다. 산호초는 해류가 잘 흐르는 곳에 형성되어 있는데 수 백 년 또는 수천 년에 걸쳐서 자란 것들도 있다. 이 거대한 산호의 구멍(polyp) 속에는 수백만 마리의 편모가 조류가 살고 있는데, 이들은 광합성을 한다. 이들의 광합성으로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만들어 낸다. 그리고 0.1%도 안 되는 산호초에는 25%의 해양생물들이 어우러져 살고 있으니, 그야말로 지구와 바다를 지키는 보물이라고 할 수밖에 없다. 그림출처 : 수협중앙회 우리바다 푸른이야기 지도상 유의점 및 TIP ▸새우양식으로 사라지는 맹그로브 숲의 상관관계를 학습하는 과정이다. ▸본 과정을 통해 새우 소비 증가와 맹그로브 숲을 파괴하고 이루어지는 새우양식의 관계를 통계자료를 통해 입증한다. ▸새우 소비와 맹그로브 숲의 파괴는 푸드마일리지와 관련이 있음을 알고, 푸드마일리지가 적은 음식 소비에 관한 생각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참고자료 ▸베트남의 새우 양식업 양식업, 특히 새우 양식업은 베트남 경제에 아주 중요한 산업이다. 이 분야는 많은 일자리와 막대한 소득을 창출한다. 그러나 새우양식으로 얻은 대가를 환경이 대신 치르고 있다. 소규모이건 대규모이건 새우양식은 맹그로브 숲을 파괴하고 지표수와 해안 하구를 오염시키고, 농지를 염류화시켰다. 또 지나치게 많은 새우를 키워 병원균 이 발생하고 새우가 집단발병하면서 막대한 경제적 손실이 발생했다. 이 같은 부정적인 영향을 줄이기 위한 방법으로 고안된 것이 세계해양책임관리(ASC: Aquaculture Stewardship Council)와 같은 인증제도의 도입이다. 이 인증을 도입하는 사업체는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고, 생물다양성과 수자원을 더욱 강력히 보호하고, 동물의 건강과 근로조건 개선을 위한 까다로운 조건을 준수하는 등 더 나은 양식 수산물 생산을 약속한다. ASC 인증을 통해 새우 양식장들은 습지와 맹그로브 숲을 보전하고 바이러스와 역병의 전염을 조사하고 수질을 개선하며, 양질의 사료를 먹일 책임을 지고 생물다양성 문제를 알리는 데 참여함으로써 양식이 주변 환경과 지역사회에 주는 악영향을 구체적으로 줄일 목적을 갖고 있다. WWF(세계자연기금, World Wide Fund for Nature)는 베트남의 소규모 새우양식 어민들이 보다 철저히 양식업을 관리함으로써 환경에 미치는 악영향을 줄이도록 돕고 있으며, 차후 이들이 ASC 인증을 취득할 수 있도록 도울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고 한다. 출처: 해양생명보고서(WWF, 2015) 베트남, 쌀농사 위기를 새우양식으로 극복 베트남은 기후변화로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바닷물 유입이 늘어 벼농사가 힘들어지고 있다. 생업을 포기하는 기로에서 농민들은 새우양식으로 위기를 극복하고 있다. 태풍으로 바닷물이 범람한 것을 계기로 새우양식으로 돌아선 것이다. 특히 지속가능한 양식 수산물을 인증하는 ASC인증까지 받아 소득도 2배나 많아졌다. 지도상 유의점 및 TIP ▸해양수산부가 대게와 꽃게를 보호하기 위해서 금어기를 선정하는 이유를 알아보는 활동이다. ▸꽃게를 마구잡이로 잡으면 어떻게 되는지, 꽃게를 지속가능 하게 잡을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해보게 지도한다. 참고자료 ▸일반인도 물고기를 금어기 어기면 과태료 문다! 해양수산부는 수산자원 보호 강화조치를 담은 수산자원관리법 하위법령 개정안을 입법 예고했다. 최근 국민의 해양레저 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스킨스쿠버 등 레저 활동을 하거나 맨손으로 물고기를 잡는 등 일반인들이 금어기·금지체장을 위반하여 수산자원을 포획·채취하는 사례가 늘면서 어업인과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이에, 해양수산부는 지난 3월 24일 「수산자원관리법」을 개정하여 2020년 9월 25일부터 비어업인이 금어기·금지체장 등을 위반하면 100만 원 이하의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도록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에, 유사입법 사례*를 참고하여 80만 원의 과태료 부과기준을 시행령 개정안에 마련하였다. 금어기 대상은 어린물고기와 산란기 어미물고기를 보호하기 위해 살오징어와 대문어, 가자미류, 삼치 등 14개 어종이다. 지도상 유의점 및 TIP ▸본 선택활동은 우리나라 최동단에 있는 독도 주변 바다의 수자원에 대해서 알아보는 활동이다. ▸이 활동을 통해 독도의 생태계를 지켜야 하는 이유를 생각해 보게 하도록 지도한다. 참고자료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울릉도・독도 해양생태관 사이버 투어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은 부산광역시에 위치하고 있다. 여기에 울릉도・독도 해양연구기지가 있으며 홈페이지에 접속하면 사이버 투어도 할 수 있다. 지도상 유의점 및 TIP ▸학생들의 자기 평가에서 객관적인 자세로 자신의 학습활동을 돌이켜보고, 진실성 있게 평가하고, 자기 스스로 피드백을 하는 기회란 것을 강조한다. ▸전체의 활동에 대한 느낀 점을 정리할 수 있도록 지도하며, 특히 자신이 활동 과정에서 중점을 두고 참여했던 활동, 주도적으로 참여했던 활동 등을 중심으로 의미와 필요성, 자신·모둠원·학교·사회의 긍정적인 변화에 대해서 서술할 수 있도록 지도함. ▸다른 학생의 동료 평가에서 친분이나 한 가지 행동을 보고 평가하는 것을 지양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전체의 학습활동을 고려하여 평가하도록 지도한다. 참고자료 ▸동료 평가는 활동을 함께 수행한 동료들이 동등한 관계에서 팀원의 성과와 역량을 평가하는 것으로 평가의 공정성과 결과 수용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협업 과정을 장려하고, 개인의 역량 개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평가 과정에서 교과목의 지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역의 역량이 발휘될 수 있도록 진행해야 하며, 학생의 잠재력과 소질을 발견하고 진로를 개발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그리고 경쟁적 평가 풍토보다는 협력을 통한 동반 성장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지도상 유의점 및 TIP ▸바다의 자원을 지속가능하게 이용하기 위한 바다의 헌법을 소개한다. ▸유엔해양법 협약은 갈수록 심각해지는 자원 부족으로 바다의 자원을 이용하려는 경쟁이 심해지고, 이에 따라 나라 간 분쟁이 심해지기 때문에 만들어졌다. 참고자료 ▸런던협약 [그림] 런던협약 가입국 비행기나 선박에서 나오는 쓰레기 투기를 규제하기 위한 협약이다. 1972년 런던에서 체결되어 1975년에 발효되었다. 이 협약은 쓰레기나 기타 물질을 버림으로써 발생하는 해양 오염을 막기 위한 협약이기도 하다. 1996년 11월에는 1972년 협약의 실효성이 문제시되어 배출 조건을 강화한 '1996 의정서(1996 Protocol)'가 채택되었다. 해양 투기를 허용하되 특정 물질의 해양 투기를 금지한 1972년 협약과 달리 '1996 의정서'는 해양 투기를 금지하되 특정 물질의 해양 투기만 허용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93년 12월 21일에 런던협약에 가입하였고, 94년 1월 20일 발효하였다. '1996 의정서'에는 2009년 1월 22일 가입, 2009년 2월 21일 발효하였다. 글・그림 출처 : 위키백과 SDG 15 중등 우리 학교 바이오블리츠와 활용 ❑ 수업의 개요 주제 우리 학교 바이오블리츠와 활용 관련 SDGs 15. 육상생태계 관련 K–SDGs 15. 육상생태계의 보전 15.1. 육상과 내륙담수의 생태계 다양화를 위한 보전과 복원 활동을 활성화한다. 관 련 교 과 및 성취기준 교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환경 [9환02–02] 지구 생태계에서 물, 공기, 흙, 생물이 어떤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사례를 통해 인간과 생태계 구성 요소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한다. 과학 [9과03-02] 생물종의 개념과 분류 체계를 이해하고 생물을 계 수준에서 분류할 수 있다. [9과03-03] 생물다양성 보전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생물다양성 유지를 위한 활동 사례를 조사하여 발표할 수 있다. 창의적 체험활동(지속가능발전교육) E S D 내 용 요 소 사회•정치•문화 환경 경제 ‣ 소양 ‣ 생물다양성 ‣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E S D 중 점 역 량 인지•기능 태도 ‣ 협력 역량 ‣ 비판적 사고 역량 ‣ 예측역량 ‣ 통합적 문제 해결 역량 ‣ 자아성찰적 태도 : 반성적 태도 ‣ 타자지향적 태도 : 협동, 갈등, 관리, 공감, 감수성 ‣ 민주시민적 태도 : 책임감, 도덕성 ‣ 국제문화적 태도 : 다양성, 글로벌 공동체 의식 S D G s - E S D 성 취 기 준 [15-1] 땅, 산림, 습지, 산, 건조지 등 육상 생태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육상오염의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2 0 1 5 개 정 교 육 과 정 핵 심 역 량 지식정보처리 역량 ‣ 주요 활동 : 바이오블리츠 알아보기 ‣ 역량신장 내용 : 바이오블리츠의 정의를 이해하고, ‘지구의 생물종이 사라지면 인류는 살 수 있을까?’라는 질문에 대한 학생들이 질문에 질문을 만들어 내면서 지구의 생물종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지식정보처리 역량을 함양한다. 공동체 역량 ‣ 주요 활동 : 우리 학교 바이오블리츠 ‣ 역량신장 내용 : 모둠별로 바이오블리츠를 진행하기 위한 ‘네이처링’ 앱을 활용하여 우리 학교의 생태계를 서로 협력하는 과정에서 공동체 역량을 향상시킨다. 창의적 사고 ‣ 주요 활동 : 육상 생태계의 중요성 ‣ 역량신장 내용 : 우리 학교 바이오블리츠 활동 결과를 그래프로 표현하고, 가장 많이 나오는 종과 적게 나오는 종을 확인하여 우리 학교 육상 생태계의 중요성을 인식하기 위한 창의적 사고를 향상시킨다. ❑ 학생 생활기록부 기재 방법(안) ● 우리 학교 바이오블리츠 활동을 하기 위해 바이오블리츠의 정의를 이해하고 바이오블리츠 과정에서 다른 학생들과 협력하는 과정과 활동을 과학 교과 내용과 관련한 성취기준 도달 정도를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 바이오블리츠 활동 후 육상 생태계의 보호와 중요성을 환경교과의 내용과 연계한 성취기준을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 ESD 평가지의 ‘자기 평가를 해보자.’의 생활기록부에 위의 역량별 평가 자료를 바탕으로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 교사의 관찰 평가와 동료 평가를 통해 평가 자료를 바탕으로 본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교수 목적에 도달했는지의 정도를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학교생활기록부 작성 예시 지식정보처리 역량 바이오블리츠의 정의와 의미에 대해 효과적인 질문을 지속적으로 생각해내고, 바이오블리츠에 대해 정확하게 발표함. 창의적 사고 역량 우리 학교 바이오블리츠 활동 결과를 분석하여, 육상생태계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방안을 창의적으로 발표함. 공동체 역량 네이처링 앱을 활용하여 우리 학교 바이오블리츠 활동에서 타인을 배려하고,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함. 차시 프로그램 평가 내용 바이오블리츠를 모둠원들과 협력하여 네이처링 앱에 우리 학교 육상생태계를 체계적으로 표현함. 우리 학교 바이오블리츠 결과와 육상생태계의 지속성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보호를 위해 실천하기로 함. ❑ 수업 지도안 전체 지도상 유의점 및 TIP ▸활동 과정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 15번 목표와 세부목표에 부합될 수 있도록 교수활동을 진행한다. ▸도입단계는 우리 학교 바이오블리츠를 해야 하는 이유와 방법에 대해서 학생들에게 충분하게 안내하고, 전개 단계에서는 모둠원들이 네이처링을 원활하게 사용방법을 안내한다. ▸모둠 활동에서 모둠원들이 모두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한눈에 보는 수업 도입 생각 열기: 우리 학교 바이오블리츠 수업 안내 10분 생각 키우기: 활동1. 우리 학교 바이오블리츠 20분 교수 학습 활동 학습자료 및 유의점 ▶ 네이처링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바이오블리츠 안내 ▶ 네이처링 어플리케이션 기능 ▶ 네이처링 홍보영상 https://youtu.be/3dbRMw5zR3I 전개 생각 만들기: 활동2. 우리 학교 생태계 탐사 시작 60분 교수 학습 활동 학습자료 및 유의점 ▶ 네이처링 앱 사용방법 알아보기 ▶ 네이처링을 활용한 바이오블리츠 실천하기 ▶ 네이처링 앱 사용 방법 안내 영상 https://youtu.be/S-67nxSju84 �� 생각 만들기: 활동3. 육상 생태계의 중요성 인식하기 40분 교수 학습 활동 학습자료 및 유의점 ▶ 우리 학교 바이오블리츠 결과 확인하기 ▶ 다양한 생물종 보존을 위한 실천 규칙 수립 ▶ 우리 학교 바이오블리츠 결과와 다양한 생물종 본존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 정리 생각 정리하기(자기 평가/동료 평가) 보충자료: 우리나라의 생물다양성 5분 지도상 유의점 및 TIP ▸바이오블리츠가 무엇인지 먼저 영상을 통해 안내하고, 우리 학교 바이오블리츠의 의미를 알아보도록 한다. ▸지구의 다양한 생물종이 사라지는 상황과 인류의 연관성이 있는 질문을 제시하고, 학생들이 질문을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생물종의 다양성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우리 학교 바이오블리츠 수업 진행의 필요성을 인식하도록 한다. ▸질문법에 대해 학생들이 익숙하지 않으므로 열린 질문과 닫힌 질문에 대해 안내하고, 열린 질문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참고자료 ▸질문 수업의 효과 수업 과정에서의 질문을 하게 된다면 첫째, 질문을 통해 학습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끌어낼 수 있다. 둘째, 질문을 통해 긍정적인 방향으로 인간관계를 발전시킬 수 있다. 셋째, 자신에게 지속적으로 질문하며 자신을 성장시킬 수도 있다. 넷째, 꾸준한 질문 즉 호기심은 지식을 풍부하게 해준다. 다섯째, 질문은 다른 사람의 의도를 파악하고, 숨은 정보들을 찾아내도록 한다. ▸열린 질문과 닫힌 질문 열린 질문 닫힌 질문 ‘예/아니오’로 대할 수 없는 질문 ‘예/아니오’로 대답하기 쉬운 질문 학교생활 어때요? 회사 생활할 만해요? 왜 학교 다니기 싫어? 학교 다니기 싫어? 주말 어떻게 보냈어요? 주말 잘 보냈어요? 그 일 어떻게 진행되어 있어? 왜 그 일 안 했어? 미래를 위해 어떤 계획을 세우셨나요? 미래를 위한 계획을 세우셨나요? 피부에 대해 어떤 고민이 있으세요? 피부에 대해 고민이 많죠? 지도상 유의점 및 TIP ▸수업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네이처링 어플리케이션을 학생의 스마트폰에 설치해야 한다.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폰은 구글 스마트스토어에서 다운로드를 받을 수 있으나, IOS 기반의 스마트폰은 다운로드가 되지 않을 수 있으니 교사는 학교에 보유 중인 태블릿 등을 준비하는 것이 필요하다. ▸네이처링 어플리케이션에 대해익힐 수 있는 시간을 충분히 부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교사는 네이처링 홈페이지에 들어가 미리 해당 학교의 바이오블리츠 주제를 만들어 학생들이 들어 올 수 있도록 지도한다. 참고자료 ▸자연을 사랑하는 어플리케이션 ‘네이처링’(https://www.naturing.net/) 네이처링은 언제 어디서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온라인 기반 자연활동 공유 플랫폼이다. 네이처링은 자연을 관찰하고 기록하고 검색하는 도구이자, 다양한 자연활동의 경험을 함께 나누는 오픈 네트워크이다. 공익적인 내용과 창의적인 서비스 개발로 ‘인터넷서비스 Mashup Camp 2013’에서 대상을 수상하기도 한 네이처링은, ‘그 때 그 곳’에 있는 당신만이 만날 수 있는 오늘의 자연을 가장 효과적으로 정리하는 새로운 체계이기도하다. 또한, 네이처링은 자연을 기록하는 것만으로도 회원 모두가 시민과학자로서 생태계 보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시민과학 프로젝트를 지원하고 진행한다. 지도상 유의점 및 TIP ▸네이처링 앱을 설치 후, 학생 스스로 네이처링을 활용 방법을 익히고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점검한다. 이때 모두 ‘○’ 가 나오지 않으면 다시 네이처링 앱의 활용 방법을 익히도록 지도한다. ▸교사는 네이처링에 학교의 이름으로 미션을 개설한다. 개설한 후 학생들이 학교의 다양한 자연 생물종을 탐사한 유용한 활동 결과물을 업로드한다. ‘자연을 관찰하고 기록하고 검색하는 도구이자 다양한 자연활동을 경험을 함께 나누는 오픈 네트워크’라는 네이처링의 운영 취지에 적합하지 않는다면 미션이 삭제될 수 있다. 이때에는 네이처링에 전화연락하여 학교에서 교육 목적을 충분히 설명하고, 다시 개설될 수 있도록 노력한다. 참고자료 ▸ 네이처링 소개 영상 : https://youtu.be/3dbRMw5zR3I : https://youtu.be/g2eTZkB19T4 ▸네이처링 사용방법(관찰 올리기) 영상 : https://youtu.be/S-67nxSju84 ▸네이처링 사용방법(미션 만들기) 영상 : https://youtu.be/lRbyDg_kq4M ▸네이처링 사용방법(자연관찰 사진찍기) 영상 : https://youtu.be/ZdClEg8_nsE 출처: https://www.naturing.net/ 지도상 유의점 및 TIP ▸생물분류 선택에 대한 분류를 정리하여 제시하고, 분류별 종류를 제시하여 학생들의 이해를 높인다. ▸바이오블리츠 후 생물분류를 할 때는 많이 찾은 생물종 또는 모양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종을 선택하게 된다. 해당 생물종에 대한 설명으로 피드백을 진행하는 것이 좋다. ▸바이오블리츠 탐사 후 느낀 점 후, 다양한 생물종의 중요성과 연계하여 인식할 수 있도록 교사의 피드백이 중요하므로 꼭 수업을 한다. 참고자료 출처: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 ▸생물분류학 생물 분류학은 지구상에 살고 있는 생물의 계통과 종속을 특정 기준에 따라 나누어 정리하는 생물학의 한 분야이다. 고대 그리스의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스승인 플라톤의 "둘로 나누기 방법"(Diaeresis)을 처음으로 동물의 분류에 사용하였다. 18세기에 들어서면서 생물분류법은 스웨덴의 식물학자 칼 폰 린네에 의해서 비로소 커다란 혁신을 하게 되었다. 이후 몇몇 국제 학술회의를 거쳐 린네에 의해 체계화되고 정의된 분류법을 바탕으로 오늘날 국제 학술상 통일적으로 쓰이고 있는 생물분류법이 정립되었다. 린네가 착안한 분류법의 핵심은 생물의 종과 속을 구분함과 더불어 이들의 소속관계를 체계적으로 밝히는 데에 있으며, 형식상 다음과 같은 원칙을 고수하고 있다. 지도상 유의점 및 TIP ▸학교의 생물종에 따라 그래프에 제시되지 않는 종이 많거나 적을 수 있으므로 그래프의 생물종의 분류를 수정하여 학생들에게 제공한다. ▸우리 학교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종과 가장 적게 나타난 종에 대한 이유를 기록하고, 서로 발표하는 과정에서 그 원인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우리 학교 다양한 생물종 보호 실천 규칙은 개인이 할 수 있는 것에서 학교단위에서 할 수 있는 것, 지방자치단체, 국가에서 할 수 있는 범위에서 다양한 시각에서 실천할 규칙을 기록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참고자료 ▸생물의 다양성을 보전의 중요성 생태계의 평형이 파괴되면 인간의 생존도 위협받게 되므로 생태계를 보전해야 한다. 모든 생물종은 생물자원은 식량과 에너지원이 되며, 공산품과 의약품의 원료이므로 잠재적인 가치가 있다. 생물종은 자연계에서 물질 순환의 주요 매개체가 되어 대기, 수질, 토양의 보전에 기여하고 쾌적한 환경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므로 우리의 생활환경을 보전하기 위해서이다. ▸생물다양성의 보전하기 위한 대안 첫째, 멸종 위기종을 보호한다. 멸종 위험이 큰 종을 희귀종이나 멸종 위기종으로 지정하고, 개체군과 종 수준에서 보전하기 위해 생물종을 수집하고 사육하여 원래 살고 있던 자생지에 방사한다. 둘째 보호 구역 지정한다. 공유지나 호수, 산맥 등 균일하고 연속적인 물 또는 토지의 구역을 법적으로 보호 구역으로 지정하여 인간 활동에 의한 산불, 해충, 파괴적인 영향을 효과적으로 통제한다. 셋째, 단편화된 서식지 연결한다. 도로나 철로를 건설할 때에는 동물들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생태 통로)를 만들어 서식지를 연결해 줌으로써 야생 동물이 차에 치여 죽는 것을 막고, 개체군의 자가 교배를 줄이고 넓은 지역까지 분포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환경 윤리 의식 고취시킨다. 인간과 함께 지구를 공유하는 생물들에게 영향을 주는 인간의 활동을 스스로 규제할 수 있는 인식이 필요하다. 지도상 유의점 및 TIP ▸우리 동네 바이오블리츠는 학교에서 진행한 바이오블리츠는 동네의 모든 곳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학교 근처 또는 학생들이 자주 다니는 공원, 하천, 숲 등을 선택하여 방과후에 시간을 확보하여 모둠별로 탐사활동을 진행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우리 동네에서 생물다양성의 중요성 인식 전환을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위해 계획하기 위한 육하원칙에 따라 정리하지만,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나온다면 지방자치단체에 건의를 해서 교실 수업에서 이루어진 결과물을 실제로 사용 가능한 것을 학생들에게 안내한다. 참고자료 ▸생물종 다양성을 위한 다양한 캠페인 - 환경부의 기업과 시민사회가 함께하는 생물다양성 보전 캠페인 : https://youtu.be/EjdbDoUsP_8 - 한화 아쿠아플라넷 생물종 다양성 캠페인 : http://www.dailysmart.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804 - 사단법인 카자의 생물다양성 보전 캠페인 : https://www.dailyvet.co.kr/news/practice/wildanimal/112884 ▸생물다양성의 중요성 인식 카드뉴스 : http://kfem.or.kr/?p=178096 지도상 유의점 및 TIP ▸학생들의 자기 평가에서 객관적인 자세로 자신의 학습활동을 돌이켜보고, 진실성 있게 평가하고, 자기 스스로 피드백을 하는 기회란 것을 강조한다. ▸전체의 활동에 대한 느낀 점을 정리할 수 있도록 지도하며, 특히 자신이 활동 과정에서 중점을 두고 참여했던 활동, 주도적으로 참여했던 활동 등을 중심으로 의미와 필요성, 자신·모둠원·학교·사회의 긍정적인 변화에 대해서 서술할 수 있도록 지도함. ▸다른 학생의 동료 평가에서 친분이나 한 가지 행동을 보고 평가하는 것을 지양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전체의 학습활동을 고려하여 평가하도록 지도한다. 참고자료 ▸동료 평가는 활동을 함께 수행한 동료들이 동등한 관계에서 팀원의 성과와 역량을 평가하는 것으로 평가의 공정성과 결과 수용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협업 과정을 장려하고, 개인의 역량 개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평가 과정에서 교과목의 지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역의 역량이 발휘될 수 있도록 진행해야 하며, 학생의 잠재력과 소질을 발견하고 진로를 개발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그리고 경쟁적 평가 풍토보다는 협력을 통한 동반 성장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지도상 유의점 및 TIP ▸생물다양성 협약에서 제시한 생물다양성 종을 큰 대분류(종 다양성, 생태계 다양성, 유전자 다양성)을 중심으로 안내한다. 그 중의 바이오블리츠는 종 다양성을 중심으로 지도한다. ▸본 수업은 우리 지역의 육상생물 다양성의 중요성을 인식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그러므로 현재 생물다양성이 감소하고 있음을 인지하여 생물다양성의 가치 또는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도가 필요하다. 참고자료 ▸생물다양성의 중요성 - 생물다양성의 개요(유전적 다양성, 생물종 다양성, 생태계 다양성, 생물다양성의 중요성) http://study.zum.com/book/12756 - 생물다양성 가치와 보전의 중요성 https://kidshyundai.tistory.com/263 - 생물다양성의 중요성 이해하기 https://www.scienceall.com/5-%EC%83%9D%EB%AC%BC%EB%8B%A4%EC%96%91%EC%84%B1%EC%9D%98-%EC%A4%91%EC%9A%94%EC%84%B1-%EC%9D%B4%ED%95%B4%ED%95%98%EA%B8%B0/ SDG 16 중등 평화와 정의를 위한 외침! ❑ 수업의 개요 주제 평화와 정의를 위한 외침! 관련 SDGs 16. 평화, 정의 강력한 제도 관련 K–SDGs 16. 인권・정의・평화 16.6. 효과적이고 책임감 있는 정부정책과 제도를 수립・이행한다. 16.11. 차별을 지양하기 위한 법과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한다. ‣ 2030 목표치 • 정부기관에 대한 국민의 지지도 결과반영 • 개별 및 포괄적 차별금지법 존재 여부와 이행 정성평가 • 차별 관련 국제인권조약위원회 권고안 이행 정성평가 관 련 교 과 및 성취기준 교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환경 [9환04–02] 지속가능발전과 관련된 국・내외 사례를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측면에서 해석하고, 자신의 삶과 지역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사회 [9사(일사)01-03] 사회집단의 의미를 이해하고, 사회집단에서 나타나는 차별과 갈등의 사례와 이에 대한해결 방안을 탐구한다. 국어 [9국01-06] 청중의 관심과 요구를 고려하여 말한다. E S D 내 용 요 소 사회•정치•문화 환경 경제 ‣ 평화・안전 ‣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E S D 중 점 역 량 인지•기능 태도 ‣ 규범적 역량 ‣ 시스템 사고 역량 ‣ 협력 역량 ‣ 통합적 문제해결 역량 ‣ 자아성찰적 태도 : 반성적 태도 ‣ 타자지향적 태도 : 협동, 갈등, 관리 ‣ 민주시민적 태도 : 책임감, 도덕성 ‣ 국제문화적 태도 : 글로벌 공동체 의식 S D G s - E S D 성 취 기 준 [16-1] 평화롭고 포용적인 사회 증진과 모두의 정의 실현을 위한 법과 제도의 의미와 형성과정에 대해 이해한다. 2 0 1 5 개 정 교 육 과 정 핵 심 역 량 자기관리 역량 ‣ 주요 활동 : 방탄소년단의 UN 연설의 의미와 정의와 평가 ‣ 역량신장 내용 : 방탄소년단의 UN 연설을 잘 듣고, 전 세계 사람들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의미를 파악하고, 내가 할 수 있는 일에 대한 자기 관리 역량을 함양한다. 공동체 역량 지식정보처리 역량 ‣ 주요 활동 : 평화와 정의를 지켰던 위인의 일대기 ‣ 역량신장 내용 : 평화와 정의에 대한 의미를 이해하고, 평화와 정의를 수호하기 위한 위인을 찾아보고, 모둠원들과 일대기를 구글 어스의 프리젠테이션 기능을 활용하여 공동체 역량과 지식정보처리 역량을 향상시킨다. 의사소통 역량 ‣ 주요 활동 : 모의 UN 연설 및 피드백 ‣ 역량신장 내용 : 모둠원들이 준비한 평화와 정의를 지키는 위인들의 일대기와 전 세계 사람들에게 제시한 선언문을 잘 듣고, 느낀점을 기록 및 질문하는 과정에서 의사소통 역량을 함양한다. ❑ 학생 생활기록부 기재 방법(안) ● 평화와 정의를 지켰던 위인 일대기 활동과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전 세계가 선언하기 위한 내용을 파악하고 환경, 사회교과 내용과 관련한 성취기준 도달 정도를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 모의 UN 평화와 정의를 지켰던 일대기와 선언문을 발표하는 과정에 학생들이 처음과 끝의 변화된 내용 및 교과 내용을 결부시켜 학생의 노력을 포함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 ESD 평가지의 ‘자기 평가를 해보자’의 생활기록부에 위의 역량별 평가 자료를 바탕으로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 교사의 관찰 평가와 동료 평가를 통해 평가 자료를 바탕으로 본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교수 목적에 도달했는지의 정도를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학교생활기록부 작성 예시 자기관리 역량 국제연합 발표 연설문 내용을 논리적으로 분석하고, 연설문의 내포되어 있는 의미를 인식하고, 내가 해야 할 것에 대한 발표함. 공동체, 지식정보처리 역량 평화와 정의를 지킨 위인들을 모둠원들과 협력하여 일대기를 찾아보고, 정리하여 말할 수 있음. 의사소통 역량 모의 국제연합 선언문을 다른 학생들 앞에서 조리 있게 발표하고, 타인의 발표 내용을 정리함. 차시 프로그램 평가 내용 인류의 평화와 정의로운 사회를 기여하는 인물을 찾아보고, 연설문을 작성 및 발표하는 과정에서 평화와 정의의 의미를 인지하고, 중요성을 알게 됨. 전 세계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평화와 정의의 중요성을 인식함. ❑ 수업 지도안 전체 지도상 유의점 및 TIP ▸활동 과정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 16번 세부목표에 부합될 수 있도록 교수활동을 진행한다. ▸도입단계는 수업에 대한 안내를 전개에서 수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학생들의 구글 어스 프로젝트 제작 활동과 평화와 정의 위인을 찾는 활동에 시간을 충분히 부여한다. ▸모둠 활동에서 모둠원들이 모두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한눈에 보는 수업 도입 생각 열기: 방탄소년단의 UN ‘7분 감동 연설’ 15분 �� 생각 키우기: 활동1. 평화와 정의를 지켰던 위인의 일대기 20분 교수 학습 활동 학습자료 및 유의점 ▶ 방탄소년단의 UN 연설 영상을 보고 영상 내용을 파악하고 내포된 의미 자기 내면화하기 ▶ 방탄소년단 UN 연설 영상 https://youtu.be/8VWSIoQfFWk 전개 생각 만들기: 활동2. 평화와 정의 수호를 위한 위안 알아보고 UN 정책 수립 60분 교수 학습 활동 학습자료 및 유의점 ▶ 평화와 정의를 수호하기 위한 위인 알아보기 ▶ 평화와 정의를 수호하는 UN 연설문 작성하기 ▶ 평화와 정의에 대한 의미를 인식하고, 전 세계 사람들을 대상으로 연설문 작성하는 것임을 강조 �� 생각 만들기: 활동3. 구글 어스 프로젝트를 활용 모의 UN 연설하기 40분 교수 학습 활동 학습자료 및 유의점 ▶ 구글 어스 프로젝트 알아보기 ▶ 구글 어스 프로젝트 활용 모의 UN 연설 및 피드백 ▶ 구글 어스 프로젝트 사용법은 간단하지만 학생들이 충분히 기능을 익힐 수 있는 시간을 확보 �� 정리 생각 정리하기(자기 평가/동료 평가) 보충자료: 남북의 평화 선언문의 영향 5분 지도상 유의점 및 TIP ▸방탄소년단에 대해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학생들도 있지만 그렇지 못한 학생들도 있으므로 우리나라 연예인이 UN에서 연설했다는 것에 중심을 두고 지도한다. ▸연설문이 영상을 한번은 가볍게 보고, 필요하다면 영상을 다시 한 번 보게 하여 연설문의 내용을 파악할 기회를 제공한다. ▸방탄소년단이 UN에서 자기 생각과 의견을 제시한 것처럼 학생들도 평화와 정의에 대해 모의 UN에서 연설할 것이란 것을 제시한다. 참고자료 ▸방탄소년단의 UN 연설 개요 2018년 9월 24일 방탄소년단(BTS)의 ‘유엔 7분 연설’이 전 세계 많은 이들에게 뭉클한 감동을 선사해 화제가 되고 있다. 미국 뉴욕 유엔본부 신탁통치이사회 회의장에서 유엔아동기금(유니세프)의 청년 어젠다 ‘제너레이션 언리미티드’ 발표 행사에서 한 이 연설은 ‘나 자신을 사랑하라’는 메시지를 담고 있어, 전 세계 청소년과 청년들에게 더 많은 교육의 기회를 주자는 프로그램 취지에 꼭 들어맞았다. 지난해 11월 유니세프와 캠페인을 시작한 방탄소년단은 ‘자신을 사랑하자’를 주제로 <러브 마이셀프> 기(wonder)-승(her)-전(tear)-결(answer) 음반 연작을 냈고 ‘러브 마이셀프’ 펀드로 5억원을 기부했으며 2년간 시리즈 음반 판매 순이익을 유니세프에 지원하기로 했다. 방탄소년단을 대표해 이날 연단에 오른 ‘랩 몬스터’ 아르엠(RM·김남준)의 연설은 한국 가수가 유엔총회 행사장에서 한 최초의 연설이라는 의미 외에도, 성장의 고민과 젊은이의 성찰이 새겨진 명문으로 주목을 받았다. 방탄소년단 소속사인 빅히트 엔터테인먼트 관계자는 “아르엠(RM)이 소속사 관계자들과 논의하면서 연설문을 작성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출처: http://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863456.html#csidxa80495e3220dc6ebd9d0142d63f50d2 지도상 유의점 및 TIP ▸평화와 정의에 대한 개념 2행시를 하기 전에 평화와 정의에 대한 개념을 정리할 수 있는 시간을 충분히 부여하고 학생들이 창의적인 2행시를 할 수 있다. ▸평화와 정의를 수호하기 위한 위인을 찾아보는 활동은 학생들의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찾을 수 있도록 안내한다. 스마트폰을 학생들이 가지고 있더라도 와이파이가 되지 않으면 참여를 못 할 수 있으므로 와이파이가 될 수 있는 교실 환경 조성이 필요하다. ▸평화와 정의를 수호하는 위인을 찾기 어려워하는 학생들이 있다면 역대 노벨평화상 수상자를 찾아서 기록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참고자료 ▸노벨평화상 역대 수상자 연도 수상자 국적 연도 수상자 국적 2019년 아비 아머드 에티오피아 2014년 카일라시 사티아르티 인도 말랄라 유사프자이 파키스탄 2018년 나디아무라드 이라크 2013년 화학무기금지기구 네델란드 드니 무퀘게 콩고민주공화국 2017년 핵무기폐기국제 운동 스위스 2012년 유럽연합 유럽연합 2016년 후안 마누엘산토스 콜롬비아 2011년 엔런존슨설리프 라이베리아 2015년 퀴니지국민4자 대화기구 튀니지 2010년 류사오보 중국 지도상 유의점 및 TIP ▸평화와 정의를 수호하기 위한 각국에 반영 가능한 요구 정책을 현실성이 있게 제시할 것을 지도한다. ▸선언문 작성에 어려워하는 학생들에게 UN 또는 우리나라에서 작성된 선언문을 먼저 찾아 참고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선언문은 개별적으로 3개 조항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모둠활동을 하여 최적의 선언문을 토의・토론하여 선언문을 결정할 수 있다. 참고자료 ▸세계인권선언(1984년 12월 10일 유엔총회 제정) - 제1조 : 모든 사람은 태어날 때부터 자유롭고, 존엄하며, 평등하다. 모든 사람은 이성과 양심을 가지고 있으므로 서로에게 형제애의 정신으로 대해야 한다. - 제2조 : 모든 사람은 인종, 피부색, 성, 언어, 종교 등 어떤 이유로도 차별받지 않으며, 이 선언에 나와 있는 모든 권리와 자유를 누릴 자격이 있다. - 제3조 : 모든 사람은 자기 생명을 지킬 권리, 자유를 누릴 권리, 그리고 자신의 안전을 지킬 권리가 있다. - 제4조 : 어느 누구도 노예가 되거나 타인에게 예속된 상태에 놓여서는 안 된다. 노예제도와 노예매매는 어떤 형태로든 일절 금지한다. - 제5조 : 어느 누구도 고문이나 잔인하고 비인도적인 모욕, 형벌을 받아서는 안 된다. - 제6조 : 모든 사람은 법 앞에서 ‘ 한 사람의 인간’으로 인정받을 권리가 있다. - 제7조 : 모든 사람은 법 앞에 평등하며, 차별 없이 법의 보호를 받을 수 있다. - 제8조 : 모든 사람은 헌법과 법률이 보장하는 기본권을 침해당했을 때, 해당 국가 법원에 의해 효과적으로 구제받을 권리가 있다. 지도상 유의점 및 TIP ▸구글 어스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에는 스마트폰도 이용 가능하나 학생들에게 노트북 또는 PC를 이용하는 것을 더 권장한다. 노트북 또는 PC를 이용하는 것이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적절하다. ▸구글 어스 프로젝트 튜토리얼 영상을 시청하고, 학생들이 따라 할 수 있는 시간을 충분히 부여한다. ▸구글 어스 프로젝트 기능은 학생 모두가 사용할 수 있도록 연습하고, 학생 스스로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연습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참고자료 ▸구글 어스 프로젝트 활용 스토리텔링 - https://youtu.be/jJePa827qdk ▸구글 어스 설치 및 사용법 안내 - https://youtu.be/SxikVz31UEg - https://youtu.be/kAVRnEZ2XzQ ▸구글 어스 활용 방법 - https://youtu.be/cHBmgFVtw-g 지도상 유의점 및 TIP ▸모의 UN에서 연설할 수 있도록 먼저 위인들의 스토리보드를 기록하는 활동에서는 모둠활동이 중요하므로 모둠 구성이 적절하게 진행해야 한다. ▸스토리보드를 작성할 때에는 글과 그림 등 구글 어스 프로젝트의 기능을 활용하여 표현하는 내용이 포함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위인들의 사건들이 평화와 정의와 관련된 것을 찾아 스토리를 계획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기록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참고자료 ▸스토리보드란? 스토리보드(storyboard)란 영화나 텔레비전 광고 또는 애니메이션 같은 영상물을 제작하기 위해 작성하는 일종의 문서이다. 영상의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스토리나 구성요소, 촬영정보, 동선 등의 제작시 필요한 정보들이 미리 약속된 기호들에 의해 중요한 장면별로 간단히 스케치를 하여 스토리보드를 만든다. 따라서 스토리보드에는 영상촬영 및 편집시에 필요한 전체적인 정보가 담겨 있으므로 제작에 들어가기 전에 점검하는 데 유용하게 쓰이며, 촬영 및 편집을 하는 데에도 일종의 가이드라인이 되어 좀 더 효율적으로 일을 할 수 있게 도와준다. 흔히들 기획의 매우 중요한 부분이 스토리보드라 생각하지만, 기획과 스토리보드는 다른 개념이다. 영상물을 제작할 때 제작자의 머릿속에는 아이디어와 콘셉트들이 떠오를 것이다. 이런 것들을 제작자의 생각, 아이디어 스케치, 메모 등을 통해 영상물에 대한 기획을 세운다. 그다음에는 전체적인 시나리오를 작성하게 된다. 기존의 생각, 아이디어, 콘셉트 등을 좀 더 발전시켜 한 장면 한 장면 세밀하게 세부묘사를 하게 되는데 이 세부묘사를 한 것이 스토리보드다. 출처: 위키백과 지도상 유의점 및 TIP ▸다른 학생들이 발표할 때에는 타 학생들이 집중하여 청취할 수 있도록 수업 분위기를 조성한다. ▸다른 모둠의 발표 중 자신이 생각했을 때 가장 인상 깊은 모둠의 내용을 기록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모둠별 발표가 끝나면 교사는 평화와 정의에 대한 중요성에 대해 강조하고, 피드백한다. 참고자료 ▸교사가 학생들의 발표를 잘 하게 할 수 있는 방법 - 발표하기 힘들어하는 경우, 그 원인에 대하여 먼저 생각하라. - 외향적인 학생이면 칭찬하고, 내성적인 학생이면 격려하라. - 목소리가 작은 학생에게는 마이크를 사용하라. - 발표하는 방법을 미리 가르쳐라. - 발표하기 전에 미리 교사가 점검하라. - 긍정적으로 피드백하라. 지도상 유의점 및 TIP ▸남북관계 발전과 평화와 번영을 위한 선언문을 진행하는 영상을 함께 제시하면 학생들의 선언문 내용 파악을 쉽게 도움을 줄 수 있다. (선언문 영상: https://youtu.be/nFhP2TG1-2Y) ▸SWOT 분석 후 남북의 평화를 위한 전략을 수립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남과 북의 평화 번영이 지구촌의 평화와 정의에 긍정적인 영향에 대해 제시하고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참고자료 ▸SWOT 분석법 - SWOT는 강점(Strength), 약점(Weakness), 기회(Opportunity), 위협(Threat)의 머리글자를 모아 만든 단어로 경영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분석 도구이다. 내적인 면을 분석하는 강점/약점 분석과, 외적 환경을 분석하는 기회/위협 분석으로 나누기도 하며 긍정적인 면을 보는 강점과 기회 그리고 그 반대로 위험을 불러오는 약점, 위협을 저울질하는 도구이다. 보통 X, Y축으로 2차원의 사분면을 그리고 각각 하나의 사분면에 하나씩 배치하여 연관된 사항들을 우선순위로 지배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경영자는 회사가 처한 시장 상황에 대한 인식을 할 수 있으며 앞으로의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중요한 자료로 삼을 수 있다. 출처: 위키백과 지도상 유의점 및 TIP ▸학생들의 자기 평가에서 객관적인 자세로 자신의 학습활동을 돌이켜보고, 진실성 있게 평가하고, 자기 스스로 피드백을 하는 기회란 것을 강조한다. ▸전체의 활동에 대한 느낀 점을 정리할 수 있도록 지도하며, 특히 자신이 활동 과정에서 중점을 두고 참여했던 활동, 주도적으로 참여했던 활동 등을 중심으로 의미와 필요성, 자신·모둠원·학교·사회의 긍정적인 변화에 대해서 서술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다른 학생의 동료 평가에서 친분이나 한 가지 행동을 보고 평가하는 것을 지양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전체의 학습활동을 고려하여 평가하도록 지도한다. 참고자료 ▸동료 평가는 활동을 함께 수행한 동료들이 동등한 관계에서 팀원의 성과와 역량을 평가하는 것으로 평가의 공정성과 결과 수용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협업 과정을 장려하고 개인의 역량 개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평가 과정에서 교과목의 지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역의 역량이 발휘될 수 있도록 진행해야 하며, 학생의 잠재력과 소질을 발견하고 진로를 개발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그리고 경쟁적 평가 풍토보다는 협력을 통한 동반 성장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지도상 유의점 및 TIP ▸전 세계의 평화와 정의를 지키기 위해서 국가 차원의 노력도 필요하지만 기업, 기관, 개인의 실천의 중요성도 강조하여 지도한다. ▸벤&제리에서 제시한 평화헌장의 각 요소에 ( )을 제시하고, 평화헌장의 중요 단어를 찾아 기록할 수 있도록 하여 학생들의 평화에 대한 실천의 의지를 향상시키는 교육활동을 진행할 수 있다. ▸아이스크림 회사 ‘벤&제리’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서 정의와 평화를 수호하기 위한 기업을 찾아 활동 내용을 발표하고 공유할 수 있는 선택적 활동도 가능하다. 참고자료 ▸아이스크림 회사 ‘벤&제리’의 각종 사회 활동 벤&제리(Ben & Jerry's)는 미국의 아이스크림 제조 회사로, 영국-네덜란드계 기업인 유니레버의 자회사이다. 상품명은 물론 공동 창업주의 이름을 따온 것이다. 벤&제리는 평화 구축이라는 사회적 책임 활동뿐만 아니라 공정한 무역, 기후변화 대응이 있다. 공정한 무역을 위한 벤&제리에서 만들어 내는 아이스크림 모든 재료에 공정무역 인증을 받아 소규모 농장의 농부들과 지역사회가 살아남아 성공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있다. 또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아이스크림 생산과정의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기 위한 노력으로 공장에 태양전지판을 설치하여 전기를 생산하고, 아이스크림 폐기물을 청정에너지로 전환시켜 공장을 가동하고 있다. 출처: 벤&제리, https://www.benjerry.co.kr/values/issues-we-care-about, 2020. 9. 28. 접속 SDG 17 중등 더불어 행복한 지역사회를 만드는 착한기업 ❑ 수업의 개요 주제 더불어 행복한 지역사회를 만드는 착한기업 관련 SDGs 17. SDGs를 위한 파트너십 관련 K–SDGs 17. 지구촌 협력 확대 17.7. 효과적인 공공, 공공-민간 및 시민사회 간 파트너십을 권장하고 촉진한다. ‣ 2030 목표치 • SDGs 이행을 위한 민관협의체 참여기관 및 정례회의 건수 관 련 교 과 및 성취기준 교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환경 [9환04–02] 지속가능발전과 관련된 국・내외 사례를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측면에서 해석하고, 자신의 삶과 지역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지리 [9사(지리)08-04] 도시 문제를 해결하여 살기 좋은 도시로 변화된 사례를 조사하고, 살기 좋은 도시가 갖추어야 할 조건을 제안한다. E S D 내 용 요 소 사회•정치•문화 환경 경제 ‣ 사회정의, 거버넌스・사회참여 ‣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빈부격차 완화 E S D 중 점 역 량 인지•기능 태도 ‣ 규범적 역량 ‣ 통합적 문제 해결 역량 ‣ 전락적 역량 ‣ 자아 인식 역량 ‣ 자아성찰적 태도 : 반성적 태도 ‣ 타자지향적 태도 : 협동, 갈등, 관리, 공감 ‣ 민주시민적 태도 : 책임감, 도덕성 ‣ 국제문화적 태도 : 다양성 S D G s - E S D 성 취 기 준 [17-1] 양질을 삶과 행복을 추구하기 위해 필요한 지속가능발전의 의미를 이해한다. 2 0 1 5 개 정 교 육 과 정 핵 심 역 량 지식정보 처리 역량 ‣ 주요 활동 : 사회적 기업의 정의와 필요성 ‣ 역량신장 내용 : 사회적 기업 사례를 이해하고 사회적 기업이 착한 기업인 이유에 대한 알아가는 과정에서 지식 정보처리 역량을 함양한다. 공동체 역량 ‣ 주요 활동 : 우리 마을에 필요한 사회적 기업 설립 ‣ 역량신장 내용 : 우리 마을에 필요한 사회적 기업 설립을 위한 창의적 사고를 함양한다. 창의적 사고 역량 ‣ 주요 활동 : 사회적 기업과 지속가능한 발전 ‣ 역량신장 내용 : 우리 마을에 필요한 사회적 기업을 체크리스트를 활용 착한기업인지를 확인하고 마을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방향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며 창의적 역량을 함양시킨다. ❑ 학생 생활기록부 기재 방법(안) ● 우리 마을에 필요한 사회적 기업을 설립 과정의 모둠원들과 협력하여 사회와 환경교과 내용과 관련한 성취기준 도달 정도를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 사회적 기업의 사례를 통해 정의와 필요성에 대해 우리 마을에 필요한 착한기업과 지속가능한 발전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 ESD 평가지의 ‘자기 평가를 해보자’의 생활기록부에 위의 역량별 평가 자료를 바탕으로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 교사의 관찰 평가와 동료 평가를 통해 평가 자료를 바탕으로 본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교수 목적에 도달했는지의 정도를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학교생활기록부 작성 예시 지식정보처리 역량 사회적 기업의 정의와 정확하게 이해하고 필요성에 인식하여, 우리 마을의 착한 기업을 설립하고 발표함. 공동체 역량 모둠원들과 협력하여 우리 마을에 필요한 사회적 기업을 기획하고, 사업계획서를 작성해서 완성함. 창의적 사고 역량 우리 마을의 사회적 기업과 지속가능한 발전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사회적 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적절하게 발표함. 차시 프로그램 평가 내용 지속가능한 발전을 지역사회의 사회적 기업의 설립과 연관 지어 중요성과 의미를 인식함. 사회적 기업의 정의와 필요성을 인식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할 수 있도록 우리 마을의 사회적 기업을 설립의 경험을 함. ❑ 수업 지도안 전체 지도상 유의점 및 TIP ▸활동 과정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 17번 목표와 세부목표에 부합될 수 있도록 교수활동을 진행한다. ▸도입단계는 착한기업이라는 사회적 기업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전개 단계는 우리 마을에 필요한 사회적 기업을 설립해 본다. 정리단계는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지역사회를 넘어 공공, 민간, 국가 간의 파트너십 증진을 알 수 있도록 지도한다. ▸모둠 활동에서 모둠원들이 모두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한눈에 보는 수업 도입 생각 열기: 사회적 기업 ‘아름다운 가게’ 알아보기 10분 �� 생각 키우기: 활동1. 사회적 기업의 정의와 필요성 20분 교수 학습 활동 학습자료 및 유의점 ▶ 여러 가지 사회적 기업을 찾아 하는 일 알아보기 ▶ 사회적 기업을 착한기업이라고 하는 이유 알아보기 ▶ 아름다운 가게 홍보 영상 https://youtu.be/dbaPfhuhqSw �� 전개 생각 만들기: 활동2. 우리 마을 사회적 기업의 설립 60분 교수 학습 활동 학습자료 및 유의점 ▶ 우리 마을에 필요한 사회적 기업을 설립하기 ▶ 모둠원들이 설립한 사회적 기업 인증 체크리스트 ▶ 우리 마을에 필요한 사회적 기업 분야를 선택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생각 만들기: 활동3. 지속가능한 사회와 사회적 기업의 중요성 40분 교수 학습 활동 학습자료 및 유의점 ▶ 설립한 우리 마을 사회적 기업의 지속가능성 체크 ▶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사회적 기업의 중요성 인식 ▶ 지역사회에 기여하기 위한 사회적 기업을 설립함으로써 지속가능한 발전의 중요성 인식하도록 지도 �� 정리 생각 정리하기(자기 평가/동료 평가) 보충자료: 해외의 사회적 기업 성공사례 5분 지도상 유의점 및 TIP ▸사회적 기업을 이해하기 위한 ‘아름다운 가게’ 홍보영상을 사용할 수 있지만, 지역사회에 대표적인 사회적 기업이 있다면 해당 사회적 기업을 제시하는 것을 학생들의 이해도를 높이기에 적절하다. ▸사회적 기업의 홍보영상을 2번 이상 제시하여 첫 번째는 사회적 기업의 전반적인 내용, 두 번째는 사회적 기업의 구체적인 내용을 알아볼 수 있도록 안내하고, 활동지에 기록할 수 있도록 한다. ▸아름다운 가게에 대한 질문이 종료되면 교사와 함께 학생들의 답변을 확인해 본다. 참고자료 ▸사회적 기업 ‘아름다운 가게’ 아름다운가게(Beautiful Store)는 영국의 옥스팜(Oxfam)을 본보기로 하여 2002년 출범한 비영리기구이자 사회적 기업이다. 아름다운 가게의 가장 핵심적인 주제이자 사명은 나눔과 순환 그리고 시민의 참여이다. 아름다운가게는 영리를 추구하지 않으며 그 수익금을 제3세계 사람들과 사회적 약자를 위해 사용하고 있다. 또한 아름다운가게는 종교적 편향을 지양한다. 아름다운가게의 원동력이자 활력소는 시민의 참여이다. 낡거나 오래 된 물건을 기증받으면 아름다운가게는 다시 이 물건들을 되살려 시장으로 보낸다. 사람들이 자신에게 더 이상 쓸모없는 물건을 기증하면 다른 사람들은 기증된 물건을 다시 사간다. 다시 말해 자원의 순환을 이용한 시민운동이다. 아름다운가게는 부의 편중과 빈부격차에 대해 서로가 이해하고 나누는 활동을 통해 자원의 더 긴 순환과 유통을 실현하고자 하며, 이를 되살림 정신이라 칭한다. 아름다운가게는 대한민국에서 처음으로 시도된 재활용품 사용 시민운동의 발상지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헌 물건을 팔아 생긴 수익을 제3세계의 빈곤 구제와 사회 지원에 사용하는 영국의 옥스팜이 아름다운가게의 결정적인 선구모델이 되었다. 옥스팜 매장은 유럽 전역에 820여 개의 매장을 갖고 있으며 막대한 규모의 수익금을 극빈자와 장애인, 이민노동자를 위해 출자한다. 출처: 위키백과 지도상 유의점 및 TIP ▸사회적 기업의 하는 일을 찾을 때에는 학생들의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 있지만, 스마트폰이 없는 학생을 위한 여분의 태블릿 또는 노트북을 준비하는 것이 좋다.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사회적 기업의 하는 일 찾기 위해서는 수업 전 교실의 무선 인터넷(공유기 등) 환경을 점검하고 준비해야 한다. ▸스마트폰을 활용하기 어려운 교실 환경이라면 사회적 기업에 대한 여러 가지 학습자료를 준비하여 학생들에게 제시하여 찾을 수 있도록 한다. 참고자료 ▸사회적 기업이란? 이익을 추구하는 영리기업과 그렇지 않은 비영리 기업의 중간 형태로, 사회적 목적을 우선적으로 추구하면서 재화나 서비스의 생산 및 판매 등 영업활동을 수행하는 기업을 말한다. 영리 기업이 주주나 회사 소유자를 위해 이윤을 추구하는 것과는 달리, 사회적 기업은 사회서비스를 제공하고, 취약계층에게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 사회적 목적을 조직의 주된 목적으로 추구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사회적 기업이 사회에 공헌하는 역할 첫째, 실업문제와 늘어나는 다양한 사회서비스 수요 문제를 해결해준다. 그동안의 좋지 못한 경기 상황에서 고용 불안정을 해소해주는 이 역할이 더욱 중요해졌다. 더욱이 사회적 기업은 취약계층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 공동체의 수요에 적합한 사회서비스를 확충한다. 둘째, 지역의 인적·물적 자원을 활용하여 고용 및 복지를 확대하여 지역사회 활성화에도 기여한다. 셋째, 사회적 기업은 윤리적 시장 확산을 도와준다. 지도상 유의점 및 TIP ▸우리 마을에 존재하는 사회적 기업이 있다면 먼저 해당 기업을 소개하면서 사회적 기업 설립 활동을 진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사회적 기업 인증을 받기 위해 체크리스트 활동을 진행하기 전 사회적 기업의 인증을 위한 조건을 설명하고, 활동을 시작하도록 지도한다. ▸사회적 기업 인증에서 X로 나타날 경우 다시 사회적 기업 인증을 받기 위해 설립 과정의 수정할 수 있도록 피드백을 한다. 참고자료 ▸사회적 기업으로 인증받기 위한 요건 첫째, 조직형태로는 법인 사업자 혹은 비영리단체만 가능합니다. 개인사업자는 인증을 받을 수 없습니다. 둘째, 유급근로자 1인 이상이 꼭 필요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유급근로자란 4대 보험가입을 했는지 여부를 확인하며 각 유형마다 약간의 인원차이가 있습니다. 셋째,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여야 합니다. 단순히 취약계층의 일자리를 제공하거나, 취약계층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넘어 조직의 “주된 가치“가 사회적 목적이어야 합니다. 넷째, 이사회, 운영위원회, 총회 등 사회적 기업의 의사결정과정에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포함되도록 하여야 합니다. 포함되는 대상은 근로자 대표, 지역사회유지, 주 서비스수혜대상 등 사업과 이해관계를 같이하는 다양한 영역의 사람들이 속합니다. 다섯째, 사회적 기업도 기업이기 때문에, ‘영업활동‘을 하여야만 합니다. 영업활동은 6개월 이상의 실적이 있어야 하며, 총 노무비의 30%이상의 수익을 내어야 합니다. 이런 부분들은 보통 재무제표를 통해 증빙하여야 합니다. 출처: 찾기쉬운생활법령정보, http://easylaw.go.kr/, 2020. 8. 27 접속 지도상 유의점 및 TIP ▸사회적 기업의 사회적 가치 체크리스트를 통해 우리 마을에 필요한 사회적 기업이 사회적 가치에 부합될 수 있는지 확인시킨다. ▸사회적 기업이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 요소가 포함 되어야지만 지속가능한 발전이 가능한 지속가능성이 포함 될 수 있음을 안내한다. ▸사회적 기업을 지역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기여하고 촉진시킬 수 있음을 이해하고, 착한기업인 사회적 기업이 지속적으로 설립 및 유지 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참고자료 ▸사회적 기업의 사회적 가치 사회적 가치는 경제적 회계가 측정할 수 없는 공공의 이익과 공동체 발전 등에 기여하는 가치를 의미하며, 사회적 가치 실현은 공동체의 발전을 위한“공익(Public interest)의 실현”을 의미한다. 사회적 기업을 운영하는 주요 동기는 명백히 사회적 목적의 실현이며 이로 인해 창출된 수익은 주로 사회적 목적에 환원 또는 투자된다. 사회적 기업은 비영리 자선단체와는 달리 상품이나 서비스의 생산 판매와 같은 영업활동을 주요한 활동으로 한다. 생산된 서비스와 상품은 지역사회의 발전에 기여가 된다. 출처: 강원도사회적경제지원센터, https://gwse.or.kr/bbs/board.php?bo_table=sub45&wr_id=85, 2020. 8. 27 접속 지도상 유의점 및 TIP ▸사회적 기업에 포함되어 있는 사회적 경제의 큰 분류에 대해 설명하고, 사회적 경제의 중요성도 함께 제시한다. ▸사회적 경제기업은 마을의 특성에 따라 필요한 유형을 선택하고, 운영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사회적 경제가 우리 사회에 필요한 이유는 지역사회의 지속가능성을 유지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이 가능하게 만드는 것임을 지도한다. 참고자료 ▸사회적 경제의 다양한 정의 - OECD : 국가와 시장 사이에 존재하는 조직에 내재된 것으로 사회적 요소와 경제적 요소를 동시에 추구하는 것 - EU : 참여적 경영 시스템을 갖춘 협동조합, 상호공제조합, 사단, 재단 등이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기 위한 경제적 활동 - 캐나다 퀘벡 : 사회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6대 원칙’*에 따라 운영되는 기업의 경제활동 * 구성원·공동체의 필요 충족, 국가로부터의 자율성, 민주적 지배구조, 경제적 성과 추구, 출자액에 비례한 배당 금지, 해산 시 잔여재산 타법인 양도 출처: 대한민국정책 브리핑, http://www.korea.kr/special/policyCurationView.do?newsId=148867775&pWise=main&pWiseMain=L4, 2020. 8. 27 접속 지도상 유의점 및 TIP ▸학생들의 자기 평가에서 객관적인 자세로 자신의 학습활동을 돌이켜보고, 진실성 있게 평가하고, 자기 스스로 피드백을 하는 기회란 것을 강조한다. ▸전체의 활동에 대한 느낀 점을 정리할 수 있도록 지도하며, 특히 자신이 활동 과정에서 중점을 두고 참여했던 활동, 주도적으로 참여했던 활동 등을 중심으로 의미와 필요성, 자신·모둠원·학교·사회의 긍정적인 변화에 대해서 서술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다른 학생의 동료 평가에서 친분이나 한 가지 행동을 보고 평가하는 것을 지양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전체의 학습활동을 고려하여 평가하도록 지도한다. 참고자료 ▸동료 평가는 활동을 함께 수행한 동료들이 동등한 관계에서 팀원의 성과와 역량을 평가하는 것으로 평가의 공정성과 결과 수용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협업 과정을 장려하고 개인의 역량 개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평가 과정에서 교과목의 지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역의 역량이 발휘될 수 있도록 진행해야 하며, 학생의 잠재력과 소질을 발견하고 진로를 개발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그리고 경쟁적 평가 풍토보다는 협력을 통한 동반 성장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지도상 유의점 및 TIP ▸해외의 사회적 기업의 다양한 유형과 운영 방법을 안내하고, 우리나라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토의하도록 지도할 수 있다. ▸해외의 사회적 기업 브랜드를 학생들에게 제시하고 모둠별로 분야, 내용 등을 찾아서 정리하여 발표를 통해 다양한 사회적 기업에 대해 인식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참고자료 ▸제주도의 사회적 기업 사례 2014년 (사)제주사회적경제네트워크, 제주관광공사와 함께 ‘제주 사회적 기업 지도’를 배포하였다. 제주도에서 의미 있는 분야별 사회적 기업을 선정하고 관광객들에게 착한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진행하였다. 제주의 사회적 경제 생태계 활성화하여 우리 사회에 사회적 기업과 관광객을 연결해 주는 바람직한 사례를 평가를 받고 있다. 출처: (사)제주대안연구공동체, http://www.jejuin.org/skyBoard/view/notice/1713 고등학생용 지도서 SDG 13 고등 우리의 기후변화 대응 이야기 ❑ 수업의 개요 주제 녹색 마을지도를 통하여 기후변화의 대응요소 찾기 관련 SDGs 13. 기후변화 대응 관련 K–SDGs 13. 기후변화 대응 13.3. 기후변화 완화, 적응, 영향 감소, 조기 경보 등에 관한 교육, 인식 제고, 인적⋅제도적 역량을 강화한다. 관 련 교 과 및 성취기준 교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통합사회 [10통사03-03]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을 사례로 공간 변화가 초래한 양상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세계지리 [12세지02-01] 기후 요인과 기후 요소에 대한 기본 이해를 바탕으로 열대 기후의 주요 특징과 요인을 분석한다. 환경 [12환경04–03] 환경재난과 위험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와 시민사회의 노력을 조사하고, 재난별 안전 수칙을 숙지하며, 우리 지역의 환경재난과 위험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토의한다. E S D 내 용 요 소 사회•정치•문화 환경 경제 ‣ 건강, 거버넌스 ‣기후변화, 지속가능한 도시 ‣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E S D 중 점 역 량 인지•기능 태도 ‣ 창의적 사고 ‣ 비판적 사고력 ‣ 문제해결력 ‣ 의사소통능력 ‣ 자아성찰적 태도 : 반성적 태도 ‣ 타자지향적 태도 : 협동, 갈등, 관리, 공감, 감수성 ‣ 민주시민적 태도 : 책임감, 도덕성 ‣ 국제문화적 태도 : 다양성, 글로벌 공동체 의식 S D G s - E S D 성 취 기 준 [13-3] 기후변화 완화, 적응, 영향 감축 및 조기 경보 등 기후변화를 대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2 0 1 5 개 정 교 육 과 정 핵 심 역 량 지식정보 처리 역량 ‣ 주요 활동 : 국가별 기후변화 대응지수(CCPI) 분석 및 국가열지도 시스템 탐색 ‣ 역량신장 내용 : 국가별 기후변화 대응지수의 국가별 점수를 4가지의 주요 카테고리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함. 국가열지도 시스템을 통하여 권역별 열 공급/수요 시설을 파악하여 앞으로의 활동에 필요한 지식과 정보를 처리하고 활용함. 창의적 사고 역량 ‣ 주요 활동 : 녹색 마을지도 만들기 ‣ 역량신장 내용 : 우리 마을을 친환경 녹색 마을로 만들기 위하여 주변 환경에 대한 개선 아이디어를 구체화 시키고, 이를 마인드맵으로 구성함. 주어진 문제점과 개선 아이디어를 종합하여 창의적인 녹색 마을지도로 구현함. 의사소통 역량 ‣ 주요 활동 : 녹색 마을지도 만들기 ‣ 역량신장 내용 : 모둠별, 개인별 의사결정 활동의 과정을 통해 녹색 마을지도 만들기 활동에 참여함. ❑ 학생 생활기록부 기재 방법(안) ● 국가별 기후변화대응 지수와 기후변화에 대응을 위한 행동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녹색 마을지도를 만드는 과정과 통합사회, 세계지리, 환경 교과 내용과 관련한 성취기준 도달 정도를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 녹색 마을지도를 만들기 위한 준비, 계획, 실행의 전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관찰 및 동료 평가 내용을 워크북 작성 내용(생각 정리하기)을 참고하여, 본 활동 내용 및 교과 내용을 결부시켜 학생의 노력을 포함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 교사의 관찰 평가와 동료 평가를 통해 평가 자료를 바탕으로 본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교수목적에 도달했는지의 정도를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학교생활기록부 작성 예시 지식정보처리 역량 국가별 기후변화 대응지수의 국가별 점수를 4가지의 주요 카테고리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함. 국가열지도 시스템을 통하여 권역별 열 공급/수요 시설을 파악하여 녹색 마을지도 만들기 활동에 반영함. 창의적 사고 역량 우리 마을을 친환경 녹색 마을로 만들기 위하여 주변 환경에 대한 개선 아이디어를 구체화 시키고, 이를 마인드맵으로 구성함. 주어진 문제점과 개선 아이디어를 종합하여 창의적인 녹색 마을지도로 구현함. 의사소통 역량 녹색 마을지도를 만들기 위한 토의·토론 과정을 통해 자신의 생각하는 바를 자유롭게 이야기하며 경청하는 태도를 보였으며, 반대 의견에 근거를 들어 적절히 말할 수 있음. 차시 프로그램 평가 내용 우리 마을을 친환경 녹색 마을로 만들기 위하여 주변 환경에 대한 개선 아이디어를 구체화 시키고, 이를 마인드맵으로 구성함. 주어진 문제점과 개선 아이디어를 종합하여 창의적인 녹색 마을지도로 구현함. 기존 도시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는 데 필요한 요소를 토대로 녹색 마을지도를 만드는 활동을 할 수 있음. ❑ 수업 지도안 전체 지도상 유의점 및 TIP ▸활동 과정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 13번의 목표와 세부목표에 부합될 수 있도록 교수활동을 진행한다. ▸한눈에 보는 수업을 통해 수업의 전체 흐름을 파악하고 선택 활동(온실가스 저장 및 활용기술)의 포함 여부를 결정한다. ▸사전에 학생들이 준비물을 준비해 올 수 있도록 안내한다. (개인 : 노트북, 모둠 : 색연필, 사인펜, 온도계) ▸모둠 활동에서 모둠원들이 모두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한눈에 보는 수업 도입 생각 열기: 우리나라가 기후 악당국가? 20분 �� 생각 키우기: 큰일을 하는데 너는 결코 작지 않아 30분 교수 학습 활동 학습자료 및 유의점 ▶ 청소년들의 기후변화 대응 활동 찾기 ▶ 기후변화 대응 구호 만들기 ▶ ‘기후파업’의 뜻과 사례 탐색 ▶ 기후변화 활동에 대한 동기부여 전개 생각 만들기: 한반도, 열받는 곳은 어디? 80분 교수 학습 활동 학습자료 및 유의점 ▶ 국가열지도 시스템 탐색하기 ▶ 녹색 마을로 변화시키는 데 필요한 요소 찾기 ▶ 녹색 마을지도 그리기 ▶ 국가열지도 https://www.k-heatmap.com/ ▶ 각 모둠원의 정확한 업무부여 ▶ 지도 그릴 때 구글맵 등의 지도서비스 적극 활용 �� 정리 생각 정리하기(자기 평가/동료 평가) 보충자료: 국가별 기후변화 대응지수(CCPI) 20분 지도상 유의점 및 TIP ▸제시된 신문기사의 내용과 영상을 통해 우리나라가 왜 기후변화 4대 악당국가로 지목되게 되었는지 생각해 보고, 이에 대한 문제의식을 갖는다. ▸관련 신문기사 링크 : http://www.hani.co.kr/arti/society/environment/768994.html ▸학생 자료 마지막 페이지의 보충자료에 제시된 <국가별 기후변화 대응지수(CCPI)> 각 나라의 점수를 4가지 주요 카테고리를 중심으로 비교·분석한다. 참고자료 [팩트체크] 대한민국은 기후악당인가? ① 국제사회는 한국을 기후악당이라고 불렀나? → 사실 영국의 기후변화 전문 미디어 '클라이밋 홈 뉴스'는 2016년 4월 "한국이 2016년 기후 악당을 선도하고 있다(South Korea leads list of 2016 climate villains)"는 제목의 기사를 보도했다. ‘기후 악당 국가’는 기후변화 대응에 가장 무책임하고 게으른 국가를 말한다. 한국이 기후 악당국가로 지목된 이유로는 1인당 온실가스 배출량의 가파른 증가 속도, 석탄화력발전소 수출에 대한 재정지원, 2020년 온실가스 감축목표 폐기 등이 지적됐다. ② 한국은 현재 기후악당이 맞나? → 사실 국제에너지기구(IEA)가 최근 발표한 온실가스 통계자료를 보면 한국은 화석연료 연소를 통해 2017년 한 해 6억 톤의 이산화탄소를 배출, 세계 7위를 기록했다. 지도상 유의점 및 TIP ▸추가 질문 단순히 ‘기후파업’의 뜻을 찾아보는 것에 그치지 말고, 이 단어가 왜 올해의 단어로 선정되었을지에 대해 학생들과 함께 나눠본다. ▸기후파업의 동참 여부를 묻는 세 번째 문항은 기록한 내용을 발표하고, 참여를 하는 이유와 하지 않는 이유를 다른 학생들과 공유한다. 또한, 참여하고자 하는 학생의 구호를 큰소리로 외쳐보게 한다. 참고자료 ▸그레타 툰베리(스웨덴어: Greta Thunberg, 2003년 1월 3일 - )는 스웨덴의 환경운동가다. 어린 시절 아버지의 영향으로 기후변화에 관심을 가졌고 2018년 8월, 스웨덴 의회 밖에서 처음으로 청소년 기후행동을 한 것을 시작으로, 2019년 전 세계적인 기후 관련 동맹휴학 운동을 이끈 인물이다. 2019년 타임 올해의 인물에 선정되었다. 출처: 위키백과 ▸'기후파업'(climate strike)이 영국 콜린스 사전의 올해의 단어로 뽑혔다. 콜린스 사전은 "기후파업은 작년부터 세계 거대 도시들 곳곳에서 '빈번한 현실'이 됐다"며, 올해 들어 이 단어의 사용이 전년에 비해 100배나 급증했다고 설명했다. 기후파업은 인류가 당면한 기후변화 위기에 대처하기 위한 방안 마련 을 촉구하기 위해 학생들이 수업을 빼먹고, 직장인들이 결근하는 것을 의미한다. 환경 관련 단어가 올해의 단어로 등극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한 번 쓰고 버리는 플라스틱 용기를 지칭하는 '1회용'(single-use)이 올해의 단어로 선정된 바 있다. 또한, 특정 지역이나 땅을 자연 상태로 되돌리는 것을 뜻하는 '자연복원'(rewilding)도 기후파업과 함께 최종 후보에 올라 환경에 대한 대중의 높아진 관심을 반영했다. 지도상 유의점 및 TIP ▸개인 노트북을 활용하는 활동이다. ▸국가열지도 시스템을 처음 접하는 학생들을 위해 ‘국가열지도 소개 동영상’을 시청할 수 있다. [동영상 링크] https://www.k-heatmap.com/intro/introduction/info.do 참고자료 ▸국가열지도 시스템의 왼쪽 메뉴에 있는 ‘차트’를 활용하여 권역별 열 공급/수요 시설을 한 눈에 파악할 수도 있다. 그림출처: 국가열지도 시스템 지도상 유의점 및 TIP ▸학생이 사는 동네 수준으로 너무 세부적으로 지도를 검색하면 각종 시설을 파악하기 어려우므로 시나 도 단위로 지도를 검색한다. ▸오른쪽에 있는 ‘사용자 레이어’ 메뉴를 하나씩 클릭하여 검색하게 한다. 참고자료 ▸인간 활동이 대규모로 기후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한 것은 산업혁명 초기인 18세기 중엽부터로 1970년부터 2004년 사이에 지구 온실가스 배출량은 70%나 증가하였다(IPCC, 2007). 인간 활동, 특히 공장이나 가정에서의 화석연료 연소와 생물체의 연소 등은 대기 구성 성분에 영향을 주는 온실가스와 에어로졸을 생산하여 온실가스를 증가시키고, 대기 중 에어로졸에 의해 태양 복사에너지 반사와 구름의 광학적 성질변화(산란효과에 의한 지구 냉각화)를 일으키고 있다. - 온실가스 및 에어로졸의 증가 산업혁명 이후 석탄, 석유, 천연가스 등 화석연료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면서 대기 중 온실가스 농도가 증가하였다. - 산림파괴 및 환경변화 산림의 파괴는 물과 탄소의 순환에 영향을 미치며, 자연환경의 변화를 일으켜 기후변화의 원인이 된다. 지도상 유의점 및 TIP ▸마인드맵은 내용을 체계적이고 창의적으로 구성하기 위해 스토리텔링의 맥락에서 다양한 생각과 계획, 내용 등을 조직하는 단계이다.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다양한 생각들을 정리해 보도록 지도한다. (마인드맵 예시) 참고자료 ▸녹색 도시란 어떤 곳인가? 프라이부르크시 [동영상 자료] https://vimeo.com/89025568 보봉 생태 주거단지는 프라이부르그 도시에서 남동쪽으로 약 3㎞ 떨어진 숀베르크 언덕 근처에 자리 잡고 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군부대 시설의 재생과정을 통해 만들어졌으며, 과거 성곽도시 시절 프라이부르크의 요새화를 담당했던 루이 14세의 병참기지 건축가 보봉의 이름을 따서 보봉 생태 주거단지라고 이름 지었다. 보봉은 태양에너지 활용, 차 없는 생활 지향, 옥상녹화시설, 원자력에너지 제로 등 독특하고 미래지향적인 환경 특성으로 유명하다. 아울러 문화적 다양성과 지속가능성은 보봉을 세계적으로 주목받을 수 있는 주거단지로 만들어주었다. 보봉은 태양열을 주 에너지원으로 채택하고, 대중교통 중심의 교통체계를 구축했으며, 이곳에 있었던 크고 오래된 나무들은 될 수 있는 대 로 손대지 않고 개발하였으며, 쓰레기 발생량과 물 소비량을 줄이고, 생태 순환을 위해 콘크리트를 활용하지 않는다는 원칙을 가지고 있다. 보봉은 시민참여를 통해 지역 공동체의 활성화와 친환경적이고, 지속가능한 환경을 이룩해낸 우수한 주거단지 개발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지도상 유의점 및 TIP ▸녹색 마을지도를 ‘열지도’로 확장할 경우 : 모둠별로 정해진 시간에 일정한 장소에서 기온을 측정해보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이를 통해 실제 해당 지역의 기온이 얼마나 높은지, 주변 환경과 기온의 연관성이 있는지 등 기후변화에 대해 구체적으로 생각해 보는 기회를 갖는다. 여기에서 얻어진 정보를 활용하여 그 지역에 필요한 요소를 배치한다. ▸완성된 녹색 마을지도는 교실 벽면에 자유롭게 붙이고 발표 준비를 하도록 한다. 발표는 모둠별로 진행하며 아이디어에 대한 발상, 벽화 콘셉트 및 구현 방법, 느낀 점 등을 발표한다. 참고자료 ▸그린맵 소개(https://www.greenmap.org/) - 그린맵(greenmap)은 지속가능한 지구, 지속가능한 지역공동체를 만들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 널리 알리고 함께 나누고 싶은 사소하지만 다양하며 지속가능한 우리 동네의 정보를 세계적으로 통용되는 그린맵 아이콘을 활용하여 온·오프라인 상에 누구나 이해하기 쉽게 지도(Map)의 형태로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 파주시 탄현면 그린맵 지도상 유의점 및 TIP ▸본 선택 활동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신기술로 각국에서 경쟁적으로 도입하고 있는 이산화탄소의 포집, 저장, 활용기술에 대해 알아보고, 실제 우리나라에서 어떻게 실행되고 있는지 조사한다. ▸온실가스 저장 및 활용기술 관련 전문가와 대학 전공을 소개하여 자연스럽게 진로지도와 연계시킨다. 참고자료 ▸간단하게 도식화한 이산화탄소 지중 저장 과정 출처: Andrea D. Steffen, Capture Plant Hits 4 Million Ton Milestone 6 Months Ahead Of Schedule ▸관련 직업 : 에너지공학기술자, 에너지저장연구원, 수소에너지연구원, 화학공학기술자, 온실가스저감기술연구원, 연료전지스택연구원, 연료전지단전지(Cell)연구원 ▸관련 학과 : 물리학과, 에너지공학과, 지구과학과, 화학과, 화학공학과 지도상 유의점 및 TIP ▸학생들의 자기 평가에서 객관적인 자세로 자신의 학습 활동을 돌이켜보고, 진실성 있게 평가하고, 자기 스스로 피드백을 하는 기회란 것을 강조한다. ▸전체의 활동에 대한 느낀 점을 정리할 수 있도록 지도하며, 특히 자신이 활동 과정에서 중점을 두고 참여했던 활동, 주도적으로 참여했던 활동 등을 중심으로 의미와 필요성, 자신·모둠원·학교·사회의 긍정적인 변화에 관해서 서술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다른 학생의 동료 평가에서 친분이나 한 가지 행동을 보고 평가하는 것을 지양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전체의 학습 활동을 고려하여 평가하도록 지도한다. 참고자료 ▸동료 평가는 활동을 함께 수행한 동료들이 동등한 관계에서 팀원의 성과와 역량을 평가하는 것으로 평가의 공정성과 결과 수용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협업 과정을 장려하고, 개인의 역량 개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평가 과정에서 교과목의 지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역의 역량이 발휘될 수 있도록 진행해야 하며, 학생의 잠재력과 소질을 발견하고 진로를 개발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그리고 경쟁적 평가 풍토보다는 협력을 통한 동반성장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지도상 유의점 및 TIP ▸‘기후변화대응지수(CCPI) 2020’ 순위표를 활용하여 4가지 분야(△온실가스 배출 △신재생에너지 △에너지 사용 △기후정책)에 있어서 우리나라의 지수를 분석하게 한다. 참고자료 ▸전체 조사 대상국의 기후위기 대응 수준 평가 결과 총 4개 평가 부문 가운데 한국의 에너지 사용은 61위로 꼴찌를 기록했고, 온실가스 배출도 그와 비슷한 59위에 매겨졌다. 재생에너지는 높은 증가율을 보이기는 하나 여전히 에너지 믹스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낮다고 평가했다. 온실가스 감축에 거듭 실패하고 있는 한국과 달리 57개 온실가스 다배출국 가운데 31개국에서 감소세가 확인됐다. 파리협정 탈퇴를 결정한 미국은 지난해 꼴찌 국가인 사우디아라비아를 밀어내고, 최하위에 기록됐다. 트럼프 정부 들어서 세계기후변화에 전혀 괘념치 않은 관계로 기후변화의 최악국가가 됐다. SDG 14 고등 ‘물고기 아파트’로 해양자원 보존하기 ❑ 수업의 개요 주제 해양자원 보존을 위한 다양한 실천 방안 찾기 관련 SDGs 14. 해양 생태계 보전 관련 K–SDGs 14. 해양 생태계 보전 14.2. 바다의 생태환경과 수산자원의 서식처를 적극적으로 관리한다. 관 련 교 과 및 성취기준 교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통합사회 [10통사02-02] 자연에 대한 인간의 다양한 관점을 사례를 통해 설명하고, 인간과 자연의 바람직한 관계에 대해 제안한다. 환경 [12환경02–15] 생물의 종류와 생태계에서의 역할, 생물의 경제, 사회, 문화적 가치, 생물다양성과 보전활동 현황을 탐색하고, 생물다양성의 감소가 생태계와 사회체계에 미치는 영향을 추론한다. 기술가정 [12기가05-08]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측면에서 지속가능한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의 분야를 조사한다. E S D 내 용 요 소 사회•정치•문화 환경 경제 ‣ 거버넌스 ‣ 자연자원, 기후변화 ‣ 기업의 책무 E S D 중 점 역 량 인지•기능 태도 ‣ 창의적 사고 ‣ 비판적 사고력 ‣ 문제해결력 ‣ 의사소통능력 ‣ 자아성찰적 태도 : 반성적 태도 ‣ 타자지향적 태도 : 협동, 갈등, 관리, 공감, 감수성 ‣ 민주시민적 태도 : 책임감, 도덕성 ‣ 국제문화적 태도 : 다양성, 글로벌 공동체 의식 S D G s - E S D 성 취 기 준 [14-3] 지속가능한 해양 생태계를 위한 올바른 해양자원의 활용과 해양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2 0 1 5 개 정 교 육 과 정 핵 심 역 량 지식정보 처리 역량 ‣ 주요 활동 : 산성화, 수온상승, 산소결핍 문제 분석 ‣ 역량신장 내용 : 남획이나 혼획과 같은 불법어업 문제 외에 바닷물의 산성화, 수온상승, 산소결핍 문제도 바다 생태계를 위태롭게 하는 문제임을 인식하고, 그 발생원인과 피해사례를 정리하고, 이를 홍보물 제작에 활용함. 심미적 감성 역량 ‣ 주요 활동 : 공익광고 만들기 활동 ‣ 역량신장 내용 : 인간에 대한 공감적 이해와 문화적 감수성을 바탕으로 본 프로그램을 통해 배우고 느낀 내용들을 토대로 해양자원 보존을 위한 공익광고를 제작함. 의사소통 역량 ‣ 주요 활동 : 인공어초 만들기, 공익광고 만들기 활동 ‣ 역량신장 내용 : 모둠별, 개인별 의사결정 활동의 과정을 통해 인공어초 만들기와 공익광고 만들기 활동에 참여함. ❑ 학생 생활기록부 기재 방법(안) ● 바다 생태계를 위태롭게 하는 요인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해양자원 보존을 위한 홍보물을 만드는 모든 활동 과정과 통합사회, 환경, 기술가정 교과 내용과 관련한 성취기준 도달 정도를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 모둠별로 해양자원 보존을 위한 공익광고 제작 과정에서 이를 위한 준비, 계획, 실행의 전 과정에 대한 구체적인 관찰 및 동료 평가 내용을 워크북 작성 내용(생각 정리하기)을 참고하여, 본 활동 내용 및 교과 내용을 결부시켜 학생의 노력을 포함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 교사의 관찰 평가와 동료 평가를 통해 평가 자료를 바탕으로 본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교수 목적에 도달했는지의 정도를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학교생활기록부 작성 예시 지식정보처리 역량 남획이나 혼획과 같은 불법어업 문제 외에 바닷물의 산성화, 수온상승, 산소결핍 문제도 바다 생태계를 위태롭게 하는 문제임을 인식하고, 그 발생원인과 피해사례를 정리하고, 이를 홍보물 제작에 활용함. 창의적 사고 역량 인간에 대한 공감적 이해와 문화적 감수성을 바탕으로 본 프로그램을 통해 배우고, 느낀 내용들을 토대로 해양자원 보존을 위한 공익광고를 제작함. 의사소통 역량 공익광고를 만들기 위한 토의·토론 과정을 통해 자신의 생각하는 바를 자유롭게 이야기하고 경청하는 태도를 보였으며, 반대 의견에 근거를 들어 적절히 말할 수 있음. 차시 프로그램 평가 내용 바다 생태계를 위태롭게 하는 불법어업 문제와 바닷물의 산성화, 수온상승, 산소결핍 문제를 인식하고, 인공적으로 어류의 생태촌을 조성하는 인공어초를 설계함. 이 과정에서 배우고 느낀 내용들을 토대로 해양자원 보존을 위한 공익광고를 만드는 활동을 할 수 있음. ❑ 수업 지도안 전체 지도상 유의점 및 TIP ▸활동 과정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 14번의 목표와 세부목표에 부합될 수 있도록 교수활동을 진행한다. ▸한눈에 보는 수업을 통해 수업의 전체 흐름을 파악하고 선택활동(빅데이터로 알아보는 해양자원보존)의 포함 여부를 결정한다. ▸사전에 학생들이 준비물을 준비해 올 수 있도록 안내한다. (모둠 : 노트북, 색연필, 사인펜, UCC 촬영도구) ▸모둠 활동에서 모둠원들이 모두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한눈에 보는 수업 도입 생각 열기: 우리나라에서 사라지는 물고기 20분 �� 생각 키우기: 불법어업 문제뿐일까? 30분 교수 학습 활동 학습자료 및 유의점 ▶ 삼중고로 힘들어하는 바다 생태계 이해하기 ▶ 바다 산성화 과정의 화학 반응식 조사하기 ▶ 산성화, 수온상승, 산소결핍의 원인과 사례 탐색 ▶ 화학 반응식을 통해 산성화 과정 탐색 전개 생각 만들기: 내가 만드는 ‘물고기 아파트’ 80분 교수 학습 활동 학습자료 및 유의점 ▶ 물고기 아파트 설계하기 ▶ 스토리보드 작성하기 ▶ 해양자원 보존을 위한 홍보 동영상 제작 ▶ 인공어초의 필요성과 효과성에 대해 탐색 ▶ 본 프로그램을 통해 배우게 된 내용이 UCC에 충실히 반영될 수 있도록 지도 �� 정리 생각 정리하기(자기 평가/동료 평가) 보충자료: 산성화되는 바다 20분 지도상 유의점 및 TIP ▸신문기사와 해양수산부의 영상을 보고, 우리나라에서 어떤 물고기가 사라지고 있는지, 그 이유는 무엇인지 탐색하게 한다. (선택) 더 나아가 관련 문제에 대해 해외사례는 어떤지 조사한다. ▸또한, 남획과 혼획의 개념과 차이를 설명할 수 있게 한다. 참고자료 ▸(사례) 명태의 어획량_"황금알을 낳는 거위의 배를 가르는 일" 어린 물고기 남획은 결국 자원 고갈을 불러온다. 대표적인 사례가 명태다. 1981년 명태 생산량은 17만t에 육박했으나 1970년부터 새끼(일명 노가리) 포획이 허용되면서 급감해 2008년 어업생산통계 상 '0'을 기록했다. 1976년 전체 명태 어획량의 94%를 노가리가 차지할 정도로 무분별하게 이뤄진 남획 때문이다. 참조기나 갈치 새끼의 남획을 두고 수산물 유통업계는 "황금알을 낳는 거위의 배를 가르는 일"이라고 비판한다. 우리 연근해 생산량이 줄어든 틈을 파고들어 국내 시장을 급속히 장악하고 있는 노르웨이산 고등어는 어린 물고기 보호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잘 보여준다. 노르웨이는 1971년에 북해 연안 국가들 가운데 가장 먼저 몸길이 30㎝ 미만 고등어의 어획을 금지했다. 어린 물고기를 보호하기 위해 혼획 비율이 기준을 넘으면 즉각 조업을 중단하고 다른 어장으로 이동하도록 의무화하고 혼획을 줄이는 장치 개발과 보급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그 결과 어린 고등어 비율을 10% 미만으로 줄이는 데 성공했고, 자원량도 당연히 증가했다. 지도상 유의점 및 TIP ▸남획이나 혼획과 같은 불법어업 문제 외에 바닷물의 산성화, 수온상승, 산소결핍 문제도 바다 생태계를 위태롭게 하는 문제임을 인식시킨다. 각각의 발생원인과 피해사례를 탐색해 볼 수 있게 한다. ▸바다 산성화 과정의 화학 반응식을 통하여 결국 해양 속 수소이온 농도는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높을수록 올라간다는 사실을 인식시킨다. ▸학생 자료 맨 뒷장에 있는 ‘보충자료’와 참고자료를 통하여 산성화 되고 있는 바다의 모습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한다. 참고자료 ▸이산화탄소 배출의 부작용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가 바다 표면에 녹아 들어가면 탄산이 발생해 바다의 산성도가 높아진다. 탄산은 먹이사슬의 밑바닥에 있는 플랑크톤을 죽여 바다 생태계를 파괴하고 바다 생물의 둥지 역할을 하는 산호도 파괴시킨다. 산호처럼 탄산칼슘을 주성분으로 하는 생물들은 산(酸)과 만나면 바로 녹아버리기 때문이다. 바다의 산성도는 일반적으로 바다 생물의 호흡과 유기물 분해로 이산화탄소가 침적되는 심해(深海)가 바다 표면보다 높다. 그림출처: 조선일보 기사 <“산성화 방치 땐 수십 년 내 공룡시대 죽음의 바다로”> (2009.03.11) 지도상 유의점 및 TIP ▸인공어초가 무엇이고, 왜 필요한지에 대해 탐색한다. 또한, 인공어초의 형태에 따른 장단점과 특징을 분석해 보도록 한다. ▸더 나아가 인공어초가 갖고 있는 문제점에는 무엇이 있을지 생각해 보고, 그 문제를 극복하려는 방안이 설계과정에 반영될 수 있도록 한다. ▸먼저 모눈종이에 간단히 스케치해 보고, 이후에 스케치업(SketchUp), 123D Design 프로그램과 같은 3D모델링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질감이나 구조물의 재료 등을 다각도로 고려한 세부적인 디자인을 완성하게 한다. 참고자료 ▸인공어초의 문제점 - 콘크리트형 인공어초는 바다에 투하된 뒤 시간이 지나면서 석회 성분이 수중에 퍼지며, 바다의 생태계를 파괴하고, 수중의 생육환경을 오히려 약화시킬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에 균열이 생기며 내부 철근의 부식으로 인공어초 구조물의 결합력이 약화될 가능성이 크다. - H빔, 강판 등 철근을 이용한 강제 어초형 인공어초는 해수에 포함된 염화나트륨의 산화작용으로 철이 부식되어 구조물 자체가 와해되거나 녹으로 환경을 오염시킬 수 있다. 그뿐만 아니라 폐타이어 등의 인공어초에서는 수중에 독성이 퍼지며 바다 생태계를 파괴할 수도 있기 때문에 인공어초를 제작할 때는 다양한 문제점을 고려해야 한다. 지도상 유의점 및 TIP ▸지금까지의 활동을 통해 배우고 느낀 내용들을 토대로 해양자원 보존을 위한 공익광고를 만드는 활동이다. [준비물] 활동지, 필기구, 디지털카메라, 도화지, 색연필 등 그리기 도구 ▸수업을 구성할 때 가용할 수 있는 시간을 고려하여 지나치게 많은 소요 시간이 필요한 방식은 되도록 지양하고, 현실적으로 수행 가능한 방식을 선택하도록 한다. 만약 준비물이나 시간 부족으로 어려움이 예상된다면 제작 과정을 과제로 수행하도록 한다. ▸각 모둠별로 제작한 홍보물을 발표한다. 이때, 자신들이 전달하고자 하는 해양자원 보존을 위한 메시지는 무엇이며, 제작한 홍보물을 어떤 방식으로 활용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함께 발표한다. 참고자료 ▸ 홍보물 제작 시 유의해야 할 점 [공익광고의 의의] - 인간 존중의 정신을 바탕으로 사회, 공동체의 발전을 위한 의식개혁을 목표로 하며, - 광고라는 설득 커뮤니케이션을 통하여 제반 사회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국민들의 태도를 공공의 이익을 지향하는 모습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 “휴머니즘, 공익성, 범국민성, 비영리성, 비정치성”을 기본 이념으로 한다. - 역사적으로 공공 광고의 시작은 전쟁 중에 국민의 사기 증진이나 통일체 의식을 고취하여 국가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정부에서 시행한 것이지만, 그 후 차원을 높여 인류가 직면하고 있는 각종 사회문제, 부조리 해결이라는 문제에 대해 광고라는 가장 현대적이고 설득력이 뛰어난 수단을 통해 해결하고자 시도로 자리매김 하고 있다. ▸ 홍보물 제작 시 고려해야 할 항목 신뢰감, 내용의 공감성, 이해 용이성, 주제 선정, 기억 용이성, 친근감, 눈길을 끄는 광고, 광고 문구/카피/멘트, 등장인물의 감정 느낌, BGM/징글/음향, 색채의 어울림, 광고모델이나 캐릭터의 어울림 지도상 유의점 및 TIP ▸본 선택 활동은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본 프로그램에서 다룬 여러 키워드를 분석해 보는 활동이다. ▸활동에 앞서, 활동지에 제시된 빅데이터 분석툴(A, B, C, D)에 접속하여 각 사이트의 특징과 장단점을 비교해 본 후, 학생들에게 안내한다. 참고자료 ▸빅데이터 분석은 어떻게 해야 할까? 단순히 데이터양이 많은 것을 빅데이터라고 할까? 빅데이터 분석에서 중요한 점은 비정형 데이터 “비정형 데이터”란 숫자 데이터와 달리 그림이나 영상, 문서처럼 형태와 구조가 복잡해 정형화되지 않은 데이터를 말한다. 블로그와 게시판 등 웹에서 폭발적으로 발생하는 비정형 데이터는 그 내용을 통해 여론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를 누가 어떤 관점에서 읽고 어떻게 활용할 수 있도록 가공했는가이다. 즉, 상관성, 인과성 등을 밝힐 수 있는 분석 기술이 있어야 한다. 여러 분석 이론 중 ‘사회연결망 분석’은 보통 개인과 집단들 간의 관계를 점과 선으로 표현하여 확산과 진화과정을 계량적(수량을 헤아리는 방법)으로 분석하는 방법이다. 즉 수학의 ‘그래프 이론’처럼, 관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고 그 구조를 한눈에 파악하기 위한 분석 방법이다. 지도상 유의점 및 TIP ▸학생들의 자기 평가에서 객관적인 자세로 자신의 학습 활동을 돌이켜보고, 진실성 있게 평가하고, 자기 스스로 피드백을 하는 기회란 것을 강조한다. ▸전체의 활동에 대한 느낀 점을 정리할 수 있도록 지도하며, 특히 자신이 활동 과정에서 중점을 두고 참여했던 활동, 주도적으로 참여했던 활동 등을 중심으로 의미와 필요성, 자신·모둠원·학교·사회의 긍정적인 변화에 관해서 서술할 수 있도록 지도함. ▸다른 학생의 동료 평가에서 친분이나 한 가지 행동을 보고 평가하는 것을 지양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전체의 학습 활동을 고려하여 평가하도록 지도한다. 참고자료 ▸동료 평가는 활동을 함께 수행한 동료들이 동등한 관계에서 팀원의 성과와 역량을 평가하는 것으로 평가의 공정성과 결과 수용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협업 과정을 장려하고, 개인의 역량 개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평가 과정에서 교과목의 지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역의 역량이 발휘될 수 있도록 진행해야 하며, 학생의 잠재력과 소질을 발견하고 진로를 개발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그리고 경쟁적 평가 풍토보다는 협력을 통한 동반성장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지도상 유의점 및 TIP ▸‘생각 키우기 : 불법어업 문제뿐일까?’ 파트에서 이 보충자료를 활용하여 산성화 되고 있는 바다의 모습을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한다. ▸일반적인 해수의 평균 pH는 약 8 정도지만 해수 내 용존 이산화탄소량이 증가함에 따라 해수 pH 값이 8 이하로 떨어지는 현상을 해양 산성화라고 한다. 해양 산성화가 심해져 pH 값이 1~2만 떨어져도 해양 생태계는 큰 타격을 받게 된다. 참고자료 ▸ 해양 산성화에 가장 많은 영향을 받는 종은 산호초로 알려져 있다. 산호초 역시 탄산이온을 활용해 성장하기 때문이다. 산호초는 열대지방 주민에게 단백질을 제공하는 어류 서식지일 뿐 아니라 폭풍으로부터 해안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산호초를 중심으로 다양한 어류가 서식하면서 산호초는 해양생물 다양성의 보고로도 알려져 있다. ▸ 동물 플랑크톤과 같은 요각류가 산성화된 바닷물과 만나면 이를 방어하기 위해 에너지를 사용하게 된다. 결국, 새끼를 만들거나 세포를 분열할 때 사용하는 에너지가 줄어들고 겨우 목숨만 유지하는 상태에 놓이게 된다. ▸ 보충자료 출처 : MK증권 기사 <[Science 7] 이산화탄소에 탈 난 바다, 급격한 산성화로 해양 생태계 위협> (2018.04.20.) SDG 15 고등 종 다양성? 생물다양성? ❑ 수업의 개요 주제 지속가능한 생물다양성과 생태계 보전 관련 SDGs 15. 육상 생태계 관련 K–SDGs 15. 육상 생태계 보전 15-4. 생물다양성 손실을 예방하기 위해 멸종위기종을 보호한다. 관 련 교 과 및 성취기준 교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통합과학 [10통과07-02] 변이와 자연선택에 의한 진화의 원리를 이해하고, 항생제나 살충제에 대한 내성 세균의 출현을 추론할 수 있다. 생태와 환경 [12생환02-02] 유전자 재조합 식품(GMO) 등의 장단점을 분석하여 비판적으로 사고할 수 있으며 해결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 생명과학Ⅰ [12생과Ⅰ05-06] 생물다양성의 의미와 중요성을 이해하고 생물다양성 보전 방안을 토의할 수 있다. E S D 내 용 요 소 사회•정치•문화 환경 경제 ‣ 평화, 통일 ‣생물다양성, 환경문제 ‣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E S D 중 점 역 량 인지•기능 태도 ‣ 비판적 사고력 ‣ 문제해결력 ‣ 의사소통능력 ‣ 타자지향적 태도 : 협동, 갈등 관리, 공감 ‣ 민주시민적 태도 : 책임감, 도덕성 ‣ 국제문화적 태도 : 다양성, 글로벌 공동체 의식 S D G s - E S D 성 취 기 준 [15-3] 지속가능한 육상 생태계를 위한 생물종 다양성 보존, 올바른 토양자원의 활용과 육상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2 0 1 5 개 정 교 육 과 정 핵 심 역 량 지식정보 처리 역량 ‣ 주요 활동 : 토종 종자 찾아보고 보존 방법 찾기 ‣ 역량신장 내용 : 우리나라의 토종 종자에 대해서 알아보고 보존 및 개발에서 문제점을 분석하며,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과정에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영역의 지식과 정보를 처리함. 의사소통 역량 ‣ 주요 활동 : 몇 종의 옥수수가 있을까? ‣ 역량신장 내용 : 짝꿍과 함께 옥수수 알갱이를 모양, 색깔, 크기 등으로 분류하며 분유의 기준을 정하고, 과제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의사결정 활동의 과정을 통해 적절한 방법을 찾아감. 공동체 역량 ‣ 주요 활동 : 토종 종자와 GMO 알아보기 ‣ 역량신장 내용 : 토종 종자와 GMO에 대해서 알아보며 먹거리 자원을 확보하고 보존해야하는 현재의 상황을 이해하고, 이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국가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요구되는 가치와 태도를 가짐. ❑ 학생 생활기록부 기재 방법(안) ● 옥수수 알갱이 분류를 통해서 유전자 다양성을 이해하고, 유전자 다양성, 종 다양성, 생물다양성을 연관 지어 이해한다. 종 다양성과 종자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토종 종자의 보전에 대한 감수성을 향상시키는 과정을 통합과학, 생명과학Ⅰ, 생태와 환경 교과 내용과 관련한 성취기준 도달 정도를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 토종 종자와 GMO에 대해서 알아보면서 정보를 검색하고 분석하는 능력의 향상 정도를 파악하고, 종자 보전에 대한 중요성을 설명할 수 있는지 파악하여 다른 학생들과 공유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본 활동 내용 및 교과 내용을 결부시켜 학생의 노력을 포함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 교사의 관찰 평가와 동료 평가를 통해 평가 자료를 바탕으로 본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교수 목적에 도달했는지의 정도를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학교생활기록부 작성 예시 지식정보처리 역량 토종 종자를 찾아보고 토종 종자를 보전하고, 개발하는 과정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이를 해결하는 방안을 논리적으로 분석함. 의사소통 역량 짝꿍과 함께 옥수수 알갱이 분류하기 활동을 하면서 옥수수 알갱이의 크기, 모양, 색깔을 바탕으로 기준을 정하여 분류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팀원과의 의견을 나누고, 기준을 정하는 과정에서 의사결정을 하는 데에 주된 역할을 함. 공동체 역량 토종 종자와 GMO에 대해서 알아보고 먹거리 자원을 보존하고, 개발하는 과정에 대해 공감하여 토종 종자를 보전해야 하는 현재 상황을 이해하고, 사회 및 국가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가치를 공유함. 차시 프로그램 평가 내용 유전자 다양성이 필요한 이유를 논리적으로 설명하고, 옥수수 알갱이를 분류해보면서 종자의 특성을 파악하고 유전자 다양성을 이해함. 토종 종자와 GMO에 대해서 적절히 조사하고 자료를 분석하여, 토종 종자의 필요성을 설명함. 토종 종자를 보전하는 방법을 조사하고, 토종 종자를 보전할 수 있는 개선 방안을 마련하여 제시함. ❑ 수업 지도안 전체 지도상 유의점 및 TIP ▸활동 과정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 15번의 목표와 세부목표에 부합될 수 있도록 교수활동을 진행한다. ▸한눈에 보는 수업을 통해 수업의 전체 흐름을 파악하고 선택 활동(토종 종자를 이용한 작물 키우기)의 포함 여부를 결정한다. ▸짝꿍과 함께할 수 있는 팀 활동이 원활히 진행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한눈에 보는 수업 도입 • 생각 열기: 양배추와 브로콜리는 같은 식물? - 야생겨자의 품종 개량과 변이에 대해서 알아보자. 10분 �� 생각 키우기: 유전자 다양성은? 10분 교수 학습 활동 학습자료 및 유의점 ▶ 바나나가 멸종한다고? ▶ 유전자 다양성이란? ▶ 바나나의 명종 원인 파악히기 ▶ 유전자 다양성에 관해 알고 말해보기 전개 생각 만들기: 유전자 다양성과 종 다양성 60분 교수 학습 활동 학습자료 및 유의점 ▶ 몇 종의 옥수수가 있을까? ▶ 토종 종자와 GMO 알아보기 ▶ 유전자 다양성을 증가시키는 방법 찾기 ▶ 토종 종자를 보존하는 방법 알아보기 �� 정리 생각 정리하기(자기 평가/동료 평가) 보충자료: 종자 은행이란 무엇일까? 20분 지도상 유의점 및 TIP ▸제시된 품종 개량의 다양한 예를 찾아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몇 가지 예시를 들어서 품종을 개량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한다. ▸참고 영상 링크 : http://gg.gg/my3q5 ▸하나의 식물로부터 다양한 품종의 식물을 얻어낼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하며, 특히 유전자의 다양한 변이를 통해서 새로운 종을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도록 지도한다. 참고자료 품종개량 진화 현상을 인간의 유익을 위해 이용하는 것으로 이는 진화론을 실증하는 것이다. 다윈의 진화이론 중 하나인 자연선택설은 자연적인 품종 개량에 대해 아주 간단명료하게 설명하고 있다. 인위적인 부분은 멘델의 유전법칙을 참조하면 된다. 하나의 품종이 생기는 것은 품종 개량에서 시작된다, 비글과 해리어를 교배하여 만든 '비글 해리어'라는 품종이 있다. 더 세부적으로 아품종도 가능하다. 대표적으로 스탠다드 푸들 중에 작은 개체끼리 만을 계속해서 교배시키면 아품종인 미디엄 푸들이 탄생한다. 또 이것을 반복하다 보면 아품종인 미니어쳐 푸들과 토이푸들이 나온다. 즉, 푸들이라는 품종 내에서도 스탠다드, 미디엄, 미니어쳐, 토이 푸들이라는 아품종으로 분류할 수 있는 것이다. 품종 개량은 작물 수확이라는 직접적인 결과를 봐야 하는 농업과는 떼려야 뗄 수 없는 부분인지라 그 역사가 선사시대부터 내려오고 있다. 실제로 인간이 농사를 짓는 대부분의 식물자원(곡류 및 과일 채소 등)은 모두 자연에선 없던 종을 품종을 개량해서 나온 것들이다. 덕분에 실제 농사용 식물이나 묘목 등은 자연 상태에서 경쟁력이 심각하게 떨어져 인간이 사라지면 같이 멸종할 것으로 보고 있다. 출처: http://gg.gg/my3ra 지도상 유의점 및 TIP ▸유전자 다양성에 대해서 이해할 수 있도록 자료 조사를 실시하며, 특히 유전자와 종이 다양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서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참고 영상 링크 : https://news.v.daum.net/v/20200618054105816 ▸단순화된 농작물의 문제에 대해서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참고자료 유전자 다양성 유전자 다양성(遺傳子 多樣性)은 하나의 종에서 나타나는 유전자의 생물다양성을 뜻하는 개념이다. 한 종의 모든 유전자의 총수에서 차지하는 유전형질의 개체차를 주요 연구 대상으로 한다. 유전자변형이 단순히 유전형질 간의 차이만을 다루는 개념인 것과 달리 유전자 다양성은 유전형질의 변화를 함께 고려한다. 유전자 다양성은 각 세대마다 증가하며, 이는 연관이나 교차, 변이 등의 영향을 받는다. 일반적으로 생물학에서 사용되는 유전정보라는 단어는 바로 개체군에서의 유전자 다양성을 의미한다. 유전자 다양성은 집단유전학의 여러 이론과 가설들의 기반이 되는 중요한 개념이다. 중립 진화이론에 따르면 유전자 다양성은 중립적인 유전자 대체가 축적된 결과이다. 여러 가지 자연선택 역시 유전자 다양성을 유발한다. 분열성 선택은 하나의 종에 속한 하위집단이 서로 다른 환경에 처해졌을 때 서로 다른 자연선택을 겪게 되어 유전형질이 달라진다는 이론이다. 분열성 선택은 어떤 종이 폭넓게 이동하면서 서식지의 규모가 커졌을 때 일어난다. 빈도 의존 선택은 집단의 개체수가 적응도에 영향을 준다는 가설이다. 예를 들어 숙주-기생 상호관계에서 숙주가 어느 기생생물을 억제할 수 있도록 진화한 경우, 그 기생생물의 개체수가 많다면 숙주의 변화에 적응할 가능성이 더욱 높아진다. 출처: http://gg.gg/me1ru 지도상 유의점 및 TIP ▸다양한 색깔, 모양, 크기의 옥수수 알갱이를 과학적 기준에 맞추어 분류하는 활동을 한다. 이때 하나의 종으로 구성된 옥수수가 다양한 형태의 품종으로 개발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참고자료 옥수수 품종 본래 야생 옥수수의 원래 품종이었던 테오신테(테오신트, teosinte)는 강아지풀같이 풀에 가까운 이삭만 얻을 수 있었고, 곡식이라고 볼 부분도 거의 없었으며, 너무 단단한 데다가 작았고, 먹을 부분이 너무 없다. 물론, 야생 벼나 밀 역시 현대에 개량된 벼와 밀에 비하면 낟알이 매우 적은 편이지만, 옥수수는 그에 비할 바도 못 될 정도로 작았다. 그런 의미에서 최초에 라틴 아메리카에서 이것을 키우기 시작한 이유가 더욱 의문이 될 정도이다. 식용으로는 적합하지 않았지만, 라틴 아메리카에서 엄청난 교배를 통해 먹을 만한 옥수수가 등장한 것이 약 12세기 정도라고 한다. 너무 엄청난 발전이기 때문에 ‘그냥 운 좋게 돌연변이를 구한 것이 아닌가?’라고 추정하기도 한다. 참고로 야생 옥수수와 현재의 옥수수를 비교하자면 지금의 옥수수는 인간의 손 없이는 제대로 된 생육이 거의 불가능하다. 재배종 옥수수는 낟알이 익어도 옥수숫대에서 떨어져 나가지 않고 식물에 붙어있다. 이러한 이유로 옥수수가 혼자 씨앗을 퍼뜨리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는 수천 년 동안 인간이 재배하기 알맞게 개량시켰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2015년 농촌진흥청이 단옥수수(스위트콘) 국산 종자인 ‘고당옥’을 새로 개발하여 서서히 퍼뜨리고 있다. 수매가가 찰옥수수보다 높아서 조금씩 재배면적이 늘어나고 있다. 출처: http://gg.gg/my3sb 지도상 유의점 및 TIP ▸유전자가 다양하면 진화에서 유리하다는 것을 알 수 있도록 지도한다. 유전자가 다양하지 않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유전자 부동에 대해서 영상으로 보여준다. https://byuldbyul.blogspot.com/2016/05/blog-post.html 참고자료 유전자 부동 유전자 부동(遺傳子 浮動) 또는 유전적 부동(genetic drift)은 생물 집단의 생식 과정에서 유전자의 무작위 표집으로 나타나는 대립형질의 발현 빈도 변화를 가리키는 생물학 용어이다. 유전자 부동의 결과 자식 세대는 무작위적으로 선택된 부모 세대의 유전형질을 물려받으며 이로써 발현된 유전형질은 생존과 재생산을 할 새로운 기회를 얻게 된다. 집단의 대립형질 발현 빈도는 그들이 가진 전체 유전형질에 대한 발현된 대립형질의 비율로 나타낼 수 있다. 출처: http://gg.gg/my41d 유전적 부동 때문에 지속해서 변화하는 대립형질 발현 빈도는 진화의 주요 요인 가운데 하나로서 작용한다. 유전자 부동의 과정에서 특정한 유전형질이 고착되어 새로운 유전 특성을 갖는 집단이 생기게 된다. 이렇게 생겨난 집단은 또다시 유전자 부동을 겪으면서 계속된 진화의 과정에 놓이게 된다. 진화의 또 다른 주요 요인인 자연선택이 환경의 작용으로 적응에 유리한 유전형질만이 선택되는 것임에 비해 유전자 부동은 재생산 과정 자체에서 발현되는 것으로 그 결과가 생물에게 주는 유불리와는 관계없이 중립적이다. 집단의 크기가 작을수록 유전자 부동이 주는 영향이 커진다. 출처: http://gg.gg/me1sa 지도상 유의점 및 TIP ▸토종 종자와 GMO 작물에 대해서 조사해 볼 수 있도록 지도하며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지놈 편집 식품에 대해서도 간단히 소개한다. ▸노트북, 태블릿, 핸드폰 등을 이용하여 유전자변형 생물이 갖는 장단점을 조사하고 이를 설명해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참고자료 유전자재조합식품, 알고 먹자! 영상을 통해서 인구가 증가하면서 불안정한 농업 생산량을 해결하기 위해 씨앗에 적용된 유전자 재조합 기술과 우리의 밥상 위에 올라온 유전자 재조합 식품에 대한 오해와 진실에 대해서 알아볼 수 있다. YTN 사이언스 https://www.youtube.com/watch?v=YJKmoaexRgk 게놈 편집 식품 지놈편집이란 유전자가위 기술을 이용한 품종 개량을 뜻한다. 유전자가위로 식물 유전자의 일부를 잘라내 돌연변이를 일으켜 영양가를 올리거나 수확량을 끌어올리는 식이다. 반면 GMO는 다른 유전자를 주입시키는 방식으로 만들어진다는 점에서 구분된다. 순차적으로 보면 우선 다른 작물에서 추출한 유전자를 운반 매개체인 세균에 투입한다. 그런 다음 개량하고 싶은 작물에 해당 세균을 주입해 형질을 바꾼다. 이런 유전자변형 기술은 주로 병충해나 농약에 강한 작물로 개량할 때 쓰인다. 후생성은 안전성이 의심돼 규제가 적용되는 GMO와 달리 지놈편집 식품은 일반 식품과 동일하게 보겠다는 입장이다. 자연 발생적인 돌연변이나 기존의 품종 개량과 별반 다르지 않다는 과학계 일각의 주장을 반영한 것이다. 하지만 상당수 환경단체는 “유전자를 인위적으로 변형시킨다는 점에서 GMO와 유사하다”며 “인체 위해성이 검증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 종 변이에 따른 생태계 교란을 걱정하는 목소리도 있다. 출처: 유전자가위 기술 이용 '지놈편집식품'…일본 후생성 허용 발표, 중앙일보 지도상 유의점 및 TIP ▸종자회사가 1개라면 어떤 일이 일어날지 생각해 보도록 지도한다. 유전자 다양성과 종자의 다양성이 서로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도록 지도한다. ▸다양한 토종 종자를 찾아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토종 종자를 생산, 유통하는 과정에서 개선되어야 할 문제점이 있는지 조사 분석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http://gg.gg/mymr8 http://gg.gg/mymrd 참고자료 ▸씨앗 은행 또는 종자 은행(種子銀行)은 유사시에 대비하고 생물다양성을 보존하기 위해 식물의 씨앗을 수집·보관하는 시설로, 유전자은행의 일종이다. 씨앗의 장기저장에 적합한 온도와 습도가 갖추어져 있다. 종자 은행은 식물자원의 연구, 보존과 이용에 근간이 되는 종자의 장기저장을 위해 필수적인 시설이다. 이곳에는 종자의 장기저장에 적합하도록 온도와 습도가 조절되는 첨단의 운영 체계를 갖추고 있다. 종자 은행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 탐색, 수집, 분류, 보존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실과 X-RAY 검사장치, 종자함수율 측정장치, 현미경 영상장치, 발아시험기 등을 갖춘 종자검사실 및 우량한 종자를 정선, 분리하기 위한 종자 정선기, 중력분리기, 훈증기, 건조기 등의 장치를 갖춘 종자처리실을 운영하고 있다. 출처: http://gg.gg/me1sh 지도상 유의점 및 TIP ▸동아리를 중심으로 학교 텃밭을 활용하여 토종 작물을 키워볼 수 있는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학교의 사정에 따라서 다양한 방식으로 작물을 키워보는 활동을 할 수 있다. 참고자료 텃밭 가꾸기 일반농법과 다르게 주말농장이나 텃밭 가꾸기는 가족과 함께 키우고 가꾸고 수확하는 과정에서 관계를 돈독히 하고 안전하고 맛있는 웰빙 밥상을 책임지며, 나아가 이웃과 나눠 먹는 즐거움을 더하는 것이다. 텃밭 재배는 일상에 지친 도시민들의 마음을 녹색으로 안정시키는 작용을 하며, 자연의 소중함과 농부의 고마움, 이웃들과 나누는 기쁨을 알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직접 생산한 농산물로 가족 건강을 지키고 운동 효과까지 볼 수 있으며, 자녀들에게 살아 있는 자연학습을 시킬 수 있고 가족의 마음을 하나로 모으는 구심점이 된다. 식물은 종류마다 심는 시기, 자라는 속도, 꽃이 피고 열매 맺는 시기, 자랐을 때의 크기, 이용 부위 등 특성이 다양하다. 이를 제대로 알아야 곁가지 제거나 적절한 관리를 통해 제대로 된 수확물을 얻을 수 있다. 식물 종류와 특성을 충분히 이해하고 텃밭에서 키울 식물의 종류와 수를 정해 어떻게 심을지 미리 그림을 그려 계획해 보면 좋다. 텃밭 재배는 가족들이 즐겨 먹으면서도 쉽게 기를 수 있는 채소를 고르되 각각의 채소들이 가지고 있는 특성을 염두에 두고 선택하는 것이 좋다. 처음부터 가꾸기가 까다롭고 병과 벌레가 많은 것을 선택하면 가꾸는 사람의 의욕이 떨어지고 자칫 텃밭 농사를 망칠 위험이 있기 때문에 초보자는 가꾸기 쉬운 것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다. 출처: http://www.rda.go.kr/middlePopOpenPopNongsaroDBView.do?no=1254&sj= 지도상 유의점 및 TIP ▸학생들의 자기 평가에서 객관적인 자세로 자신의 학습 활동을 돌이켜보고, 진실성 있게 평가하고, 자기 스스로 피드백을 하는 기회란 것을 강조한다. ▸전체의 활동에 대한 느낀 점을 정리할 수 있도록 지도하며, 특히 자신이 활동 과정에서 중점을 두고 참여했던 활동, 주도적으로 참여했던 활동 등을 중심으로 의미와 필요성, 자신·모둠원·학교·사회의 긍정적인 변화에 관해서 서술할 수 있도록 지도함. ▸다른 학생의 동료 평가에서 친분이나 한 가지 행동을 보고 평가하는 것을 지양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전체의 학습 활동을 고려하여 평가하도록 지도한다. 참고자료 ▸동료 평가는 활동을 함께 수행한 동료들이 동등한 관계에서 팀원의 성과와 역량을 평가하는 것으로 평가의 공정성과 결과 수용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협업 과정을 장려하고, 개인의 역량 개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평가 과정에서 교과목의 지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역의 역량이 발휘될 수 있도록 진행해야 하며, 학생의 잠재력과 소질을 발견하고 진로를 개발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그리고 경쟁적 평가 풍토보다는 협력을 통한 동반성장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지도상 유의점 및 TIP ▸종자 은행을 소개하는 글로 종자 은행의 필요성을 다시 한번 상기시킬 수 있도록 한다. 참고자료 종자은행 종자 은행은 한마디로 종자를 보관하는 곳입니다. 종자를 장기저장을 통해 보존하는데, 이를 통해 종자의 멸종위기를 막고 각 품종이 가지는 유용한 유전자를 보존하도록 합니다. 식물이 멸종하기 전에 종자를 보존하고 연구하기 위한 것입니다. 전 세계에는 많은 종자 은행이 있습니다. 그중에서 영국의 밀레니엄 종자 은행이 가장 규모가 크다고 합니다. 약 2만 5000개의 식물종의 15억 개가 넘는 종자가 보관되어 있습니다. 멸종위기의 식물을 우선적으로 전 세계에서 종자를 수집해 저온저장고에 보관합니다. 저온저장고에서 종자들은 1000년까지도 보관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 종자들은 필요할 때 발아시켜 식물의 멸종을 막을 수 있도록 합니다. 그리고 종자를 수집하는 것 이외에도 각국으로 종자를 보내 식물을 복원하고 각종 실험에 이용되도록 도와줍니다. 북극에도 종자 은행이 있습니다. 지구 종말대비 종자 은행이라고 하는데요. 수억 종의 식물 종자가 저장되어 있습니다. 천재지변이나 기타 다른 재난, 지구온난화, 소행성의 지구충돌, 병충해, 핵전쟁, 지진 등으로부터 종자를 보존하기 위해서 세워졌습니다. 지진 6.2의 강진에도 버틴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출처: http://gg.gg/me1sm SDG 16 고등 같은 것은 같게, 다른 것은 다르게 ❑ 수업의 개요 주제 기본소득제 논의를 통한 정의의 실현과 시민참여 방법 알기 관련 SDGs 16. 평화, 정의, 강력한 제도 관련 K–SDGs 16. 인권・정의・평화 16-6. 효과적이고 책임감 있는 정부정책과 제도를 수립·이행한다. 16-11. 차별을 지양하기 위한 법과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한다. 관 련 교 과 및 성취기준 교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통합사회 [10통사06-01] 정의가 요청되는 이유를 파악하고, 정의의 의미와 실질적 기준을 탐구한다. 세계지리 [12세지08-03] 세계의 평화와 정의를 위한 지구촌의 주요 노력들을 조사하고, 이에 동참하기 위한 세계시민으로서의 바람직한 가치와 태도에 대해 토론한다. 생태와 환경 [12생환01-05] 지속가능한 발전의 의미와 지속가능한 경제 활동 및 생활양식을 인식하고 적용과정에서 발생하는 사회적 쟁점을 고찰할 수 있다. E S D 내 용 요 소 사회•정치•문화 환경 경제 ‣사회정의, 시민참여 ‣기후변화, 환경문제 ‣빈부격차 완화 E S D 중 점 역 량 인지•기능 태도 ‣ 논리적 사고력 ‣ 비판적 사고력 ‣ 문제해결력 ‣ 의사소통능력 ‣ 자아성찰적 태도 : 반성적 태도 ‣ 타자지향적 태도 : 협동, 갈등 관리, 신뢰 ‣ 민주시민적 태도 : 책임감, 리더십, 도덕성 S D G s - E S D 성 취 기 준 [16-2] 아동 성폭력 예방, 인권문제 등 우리와 관련 있는 법과 제도의 현황과 그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2 0 1 5 개 정 교 육 과 정 핵 심 역 량 자기관리 역량 ‣ 주요 활동 : 기본소득제 찬반 토론 경험하기 ‣ 역량신장 내용 : 선별 복지 제도의 한계, 4차 산업혁명 이후 인공지능화에 따른 자동화의 발전, 소득의 양극화 등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기본소득제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공유하고 정의로운 사회를 만들기 위해 구성원으로서 의견을 개진하며, 자아정체성과 자신감을 가지고 자신의 삶과 진로에 필요한 능력을 향상함. 지식정보 처리 역량 ‣ 주요 활동 : 기본소득제 알아보기 및 기본소득제 의견 Fact check ‣ 역량신장 내용 : 기본소득제에 대한 자료를 조사하고, 4차 산업혁명으로 자동화되는 산업에서의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지식과 정보를 처리함. 의사소통 역량 ‣ 주요 활동 : 기본소득제 찬반 토론 경험하기 ‣ 역량신장 내용 : 기본소득제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공유하고, 정의로운 사회를 위해 기본소득제의 실시에 대한 모둠의 의견을 듣는 과정에서 서로 존중하고 다양한 상황에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효과적으로 표현함. ❑ 학생 생활기록부 기재 방법(안) ● 기본소득제에 대한 찬반 토론을 경험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의견을 만들어가는 과정을 확인하여 타인의 의견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분석하여 반론을 제시하는 등의 과정을 관찰하여 성취기준 도달 정도를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 4차 산업혁명에 따른 긍정적인 변화와 부정적인 변화를 분석하고, 기본소득제에 대한 논의가 시작된 이유에 대해서 자신의 의견을 정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바탕으로 찬반 논의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의견을 바탕으로 기조연설을 할 수 있도록 준비하여 동료 평가를 통해서 활동 내용과 학생의 비판적 사고 과정을 포함하여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 교사의 관찰 평가와 동료 평가를 통해 평가 자료를 바탕으로 본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교수 목적에 도달했는지의 정도를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학교생활기록부 작성 예시 자기관리 역량 선별 복지 제도의 한계, 4차 산업혁명 이후 인공지능화에 따른 자동화의 발전, 소득의 양극화 등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으로 제시되는 기본소득제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정립하고, 자신의 삶과 진로에서 자기 주도성을 높이기 위해 노력함. 지식정보처리 역량 기본소득제를 조사하고 이에 대한 찬반 의견을 찾아서 각 의견에 대한 근거를 찾아보고, 사실 확인을 하는 활동 과정에서 조사 및 분석 능력을 발휘하였으며, 자료의 오류를 분석하는 능력이 있음. 의사소통 역량 사회적 정의를 실현하고 산업의 변화에 맞추기 위해 논의되는 기본소득제와 관련된 토론 활동에서 타인의 의견을 존중하며, 자신의 의견을 개진하고 공감하며, 미래 사회를 준비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고민함. 차시 프로그램 평가 내용 평화와 정의에 대한 민주적인 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4차 산업혁명에서 인공지능으로 인한 자동화와 연결성이 극대화되는 산업 환경의 변화에 따른 기본소득제의 필요성을 공감함. 선별 복지의 한계를 극복하고, 소득의 양극화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제시되는 기본소득제에 대해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의견을 발표함. ❑ 수업 지도안 전체 지도상 유의점 및 TIP ▸활동 과정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 16번의 목표와 세부목표에 부합될 수 있도록 교수활동을 진행한다. ▸한눈에 보는 수업을 통해 수업의 전체 흐름을 파악하고 선택 활동(다양한 시민참여 방법)의 포함 여부를 결정한다. ▸활동하는 과정에서 충분한 조사 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활동 사이에 시간적인 여유가 있도록 구성한다. ▸모둠 활동에서 모둠원들이 모두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한눈에 보는 수업 도입 생각 열기: 소득세! 주민세! 로봇세? - 로봇세 도입에 대한 논란과 미래사회 인간의 역량 알아보기 10분 �� 생각 키우기: 정의란 무엇인가? 10분 교수 학습 활동 학습자료 및 유의점 ▶ 정의의 여신상에 담긴 의미 찾기 ▶ 정의로운 사회의 공정성 알기 ▶ 정의의 의미와 정의로운 사회에서 공정성에 대해 생각해 보기 전개 생각 만들기: 기본소득제는 필요할까? 70분 교수 학습 활동 학습자료 및 유의점 ▶ 4차 산업혁명과 기본소득제 알아보기 ▶ 기본소득제에 대한 찬반 토론 경험하기 ▶ 산업의 변화와 기본소득제의 개념 알아보기 ▶ 기본소득제 실시에 대한 의견 정립하기 �� 정리 생각 정리하기(자기 평가/동료 평가) 보충자료: 청소년 참여 포탈? 10분 지도상 유의점 및 TIP ▸제시된 신문기사의 내용과 영상을 통해 로봇세에 대한 논의가 있다는 것으로 주의 집중을 한다. ▸관련 영상 링크 : http://gg.gg/my4b5 ▸미래 사회에 인간에게 필요한 역량이 무엇인지 조사하면서 로봇으로 대체될 수 없는 인간의 가치에 대해서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한다. 참고자료 로봇세 스위스 로잔에 있는 세계적인 경영대학원인 '국제경영개발대학원(IMD)'은 매년 세계 경제 분야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국가를 대상으로 경쟁력을 평가해 순위를 발표하고 있다. 여기서 우리나라는 올해 IMD 국가경쟁력 순위에서 지난해와 같은 29위를 차지했다. 그동안 한국의 역대 최고 순위는 2011·2012·2013년에 걸쳐 얻은 22위였으며, 가장 나쁜 성적은 1999년 얻은 41위였다. 한국은 인터넷 속도 '세계 1위, 첨단기술제품 수출액 6위, 과학 경쟁력 2년 연속 8위, 디지털은 19위, 연구개발비·연구개발 인력 세계 5위, 최상위권 1인당 연구개발비는 13위로 투자효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최근 마이크로소프트(MS) 설립자 빌 게이츠(Bill Gates)는 ‘쿼츠’(Quartz) 지와의 인터뷰를 통해 “로봇을 사용하는 회사에 인간과 같은 수준의 세금, ‘로봇세(Robot Tax)’를 부과해야 한다”는 주장을 지지했다. ‘4차 산업혁명’ 또는 ‘인공지능·로봇’이 지배하는 시대를 놓고 나라 안팎에서 활발한 논쟁이 일고 있다. 논쟁은 크게 두 가지이다. 사람의 일자리 축소를 가져오는 로봇에 세금을 물리느냐를 둘러싼 로봇세 주장이 하나이고, 또 다른 하나는 기본소득이다. 미국과 유럽에서는 로봇세 찬반 논란에 저명인사들이 뛰어들며 불씨를 키우고 있다. 국내에서는 자동화와 인공지능 로봇이 초래하는 변화에 기본소득으로 대응하자는 논의가 확산되고 있다. 출처: http://gg.gg/my4g3 지도상 유의점 및 TIP ▸간단한 검색을 통해서 자유의 여신상에 담겨진 의미에 대해서 알아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또 영상을 소개하여 정의에 대한 자기 생각을 만들 수 있도록 지도한다. ▸관련 영상 링크 : http://gg.gg/mymtc/1 ▸정의로운 사회를 위해 필요한 공정성이란 것에 대해서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참고자료 분류 의미 예 형식과 실질 형식적 정의 모든 사건이나 사람에 대해 형식상 공정하게 적용되는 제도 1인 1표법 앞의 평등월급 - 경력과 직책이 같으면 같은 액수 실질적 정의 사람들 사이의 차이를 고려하여 그에 상응하는 합리적인 처분을 내려서 각자에게 각자의 몫을 줌 권투 경기 - 체급 고려 월급 - 부양가족의 수 고려 결과와 절차 결과적 정의 결과에 초점을 맞춤 편리 - 제시된 기준들을 객관적으로 측정하고 상호 비교 능력과 성과, 노력, 사회적 효용, 필요 등의 기준 절차적 정의 절차나 과정에 초점을 맞춤 롤스의 정의론 출처: http://study.zum.com/book/13052 지도상 유의점 및 TIP ▸검색할 수 있는 다양한 기기를 이용하여 4차 산업혁명의 변화에 대해서 찾아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또 영상을 통해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변화에 대해서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관련 영상 링크 : http://gg.gg/my4hk 참고자료 4차 산업혁명 제4차 산업혁명(第四次 産業革命,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4IR)은 정보통신기술(ICT)의 융합으로 이루어지는 차세대 산업 혁명이다. 18세기 초기 산업혁명 이후 네 번째로 중요한 산업 시대이다. 이 혁명의 핵심은 빅데이터 분석, 인공지능, 로봇공학, 사물인터넷, 무인 운송 수단(무인 항공기, 무인 자동차), 3차원 인쇄, 나노 기술과 같은 7대 분야에서 새로운 기술 혁신이다. 제4차 산업혁명은 클라우스 슈바프(Klaus Schwab)가 의장으로 있는 2016년 세계 경제 포럼(World Economic Forum, WEF)에서 주창된 용어이다. 《제3차 산업혁명》(The Third Industrial Revolution)을 저술한 제러미 리프킨(Jeremy Rifikin)은 "현재 제3차 산업혁명이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다. 제4차 산업혁명은 물리적, 생물학적, 디지털적 세계를 빅데이터에 근거해서 통합시키고 경제 및 산업 등 모든 분야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신기술로 설명될 수 있다. 물리적인 세계와 디지털적인 세계의 통합은 O2O를 통해 수행되고, 생물학적 세계에서는 인체의 정보를 디지털 세계에 접목하는 기술인 스마트워치나 스마트 밴드를 이용하여 모바일 헬스 케어를 구현할 수 있다.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도 물리적 세계와 디지털 세계의 접목에 해당할 수 있다. 출처: http://gg.gg/me1qs 지도상 유의점 및 TIP ▸기본소득제가 무엇인지 자료를 조사하거나 영상을 통해서 기본소득제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과 찬반 의견에 대해 학습할 수 있도록 상황에 맞게 지도한다. ▸관련 영상 링크 : http://gg.gg/my4nc 참고자료 기본소득제 Universal Basic Income (UBI), Basic Income 기본소득제는 재산이나 소득의 유무, 노동 여부나 노동 의사 등과 관계없이 사회 구성원 모두에게 최소생활비를 지급하는 제도이다. 최소생활비만 지급하기 때문에 문화생활을 누리려면 돈을 더 벌어야 한다. 애당초 돈을 벌지 않아도 문화생활까지 누릴 정도로 풍족한 사회라면 경제체제가 무의미해질 정도로 자동화가 발전한 상태일 것이다. 가장 중요한 문제는 어떻게 돈을 더 벌 수 있는가에 대한 것이다. 1980년대 이후 전 세계적으로, 한국은 1993년 군사정권 몰락 이후 1997년 구제금융 사태가 지나고 7, 8년 정도 지난 2003년 이후부터 서서히 담론으로 등장하며 기본소득제에 대해 논쟁하는 나라들이 늘어났다. 기본소득제는 처음에는 헛소리로 치부되며 관심에서 멀어졌지만 2010년대에 들어 기술 발달, 특히 인공지능의 발전으로 산업 자동화 경향이 심화하여 일자리 수의 감소가 피할 수 없는 현실이 되자 주목받게 되었다. 출처: http://gg.gg/my4jm 지도상 유의점 및 TIP ▸기본소득제의 등장 배경에 맞추어 선별 복지의 한계를 극복하고 소득의 양극화를 줄이는 방안으로 기본소득제의 찬반 토론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지도한다. ▸자기 생각을 정리하여 기조연설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학생들의 참여를 높일 수 있다. 참고자료 선별적 복지와 보편적 복지 선별적 복지란 특정 계층에만 복지 혜택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는 한 개인의 삶에 대한 책임은 일차적으로 개인에게 있다는 자유주의 사상에 기반을 둔 정책이다. 국가는 개인의 노력으로 생활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고 판단했을 때만 선별적으로 개입한다. 대신 선별적 복지는 어려운 사람들만 받게 되므로, 서비스의 대상자가 한정되고, 대상자는 혜택을 받는다는 상실감을 느끼게 된다. 보편적 복지는 특별한 선별 과정 없이 모두가 복지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선별적 복지가 자유주의 사상에 기반한 것이라면, 보편적 복지는 사회주의 사상에 기반을 두었다. 하지만 도움이 필요 없는 사람에게도 똑같은 혜택을 제공하니 들인 비용만큼의 효율이 나오지 않고, 한번 정해지면 서비스를 유연하게 변화시키기 어렵다. 출처: http://gg.gg/my4m2 지도상 유의점 및 TIP ▸투표, 공청회, 국민참여재판, 1인 시위 이외의 다양한 시민참여 방법에 대해서 찾아보고 자신의 가족에서 예시와 같은 상황이 일어났을 때 어떤 방식의 시민참여 방법을 적용할지 고민해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참고자료 시민의 정치 참여 방법 1. 선거와 투표 대통령, 국회의원, 지방 자치 단체장 등의 선거에 참여하여 대표자 선출, 국민 투표에 참여, 대의 민주 정치에서 가장 기본적인 참여 방법 2. 시민 단체 활동 공익을 추구하기 위해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 지속적이고 적극적인 참여 방법 3. 이익 집단 활동 집단의 특수한 이익을 추구하기 위하여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 집단적인 참여 방법 4. 대중 매체 활용 신문이나 인터넷 등을 활용하여 의사를 표현하는 것, 개인적인 참여 방법 5. 정당 활동 정당에 가입하여 정치 활동을 하는 것 6. 청원 국가 기관에 대하여 불만이나 요구 사항을 진술하고 시정을 요구하는 것 7. 주민 회의 구성, 공청회·집회·서명 운동 등에 참여                               출처: http://study.zum.com/book/15188 지도상 유의점 및 TIP ▸학생들의 자기 평가에서 객관적인 자세로 자신의 학습 활동을 돌이켜보고, 진실성 있게 평가하고, 자기 스스로 피드백을 하는 기회란 것을 강조한다. ▸전체의 활동에 대한 느낀 점을 정리할 수 있도록 지도하며, 특히 자신이 활동 과정에서 중점을 두고 참여했던 활동, 주도적으로 참여했던 활동 등을 중심으로 의미와 필요성, 자신·모둠원·학교·사회의 긍정적인 변화에 관해서 서술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다른 학생의 동료 평가에서 친분이나 한 가지 행동을 보고 평가하는 것을 지양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전체의 학습 활동을 고려하여 평가하도록 지도한다. 참고자료 ▸동료 평가는 활동을 함께 수행한 동료들이 동등한 관계에서 팀원의 성과와 역량을 평가하는 것으로 평가의 공정성과 결과 수용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협업 과정을 장려하고, 개인의 역량 개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평가 과정에서 교과목의 지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역의 역량이 발휘될 수 있도록 진행해야 하며, 학생의 잠재력과 소질을 발견하고, 진로를 개발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그리고 경쟁적 평가 풍토보다는 협력을 통한 동반성장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지도상 유의점 및 TIP ▸청소년의 인권신장 및 건전한 민주시민 육성, 청소년의 정책 담보 및 청소년 정책의 실효성 확보, 청소년의 잠재 역량 개발 및 사회성 향상, UN아동권리협약 등 국제기구의 참여 확도 권고 준수 등의 측면에서 청소년의 정치 참여가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한다. 참고자료 출처: https://www.youth.go.kr/ywith/index.do SDG 17 고등 우리가 세계 리더 ❑ 수업의 개요 주제 국제 사회 문제해결을 위한 국가의 협력 알아보기 관련 SDGs 17. SDGs를 위한 파트너십 관련 K–SDGs 17. 지구촌 협력 확대 17-6. 개도국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다양한 글로벌 파트너십을 강화한다. 17-7. 효과적인 공공, 공공-민간 및 시민 사회 간 파트너십을 권장하고 촉진한다. 관 련 교 과 및 성취기준 교과 교육과정 성취기준 통합사회 [10통사08-02] 국제 갈등과 협력의 사례를 통해 국제 사회의 행위 주체의 역할을 파악하고, 평화의 중요성을 인식한다. 정치와 법 [12정법06-02] 국제 문제(안보, 경제, 환경 등)를 이해하고, 이를 해결해 국제기구들이 수행하는 역할과 활동을 분석한다. 환경 [12환경03-08] 지역적, 국가적, 지구적 차원의 다양한 환경 쟁점과 사례를 탐색하고, 활동 여건을 고려하여 주제를 설정한다. E S D 내 용 요 소 사회•정치•문화 환경 경제 ‣세계화, 국제적 책임 ‣기후변화, 환경 문제 ‣빈부격차 완화 E S D 중 점 역 량 인지•기능 태도 ‣ 시스템적 사고 ‣ 문제해결력 ‣ 의사소통능력 ‣ 정보처리능력 ‣ 자아성찰적 태도 : 자아효능감 ‣ 타자지향적 태도 : 관계형성, 공감, 신뢰 ‣ 민주시민적 태도 : 책임감, 리더십, 개방성 ‣ 국제문화적 태도 : 글로벌 공동체 의식 S D G s - E S D 성 취 기 준 [17-2]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필요한 개인, 국가 등 다양한 관계에서의 협력 방안에 대해 알아본다. 2 0 1 5 개 정 교 육 과 정 핵 심 역 량 지식정보 처리 역량 ‣ 주요 활동 : 감염병 예방을 위한 국간 간의 협력 조사하기 ‣ 역량신장 내용 : 국가별로 감염병을 예방하기 위해 기울이는 노력과 국가 간의 협력 과정을 조사하고, 이를 텍스트 마이닝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영역의 지식과 정보를 활용함. 심미적 감성 역량 ‣ 주요 활동 : 지속가능한 국제기구 만들기 ‣ 역량신장 내용 : 다양한 국제기구에 대해서 알아보고, 평화, 건강, 환경, 인권, 경제 등의 지속가능발전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국제기구를 만드는 과정에서 인간에 대한 공감적 이해와 문화적 감수성을 바탕으로 삶의 의미와 가치를 앎. 공동체 역량 ‣ 주요 활동 : 지속가능한 국제기구 만들기 ‣ 역량신장 내용 : 국제기구에 대해서 조사하고, 지속가능한 국제기구를 제안하는 과정에서 세계화와 공동체 의식에 대해서 확인함. ❑ 학생 생활기록부 기재 방법(안) ● 국가별 국제 사회 속에서 당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국가의 협력을 목표로 국제기구의 역할 등을 이해하고 국제화 시대에 세계 민주주의 속에서 지속가능한 발전을 고민하였으며, 새로운 형태의 국제기구를 제안하여 환경 교과 내용과 관련한 성취기준 도달 정도를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 앞으로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국제기구를 설계하여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는 자료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활동 내용 및 교과 내용을 결부시켜 학생의 노력이 적절히 드러날 수 있도록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 교사의 관찰 평가와 동료 평가를 통해 평가 자료를 바탕으로 본 프로그램의 전체적인 교수 목적에 도달했는지의 정도를 생활기록부에 기재한다. 학교생활기록부 작성 예시 지식정보처리 역량 다양한 국제기구에 대해서 알아보고, 그 역할을 정리하여 설명하는 과정에서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영역의 지식과 정보를 처리함. 이를 통해서 미래 사회에 필요한 새로운 형태의 국제기구를 제안함. 심미적 감성 역량 환경, 경제, 사회문화와 관련된 국제기구에 대해서 알아보고, 필요성이 줄어드는 단체, 업무의 증가로 분리가 필요한 단체, 기존에 없지만 필요한 단체 등을 분류하여 제시함. 이 과정에서 인간의 공감적 이해와 문화적 감수성을 바탕으로 공동체의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함. 공동체 역량 지역, 국가, 세계 공동체의 구성원으로서 요구되는 가치와 태도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공동체의 발전에 필요한 국제기구를 제안함. 차시 프로그램 평가 내용 적십자의 구호 활동을 중심으로 나라를 뛰어넘는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 노력하는 비영리단체에 관해서 설명함. 감염병에 대한 국가 간의 협력 과정을 찾아보고 WHO의 역할을 조사하여 세계 속에서 우리의 역할에 대한 내용으로 텍스트 마이닝을 함. 세계 민주주의 속에서 글로벌 파트너십 향상을 위한 국제기구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국제기구를 제안함. 특히 평화, 건강, 인권, 경제 등의 분야에서 지속가능발전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창의적인 국제기구를 제안함. ❑ 수업 지도안 전체 지도상 유의점 및 TIP ▸활동 과정에서 지속가능발전교육 17번의 목표와 세부목표에 부합될 수 있도록 교수활동을 진행한다. ▸한눈에 보는 수업을 통해 수업의 전체 흐름을 파악하고 선택 활동(민간 정책 참여 방법 알기)의 포함 여부를 결정한다. ▸효과적인 조사 활동이 될 수 있도록 사전에 조사에 필요한 검색기기를 준비해 올 수 있도록 안내한다. ▸모둠 활동에서 모둠원들이 모두 함께 참여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 ⁕ 한눈에 보는 수업 도입 생각 열기: 내가 자가 격리된다면? - 재난 사태에서 국가와 국제기구의 역할 생각하기 10분 �� 생각 키우기: 국제기구의 역할 알아보기 10분 교수 학습 활동 학습자료 및 유의점 ▶ 영상을 통한 세계보건기구의 역할 알아보기 ▶ 국제기구의 종류와 역할 알기 전개 생각 만들기: 국제기구 만들어 보기 60분 교수 학습 활동 학습자료 및 유의점 ▶ 감염병에 대응하는 국제 네트워킹 ▶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국제기구 만들기 ▶ 국제 협력 과정 조사, 텍스트 마이닝 해보기 ▶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국제기구 제안하기 �� 정리 생각 정리하기(자기 평가/동료 평가) 보충자료: 국경없는의사회 20분 지도상 유의점 및 TIP ▸자가 격리 조치된 상황으로 국가가 시민에게 줄 수 있는 도움에 대해서 생각해 보고, 국제 구호단체인 적십자의 역할을 알아보며, 국제기구의 중요성을 인식한다. ▸관련 영상 링크 : http://gg.gg/my4s4 http://gg.gg/my4sa 참고자료 국제 적십자 운동 국제 적십자·적신월 운동(國際赤十字·赤新月運動, International Red Cross and Red Crescent Movement)은 전쟁, 자연재해 등에서의 희생자들과 기아선상의 난민들을 돌보기 위한 목적으로 조직된 인도주의 단체이며, 중립, 평등, 독립, 자발적 섬김, 일관성과 보편성의 실천을 원칙으로 한다. 현재 적십자·적신월은 146개의 나라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15개 나라에서 유사한 단체가 있다. 회원 수는 2만 5천 명이며, 대부분 25세 미만의 청년이다. 적십자하면 붉은 십자가(적십자), 붉은 달(적신월)이 상징인데 이는 전쟁 시에 구호 활동을 위한 차량이나 시설이 공격받지 않게 하려는 것이다. 국제 적십자 위원회(國際赤十字委員會, International Committee of the Red Cross, ICRC)는 스위스 제네바에 본부를 두고 국제적으로 활동하는 스위스의 민간기구이다. 제네바 협약 및 관습법 규칙에 따라 전쟁, 내란 등의 국제적 혹은 비국제적 무력 분쟁에서 전상자, 포로, 실향민, 민간인 등의 희생자를 보호하기 위해 설립된 인도주의 단체이다. 전 세계 186개 적십자/적신월사와 이들의 연맹체인 국제 적십자사 연맹과 함께 국제 적십자 운동을 구성하고 있다. 출처: http://gg.gg/my4sf 지도상 유의점 및 TIP ▸세계보건기구(WHO)에서 하는 일에 대해서 알아보고, 국제기구의 종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소개한다. ▸관련 영상 링크 : http://gg.gg/my4td 참고자료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유엔의 전문 기구이다. 2020년 기준으로 194개 회원국이 WHO에 가맹되었으며, 그 목적은 세계 인류가 가능한 한 최고의 건강 수준에 도달하는 것이다. 세계보건기구 회원국은 세계보건기구의 최고 의사결정 기구인 세계보건총회(WHA)에 대표단을 파견한다. 모든 유엔 회원국은 세계보건기구 회원국으로 활동할 자격을 갖고 있으며 세계보건기구 웹사이트에 따르면 "세계보건총회의 간단한 투표를 통해 신청이 승인되면 다른 국가도 회원으로 가입할 수 있다."고 명시되어 있다. 세계보건총회는 세계보건기구의 모든 회원국이 참가하여 기구의 정책을 결정한다. 집행위원회는 기술적으로 보건 분야에서 자격을 갖춘 위원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세계보건총회의 결정과 정책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유엔 옵서버로 참여하고 있는 국제 적십자 위원회, 국제 적십자사·적신월사 연맹은 세계보건기구와의 "공식적인 관계"에 따라 여러 비정부 기구들과 함께 옵서버로 참가한다. WHO는 특징적으로 6개 지역으로 분산되어 있으며, 각 지역은 지역 위원회와 지역 사무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지역 사무소의 수뇌로는 지역 총장이 있다. 지역 사무소들은 지역적 정책을 조직화하고 지역 활동을 관찰할 의무가 있다. 많은 국가 내에 WHO를 대표하여 WHO 활동을 담당하는 직원이 상주하여 국가 보건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관리한다. WHO 직원 가운데 40%는 전 세계 각국에서 WHO 대표로 일하거나 현지 프로그램에 관련된 일을 담당하고 있으며, 30%는 6개 지역 사무소에서 일하고 있고, 또 30%는 제네바 본부에서 근무하고 있다. 출처: http://gg.gg/my4tk 지도상 유의점 및 TIP ▸전염병 사태에 대한 사설, 뉴스 등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텍스트 마이닝을 하여 방대한 텍스트를 시각화하여 나타낸다. ▸빙고 챌린지로 자신이 알고 있는 국제기구가 얼마나 되는지 테스트해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참고자료 텍스트마이닝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이란 의사결정 수단을 위하여 대용량의 데이터베이스(database)로부터 의미 있는 규칙과 패턴을 발견하는 기법을 말한다(Hearst, 1999). 데이터 마이닝이 다루는 데이터베이스는 구조에 따라 구조화 데이터베이스(structured database)와 비구조화 데이터베이스(unstructured database)로 구분할 수 있다. 출처: http://gg.gg/my4ym 워드클라우드 문서의 키워드나 주제, 개념 등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핵심 단어를 시각적으로 꾸미는 기법으로, 많이 언급되면 될수록 단어를 크게 표현해 한눈에 들어올 수 있도록 하는 이미지이다. 주로 방대한 데이터를 다루는 빅데이터를 분석할 때 데이터의 특징을 한눈에 알기 쉽게 표현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www.wordcloud.kr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워드클라우드 생성기를 이용하여 원하는 키워드, 주제로 클라우드 이미지를 쉽게 만들 수 있다. 출처: https://ldcc.tistory.com/698 지도상 유의점 및 TIP ▸환경, 경제, 사회, 문화와 관련된 국제기구를 알아보고 필요성에 따라서 국제기구를 분류하여 기존에 없지만 필요한 국제기구를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참고자료 한국 주도의 국제기구 세계선거기관협의회(Association of World Election Bodies)는 우리나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주도로 2013년 10월 설립됐습니다.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할 선거기구가 필요하다는 판단하에 세계 각국의 선거관리기관 및 관련 전문가가 모여 출범한 국제선거기구입니다. 후발 민주국가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과 민주선거시스템 정립이 목적입니다. 녹색기후기금(Green Climate Fund)은 개발도상국의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변화 적응을 지원하는 국제기구입니다. 2010년 12월 멕시코 칸쿤에서 열린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제16차 당사국 총회에서 GCF를 설립하기로 합의했고, 선진국들이 2010년부터 2020년 이전까지 1,000억 달러(약 120조 원), 2020년 이후부터는 매년 1,000억 달러의 재원을 조성하기로 하면서 바탕이 마련됐습니다. 글로벌 녹색성장연구소(Global Green Growth Institute)는 우리나라가 주도한 최초의 국제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저탄소 녹색성장’을 지원하고, 글로벌 동반성장을 실현할 목적으로 2010년 6월 설립됐습니다. 처음엔 민간기구로 설립됐지만 불과 2년 만인 2012년 6월 유엔 지속가능발전 정상회의(리우+20)를 통해 국제기구로 공인됐고 그해 10월 공식 출범합니다. 출처: [뉴스클립] Special Knowledge <596> 한국이 설립 주도한 국제기구, 중앙일보 지도상 유의점 및 TIP ▸민간 정책 참여 방법으로 광화문 1번가에 대해서 알고 있는지 묻고 열린소통포럼으로 정책을 제안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한다.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정책에 대해서 생각해 볼 수 있도록 지도한다. 참고자료 광화문1번가(영어: Gwanghwamoon 1st Street)는 문재인 정부의 출범 직후인 2017년 5월 25일부터 2017년 7월 12일까지 국정기획자문위원회 산하 조직인 국민인수위원회에서 운영했던 대한민국의 온·오프라인 정책 제안 플랫폼이다. 대한민국 최초의 정책 쇼핑몰이란 주제로 문재인이 제19대 대통령 선거 운동에서 선보였던 사이트인 '문재인 1번가'가 모태가 되었다. 다른 점은 '정책 쇼핑'이 아닌 '정책 제안'과 '민원 제기'로 구성되었다는 점이다. 국민이 정권을 인수한다는 개념의 '국민인수위원회'는 국정기획자문위원회의 산하 조직으로 구성되었지만, 청와대의 사회혁신수석실이 직접 국민인수위원회를 통해 광화문1번가를 운영하였다. 광화문 광장이 선택된 이유는 박근혜 대통령 퇴진 운동 당시 촛불집회가 열렸던 직접민주주의의 상징 장소로 보았기 때문이다. '국민인수위원회'가 2017년 5월 25일 광화문 세종로 한글공원에 '광화문1번가, 열린광장'을 개설하였다. 이곳에는 새 정부에 바라는 국민의 생각을 듣는 '국민 마이크', 세대별·지역별·주제별 발표를 통해 국민의 정책을 듣는 '열린 포럼', 대통령과 함께 읽고 싶은 책을 추천하는 '국민이 만드는 대통령의 서재' 코너를 구성하였다. 또 '국민인수위원회 in 지자체'를 운영하여 17개 시·도 현장 접수처를 통해 전국 단위로 국민의 의견을 받았으며, '국민 마이크' 코너도 함께 운영하였다. 꾸준히 '찾아가는 국민인수위원회'를 열어 인수위원회 차원에서의 직접 소통을 진행했다. 이러한 현장에서의 면담과 서면 외에도 웹사이트, 콜센터, 우편·이메일, 휴대 전화 문자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도 의견을 받았다. 출처: http://gg.gg/my5bf 지도상 유의점 및 TIP ▸학생들의 자기 평가에서 객관적인 자세로 자신의 학습 활동을 돌이켜보고, 진실성 있게 평가하고, 자기 스스로 피드백을 하는 기회란 것을 강조한다. ▸전체의 활동에 대한 느낀 점을 정리할 수 있도록 지도하며, 특히 자신이 활동 과정에서 중점을 두고 참여했던 활동, 주도적으로 참여했던 활동 등을 중심으로 의미와 필요성, 자신·모둠원·학교·사회의 긍정적인 변화에 관해서 서술할 수 있도록 지도함. ▸다른 학생의 동료 평가에서 친분이나 한 가지 행동을 보고 평가하는 것을 지양하고, 객관적인 시각으로 전체의 학습 활동을 고려하여 평가하도록 지도한다. 참고자료 ▸동료 평가는 활동을 함께 수행한 동료들이 동등한 관계에서 팀원의 성과와 역량을 평가하는 것으로 평가의 공정성과 결과 수용성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협업 과정을 장려하고, 개인의 역량 개발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평가 과정에서 교과목의 지식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역의 역량이 발휘될 수 있도록 진행해야 하며, 학생의 잠재력과 소질을 발견하고, 진로를 개발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그리고 경쟁적 평가 풍토보다는 협력을 통한 동반성장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지도상 유의점 및 TIP ▸국제 인도주의 의료 구호단체인 국경없는의사회와 같이 의료 지원의 부족, 무력 분쟁, 전염병, 자연재해 등으로 인해 생존의 위협에 처한 사람들의 긴급구호 활동을 하는 범국가적 단체가 있음을 소개한다. 참고자료 국경없는의사회(MSF, 國境없는 醫師會, Médecins Sans Frontières 메드신 상 프롱티에르, Doctors without Borders 닥터스 위드아웃 보더스)는 1971년 12월 20일 프랑스의 베르나르 쿠슈네르 등 청년 의사들이 주축이 되어 설립된 비정부기구(NGO)로, 나이지리아의 비아프라 전쟁에서 국제 적십자사 활동을 하다가 분리되어 설립되었다. 국경없는의사회는 1996년 서울평화상을 수상하였으며, 1999년 노벨평화상을 수상하였다. 노벨평화상 수상 당시 회장이었던 제임스 오빈스키 박사가 국경 없는 의사회 대표로 상을 수상했다. 1990년대 초등학교 6학년 도덕교과서에 국경없는 의사회 이야기가 알베르트 슈바이처, 신약성서 누가복음서에 나오는 착한 사마리아 사람 비유와 함께 인도주의의 예로 나오기도 했다. 단체의 모든 구성원은 첫째 국경없는의사회는 고난에 처하거나, 자연재해, 인재 혹은 무력 분쟁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을 인종, 종교, 혹은 정치적 신념과 관계없이 돕는다. 둘째 국경없는의사회는 보편적인 의료 윤리를 따르며, 누구나 인도주의적 구호를 받을 권리가 있으므로 중립성과 공정성을 준수하고, 활동을 수행하는 데 아무런 제약을 받지 않는 완전한 자유를 가져야 한다. 셋째 구성원들은 직업윤리를 지켜야 하며, 어떠한 정치적, 경제적, 종교적 영향력으로부터 철저한 독립을 유지한다. 넷째 구성원들은 자발적으로 참여한 사람으로서 수행하는 임무의 위험성과 부담을 인지하고, 단체가 제공할 수 있는 것 외에 어떠한 보상도 요구하지 않는다. 출처: http://gg.gg/my5bl 주 의 문 1. 본 연구의 주장이나 제언은 연구진의 견해이며, 한국과학창의재단의 공식적인 공식 입장이 아닙니다. 2. 이 보고서 내용을 대외적으로 공개하거나 발표할 때에는 반드시 한국과학창의재단과 사전에 상의해야 합니다. ##@@## 최종보고서 부록 3 2020년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연계 선도프로그램 개발 과제 최종 보고서 (수업 프로그램 PPT 자료) 2020. 12. 초등학교용 PPT 목차 1. 온실가스와 언택트(비대면) 시대 1 2. 바다 생물들의 불편 해소 11 3. 생물종이 다양해야 건강해요 19 4. 평화 교실, 평화 마을 만들기 27 5. 나도 마을 기업가! 33 중학교용 PPT 목차 1. 기후변화와 감염병 42 2. 맹그로브 숲과 새우 52 3. 우리 학교 바이오블리츠와 활용 61 4. 평화와 정의를 위한 외침! 69 5. 더불어 행복한 지역사회를 만드는 착한기업 79 고등학교용 PPT 목차 1. 우리의 기후변화 대응 이야기 88 2. ″물고기 아파트″로 해양자원 보존하기 97 3. 종 다양성? 생물다양성? 105 4. 같은 것은 같게, 다른 것은 다르게 118 5. 우리가 세계 리더 129 초등학교용 PPT 자료 주제 1 초등학교용(SDGs 13번 목표) 온실가스와 언택트(비대면) 시대 주제 2 초등학교용(SDGs 14번 목표) 바다 생물들의 불편 해소 주제 3 초등학교용(SDGs 15번 목표) 생물종이 다양해야 건강해요 주제 4 초등학교용(SDGs 16번 목표) 평화 교실, 평화 마을 만들기 주제 5 초등학교용(SDGs 17번 목표) 나도 마을 기업가! 중학교 PPT 자료 주제 1 중학교용(SDGs 13번 목표) 기후변화와 감염병 ’ 주제 2 중학교용(SDGs 14번 목표) 맹그로브 숲과 새우 ’ 주제 3 중학교용(SDGs 15번 목표) 우리 학교 바이오블리츠와 활용 ’ 주제 4 중학교용(SDGs 16 목표) 평화와 정의를 위한 외침! 주제 5 중학교용(SDGs 17 목표) 더불어 행복한 지역사회를 만드는 착한기업 고등학교 PPT 자료 주제 1 고등학교용(SDGs 13번 목표) 우리의 기후변화 대응 이야기 ’ 주제 2 고등학교용(SDGs 14번 목표) ″물고기 아파트″로 해양자원 보존하기 ’ 주제 3 고등학교용(SDGs 15번 목표) 종 다양성? 생물다양성? ’ 주제 4 고등학교용(SDGs 16 목표) 같은 것은 같게, 다른 것은 다르게 주제 5 고등학교용(SDGs 17 목표) 우리가 세계 리더 주 의 문 1. 본 연구의 주장이나 제언은 연구진의 견해이며, 한국과학창의재단의 공식적인 공식 입장이 아닙니다. 2. 이 보고서 내용을 대외적으로 공개하거나 발표할 때에는 반드시 한국과학창의재단과 사전에 상의해야 합니다. ##@@## 콘텐츠맵 목 차 1. 초등학교 콘텐츠 맵 ·························································································································1 2. 중학교 콘텐츠 맵 ······························································································································28 3. 고등학교 콘텐츠 맵 ·························································································································43 1. 초등학교 콘텐츠 맵 단원 교육과정 성취기준 초등 SDGs-ESD 성취기준 ESD 내용 요소 관련 수업모델 (1) 우리가 살아가는 곳 <우리고장의모습> [4사01-01]우리 마을 또는 고장의 모습을 자유롭게 그려 보고, 서로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 고장에 대한 서로 다른 장소감을 탐색한다. [11-3]포용적이고 안전하며 복원력 있고 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천한다.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초등 SDG 11 [4사01-02]디지털 영상 지도 등을 활용하여 주요 지형지물들의 위치를 파악하고, 백지도에 다시 배치하는 활동을 통하여 마을 또는 고장의 실제 모습을 익힌다. [11-3]포용적이고 안전하며 복원력 있고 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천한다.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초등 SDG 11 (1) 우리가 살아가는 곳 <우리가알아보는고장이야기> [4사01-03]고장과 관련된 옛이야기를 통하여 고장의 역사적인 유래와 특징을 설명한다. [11-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지속가능 마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초등 SDG 11 [4사01-04]고장에 전해 내려오는 대표적인 문화유산을 살펴보고 고장에 대한 자긍심을 기른다. [11-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지속가능 마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초등 SDG 11 (1) 우리가 살아가는 곳 <교통과통신수단의변화> [4사01-05]옛날과 오늘날의 교통수단에 관한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교통수단의 발달에 따른 생활 모습의 변화를 설명한다. [3-1]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삶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건강, 교통 초등 SDG 3 [3-2]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삶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우리라는 타인과 공동체와의 관계를 이해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4사01-06]옛날과 오늘날의 통신수단에 관한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통신수단의 발달에 따른 생활 모습의 변화를 설명한다. [3-1]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삶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 건강, 교통 초등 SDG 3 [3-2]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삶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우리라는 타인과 공동체와의 관계를 이해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2) 우리가 살아가는 모습 <환경에따라다른삶의모습> [4사02-01]우리 고장의 지리적 특성을 조사하고, 이것이 고장 사람들의 생활 모습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11-2] 도시와 농촌, 어촌에 모습과 현황, 문제를 이해하여 모두가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정주를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초등 SDG 11 [4사02-02]우리 고장과 다른 고장 사람들의 의식주 생활 모습을 비교하여, 환경의 차이에 따른 생활 모습의 다양성을 탐구한다. [11-3] 포용적이고 안전하며 복원력 있고 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천한다.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초등 SDG 11 자연자원 환경문제 (2) 우리가 살아가는 모습 <시대마다다른삶의모습> [4사02-03]옛 사람들의 생활 도구나 주거 형태를 알아보고, 오늘날의 생활 모습과 비교하여 그 변화상을 탐색한다. [9-2] 환경문제 등 지금까지의 산업화 현상과 과정에 대해 이해하여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산업화 과정을 알아본다. 건강 초등 SDG 9 자연자원 [4사02-04]옛날의 세시 풍속을 알아보고, 오늘날의 변화상을 탐색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한다. [9-2] 환경문제 등 지금까지의 산업화 현상과 과정에 대해 이해하여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산업화 과정을 알아본다. 환경문제 초등 SDG 9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2) 우리가 살아가는 모습 <가족의모습과역할변화> [4사02-05]옛날과 오늘날의 혼인 풍습과 가족 구성을 비교하고, 시대별 가족의 모습과 가족 구성원의 역할 변화를 탐색한다. [5-1-2]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모든 곳에서 모든 여성과 소녀에 대한 모든 형태의 차별 종식의 필요성과 개념에 대해 이해한다. -인권 초등 SDG 5 [10-1] 나이, 성, 장애, 인종, 민족, 출신, 종교, 경제 수준 등 다양한 영역별 국가 내 불평등 문제에 대해 이해한다. 평화 초등 SDG 10   사회정의     문화다양성     생물다양성   [4사02-06]현대의 여러 가지 가족 형태를 조사하여 가족의 다양한 삶의 모습을 존중하는 태도를 기른다. [10-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국가 내, 국가 간 불평등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을 모색하고 실천한다. 문화다양성 초등 SDG 10 생물다양성 (3) 우리 지역의 어제와 오늘 <지역의위치와특성> [4사03-01]지도의 기본 요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우리 지역 지도에 나타난 지리 정보를 실제 생활에 활용한다. [11-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지속가능 마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초등 SDG 11 [4사03-02]고장 사람들의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지역의 다양한 중심지(행정, 교통, 상업, 산업, 관광 등)를 조사하고, 각 중심지의 위치, 기능, 경관의 특성을 탐색한다. [11-3] 포용적이고 안전하며 복원력 있고 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천한다. 자연자원 초등 SDG 11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3) 우리 지역의 어제와 오늘 <우리가알아보는지역의역사> [4사03-03]우리 지역을 대표하는 유・무형의 문화유산을 알아보고, 지역의 문화유산을 소중히 여기는 태도를 갖는다. [11-3] 포용적이고 안전하며 복원력 있고 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천한다. 자연자원 초등 SDG 11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4사03-04]우리 지역과 관련된 역사적 인물의 삶을 알아보고, 지역의 역사에 대해 자부심을 갖는다. [11-3] 포용적이고 안전하며 복원력 있고 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천한다. 자연자원 초등 SDG 11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3) 우리 지역의 어제와 오늘 <지역의공공기관과주민참여> [4사03-05]우리 지역에 있는 공공 기관의 종류와 역할을 조사하고, 공공 기관이 지역 주민들의 생활에 주는 도움을 탐색한다. [11-2] 도시와 농촌, 어촌에 모습과 현황, 문제를 이해하여 모두가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정주를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건강 초등 SDG 11 [4사03-06]주민 참여를 통해 지역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살펴보고, 지역 문제의 해결에 참여하는 태도를 기른다. [16-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법과 제도의 정비와 그 나아갈 방향에 대해 알아본다. 시민참여 초등 SDG 16 (4) 다양한 삶의 모습과 변화 <촌락과도시의생활모습> [4사04-01]촌락과 도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고, 각각에서 나타나는 문제점과 해결 방안을 탐색한다. [11-2] 도시와 농촌, 어촌에 모습과 현황, 문제를 이해하여 모두가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정주를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초등 SDG 11 [4사04-02]촌락과 도시 사이에 이루어지는 다양한 교류를 조사하고, 이들 사이의 상호 의존 관계를 탐구한다. [11-2] 도시와 농촌, 어촌에 모습과 현황, 문제를 이해하여 모두가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정주를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초등 SDG 11 (4) 다양한 삶의 모습과 변화 <필요한것의생산과교환> [4사04-03]자원의 희소성으로 경제활동에서 선택의 문제가 발생함을 파악하고, 시장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생산, 소비 등 경제활동을 설명한다. [12-1] 삶을 영위하기 위한 생산과 소비에 대해 알아본다. 자연자원 초등 SDG 12 에너지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4사04-04]우리 지역과 다른 지역의 물자 교환 및 교류 사례를 조사하여, 지역 간 경제활동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탐구한다. [12-1] 삶을 영위하기 위한 생산과 소비에 대해 알아본다.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초등 SDG 12 지속가능한 식량생산 시장경제 (4) 다양한 삶의 모습과 변화 <사회의변화와문화다양성> [4사04-05]사회 변화(저출산・고령화, 정보화, 세계화 등)로 나타난 일상생활의 모습을 조사하고, 그 특징을 분석한다. [17-1] 양질을 삶과 행복을 추구하기 위해 필요한 지속가능발전의 의미를 이해한다. 문화다양성 초등 SDG 17 소양(매체, ICT) [4사04-06]우리 사회에 다양한 문화가 확산되면서 생기는 문제(편견, 차별 등)및 해결 방안을 탐구하고, 다른 문화를 존중하는 태도를 기른다. [10-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국가 내, 국가 간 불평등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을 모색하고 실천한다. 문화다양성 초등 SDG 10 평화 양성평등 (1) 국토와 우리 생활 <국토의위치와영역> [6사01-01]우리나라의 위치와 영역이 지니는 특성을 설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국토 사랑의 태도를 기른다. [11-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지속가능 마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평화 초등 SDG 11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6사01-02]우리 국토를 구분하는 기준들을 살펴보고, 시・도 단위 행정구역 및 주요 도시들의 위치 특성을 파악한다. [11-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지속가능 마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초등 SDG 11 (1) 국토와 우리 생활 <국토와자연환경> [6사01-03]우리나라의 기후 환경 및 지형 환경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탐구한다. [13-1] 기후변화의 현황과 의미에 대해 이해한다. 기후변화 초등 SDG 13 환경문제 [6사01-04]우리나라 자연재해의 종류 및 대책을 탐색하고, 그와 관련된 생활 안전 수칙을 실천하는 태도를 지닌다. [13-3] 기후변화 완화, 적응, 영향 감축 및 조기 경보 등 기후변화를 대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기후변화 초등 SDG 13 환경문제 (1) 국토와 우리 생활 <국토의인문환경> [6사01-05]우리나라의 인구 분포 및 구조에서 나타난 변화와 도시 발달 과정에서 나타난 특징을 탐구한다. [11-3] 포용적이고 안전하며 복원력 있고 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천한다. 인권 초등 SDG 11 평화 사회정의 건강 [6사01-06]우리나라의 산업구조의 변화와 교통 발달 과정에서 나타난 특징을 탐구한다. [9-1] 우리나라와 전 세계의 산업화 현상과 진행에 대해 이해한다. 기업의 지속가능성 초등 SDG 9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시장경제 소양(매체, ICT) (2) 인권 존중과 정의로운 사회 <인권을존중하는삶> [6사02-01]인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인권 신장을 위해 노력했던 옛 사람들의 활동을 탐구한다. [5-1-2]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모든 곳에서 모든 여성과 소녀에 대한 모든 형태의 차별 종식의 필요성과 개념에 대해 이해한다. 인권 초등 SDG 5 평화 안전 사회정의 [6사02-02]생활 속에서 인권 보장이 필요한 사례를 탐구하여 인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인권 보호를 실천하는 태도를 기른다. [5-2-1]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양성평등 실천방안을 모색한다. 인권 초등 SDG 5 [5-2-2] 모든 수준, 모든 곳에서의 양성평등 및 모든 여성과 소녀의 권익 신장을 증진하기 위한 건전한 실천방안을 찾아 실생활에서 실천한다. 평화   안전   사회정의 (2) 인권 존중과 정의로운 사회 <인권보장과헌법> [6사02-03]인권 보장 측면에서 헌법의 의미와 역할을 탐구하고, 그 중요성을 설명한다. [5-2-1]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양성평등 실천방안을 모색한다. 인권 초등 SDG 5 [5-2-2] 모든 수준, 모든 곳에서의 양성평등 및 모든 여성과 소녀의 권익 신장을 증진하기 위한 건전한 실천방안을 찾아 실생활에서 실천한다. 평화 [16-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법과 제도의 정비와 그 나아갈 방향에 대해 알아본다. 안전   사회정의   거버넌스 [6사02-04]헌법에서 규정하는 기본권과 의무가 일상생활에 적용된 사례를 조사하고, 권리와 의무의 조화를 추구하는 자세를 기른다. [16-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법과 제도의 정비와 그 나아갈 방향에 대해 알아본다. 인권 초등 SDG 16 평화 안전 사회정의 거버넌스 시민참여 (2) 인권 존중과 정의로운 사회 <법의의미와역할> [6사02-05]우리 생활 속에서 법이 적용되는 다양한 사례를 제시하고, 법의 의미와 성격을 설명한다. [16-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법과 제도의 정비와 그 나아갈 방향에 대해 알아본다. 인권 초등 SDG 16 평화 안전 사회정의 거버넌스 시민참여 [6사02-06]법의 역할을 권리 보호와 질서 유지의 측면에서 설명하고, 법을 준수하는 태도를 기른다. [16-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법과 제도의 정비와 그 나아갈 방향에 대해 알아본다. 인권 초등 SDG 16 평화 안전 사회정의 거버넌스 시민참여 (3) 옛 사람들의 삶과 문화 <나라의등장과발전> [6사03-01]고조선의 등장과 관련된 건국 이야기를 살펴보고, 고대 시기 나라의 발전에 기여한 인물(근초고왕, 광개토대왕, 김유신과 김춘추, 대조영 등)의 활동을 통하여 여러 나라가 성장하는 모습을 탐색한다. [11-3] 포용적이고 안전하며 복원력 있고 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천한다.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초등 SDG 11 [12-1] 삶을 영위하기 위한 생산과 소비에 대해 알아본다. 초등 SDG 12 [6사03-02]불국사와 석굴암, 미륵사 등 대표적인 문화유산을 통하여 고대 사람들이 이룩한 문화의 우수성을 탐색한다. [11-3] 포용적이고 안전하며 복원력 있고 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천한다.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초등 SDG 11 [12-1] 삶을 영위하기 위한 생산과 소비에 대해 알아본다. 초등 SDG 12 (3) 옛 사람들의 삶과 문화 <독창적문화를발전시킨고려> [6사03-03]고려를 세우고 외침을 막는 데 힘쓴 인물(왕건, 서희, 강감찬 등)의 업적을 통하여 고려의 개창과 외침 극복 과정을 탐색한다. [11-3] 포용적이고 안전하며 복원력 있고 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천한다. 시민참여 초등 SDG 11 [6사03-04]고려청자와 금속 활자, 팔만대장경 등의 문화유산을 통하여 고려 시대 과학 기술과 문화의 우수성을 탐색한다. [11-3] 포용적이고 안전하며 복원력 있고 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천한다. 문화다양성 초등 SDG 11 [12-1] 삶을 영위하기 위한 생산과 소비에 대해 알아본다. 초등 SDG 12 (3) 옛 사람들의 삶과 문화 <민족문화를지켜나간조선> [6사03-05]조선을 세우거나 문화 발전에 기여한 인물(이성계, 세종대왕, 신사임당 등)의 업적을 통해 조선 전기 정치와 민족문화의 발전상을 탐색한다. [11-3] 포용적이고 안전하며 복원력 있고 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천한다. 문화다양성 초등 SDG 11 [12-1] 삶을 영위하기 위한 생산과 소비에 대해 알아본다. 초등 SDG 12 [6사03-06]대표적인 유적지(행주산성, 남한산성 등)와 인물들(이순신과 곽재우, 김상헌과 최명길 등)의 활동을 통하여 임진왜란, 병자호란 등과 같은 국가적 위기의 극복 과정을 탐색한다. [11-3] 포용적이고 안전하며 복원력 있고 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천한다. 자연자원 초등 SDG 11 [12-1] 삶을 영위하기 위한 생산과 소비에 대해 알아본다. 초등 SDG 12 (4)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 <새로운사회를향한움직임> [6사04-01]영・정조 시기의 개혁 정치와 서민 문화의 발달을 중심으로 조선 후기 사회와 문화의 변화 모습을 탐색한다. [17-1] 양질을 삶과 행복을 추구하기 위해 필요한 지속가능발전의 의미를 이해한다. 문화다양성 초등 SDG 17 [6사04-02]조선 사회의 모순을 극복하기 위해 개혁을 시도한 인물(정약용, 흥선 대원군, 김옥균과 전봉준 등)의 활동을 중심으로 사회 변화를 위한 옛 사람들의 노력을 탐색한다. [17-1] 양질을 삶과 행복을 추구하기 위해 필요한 지속가능발전의 의미를 이해한다. 시민참여 초등 SDG 17 거버넌스 양성평등 (4)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 <일제의침략과광복을위한노력> [6사04-03]일제의 침략에 맞서 나라를 지키고자 노력한 인물(명성황후, 안중근, 신돌석 등)의 활동에 대해 조사한다. [17-2]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필요한 개인, 국가 등 다양한 관계에서의 협력 방안에 대해 알아본다. 인권 초등 SDG 17 평화 통일 사회정의 시민참여 [6사04-04]광복을 위하여 힘쓴 인물(이회영, 김구, 유관순, 신채호 등)의 활동을 파악하고, 나라를 되찾기 위한 노력을 소중히 여기는 태도를 기른다. [17-2]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필요한 개인, 국가 등 다양한 관계에서의 협력 방안에 대해 알아본다. 인권 초등 SDG 17 평화 통일 사회정의 시민참여 (4)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 <대한민국의수립과6.25전쟁> [6사04-05]광복 이후 대한민국의 수립 과정을 살펴보고, 대한민국 수립의 의의를 파악한다. [17-2]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필요한 개인, 국가 등 다양한 관계에서의 협력 방안에 대해 알아본다. 거버넌스 초등 SDG 17 인권 평화 통일 시민참여 [6사04-06]6.25 전쟁의 원인과 과정을 이해하고, 그 피해상과 영향을 탐구한다. [17-2]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필요한 개인, 국가 등 다양한 관계에서의 협력 방안에 대해 알아본다. 인권 초등 SDG 17 평화 사회정의 (5) 우리나라의 정치 발전 <자유민주주의의발전과시민참여> [6사05-01]4.19 혁명, 5.18 민주화 운동, 6월 민주 항쟁 등을 통해 자유민주주의가 발전해 온 과정을 파악한다. [17-3] 전지구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지속가능발전초등 SDG)을 찾아 실천한다. 거버넌스 초등 SDG 17 인권 평화 사회정의 시민참여 [6사05-02]광복 이후 시민의 정치 참여 활동이 확대되는 과정을 중심으로 오늘날 우리 사회의 발전상을 살펴본다. [17-3] 전지구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지속가능발전초등 SDG)을 찾아 실천한다. 거버넌스 초등 SDG 17 인권 평화 사회정의 시민참여 (5) 우리나라의 정치 발전 <일상생활과민주주의> [6사05-03]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민주주의 실천 사례를 탐구하여 민주주의의 의미와 중요성을 파악하고, 생활 속에서 민주주의를 실천하는 태도를 기른다. [16-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법과 제도의 정비와 그 나아갈 방향에 대해 알아본다. 거버넌스 초등 SDG 16 [17-3] 전지구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지속가능발전초등 SDG)을 찾아 실천한다. 인권 초등 SDG 17   평화     사회정의     시민참여   [6사05-04]민주적 의사 결정 원리(다수결, 대화와 타협, 소수 의견 존중 등)의 의미와 필요성을 이해하고, 이를 실제 생활 속에서 실천하는 자세를 지닌다. [16-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법과 제도의 정비와 그 나아갈 방향에 대해 알아본다. 거버넌스 초등 SDG 16 [17-3] 전지구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지속가능발전초등 SDG)을 찾아 실천한다. 인권 초등 SDG 17   평화     사회정의     시민참여   (5) 우리나라의 정치 발전 <민주정치의원리와국가기관의역할> [6사05-05]민주정치의 기본 원리(국민 주권, 권력 분립 등)를 이해하고, 그것이 적용된 다양한 사례를 탐구한다. [16-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법과 제도의 정비와 그 나아갈 방향에 대해 알아본다. 거버넌스 초등 SDG 16 [17-3] 전지구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지속가능발전초등 SDG)을 찾아 실천한다. 인권 초등 SDG 17   평화     사회정의     시민참여   [6사05-06]국회, 행정부, 법원의 기능을 이해하고, 그것이 국민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다양한 사례를 통해 탐구한다. [16-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법과 제도의 정비와 그 나아갈 방향에 대해 알아본다. 거버넌스 초등 SDG 16 [17-3] 전지구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지속가능발전초등 SDG)을 찾아 실천한다. 인권 초등 SDG 17   평화     사회정의     시민참여   (6) 우리나라의 경제 발전 <경제주체의역할과우리나라경제체제의특징> [6사06-01]다양한 경제활동 사례를 통해 가계와 기업의 경제적 역할을 파악하고, 가계와 기업의 합리적 선택 방법을 탐색한다. [12-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생산과 소비에 대해 알고 실생활에 적용해 본다.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초등 SDG 12 기업의 지속가능성 시장경제 [6사06-02]여러 경제활동의 사례를 통하여 자유경쟁과 경제 정의의 조화를 추구하는 우리나라 경제체제의 특징을 설명한다. [12-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생산과 소비에 대해 알고 실생활에 적용해 본다.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초등 SDG 12 기업의 지속가능성 시장경제 빈부격차 완화 (6) 우리나라의 경제 발전 <경제생활의변화와우리나라경제의성장> [6사06-03]농업 중심 경제에서 공업・서비스업 중심 경제로 변화하는 모습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경제성장 과정을 파악한다. [12-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생산과 소비에 대해 알고 실생활에 적용해 본다.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초등 SDG 12 기업의 지속가능성 시장경제 빈부격차 완화 [6사06-04]광복 이후 경제성장 과정에서 우리 사회가 겪은 사회 변동의 특징과 다양한 문제를 살펴보고,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하여 해결해야 할 과제를 탐구한다. [12-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생산과 소비에 대해 알고 실생활에 적용해 본다.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초등 SDG 12 기업의 지속가능성 시장경제 빈부격차 완화 사회정의 (6) 우리나라의 경제 발전 <세계속의우리나라경제> [6사06-05]세계 여러 나라와의 경제 교류 활동으로 나타난 우리 경제생활의 변화 모습을 탐구한다. [1-3-1] 국가 간 비교 우위에 따른 특화와 교역이 발생하며, 외환 시장에서 환율이 결정된다. 이에 따른 국가의 계층화 문제를 이해한다. 세계화 초등 SDG 1 [1-3-2] 국가 간 경제적 평등에 대해 이해하고 상생의 경제생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초등 SDG 12 [12-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생산과 소비에 대해 알고 실생활에 적용해 본다. 기업의 지속가능성     시장경제     빈부격차 완화     국제적 책임   [6사06-06]다양한 경제 교류 사례를 통해 우리나라 경제가 다른 나라와 상호 의존 및 경쟁 관계에 있음을 파악한다. [1-3-1] 국가 간 비교 우위에 따른 특화와 교역이 발생하며, 외환 시장에서 환율이 결정된다. 이에 따른 국가의 계층화 문제를 이해한다. 세계화 초등 SDG 1 [1-3-2] 국가 간 경제적 평등에 대해 이해하고 상생의 경제생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초등 SDG 12 [12-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생산과 소비에 대해 알고 실생활에 적용해 본다. 기업의 지속가능성     시장경제     빈부격차 완화     국제적 책임   (7) 세계의 여러 나라들 <지구,대륙그리고국가들> [6사07-01]세계지도, 지구본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공간 자료에 대한 기초적인 내용과 활용 방법을 알고, 이를 실제 생활에 활용한다. [11-3] 포용적이고 안전하며 복원력 있고 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천한다. 세계화 초등 SDG 11 자연자원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6사07-02]여러 시각 및 공간 자료를 활용하여 세계 주요 대륙과 대양의 위치 및 범위, 대륙별 주요 나라의 위치와 영토의 특징을 탐색한다. [11-3] 포용적이고 안전하며 복원력 있고 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천한다. 세계화 초등 SDG 11 자연자원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7) 세계의 여러 나라들 <세계의다양한삶의모습> [6사07-03]세계 주요 기후의 분포와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기후 환경과 인간 생활 간의 관계를 탐색한다. [13-2] 기후변화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기후변화 초등 SDG 13 환경문제 국제적 책임 [6사07-04]의식주 생활에 특색이 있는 나라나 지역의 사례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인간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자연적, 인문적 요인을 탐구한다. [2-1-1] 인간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의, 식, 주를 알아본다. 인권 초등 SDG 2 [2-1-2] 인간의 삶에서 식량 문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자연자원 (7) 세계의 여러 나라들 <우리나라와가까운나라들> [6사07-05]우리나라와 관계 깊은 나라들의 기초적인 지리 정보를 조사하고, 정치・경제・문화면에서 맺고 있는 상호 의존 관계를 탐구한다. [10-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국가 내, 국가 간 불평등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을 모색하고 실천한다. 문화다양성 초등 SDG 10 교통 소양(매체, ICT) 세계화 [6사07-06]이웃 나라들(중국, 일본, 러시아)의 자연적, 인문적 특성과 교류 현황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상호 이해와 협력의 태도를 기른다. [10-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국가 내, 국가 간 불평등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을 모색하고 실천한다. 문화다양성 초등 SDG 10 교통 소양(매체, ICT) 세계화 (8) 통일 한국의 미래와 지구촌의 평화 <한반도의미래와통일> [6사08-01]독도를 지키려는 조상들의 노력을 역사적 자료를 통하여 살펴보고, 독도의 위치 등 지리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영토주권 의식을 기른다. [10-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국가 내, 국가 간 불평등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을 모색하고 실천한다. 인권 초등 SDG 10 평화 안전 사회정의 시민참여 [6사08-02]남북통일을 위한 노력을 살펴보고, 지구촌 평화에 기여하는 통일 한국의 미래상을 그려 본다. [10-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국가 내, 국가 간 불평등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을 모색하고 실천한다. 통일 초등 SDG 10 인권 평화 안전 사회정의 시민참여 (8) 통일 한국의 미래와 지구촌의 평화 <지구촌의평화와발전> [6사08-03]지구촌의 평화와 발전을 위협하는 다양한 갈등 사례를 조사하고 그 해결 방안을 탐색한다. [17-3] 전지구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지속가능발전초등 SDG)을 찾아 실천한다. 평화 초등 SDG 17 안전 통일 국제적 책임 [6사08-04]지구촌의 평화와 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다양한 행위 주체(개인, 국가, 국제기구, 비정부 기구 등)의 활동 사례를 조사한다. [17-3] 전지구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지속가능발전초등 SDG)을 찾아 실천한다. 평화 초등 SDG 17 안전 통일 국제적 책임 (8) 통일 한국의 미래와 지구촌의 평화 <지속가능한지구촌> [6사08-05]지구촌의 주요 환경문제를 조사하여 해결 방안을 탐색하고, 환경문제 해결에 협력하는 세계시민의 자세를 기른다. [13-3] 기후변화 완화, 적응, 영향 감축 및 조기 경보 등 기후변화를 대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환경문제 초등 SDG 13 [17-3] 전지구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지속가능발전초등 SDG)을 찾아 실천한다. 세계화 초등 SDG 17   국제적 책임     시민참여   [6사08-06]지속가능한 미래를 건설하기 위한 과제(친환경적 생산과 소비 방식 확산, 빈곤과 기아 퇴치, 문화적 편견과 차별 해소 등)를 조사하고, 세계시민으로서 이에 적극 참여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17-3] 전지구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지속가능발전초등 SDG)을 찾아 실천한다. 인권 초등 SDG 17 평화 안전 문화다양성 사회정의 거버넌스 시민참여 국제적 책임           (1) 물질의 성질 [4과01-01]서로 다른 물질로 만들어진 물체들을 비교하여 물체의 기능과 물질의 성질을 관련지을 수 있다.   자연자원   [4과01-02]크기와 모양은 같지만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진 물체들을 관찰하여 물질의 여러 가지 성질을 비교할 수 있다.   자연자원   [4과01-03]서로 다른 물질을 섞었을 때 물질을 섞기 전과 후의 변화를 관찰하여 어떤 성질이 달라졌는지 설명할 수 있다.   자연자원   [4과01-04]여러 가지 물질을 선택하여 다양한 물체를 설계하고 장단점을 토의할 수 있다.   자연자원   (2) 자석의 이용 [4과02-01]자석 사이에 밀거나 당기는 힘이 작용하는 현상을 관찰하고 두 종류의 극을 구별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초등 SDG 7 [7-2] 학교, 생활 등 다양한 에너지 자원과 사용, 환경오염에 대해 안다. [4과02-02]나침반의 바늘이 일정한 방향을 가리키는 성질이 있음을 관찰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7-2] 학교, 생활 등 다양한 에너지 자원과 사용, 환경오염에 대해 안다. 에너지 초등 SDG 7 [4과02-03] 일상생활에서 자석이 사용되는 예를 조사하고, 자석의 성질과 관련지어 그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7-3]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청정에너지의 중요성과 신재생에너지의 현재와 미래를 안다. 에너지 초등 SDG 7 환경문제 (3) 동물의 생활 [4과03-01]여러 가지 동물을 관찰하여 특징에 따라 동물을 분류할 수 있다. [14-1] 대양, 바다 및 해양자원과 해양 생태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해양오염의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생물다양성 초등 SDG 14 [15-1] 땅, 산림, 습지, 산, 건조지 등 육상 생태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육상오염의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초등 SDG 15 [4과03-02]동물의 생김새와 생활 방식이 환경과 관련되어 있음을 설명할 수 있다. [14-3] 지속가능한 해양 생태계를 위한 올바른 해양자원의 활용과 해양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생물다양성 초등 SDG 14 [15-3] 지속가능한 육상 생태계를 위한 생물 종 다양성 보존, 올바른 토양자원의 활용과 육상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환경문제 초등 SDG 15 [4과03-03] 동물의 특징을 모방하여 생활 속에서 활용하고 있는 사례를 발표할 수 있다. [14-2] 해양오염이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생물다양성 초등 SDG 14 [15-2] 육상오염이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환경문제 초등 SDG 15 (4) 지표의 변화 [4과04-01]여러 장소의 흙을 관찰하여 비교할 수 있다. [15-1] 땅, 산림, 습지, 산, 건조지 등 육상 생태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육상오염의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자연자원 초등 SDG 15 [4과04-02]흙의 생성 과정을 모형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15-1] 땅, 산림, 습지, 산, 건조지 등 육상 생태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육상오염의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자연자원 초등 SDG 15 [4과04-03] 강과 바닷가 주변 지형의 특징을 흐르는 물과 바닷물의 작용과 관련지을 수 있다. [6-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물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자연자원 초등 SDG 6 (5) 식물의 생활 [4과05-01]여러 가지 식물을 관찰하여 특징에 따라 식물을 분류할 수 있다. [15-1] 땅, 산림, 습지, 산, 건조지 등 육상 생태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육상오염의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생물다양성 초등 SDG 15 [4과05-02] 식물의 생김새와 생활 방식이 환경과 관련되어 있음을 설명할 수 있다. [15-3] 지속가능한 육상 생태계를 위한 생물 종 다양성 보존, 올바른 토양자원의 활용과 육상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생물다양성 초등 SDG 15 환경문제 [4과05-03] 식물의 특징을 모방하여 생활 속에서 활용하고 있는 사례를 발표할 수 있다. [15-2] 육상오염이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생물다양성 초등 SDG 15 환경문제 (6) 지층과 화석 [4과06-01] 여러 가지 지층을 관찰하고 지층의 형성 과정을 모형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4과06-02]퇴적암을 알갱이의 크기에 따라 구분하고 퇴적암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모형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4과06-03] 화석의 생성 과정을 이해하고 화석을 관찰하여 지구의 과거 생물과 환경을 추리할 수 있다. [13-3] 기후변화 완화, 적응, 영향 감축 및 조기 경보 등 기후변화를 대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생물다양성 초등 SDG 13 [14-3] 지속가능한 해양 생태계를 위한 올바른 해양자원의 활용과 해양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환경문제 초등 SDG 14 [15-3] 지속가능한 육상 생태계를 위한 생물 종 다양성 보존, 올바른 토양자원의 활용과 육상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기후변화 초등 SDG 15 (7) 물질의 상태 [4과07-01] 고체와 액체의 성질을 용기에 따른 모양과 부피 변화를 관찰하여 설명할 수 있다.   자연자원   [4과07-02] 기체가 공간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아보는 실험을 할 수 있다.   자연자원   [4과07-03] 기체가 무게가 있음을 알아보는 실험을 할 수 있다.   자연자원   [4과07-04] 우리 주변의 물질을 고체, 액체, 기체로 분류할 수 있다. [6-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물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자연자원 초등 SDG 6 (8) 소리의 성질 [4과08-01] 여러 가지 물체에서 소리가 나는 현상을 관찰하여 소리가 나는 물체는 떨림이 있음을 설명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초등 SDG 7 [4과08-02] 소리의 세기와 높낮이를 비교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초등 SDG 7 [4과08-03] 여러 가지 물체를 통하여 소리가 전달되거나 반사됨을 관찰하고 소음을 줄이는 방법을 토의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초등 SDG 7 (9) 물체의 무게 [4과09-01] 일상생활에서 물체의 무게를 측정하는 예를 조사하고 무게 측정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4과09-02] 수평 잡기 활동을 통해 물체의 무게를 비교할 수 있다.       [4과09-03] 용수철에 매단 물체의 무게와 용수철의 늘어난 길이의 관계를 조사하고 물체의 무게를 재는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4과09-04] 간단한 저울을 설계하여 제작하고 그 결과물을 평가할 수 있다.       (10) 동물의 한살이 [4과10-01] 동물의 암・수에 따른 특징을 동물별로 비교해보고, 번식 과정에서 암・수의 역할이 다양함을 설명할 수 있다. [15-3] 지속가능한 육상 생태계를 위한 생물 종 다양성 보존, 올바른 토양자원의 활용과 육상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생물다양성 초등 SDG 15 [4과10-02] 동물의 한살이 관찰 계획을 세우고, 동물을 기르면서 한살이를 관찰하며, 관찰한 내용을 글과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다. [15-3] 지속가능한 육상 생태계를 위한 생물 종 다양성 보존, 올바른 토양자원의 활용과 육상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생물다양성 초등 SDG 15 [4과10-03] 여러 가지 동물의 한살이 과정을 조사하여 동물에 따라 한살이의 유형이 다양함을 설명할 수 있다. [15-3] 지속가능한 육상 생태계를 위한 생물 종 다양성 보존, 올바른 토양자원의 활용과 육상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생물다양성 초등 SDG 15 (11) 화산과 지진 [4과11-01] 화산 활동으로 나오는 여러 가지 물질을 설명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자연자원 초등 SDG 7 에너지 [4과11-02] 화성암의 생성 과정을 이해하고 화강암과 현무암의 특징을 비교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자연자원 초등 SDG 7 에너지 [4과11-03] 화산 활동이 우리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발표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자연자원 초등 SDG 7 [7-2] 학교, 생활 등 다양한 에너지 자원과 사용, 환경오염에 대해 안다. 에너지 [4과11-04] 지진 발생의 원인을 이해하고 지진이 났을 때 안전하게 대처하는 방법을 토의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자연자원 초등 SDG 7 에너지 (12) 혼합물의 분리 [4과12-01] 일상생활에서 혼합물의 예를 찾고 혼합물 분리의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자연자원   [4과12-02] 알갱이의 크기와 자석에 붙는 성질을 이용하여 고체 혼합물을 분리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초등 SDG 7 [4과12-03] 거름 장치를 꾸며 물에 녹는 물질과 녹지 않는 물질의 혼합물을 분리할 수 있다. [6-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물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자연자원 초등 SDG 6 [6-3]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물 오염 방지 대책 실천 및 관리를 이행한다. 환경문제 [4과12-04] 물을 증발시켜 물에 녹아 있는 고체 물질을 분리할 수 있다. [6-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물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자연자원 초등 SDG 6 [6-3]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물 오염 방지 대책 실천 및 관리를 이행한다. 환경문제 (13) 식물의 한살이 [4과13-01] 씨가 싹트거나 자라는 데 필요한 조건을 설명할 수 있다. [15-1] 땅, 산림, 습지, 산, 건조지 등 육상 생태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육상오염의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자연자원 초등 SDG 15 [4과13-02] 식물의 한살이 관찰 계획을 세워 식물을 기르면서 한살이를 관찰할 수 있다. [15-1] 땅, 산림, 습지, 산, 건조지 등 육상 생태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육상오염의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자연자원 초등 SDG 15 [4과13-03] 여러 가지 식물의 한살이 과정을 조사하여 식물에 따라 한살이의 유형이 다양함을 설명할 수 있다. [15-1] 땅, 산림, 습지, 산, 건조지 등 육상 생태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육상오염의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자연자원 초등 SDG 15 생물다양성 (14) 물의 상태 변화 [4과14-01] 물이 수증기나 얼음으로 변할 수 있음을 알고, 물이 얼 때와 얼음이 녹을 때의 부피와 무게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6-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물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자연자원 초등 SDG 6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초등 SDG 7 [4과14-02] 물이 증발할 때와 끓을 때의 변화를 관찰하여 차이점을 알고, 이와 관련된 예를 우리 주변에서 찾을 수 있다. [6-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물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자연자원 초등 SDG 6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초등 SDG 7 [4과14-03] 수증기가 응결하는 현상을 관찰하고, 이와 관련된 예를 우리 주변에서 찾을 수 있다. [6-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물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자연자원 초등 SDG 6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초등 SDG 7 (15) 그림자와 거울 [4과15-01] 여러 가지 물체의 그림자를 관찰하여 그림자가 생기는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4과15-02] 전등과 물체 사이의 거리에 따른 그림자의 크기 변화를 관찰하여 서술할 수 있다.       [4과15-03] 물체와 평면거울에 비친 모습을 비교하여 거울의 성질을 설명할 수 있다.       [4과15-04] 일상생활에서 거울을 이용하는 예를 조사하고 거울의 성질과 관련지어 그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7-3]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청정에너지의 중요성과 신재생에너지의 현재와 미래를 안다. 에너지 초등 SDG 7 [11-3] 포용적이고 안전하며 복원력 있고 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천한다.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초등 SDG 11 [12-2] 생산과 소비 과정에서 일어나는 식량 손실, 화학물 방출, 폐기물 문제와 그 심각성에 대해 알아본다. 지속가능한 식량생산 초등 SDG 12 (16) 지구의 모습 [4과16-01] 지구와 관련된 자료를 조사하여 모양과 표면의 모습을 설명할 수 있다.   자연자원   [4과16-02] 육지와 비교하여 바다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자연자원   [4과16-03] 지구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공기의 역할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11-2] 도시와 농촌, 어촌에 모습과 현황, 문제를 이해하여 모두가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정주를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환경문제 초등 SDG 11 [13-2] 기후변화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기후변화 초등 SDG 13   자연자원   [4과16-04] 달을 조사하여 모양, 표면, 환경을 이해하고 지구와 달을 비교할 수 있다. [6-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물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자연자원   (17) 물의 여행 [4과17-01] 물이 이동하거나 상태가 변하면서 순환하는 과정을 생명체, 지표면, 공기 사이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현상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6-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물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자연자원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4과17-02] 물의 중요성을 알고 물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창의적 방법을 활용한 사례를 조사할 수 있다. [6-2] 학교, 생활 등 물 사용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물 오염 현황을 알아보고 분석한다. 자연자원 초등 SDG 6 [6-3]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물 오염 방지 대책 실천 및 관리를 이행한다. 환경문제 초등 SDG 7 [7-3]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청정에너지의 중요성과 신재생에너지의 현재와 미래를 안다. 에너지 초등 SDG 13 [13-3] 기후변화 완화, 적응, 영향 감축 및 조기 경보 등 기후변화를 대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기후변화   (1) 온도와 열 [6과01-01] 일상생활에서 온도를 어림하거나 측정하는 사례를 조사하고 정확한 온도 측정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13-2] 기후변화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기후변화 초등 SDG 13 [6과01-02] 온도가 다른 두 물체를 접촉하여 온도가 같아지는 현상을 관찰하고 물체의 온도 변화를 열의 이동으로 설명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초등 SDG 6 [6과01-03] 고체 물질의 종류에 따라 열이 전도되는 빠르기를 관찰을 통해 비교하고 일상생활에서 단열을 이용하는 예를 조사할 수 있다. [7-3]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청정에너지의 중요성과 신재생에너지의 현재와 미래를 안다. 에너지 초등 SDG 6 [6과01-04] 액체나 기체에서 대류 현상을 관찰하고 대류 현상에서 열의 이동을 설명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초등 SDG 6 (2) 태양계와 별 [6과02-01] 태양이 지구의 에너지원임을 이해하고 태양계를 구성하는 태양과 행성을 조사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초등 SDG 7 [7-3]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청정에너지의 중요성과 신재생에너지의 현재와 미래를 안다. 환경문제 [6과02-02] 별의 의미를 알고 대표적인 별자리를 조사할 수 있다.       [6과02-03] 북쪽 하늘의 별자리를 이용하여 북극성을 찾을 수 있다.       (3) 용해와 용액 [6과03-01] 물질이 물에 녹는 현상을 관찰하고 용액을 설명할 수 있다. [6-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물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자연자원   [6과03-02] 용질의 종류에 따라 물에 녹는 양이 달라짐을 비교할 수 있다. [6-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물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자연자원   [6과03-03] 물의 온도에 따라 용질의 녹는 양이 달라짐을 실험할 수 있다. [6-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물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자연자원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6과03-04] 용액의 진하기를 상대적으로 비교하는 방법을 고안할 수 있다. [6-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물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자연자원   (4) 다양한 생물과 우리 생활 [6과04-01] 동물과 식물 이외의 생물을 조사하여 생물의 종류와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자연자원   [6과04-02] 다양한 생물이 우리 생활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에 대해 토의할 수 있다.   자연자원   생물다양성 [6과04-03] 우리 생활에 첨단 생명과학이 이용된 사례를 조사하여 발표할 수 있다. [2-3]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미래 식량 대책에 대해 이해하고 토론한다. 자연자원 초등 SDG 2 [14-3] 지속가능한 해양 생태계를 위한 올바른 해양자원의 활용과 해양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환경문제 초등 SDG 14 [15-3] 지속가능한 육상 생태계를 위한 생물 종 다양성 보존, 올바른 토양자원의 활용과 육상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지속가능한 식량생산 초등 SDG 15   생물다양성   (5) 생물과 환경 [6과05-01] 생태계가 생물 요소와 비생물 요소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고 생태계 구성 요소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음을 설명할 수 있다. [14-3] 지속가능한 해양 생태계를 위한 올바른 해양자원의 활용과 해양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생물다양성   [15-1] 땅, 산림, 습지, 산, 건조지 등 육상 생태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육상오염의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자연자원 [6과05-02] 비생물 환경 요인이 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여 환경과 생물 사이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2-3]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미래 식량 대책에 대해 이해하고 토론한다. 생물다양성 초등 SDG 2 [7-3]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청정에너지의 중요성과 신재생에너지의 현재와 미래를 안다. 환경문제 초등 SDG 7 [14-3] 지속가능한 해양 생태계를 위한 올바른 해양자원의 활용과 해양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지속가능한 식량생산 초등 SDG 14 [15-3] 지속가능한 육상 생태계를 위한 생물 종 다양성 보존, 올바른 토양자원의 활용과 육상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에너지 초등 SDG 15 [6과05-03] 생태계 보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생태계 보전을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에 대해 토의할 수 있다. [2-3]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미래 식량 대책에 대해 이해하고 토론한다. 생물다양성 초등 SDG 2 [7-3]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청정에너지의 중요성과 신재생에너지의 현재와 미래를 안다. 환경문제 초등 SDG 7 [14-3] 지속가능한 해양 생태계를 위한 올바른 해양자원의 활용과 해양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지속가능한 식량생산 초등 SDG 14 [15-3] 지속가능한 육상 생태계를 위한 생물 종 다양성 보존, 올바른 토양자원의 활용과 육상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에너지 초등 SDG 15 (6) 날씨와 우리 생활 [6과06-01] 습도를 측정하고 습도가 우리 생활에 영향을 주는 사례를 조사할 수 있다. [6-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물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자연자원 초등 SDG 6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초등 SDG 7 [6과06-02] 이슬, 안개, 구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이해하고 비와 눈이 내리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6-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물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자연자원 초등 SDG 6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초등 SDG 7 [6과06-03] 저기압과 고기압이 무엇인지 알고 바람이 부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6-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물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자연자원 초등 SDG 6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초등 SDG 7 [6과06-04] 계절별 날씨의 특징을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공기의 성질과 관련지을 수 있다. [13-1] 기후변화의 현황과 의미에 대해 이해한다. 기후변화 초등 SDG 13 [13-2] 기후변화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13-3] 기후변화 완화, 적응, 영향 감축 및 조기 경보 등 기후변화를 대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7) 물체의 운동 [6과07-01] 일상생활에서 물체의 운동을 관찰하여 속력을 정성적으로 비교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초등 SDG 7 [6과07-02] 물체의 이동 거리와 걸린 시간을 조사하여 속력을 구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초등 SDG 7 [6과07-03] 일상생활에서 속력과 관련된 안전 사항과 안전장치의 예를 찾아 발표할 수 있다. [3-1]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삶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건강 초등 SDG 3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안전 (8) 산과 염기 [6과08-01]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여러 가지 용액을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자연자원   [6과08-02] 지시약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용액을 산성 용액과 염기성 용액으로 분류할 수 있다.   자연자원   [6과08-03] 산성 용액과 염기성 용액의 여러 가지 성질을 비교하고, 산성 용액과 염기성 용액을 섞었을 때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자연자원   [6과08-04] 우리 생활에서 산성 용액과 염기성 용액을 이용하는 예를 찾아 발표할 수 있다.   자연자원   안전 (9) 지구와 달의 운동 [6과09-01]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가 달라지는 것을 지구의 자전으로 설명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자연자원   에너지 [6과09-02] 계절에 따라 별자리가 달라진다는 것을 지구의 공전으로 설명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자연자원   [13-1] 기후변화의 현황과 의미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기후변화 [6과09-03] 달의 모양과 위치가 주기적으로 바뀌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자연자원   [13-1] 기후변화의 현황과 의미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기후변화 (10) 여러 가지 기체 [6과10-01] 산소, 이산화 탄소를 실험을 통해 발생시키고 성질을 확인한 후, 각 기체의 성질을 설명할 수 있다.   자연자원   [6과10-02] 온도와 압력에 따라 기체의 부피가 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고, 일상생활에서 이와 관련된 사례를 찾을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자연자원   에너지 [6과10-03] 공기를 이루는 여러 가지 기체를 조사하여 발표할 수 있다.   자연자원   (11) 빛과 렌즈 [6과11-01] 햇빛이 프리즘에서 다양한 색으로 나타나는 현상을 관찰하여, 햇빛이 여러 가지 색의 빛으로 되어 있음을 설명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자연자원   에너지 [6과11-02] 빛이 유리나 물, 볼록 렌즈를 통과하면서 굴절되는 현상을 관찰하고 관찰한 내용을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자연자원   에너지 [6과11-03] 볼록 렌즈를 이용하여 물체의 모습을 관찰하고 볼록 렌즈의 쓰임새를 조사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자연자원   에너지 (12) 식물의 구조와 기능 [6과12-01] 생물체를 이루고 있는 기본 단위인 세포를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다.   생물다양성   [6과12-02] 식물의 전체적인 구조 관찰과 실험을 통해 뿌리, 줄기, 잎, 꽃의 구조와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생물다양성   자연자원 [6과12-03] 여러 가지 식물의 씨가 퍼지는 방법을 조사하고, 씨가 퍼지는 방법이 다양함을 설명할 수 있다. [15-3] 지속가능한 육상 생태계를 위한 생물 종 다양성 보존, 올바른 토양자원의 활용과 육상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생물다양성 초등 SDG 15 [17-3] 전지구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지속가능발전초등 SDG)을 찾아 실천한다. 자연자원 초등 SDG 17 (13) 전기의 이용 [6과13-01] 전지와 전구, 전선을 연결하여 전구에 불이 켜지는 조건을 찾아 설명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초등 SDG 7 [6과13-02] 전구를 직렬연결 할 때와 병렬연결 할 때 전구의 밝기 차이를 비교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초등 SDG 7 [6과13-03] 전기를 절약하고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을 토의할 수 있다. [17-3] 전지구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지속가능발전초등 SDG)을 찾아 실천한다. 에너지 초등 SDG 17 안전 [6과13-04] 전자석을 만들어 영구 자석과 전자석을 비교하고 일상생활에서 전자석이 사용되는 예를 조사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초등 SDG 7 (14) 계절의 변화 [6과14-01] 하루 동안 태양의 고도, 그림자 길이, 기온을 측정하여 이들 사이의 관계를 찾을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초등 SDG 7 [6과14-02] 계절에 따른 태양의 남중 고도, 낮과 밤의 길이, 기온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13-2] 기후변화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기후변화 초등 SDG 13 에너지 [6과14-03] 계절 변화의 원인은 지구 자전축이 기울어진 채 공전하기 때문임을 모형실험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13-2] 기후변화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기후변화 초등 SDG 13 에너지 (15) 연소와 소화 [6과15-01] 물질이 탈 때 나타나는 공통적인 현상을 관찰하고, 연소의 조건을 찾을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초등 SDG 7 [6과15-02] 실험을 통해 연소 후에 생성되는 물질을 찾을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초등 SDG 7 [6과15-03] 연소의 조건과 관련지어 소화 방법을 제안하고 화재 안전 대책에 대해 토의할 수 있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에너지 초등 SDG 3 안전 초등 SDG 7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16)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 [6과16-01] 뼈와 근육의 생김새와 기능을 이해하여 몸이 움직이는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6과16-02] 소화, 순환, 호흡, 배설 기관의 종류, 위치, 생김새,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6과16-03] 감각 기관의 종류, 위치, 생김새, 기능을 알고 자극이 전달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6과16-04] 운동할 때 우리 몸에서 나타나는 변화를 관찰하여 우리 몸의 여러 기관이 서로 관련되어 있음을 설명할 수 있다.       (17) 에너지와 생활 [6과17-01] 생물이 살아가거나 기계를 움직이는 데 에너지가 필요함을 알고, 이때 이용하는 에너지의 형태를 조사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초등 SDG 7 [6과17-02] 자연 현상이나 일상생활의 예를 통해 에너지의 형태가 전환됨을 알고,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토의할 수 있다. [7-2] 학교, 생활 등 다양한 에너지 자원과 사용, 환경오염에 대해 안다. 에너지 초등 SDG 7 [7-3]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청정에너지의 중요성과 신재생에너지의 현재와 미래를 안다.           (1) 자신과의 관계 [4도01-01] 도덕 시간에 무엇을 배우며 도덕 공부가 왜 필요한지를 알고 공부하는 사람으로서 지켜야 할 규칙을 모범 사례를 통해 습관화한다. [16-1] 평화롭고 포용적인 사회 증진과 모두의 정의 실현을 위한 법과 제도의 의미와 형성과정에 대해 이해한다. 사회정의 초등 SDG 16 [4도01-02]시간과 물건의 소중함을 알고 자신이 시간과 물건을 아껴 쓰고 있는지 반성해 보며 그 모범 사례를 따라 습관화한다.     [4도01-03] 최선을 다하는 삶을 위해 정성과 인내가 필요한 이유를 탐구하고 생활 계획을 세워본다.     (2) 타인과의 관계 [4도02-01] 가족을 사랑하고 감사해야 하는 이유를 찾아보고, 가족 간에 지켜야 할 도리와 해야 할 일을 약속으로 정해 실천한다.       [4도02-02] 친구의 소중함을 알고 친구와 사이좋게 지내며,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고 인정한다.       [4도02-03] 예절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대상과 상황에 따른 예절이 다름을 탐구하여 이를 습관화한다.       [4도02-04] 협동의 의미와 중요성을 알고, 경청・도덕적 대화하기・도덕적 민감성을 통해 협동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3) 사회⦁공동체와의 관계 [4도03-01] 공공장소에서 지켜야 할 규칙과 공익의 중요성을 알고, 공익에 기여하고자 하는 실천 의지를 기른다. [16-1] 평화롭고 포용적인 사회 증진과 모두의 정의 실현을 위한 법과 제도의 의미와 형성과정에 대해 이해한다. 사회정의 초등 SDG 16 시민참여 [4도03-02] 다문화 사회에서 다양성을 수용해야 하는 이유를 탐구하고, 올바른 의사 결정 과정을 통해 다른 사람과 문화를 공정하게 대하는 태도를 지닌다. [10-1] 나이, 성, 장애, 인종, 민족, 출신, 종교, 경제 수준 등 다양한 영역별 국가 내 불평등 문제에 대해 이해한다. 문화다양성 초등 SDG 10 [10-2] 인종, 민족, 종교, 최빈 개도국, 아프리카 등 다양한 영역별 국가 간 불평등 문제에 대해 이해한다. 세계화 [10-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국가 내, 국가 간 불평등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을 모색하고 실천한다.   [4도03-03] 남북 분단 과정과 민족의 아픔을 통해 통일의 필요성을 알고, 통일에 대한 관심과 통일 의지를 기른다.   통일   평화 (4) 자연⦁초월과의 관계 [4도04-01] 생명의 소중함을 이해하고 인간 생명과 환경 문제에 관심을 가지며 인간 생명과 자연을 보호하려는 태도를 가진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자연자원 초등 SDG 3 [13-3] 기후변화 완화, 적응, 영향 감축 및 조기 경보 등 기후변화를 대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환경문제 초등 SDG 13 [14-2] 해양오염이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건강 초등 SDG 14 [14-3] 지속가능한 해양 생태계를 위한 올바른 해양자원의 활용과 해양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기후변화 초등 SDG 15 [15-2] 육상오염이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국제적 책임   [15-3] 지속가능한 육상 생태계를 위한 생물 종 다양성 보존, 올바른 토양자원의 활용과 육상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4도04-02] 참된 아름다움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느껴 생활 속에서 이를 실천한다.       (1) 자신과의 관계 [6도01-01] 감정과 욕구를 조절하지 못해 나타날 수 있는 결과를 도덕적으로 상상해 보고, 올바르게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고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습관화한다.       [6도01-02] 자주적인 삶을 위해 자신을 이해하고 존중하며 자주적인 삶의 의미와 중요성을 깨닫고 실천 방법을 익힌다. [8-2-1] 양질의 삶을 보장받기 위한 일자리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초등 SDG 8 [8-3] 행복한 삶 추구를 위한 진로인식, 진로개척, 진로효능감 증진을 이해하고 미래의 삶을 준비한다. [6도01-03] 정직의 의미와 정직하게 살아가는 것의 중요성을 탐구하고, 정직과 관련된 갈등 상황에서 정직하게 판단하고 실천하는 방법을 익힌다.       (2) 타인과의 관계 [6도02-01] 사이버 공간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에 대한 도덕적 민감성을 기르며, 사이버 공간에서 지켜야 할 예절과 법을 알고 습관화한다. [16-1] 평화롭고 포용적인 사회 증진과 모두의 정의 실현을 위한 법과 제도의 의미와 형성과정에 대해 이해한다. 사회정의 초등 SDG 16 [16-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법과 제도의 정비와 그 나아갈 방향에 대해 알아본다. [6도02-02] 다양한 갈등을 평화적으로 해결하는 것의 중요성과 방법을 알고, 평화적으로 갈등을 해결하려는 의지를 기른다. [16-1] 평화롭고 포용적인 사회 증진과 모두의 정의 실현을 위한 법과 제도의 의미와 형성과정에 대해 이해한다. 사회정의 초등 SDG 16 [16-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법과 제도의 정비와 그 나아갈 방향에 대해 알아본다. [6도02-03] 봉사의 의미와 중요성을 알고, 주변 사람의 처지를 공감하여 도와주려는 실천 의지를 기른다.       (3) 사회⦁공동체와의 관계 [6도03-01] 인권의 의미와 인권을 존중하는 삶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인권 존중의 방법을 익힌다. [4-1] 소득 수준별, 계층별 평등교육의 개념과 중요성을 이해한다. 인권 초등 SDG 4 [5-1-2]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모든 곳에서 모든 여성과 소녀에 대한 모든 형태의 차별 종식의 필요성과 개념에 대해 이해한다. 평화 초등 SDG 5 [5-2-2] 모든 수준, 모든 곳에서의 양성평등 및 모든 여성과 소녀의 권익 신장을 증진하기 위한 건전한 실천방안을 찾아 실생활에서 실천한다. 사회정의 초등 SDG 10 [10-1] 나이, 성, 장애, 인종, 민족, 출신, 종교, 경제 수준 등 다양한 영역별 국가 내 불평등 문제에 대해 이해한다. 문화다양성 초등 SDG 16 [10-2] 인종, 민족, 종교, 최빈 개도국, 아프리카 등 다양한 영역별 국가 간 불평등 문제에 대해 이해한다. 양성평등   [10-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국가 내, 국가 간 불평등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을 모색하고 실천한다.   [16-2] 아동 성폭력 예방, 인권문제 등 우리와 관련 있는 법과 제도의 현황과 그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6도03-02] 공정함의 의미와 공정한 사회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일상생활에서 공정하게 생활하려는 실천 의지를 기른다. [16-1] 평화롭고 포용적인 사회 증진과 모두의 정의 실현을 위한 법과 제도의 의미와 형성과정에 대해 이해한다. 사회정의 초등 SDG 16 [6도03-03] 도덕적 상상하기를 통해 바람직한 통일의 올바른 과정을 탐구하고 통일을 이루려는 의지와 태도를 가진다.   통일   평화 [6도03-04] 세계화 시대에 인류가 겪고 있는 문제와 그 원인을 토론을 통해 알아보고,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를 가지고 실천한다. [1-3-2] 국가 간 경제적 평등에 대해 이해하고 상생의 경제생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세계화 초등 SDG 1 [2-3]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미래 식량 대책에 대해 이해하고 토론한다. 문화다양성 초등 SDG 2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평화 초등 SDG 3 [4-3] 수준별, 계층별 평등교육 실현과 평생학습의 보장을 위한 개인과 나라, 세계가 해야 할 일을 찾아 실천한다. 양성평등 초등 SDG 4 [5-2-1]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양성평등 실천방안을 모색한다. 국제적 책임 초등 SDG 5 [6-3]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물 오염 방지 대책 실천 및 관리를 이행한다. 사회정의 초등 SDG 6 [7-3]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청정에너지의 중요성과 신재생에너지의 현재와 미래를 안다. 시장경제 초등 SDG 7 [8-3] 행복한 삶 추구를 위한 진로인식, 진로개척, 진로효능감 증진을 이해하고 미래의 삶을 준비한다. 지속가능한 식량생산 초등 SDG 8 [9-3] 미개발 국가, 개발도상국가, 선진국의 산업화의 현황과 공정성을 이해하고,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올바른 산업화 지원과 혁신을 도모한다. 지속가능한 식량생산 초등 SDG 9 [10-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국가 내, 국가 간 불평등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을 모색하고 실천한다.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초등 SDG 10 [11-3] 포용적이고 안전하며 복원력 있고 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천한다. 빈부격차 완화 초등 SDG 11 [12-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생산과 소비에 대해 알고 실생활에 적용해 본다. 자연자원 초등 SDG 12 [13-3] 기후변화 완화, 적응, 영향 감축 및 조기 경보 등 기후변화를 대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에너지 초등 SDG 13 [14-3] 지속가능한 해양 생태계를 위한 올바른 해양자원의 활용과 해양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환경문제 초등 SDG 14 [15-3] 지속가능한 육상 생태계를 위한 생물 종 다양성 보존, 올바른 토양자원의 활용과 육상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기후변화 초등 SDG 15 [16-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법과 제도의 정비와 그 나아갈 방향에 대해 알아본다. 초등 SDG 16 [17-3] 전지구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지속가능발전초등 SDG)을 찾아 실천한다.   초등 SDG 17 (4) 자연⦁초월과의 관계 [6도04-01] 긍정적 태도의 의미와 중요성을 알고,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긍정적 삶의 태도를 습관화한다. [3-1]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삶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안전 초등 SDG 3 건강 [6도04-02] 올바르게 산다는 것의 의미와 중요성을 알고, 자기 반성과 마음 다스리기를 통해 올바르게 살아가기 위한 능력과 실천 의지를 기른다. [3-1]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삶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8-3] 행복한 삶 추구를 위한 진로인식, 진로개척, 진로효능감 증진을 이해하고 미래의 삶을 준비한다. 안전 초등 SDG 3   건강 초등 SDG 8           (1) 학교 1.1학교와친구 [2바01-01] 학교생활에 필요한 규칙과 약속을 정해서 지킨다.       (1) 학교 1.2나 [2바01-02]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유지한다. [3-1]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삶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안전 초등 SDG 3 건강 (2) 봄 2.1봄맞이 [2바02-01] 봄철 날씨 변화를 알고 건강 수칙을 스스로 지키는 습관을 기른다. [3-1]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삶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안전 초등 SDG 3 건강 (2) 봄 2.2봄동산 [2바02-02] 봄에 볼 수 있는 동식물을 소중히 여기고 보살핀다. [15-1] 땅, 산림, 습지, 산, 건조지 등 육상 생태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육상오염의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자연자원 초등 SDG 15 생물다양성 환경문제 (3) 가족 3.1가족과친척 [2바03-01] 가족 및 친척 간에 지켜야 할 예절을 실천한다.       (3) 가족 3.2다양한가족 [2바03-02] 가족의 형태와 문화가 다양함을 알고 존중한다. [4-1] 소득 수준별, 계층별 평등교육의 개념과 중요성을 이해한다. 문화다양성 초등 SDG 4 [10-1] 나이, 성, 장애, 인종, 민족, 출신, 종교, 경제 수준 등 다양한 영역별 국가 내 불평등 문제에 대해 이해한다. 양성평등 초등 SDG 10 (4) 여름 4.1여름맞이 [2바04-01] 여름철의 에너지 절약 수칙을 알고 습관화한다. [7-2] 학교, 생활 등 다양한 에너지 자원과 사용, 환경오염에 대해 안다. 에너지 초등 SDG 7 (4) 여름 4.2여름생활 [2바04-02] 여름 생활을 건강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계획을 세워 실천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안전 초등 SDG 3 건강 (5) 마을 5.1우리이웃 [2바05-01] 공공장소의 올바른 이용과 시설물을 바르게 사용하는 습관을 기른다. [16-1] 평화롭고 포용적인 사회 증진과 모두의 정의 실현을 위한 법과 제도의 의미와 형성과정에 대해 이해한다. 사회정의 초등 SDG 16 (5) 마을 5.2우리동네 [2바05-02] 동네를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찾아 실천하면서 일의 소중함을 안다.   시민참여   (6) 가을 6.1가을맞이 [2바06-01]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곳에서 질서와 규칙을 지키며 생활한다. [16-1] 평화롭고 포용적인 사회 증진과 모두의 정의 실현을 위한 법과 제도의 의미와 형성과정에 대해 이해한다. 사회정의 초등 SDG 16 (6) 가을 6.2가을모습 [2바06-02] 추수하는 사람들의 수고에 감사하는 태도를 기른다. [2-1-1] 인간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의, 식, 주를 알아본다. 자연자원 초등 SDG 2 (7) 나라 7.1우리나라 [2바07-01] 우리와 북한이 같은 민족임을 알고, 통일 의지를 다진다.   평화   (7) 나라 7.2다른나라 [2바07-02] 다른 나라의 문화를 존중하고 공감하는 태도를 기른다. [10-1] 나이, 성, 장애, 인종, 민족, 출신, 종교, 경제 수준 등 다양한 영역별 국가 내 불평등 문제에 대해 이해한다. 인권 초등 SDG 10 [10-2] 인종, 민족, 종교, 최빈 개도국, 아프리카 등 다양한 영역별 국가 간 불평등 문제에 대해 이해한다. 문화다양성 [10-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국가 내, 국가 간 불평등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을 모색하고 실천한다. 세계화 (8) 겨울 8.1겨울맞이 [2바08-01] 상대방을 배려하며 서로 돕고 나누는 생활을 한다.       [2바08-02] 생명을 존중하며 동식물을 보호한다. [14-3] 지속가능한 해양 생태계를 위한 올바른 해양자원의 활용과 해양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자연자원 초등 SDG 14 (8) 겨울 8.2겨울나기 [15-3] 지속가능한 육상 생태계를 위한 생물 종 다양성 보존, 올바른 토양자원의 활용과 육상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생물다양성 초등 SDG 15   환경문제   [2바08-03] 겨울방학 생활 계획을 세워서 실천한다.       2. 중학교 콘텐츠 맵 학년 과목 단원 교육과정 성취기준 중등 SDGs-ESD 성취기준 ESD 내용 요소 관련 수업모델 중학교 사회 우리와 다른 기후, 다른 생활 [9사(지리)02-01]기온과 강수량 자료를 분석하여 이를 기준으로 세계 기후 지역을 구분하고, 인간 거주에 적합한 기후 조건에 대해 논의한다. [13-1] 기후변화의 현황과 의미에 대해 이해한다. 기후변화 중등 SDG 13 [9사(지리)02-02]열대 우림 기후 지역의 위치를 확인하고, 열대 우림 기후 지역의 다양한 생활 모습을 조사하여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한다. [13-2] 기후변화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기후변화 중등 SDG 13 [9사(지리)02-03]지중해성 기후와 서안 해양성 기후를 우리나라 기후와 비교하고, 이들 지역의 농업과 생활 모습을 조사한다. [13-2] 기후변화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기후변화 중등 SDG 13 [9사(지리)02-04]건조 기후와 툰드라 기후 지역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기후 환경에 적응하거나 극복한 생활 모습을 조사한다. [13-3] 기후변화 완화, 적응, 영향 감축 및 조기 경보 등 기후변화를 대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기후변화 중등 SDG 13 다양한 세계, 다양한 문화 [9사(지리)04-01]다양한 기준으로 문화지역을 구분해 보고, 지역별로 문화적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를 지역의 자연환경, 경제・사회적 환경의 관점에서 파악한다. [1-1-1] 우리의 삶에서 경제생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문화다양성 중등 SDG 1 [9사(지리)04-02]지역 간 문화 접촉과 문화 전파에 따른 문화 변용의 사례를 조사하고, 세계화가 문화 변용에 미친 영향을 평가한다. [1-3-1] 국가 간 비교 우위에 따른 특화와 교역이 발생하며, 외환 시장에서 환율이 결정된다. 이에 따른 국가의 계층화 문제를 이해한다. 문화다양성 중등 SDG 1 자원을 둘러싼 경쟁과 갈등 [9사(지리)06-01]자원 분포의 편재성과 자원 소비량의 지역적 차이를 파악하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국가 간 경쟁과 갈등을 조사한다. [2-1-1] 인간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의, 식, 주를 알아본다. 지속가능한 식량 생산 중등 SDG 2 [2-1-2] 인간의 삶에서 식량 문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9사(지리)06-02]자원이 풍부한 지역을 사례로 자원이 그 지역 주민의 삶에 미친 영향을 평가한다. [2-3]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미래 식량 대책에 대해 이해하고 토론한다. 지속가능한 식량 생산 중등 SDG 2 [9사(지리)06-03]지속가능한 자원의 개발 사례를 조사하고, 그것의 긍정적・부정적 효과를 평가한다. [2-2-1] 식량 문제에서 생기는 기아와 불평등의 문제를 이해한다. 지속가능한 식량 생산 중등 SDG 2 [2-2-2] 식량 대책, 영양개선, 지속가능한 농업 강화의 3가지 영역에서의 기아 종식을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사람이 만든 삶터, 도시 [9사(지리)08-01]세계적으로 유명하거나 매력적인 도시의 위치와 특징을 조사한다. [9-1] 우리나라와 전 세계의 산업화 현상과 진행에 대해 이해한다.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중등 SDG 9 [9사(지리)08-02]도시 중심부에서 주변지역으로 나가면서 관찰되는 경관과 지가의 변화를 분석한다. [9-2] 환경문제 등 지금까지의 산업화 현상과 과정에 대해 이해하여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산업화 과정을 알아본다.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중등 SDG 9 [9사(지리)08-03]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도시화 과정을 비교하고,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도시 문제를 탐구한다. [9-2] 환경문제 등 지금까지의 산업화 현상과 과정에 대해 이해하여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산업화 과정을 알아본다.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중등 SDG 9 [9사(지리)08-04]도시 문제를 해결하여 살기 좋은 도시로 변화된 사례를 조사하고, 살기 좋은 도시가 갖추어야 할 조건을 제안한다. [9-3] 미개발 국가, 개발도상국가, 선진국의 산업화의 현황과 공정성을 이해하고,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올바른 산업화 지원과 혁신을 도모한다.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중등 SDG 9 글로벌 경제활동과 지역 변화 [9사(지리)09-01]농업 생산의 기업화와 세계화가 농작물 생산 지역과 소비 지역의 변화에 미친 영향을 조사한다. [1-1-1] 우리의 삶에서 경제생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세계화, 시장경제 중등 SDG 1 기업의 지속가능성     [9사(지리)09-02]세계화에 따른 다국적 기업의 공간적 분업 체계가 생산 지역의 변화에 미친 영향을 탐구한다. [1-3-1] 국가 간 비교 우위에 따른 특화와 교역이 발생하며, 외환 시장에서 환율이 결정된다. 이에 따른 국가의 계층화 문제를 이해한다. 세계화, 시장경제 중등 SDG 1 기업의 지속가능성 [9사(지리)09-03]세계화에 따른 서비스업의 변화를 조사하고, 이러한 변화가 지역 변화와 주민 생활에 미친 영향을 평가한다. [1-3-2] 국가 간 경제적 평등에 대해 이해하고 상생의 경제생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세계화, 시장경제 중등 SDG 1 기업의 지속가능성 환경 문제와 지속가능한 환경 [9사(지리)10-01]전 지구적인 차원에서 발생하는 기후 변화의 원인과 그에 따른 지역 변화를 조사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역적・국제적 노력을 평가한다. [12-3] 기후변화 완화, 적응, 영향 감축 및 조기 경보 등 기후변화를 대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기후변화, 환경문제 중등 SDG 13 [9사(지리)10-02]환경 문제를 유발하는 산업이 다른 국가로 이전한 사례를 조사하고, 해당 지역 환경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다. [9-2] 환경문제 등 지금까지의 산업화 현상과 과정에 대해 이해하여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산업화 과정을 알아본다. 환경문제 중등 SDG 9 [9사(지리)10-03]생활 속의 환경 이슈를 둘러싼 다양한 의견을 비교하고, 환경 이슈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제시한다. [17-2]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필요한 개인, 국가 등 다양한 관계에서의 협력 방안에 대해 알아본다. 환경문제 중등 SDG 17 더불어 사는 세계 [9사(지리)12-02]다양한 지표를 통해 지역별로 발전 수준이 어떻게 다른지 파악하고, 저개발 지역의 빈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조사한다. [10-2] 인종, 민족, 종교, 최빈 개도국, 아프리카 등 다양한 영역별 국가 간 불평등 문제에 대해 이해한다. 빈부격차 완화 중등 SDG 10 [9사(지리)12-03]지역 간 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한 국제 사회의 노력을 조사하고, 그 성과와 한계를 평가한다. [10-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국가 내, 국가 간 불평등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을 모색하고 실천한다. 빈부격차 완화 중등 SDG 10 경제생활과 선택 [9사(일사)08-01]경제활동에서 희소성으로 인한 합리적 선택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기본적인 경제 문제 해결을 위한 방식으로서 경제체제의 특징을 분석한다. [1-1] 우리의 삶에서 경제생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시장경제 중등 SDG 1 [9사(일사)08-02]자유 시장경제에서 기업의 역할과 사회적 책임을 이해하고, 기업가 정신을 함양할 수 있는 태도를 갖는다. [1-2] 경제적 평등에 대해 이해하고 함게 살아가는 경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시장경제 중등 SDG 1 기업의 지속 가능성                   중학교 도덕 자신과의 관계 [9도01-05]행복한 삶을 위해 좋은 습관과 건강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정서적 건강과 사회적 건강을 가꾸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실천 의지를 함양할 수 있다. [17-1] 양질을 삶과 행복을 추구하기 위해 필요한 지속가능발전의 의미를 이해한다. 건강 중등 SDG 17 사회·공동체와의 관계 [9도03-01]인간 존엄성과 인권, 양성평등이 보편적 가치임을 도덕적 맥락에서 이해하고, 타인에 대한 사회적 편견을 통제하여 보편적 관점에서 모든 인간을 인권을 가진 존재로서 공감하고 배려할 수 있다. [5-2-1]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양성평등 실천방안을 모색한다. 인권, 양성평등 중등 SDG 5 [9도03-04]정의로운 국가의 조건을 이해하고 시민이 갖추어야 할 자질이 무엇인지 탐구 하는 과정을 통해, 준법 의식을 길러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책임감 있게 행동할 수 있다. [16-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법과 제도의 정비와 그 나아갈 방향에 대해 알아본다. 사회정의 중등 SDG 16 [9도03-05]정의로운 사회가 도덕적 공동체와 인간다운 삶을 보장하기 위한 기반이 된다는 점을 이해하고, 공정한 경쟁을 저해하는 부패 행위를 예방하는 마음가짐을 길러 보편적 관점에서 정의 실현을 위한 참여적 태도를 가질 수 있다. [16-1] 평화롭고 포용적인 사회 증진과 모두의 정의 실현을 위한 법과 제도의 의미와 형성과정에 대해 이해한다. 사회정의 중등 SDG 16 중학교 도덕 자연∙초월과의 관계 [9도04-01]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통한 삶의 중요성과 환경 보호의 필요성을 다각적으로 이해하고, 생태 지속가능성의 관점에서 소비 생활과 환경에 대한 가치관을 평가해 보며, 환경친화적인 실천 기술을 익힐 수 있다. [12-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생산과 소비에 대해 알고 실생활에 적용해 본다.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중등 SDG 16               중학교 과학 지권의 변화 [9과01-04]풍화 과정을 이해하고, 토양 생성 과정을 풍화 작용의 예로 설명할 수 있다. [15-1] 땅, 산림, 습지, 산, 건조지 등 육상 생태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육상오염의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자연자원(물, 공기, 토양 등) 중등 SDG 15 생물의 다양성 [9과03-01]생물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변이의 관점에서 환경과 생물다양성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15-1] 땅, 산림, 습지, 산, 건조지 등 육상 생태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육상오염의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자연자원(물, 공기, 토양 등) 중등 SDG 15 생물다양성 [9과03-02]생물 종의 개념과 분류 체계를 이해하고 생물을 계 수준에서 분류할 수 있다. [15-1] 땅, 산림, 습지, 산, 건조지 등 육상 생태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육상오염의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자연자원(물, 공기, 토양 등) 중등 SDG 15 생물다양성 [9과03-03]생물다양성 보전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생물다양성 유지를 위한 활동 사례를 조사하여 발표할 수 있다. [15-3] 지속가능한 육상 생태계를 위한 생물 종 다양성 보존, 올바른 토양자원의 활용과 육상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자연자원(물, 공기, 토양 등) 중등 SDG 15 생물다양성 과학과 나의 미래 [9과07-01]과학과 관련된 직업의 종류와 하는 일을 조사하고, 그 직업에 필요한 역량에 대해 토의할 수 있다. [8-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일자리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중등 SDG 8 [9과07-02]현대 사회의 다양한 직업이 과학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예를 들어 설명하고, 미래 사회에서의 직업의 변화를 토의할 수 있다. [8-3] 행복한 삶 추구를 위한 진로인식, 진로개척, 진로효능감 증진을 이해하고 미래의 삶을 준비한다.   중등 SDG 8 식물과 에너지 [9과11-01]식물이 생명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기 위해 양분을 만드는 광합성 과정을 이해하고,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설명할 수 있다. [15-1] 땅, 산림, 습지, 산, 건조지 등 육상 생태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육상오염의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생물다양성 중등 SDG 15 [9과11-02]광합성에 필요한 물의 이동과 증산 작용의 관계를 이해하고, 잎의 증산 작용을 광합성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15-1] 땅, 산림, 습지, 산, 건조지 등 육상 생태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육상오염의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생물다양성 중등 SDG 15 [9과11-03]식물의 호흡을 이해하고, 광합성과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15-1] 땅, 산림, 습지, 산, 건조지 등 육상 생태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육상오염의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생물다양성 중등 SDG 15 수권과 해수의 순환 [9과14-01]수권에서 해수, 담수, 빙하의 분포와 활용 사례를 조사하고, 자원으로서 물의 가치에 대해 토론할 수 있다. [6-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물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자연자원(물, 공기, 토양 등) 중등 SDG 6 [9과14-02]해수의 연직 수온 분포와 염분비 일정 법칙을 통해 해수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6-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물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자연자원(물, 공기, 토양 등) 중등 SDG 6 [9과14-03]우리나라 주변 해류의 종류와 특성을 알고 조석 현상에 대한 자료를 해석할 수 있다. [6-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물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자연자원(물, 공기, 토양 등) 중등 SDG 6 열과 우리 생활 [9과15-01]물체의 온도 차이를 구성 입자의 운동 모형으로 이해하고, 열의 이동 방법과 냉난방 기구의 효율적 사용에 대하여 조사하고 토의할 수 있다. [7-2] 학교, 생활 등 다양한 에너지 자원과 사용, 환경오염에 대해 안다. 에너지 중등 SDG 7 화학 반응의 규칙과 에너지 변화 [9과17-01]물리 변화와 화학 변화의 차이를 알고, 일상생활에서 물리 변화와 화학 변화의 예를 찾을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중등 SDG 7 기권과 날씨 [9과18-01]기권의 층상 구조를 이해하고, 온실 효과와 지구 온난화를 복사 평형의 관점으로 설명할 수 있다. [13-1] 기후변화의 현황과 의미에 대해 이해한다. 기후변화 중등 SDG 13 운동과 에너지 [9과19-03]일의 의미를 알고, 자유 낙하하는 물체의 운동에서 중력이 한 일을 위치 에너지와 운동 에너지로 표현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중등 SDG 7 에너지 전환과 보존 [9과22-01]위로 던져 올린 물체와 자유 낙하 물체의 운동에서 위치 에너지와 운동 에너지의 변화를 역학적 에너지 전환과 역학적 에너지 보존으로 예측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중등 SDG 7 [9과22-02]자석의 운동에 의해 전류가 발생하는 현상을 관찰하고, 역학적 에너지가 전기 에너지로 전환됨을 설명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중등 SDG 7 에너지 전환과 보존 [9과22-03]가정에서 전기 에너지가 다양한 형태의 에너지로 전환되는 예를 들고, 이를 소비 전력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7-3]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청정에너지의 중요성과 신재생에너지의 현재와 미래를 안다. 에너지 중등 SDG 7 과학기술과 인류 문영 [9과24-01]과학기술과 인류 문명의 관계를 이해하고 과학의 유용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9-1] 우리나라와 전 세계의 산업화 현상과 진행에 대해 이해한다.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중등 SDG 9 [9과24-02]과학을 활용하여 우리 생활을 보다 편리하게 만드는 방안을 고안하고 그 유용성에 대해 토론할 수 있다. [9-2] 환경문제 등 지금까지의 산업화 현상과 과정에 대해 이해하여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산업화 과정을 알아본다.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중등 SDG 9               중학교 기술가정 인간 발달과 가족 [9기가01-05]다양한 가족 관계의 유형과 특징을 파악하고, 양성평등하고 세대 간의 민주적인 가족 관계를 형성하는 방안을 탐색하여 실천한다. [5-21-1]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양성평등 실천방안을 모색한다. 양성평등 중등 SDG 5 가정 생활과 안전 [9기가02-01]청소년기 영양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청소년기 식생활 문제를 인식하여 자신의 식행동을 평가한다. [2-1-1] 인간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의, 식, 주를 알아본다. 지속가능한 식량생산 중등 SDG 2 [9기가02-02]영양 섭취 기준과 식사 구성안을 고려하여 균형 잡힌 식사를 계획하고, 가족의 요구를 분석하여 식사를 선택한 후 평가한다. [2-1-1] 인간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의, 식, 주를 알아본다. 지속가능한 식량생산 중등 SDG 2 [9기가02-03]의복 디자인의 요소를 적용한 개성 있는 옷차림을 통해 자신을 긍정적으로 표현하고, 타인을 배려하는 의생활을 실천한다. [2-1-1] 인간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의, 식, 주를 알아본다. 지속가능한 식량생산 중등 SDG 2 [9기가02-04]의복 마련에 필요한 요소를 분석하여 의복 마련 계획을 세우고 의복의 형태와 종류를 선택한다. [2-1-1] 인간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의, 식, 주를 알아본다. 지속가능한 식량생산 중등 SDG 2 [9기가02-05]주거 가치관의 변화를 이해하고, 다양한 생활양식을 고려하여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는 주생활 문화를 실천한다. [2-1-1] 인간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의, 식, 주를 알아본다. 지속가능한 식량생산 중등 SDG 2 가정 생활과 안전 [9기가02-10]가족의 건강과 환경을 고려한 식품 선택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식품을 안전하게 관리하고 보관하는 방법을 탐색하여 실생활에 활용한다. [2-1-2] 인간의 삶에서 식량 문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지속가능한 식량생산 중등 SDG 2 [9기가02-08]성적 의사 결정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성폭력의 원인과 영향을 개인 및 사회적 차원에서 분석하여 예방 및 대처 방안을 탐색한다. [16-3] 아동 성폭력 예방, 인권문제 등 우리와 관련 있는 법과 제도의 현황과 그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인권 중등 SDG 16 9기가02-11]가족 구성원의 요구, 영양적 균형을 고려한 한 끼 식사를 계획하고, 위생과 안전을 고려하여 조리한 후 평가한다. [2-3]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미래 식량 대책에 대해 이해하고 토론한다. 지속가능한 식량생산 중등 SDG 2 [9기가02-12]쾌적한 주거 환경 조성을 위한 조건을 분석하고, 주생활과 관련된 안전사고의 예방 및 대처 방안을 탐색하여 실생활에 적용한다. [2-3]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미래 식량 대책에 대해 이해하고 토론한다. 지속가능한 식량생산 중등 SDG 2 자원 관리와 자립 [9기가03-08]생애 설계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생애주기별 발달 과업을 중심으로 자신의 생애를 설계하고 평가한다. [8-3] 행복한 삶 추구를 위한 진로인식, 진로개척, 진로효능감 증진을 이해하고 미래의 삶을 준비한다.   중등 SDG 8 [9기가03-09]전 생애적 관점에서의 진로 설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건전한 직업 가치관을 바탕으로 자신의 적성에 맞는 진로를 탐색하고 설계한다. [8-3] 행복한 삶 추구를 위한 진로인식, 진로개척, 진로효능감 증진을 이해하고 미래의 삶을 준비한다.   중등 SDG 8 기술 시스템 [9기가04-13]신・재생 에너지의 활용을 이해하고 신・재생 에너지 개발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효율적인 에너지 이용 방안을 제안한다. [7-3]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청정에너지의 중요성과 신재생에너지의 현재와 미래를 안다. 에너지 중등 SDG 7 [9기가04-14]에너지와 관련된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책을 창의적으로 탐색하고 실현하며 평가한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중등 SDG 7 기술 활용 [9기가05-09]적정기술과 지속가능 발전의 의미를 이해하고 적정기술 체험 활동을 통하여 문제를 창의적으로 탐색하고 실현하고 평가한다. [17-1] 양질을 삶과 행복을 추구하기 위해 필요한 지속가능발전의 의미를 이해한다.   중등 SDG 17               중학교 체육 건강 <건강과체력평가> [9체01-01]건강과 신체활동(신체 자세, 규칙적인 운동 등)의 관계를 이해하고, 건강 증진을 위한 신체활동을 계획적으로 실천한다. [3-1]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삶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건강 중등 SDG 3 건강 <건강과체력관리> [9체01-04]건강과 생활 환경(감염성・비감염성 질환, 기호품 및 약물의 오・남용, 영양 등)의 관계를 이해하고, 건강한 생활 습관을 실천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중등 SDG 3 [9체01-05]체력 증진의 과학적 원리, 운동 내용, 관리 방법을 이해하고 자신에게 적합한 체력 증진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습관화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중등 SDG 3 [9체01-05]체력 증진의 과학적 원리, 운동 내용, 관리 방법을 이해하고 자신에게 적합한 체력 증진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습관화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중등 SDG 3 안전 <스포츠활동안전> [9체05-03]응급 상황이나 안전사고 발생 시, 해결 방법과 절차를 올바르게 판단하고 적용한다. [3-1]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삶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안전 중등 SDG 3 안전 <스포츠환경안전> [9체05-06]스포츠 활동에서 자신과 타인의 안전을 고려하여 안전 수칙과 절차를 준수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안전 중등 SDG 3 안전 <여가스포츠안전> [9체05-09]스포츠 안전사고 발생 시 타인 및 공공의 안전을 위해 노력하고 대처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안전 중등 SDG 3               중학교 미술 체험 [9미01-05]미술과 관련된 다양한 직업의 종류와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8-3] 행복한 삶 추구를 위한 진로인식, 진로개척, 진로효능감 증진을 이해하고 미래의 삶을 준비한다.   중등 SDG 8               중학교 환경 환경의 체계 [9환02–01]지구 생태계의 구성 요소를 다양한 방법으로 분류하고, 인간을 포함한 물, 공기, 흙, 생물로 구성된 생태계의 의미를 설명한다. [15-1] 땅, 산림, 습지, 산, 건조지 등 육상 생태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육상오염의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자연자원(물, 공기, 토양 등) 중등 SDG 15 [9환02–02]지구 생태계에서 물, 공기, 흙, 생물이 어떤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사례를 통해 인간과 생태계 구성 요소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한다. [15-1] 땅, 산림, 습지, 산, 건조지 등 육상 생태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육상오염의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자연자원(물, 공기, 토양 등) 중등 SDG 15 [9환02–03]지구 생태계에서 물, 공기, 흙, 생물의 역할과 소중함을 살펴보고, 이를 글, 그림, 만화, 신문 등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한다. [15-1] 땅, 산림, 습지, 산, 건조지 등 육상 생태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육상오염의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자연자원(물, 공기, 토양 등) 중등 SDG 15 [9환02–04]사례를 통해 환경 문제의 원인과 영향을 파악하고 해당 환경 문제에서 물, 공기, 흙, 생물, 인간 등에 나타나는 상호작용을 구분하여 제시한다. [15-1] 땅, 산림, 습지, 산, 건조지 등 육상 생태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육상오염의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자연자원(물, 공기, 토양 등) 중등 SDG 15 [9환02–04]사례를 통해 환경 문제의 원인과 영향을 파악하고 해당 환경 문제에서 물, 공기, 흙, 생물, 인간 등에 나타나는 상호작용을 구분하여 제시한다. [9-2] 환경문제 등 지금까지의 산업화 현상과 과정에 대해 이해하여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산업화 과정을 알아본다. 환경문제 중등 SDG 9 환경의 체계 [9환02–05]환경 문제의 발생과 해결 과정에 대해 과학적 원리를 바탕으로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측면을 함께 고려하여 설명한다. [9-2] 환경문제 등 지금까지의 산업화 현상과 과정에 대해 이해하여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산업화 과정을 알아본다. 환경문제 중등 SDG 9 [9환02–06]일상생활 속에서 발생하는 환경 문제를 찾고, 문제 해결 또는 개선을 위한 실행 방안을 동료와 협의하여 제시한다. [9-2] 환경문제 등 지금까지의 산업화 현상과 과정에 대해 이해하여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산업화 과정을 알아본다. 환경문제 중등 SDG 9 지역 환경과 지구 환경 [9환03–04]자원의 의미를 이해하고, 재활용 분리배출, 음식물 쓰레기, 폐건전지 처리 등을 조사하여 자신이 사는 지역을 자원순환사회로 만들기 위해 개선해야 할 점을 제시한다. [11-3] 포용적이고 안전하며 복원력 있고 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천한다.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중등 SDG 11 [9환03–05]에너지원의 변천과정을 이해하고, 다양한 에너지원의 특성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친환경적인 에너지 이용방안을 제시한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중등 SDG 7 [9환03–06]신재생에너지, 핵발전, 고압송전탑 등 우리나라 에너지 이용에 관한 쟁점을 조사하고 토론한다. [7-3]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청정에너지의 중요성과 신재생에너지의 현재와 미래를 안다. 에너지 중등 SDG 7 지역 환경과 지구 환경 [9환03–07]지구의 환경 변화에 대한 사례 분석을 통해 지구 환경과 지구 환경 문제의 특성을 유형화한다. [13-2] 기후변화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기후변화 중등 SDG 13 [9환03–08]열대우림, 극지빙하 등 지구 환경 변화와 그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보전하기 위한 방안을 개인적, 사회적 측면에서 제시한다. [13-3] 기후변화 완화, 적응, 영향 감축 및 조기 경보 등 기후변화를 대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기후변화 중등 SDG 13 [9환03–09]성층권 오존층 고갈과 같은 현재 해결 중인 사례를 통해 지구 환경 문제의 해결 방안에 대해 토의한다. [13-3] 기후변화 완화, 적응, 영향 감축 및 조기 경보 등 기후변화를 대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기후변화 중등 SDG 13 [9환03–10]기후 변화 현상의 원인을 구분하고, 기후 변화로 발생되는 갈등 해결 방안을 지구공동체의 관점에서 토의한다. [13-3] 기후변화 완화, 적응, 영향 감축 및 조기 경보 등 기후변화를 대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기후변화 중등 SDG 13 [9환03–11]지구 수준의 환경 문제인 기후 변화로 인해 자신의 지역에서 어떤 현상이 나타날 수 있는지 강수량, 기온, 개화시기 등의 자료를 분석하여 확인하고 이를 해석한다. [13-3] 기후변화 완화, 적응, 영향 감축 및 조기 경보 등 기후변화를 대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기후변화 중등 SDG 13 [9환03–12]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다양한 방안을 개인적 노력과 지역, 국가, 지구 차원의 사회적 노력으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이를 자신의 책임 및 역할과 관련 지어 발표한다. [13-3] 기후변화 완화, 적응, 영향 감축 및 조기 경보 등 기후변화를 대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기후변화 중등 SDG 13 지속가능한 사회 [9환04–01]지속가능발전의 다양한 의미를 탐색하고, 동료와의 토의를 통해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자신의 정의를 제시한다. [17-1] 양질을 삶과 행복을 추구하기 위해 필요한 지속가능발전의 의미를 이해한다.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중등 SDG 17 [9환04–02] 지속가능발전과 관련된 국・내외 사례를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측면에서 해석하고, 자신의 삶과 지역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17-2]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필요한 개인, 국가 등 다양한 관계에서의 협력 방안에 대해 알아본다.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중등 SDG 17 [9환04–03] 우리 주변의 주거, 교통, 먹을거리, 생산과 소비 등의 사례를 통해 지속가능한 생활양식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사회 체제를 모색한다. [17-2]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필요한 개인, 국가 등 다양한 관계에서의 협력 방안에 대해 알아본다.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중등 SDG 17 [9환04–04] 학교, 마을, 지역 수준에서 지속가능한 사회의 요소를 찾아보고, 학교 의제 작성 등을 통해 구성원이 합의한 지속가능한 사회의 모습을 제시한다. [17-2]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필요한 개인, 국가 등 다양한 관계에서의 협력 방안에 대해 알아본다.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중등 SDG 17 [9환04–05] 다양한 환경 문제를 환경정의 측면에서 살펴보고, 자신이 속한 학교, 마을, 지역, 국가 등을 지속가능한 사회로 만들기 위한 다양한 참여 방식을 조사한다. [11-3] 포용적이고 안전하며 복원력 있고 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천한다. 환경문제 중등 SDG 11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지속가능한 사회 [9환04–06] 지속가능한 사회를 추구하며 살아가는 다양한 인물과 진로의 사례를 찾아보고,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자신의 참여 방식을 제시한다. [17-3] 전지구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지속가능발전중등 SDG)을 찾아 실천한다.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중등 SDG 17               중학교 보건 건강 증진 [9보01–01]건강의 개념과 중요성을 이해하고, 다양한 건강 영향 요인을 분석한다. [3-1]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삶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건강 중등 SDG 3 [9보01–02]자신의 건강 상태와 건강 검사 결과 등을 토대로 자신의 건강을 평가하여 건강 중등 SDG와 건강 관리 실천 전략을 수립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중등 SDG 3 생활 주기 [9보02–01]수면, 식습관, 신체 활동 등 생활 주기와 건강과의 관계를 탐색하고, 생활 주기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사회・환경적 요인을 분석하여 건강 생활 실천 전략을 수립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중등 SDG 3 질병 예방 [9보03–01]생활 습관과 질병의 관련성을 이해하고 만성 질환 예방 및 건강 관리 방안을 수립한다. [3-1]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삶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건강 중등 SDG 3 [9보03–02]유행성 감염병 발생 과정과 면역의 관계를 이해하고, 병문안 예절 등 개인적, 사회적 측면에서 유행성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 방안을 제시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중등 SDG 3 [9보03–03]신체 기관별 건강 문제에 따른 질병 예방 및 관리 방안을 제시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중등 SDG 3 약물∙담배∙술 [9보04–01]약물 오・남용의 문제점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의약품의 안전한 선택과 사용법을 제시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중등 SDG 3 [9보04–02]흡연・음주의 위험 요인과 폐해를 탐색하고, 흡연・음주의 예방 및 대처 전략을 수립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중등 SDG 3 성 건강 [9보05–02]남녀 성의식의 차이를 이해하고, 이성 교제 시 변화 단계에 적절히 대처하는 방법 및 성적 자기 결정권 행사에 대해 토론한다. [5-2-1] 여자와 남자의 특성을 이해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발표한다. 양성평등 중등 SDG 5 [9보05–03]성 역할에 대한 고정 관념, 편견과 차별이 발생하는 사회・문화적 상황을 분석하고, 양성적 성 역할을 재설정하여 제시한다. [10-1] 나이, 성, 장애, 인종, 민족, 출신, 종교, 경제 수준 등 다양한 영역별 국가 내 불평등 문제에 대해 이해한다. 양성평등 중등 SDG 10 [9보05–04]임신과 출산이 개인・사회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임신・출산・피임의 원리와 방법을 탐구하여 이해한다. [3-1]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삶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건강 중등 SDG 3 [9보05–06]성폭력・성매매, 성 매개 감염병의 원인과 문제점을 조사하고 예방 및 대처 방법을 제시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중등 SDG 3 정서∙정신∙건강 [9보06–02]스트레스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고, 스트레스 관리 방안을 제시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중등 SDG 3 [9보06–03]과 몰입의 영향과 건강 관련성을 분석하고, 예방 및 대처 방법을 토론하여 도출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중등 SDG 3 [9보06–04]분노, 충동 등 감정의 영향을 분석하고, 자신과 타인의 감정 수용 및 감정 조절 방안을 설명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중등 SDG 3 [9보06–05]삶과 죽음의 의미, 생명의 소중함을 토론하고, 자살 예방 방안을 모색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중등 SDG 3 건강 생활 기술 [9보07–01]주장, 공감, 거절하기 등 건강 의사소통 방법을 사용하여 상황별 건강 문제 해결에 적용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중등 SDG 3 [9보07–02]건강 의사 결정 과정을 알고, 건강 정보・자원 등을 활용하여 건강 증진을 위한 건강 의사 결정 과정에 적용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중등 SDG 3 [9보07–03]건강에 유해한 행위와 환경을 탐색하여 개인과 지역 사회의 건강 증진 옹호 활동 참여 방안을 계획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중등 SDG 3 생활 안전 [9보08–01]생활 속 건강・안전 위험 요인을 예측하고, 안전사고 예방 및 안전 문화 운동 참여 방안을 제안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중등 SDG 3 [9보08–02]따돌림, 학대, 폭력 관련 법률, 문제점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대처 방안을 설명한다. [16-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법과 제도의 정비와 그 나아갈 방향에 대해 알아본다. 거버넌스 중등 SDG 16 응급 처치 [9보09–01]상황별 응급 처치의 원리와 방법을 이해하고, 응급 처치 방법을 시연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안전 중등 SDG 3 [9보09–02]심폐소생술 및 자동제세동기 사용의 원리를 이해하고, 심폐소생술 및 자동제세동기 사용 방법을 시연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언전 중등 SDG 3 건강권과 건강 자원 [9보10–01]건강권과 책임의 의미, 관련 법규를 탐색하고, 건강권의 제한 또는 침해 사례를 조사하여 개인・사회・국가적 측면에서 건강권 확보 방안을 제안한다. [16-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법과 제도의 정비와 그 나아갈 방향에 대해 알아본다. 거버넌스 중등 SDG 16 [9보10–02]건강 기능 식품 및 건강 보조 기구 등의 무분별한 사용을 비판하고, 건강에 유익한 정보와 자원을 조사하여 활용 방안을 제시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중등 SDG 3 건강 문화 [9보11–01]신념, 규범, 관행, 미디어 등 문화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유행 모방 등 생활 속 건강 위험 문화를 찾아 개선점을 제시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중등 SDG 3 [9보11–02]또래・가족 문화의 특성 및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유해한 또래・가족문화를 바꾸기 위한 건강 증진 전략을 모색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중등 SDG 3 [9보11–03]장애인, 다문화 가족 등 사회적 소수자・약자의 건강 특성, 고정 관념을 조사하고, 규범의 변화 및 건강 증진을 위한 개인적・사회적 방안을 제안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중등 SDG 3               중학교 진로와 직업 자아이해와 사회적 역량 개발 [9진01-01]자신의 능력이나 특성, 강・약점 등을 존중할 수 있다. [8-3] 행복한 삶 추구를 위한 진로인식, 진로개척, 진로효능감 증진을 이해하고 미래의 삶을 준비한다.   중등 SDG 8 [9진01-02]다양한 방법으로 자신의 직업 흥미와 적성을 탐색할 수 있다. [8-3] 행복한 삶 추구를 위한 진로인식, 진로개척, 진로효능감 증진을 이해하고 미래의 삶을 준비한다.   중등 SDG 8 [9진01-03]대인관계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가족, 친구, 선생님, 이웃 등 주변 사람들과 적절한 관계를 맺을 수 있다. [8-3] 행복한 삶 추구를 위한 진로인식, 진로개척, 진로효능감 증진을 이해하고 미래의 삶을 준비한다.   중등 SDG 8 일과 직업세계의 이해 [9진02-01]다양한 직업을 분야별로 분류하고 각 직업이 하는 일을 설명할 수 있다. [8-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일자이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중등 SDG 8 [9진02-02]사회적 변화에 따라 새롭게 등장한 직업과 사라진 직업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8-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일자이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중등 SDG 8 [9진02-03]새로운 종류의 직업이나 사업을 상상하고 만드는 모의 활동을 할 수 있다. [8-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일자이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중등 SDG 8 [9진02-04]직업이 자신에게 주는 긍정적 가치(자아실현, 보람 등)를 이해할 수 있다. [8-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일자이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중등 SDG 8 [9진02-05]직업인이 공통적으로 갖추어야 할 직업윤리를 이해할 수 있다. [8-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일자이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중등 SDG 8 일과 직업세계의 이해 [9진02-06]직업에 대한 사회의 여러 가지 편견과 고정관념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문제점을 설명할 수 있다. [8-2-2] 노동과 인권 등 다양한 분야와 영역에서의 양질의 일자리문제, 일자리 창출 문제 등의 일자리 문제를 이해한다.   중등 SDG 8 진로 탐색 [9진03-01]진로에서 학습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8-3] 행복한 삶 추구를 위한 진로인식, 진로개척, 진로효능감 증진을 이해하고 미래의 삶을 준비한다.   중등 SDG 8 [9진03-03]다양한 체험활동을 통해 직업 정보를 탐색할 수 있다. [8-3] 행복한 삶 추구를 위한 진로인식, 진로개척, 진로효능감 증진을 이해하고 미래의 삶을 준비한다.   중등 SDG 8 [9진03-04]관심 직업분야의 다양한 진로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8-3] 행복한 삶 추구를 위한 진로인식, 진로개척, 진로효능감 증진을 이해하고 미래의 삶을 준비한다.   중등 SDG 8 3. 고등학교 콘텐츠 맵 학년 과목 단원 교육과정 성취기준 SDGs-ESD 성취기준 ESD 내용 요소 관련 수업모델 고등학교 통합사회 삶의 이해와 환경-자연환경과 인간 [10통사02-03]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정부, 시민사회, 기업 등의 다양한 노력을 조사하고, 개인적 차원의 실천 방안을 모색한다. [17-3] 전지구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지속가능발전목표)을 찾아 실천한다. 환경문제 SDG 17 삶의 이해와 환경-생활공간과 사회 [10통사03-01]산업화, 도시화로 인해 나타난 생활공간과 생활양식의 변화 양상을 조사하고, 이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9-1] 우리나라와 전 세계의 산업화 현상과 진행에 대해 이해한다.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SDG 9 [10통사03-02]교통・통신의 발달과 정보화로 인해 나타난 생활공간과 생활양식의 변화 양상을 조사하고, 이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9-2] 환경문제 등 지금까지의 산업화 현상과 과정에 대해 이해하여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산업화 과정을 알아본다. 환경문제 SDG 9 인간과 공동체-인권 보장과 헌법 [10통사04-01]근대 시민 혁명 등을 통해 확립되어 온 인권의 의미와 변화 양상을 이해하고, 현대 사회에서 주거, 안전, 환경 등 다양한 영역으로 인권이 확장되고 있는 사례를 조사한다. [16-2] 아동 성폭력 예방, 인권문제 등 우리와 관련 있는 법과 제도의 현황과 그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인권 SDG 16 [10통사04-02]인간 존엄성 실현과 인권 보장을 위한 헌법의 역할을 파악하고, 준법 의식과 시민 참여의 필요성에 대해 탐구한다. [16-2] 아동 성폭력 예방, 인권문제 등 우리와 관련 있는 법과 제도의 현황과 그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인권 SDG 16 인간과 공동체-인권 보장과 헌법 [10통사04-03]사회적 소수자 차별, 청소년의 노동권 등 국내 인권 문제와 인권지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세계 인권 문제의 양상을 조사하고,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 [16-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법과 제도의 정비와 그 나아갈 방향에 대해 알아본다. 인권 SDG 16 인간과 공동체-시장경제와 금융 [10통사05-01]자본주의의 역사적 전개 과정과 그 특징을 조사하고, 시장경제에서 합리적 선택의 의미와 그 한계를 파악한다. [1-1] 우리의 삶의 경제생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시장경제 SDG 1 [10통사05-02]시장경제의 원활한 작동과 발전을 위해 요청되는 정부, 기업가, 노동자, 소비자의 바람직한 역할에 대해 설명한다. [1-1] 우리의 삶의 경제생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시장경제 SDG 1 [10통사05-03]자원, 노동, 자본의 지역 분포에 따른 국제 분업과 무역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무역의 확대가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사례를 통해 탐구한다. [1-1] 우리의 삶의 경제생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시장경제 SDG 1 [10통사05-04]안정적인 경제생활을 위해 금융 자산의 특징과 자산 관리의 원칙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생애 주기별 금융 생활을 설계한다. [1-1] 우리의 삶의 경제생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시장경제 SDG 1 인간과 공동체-사회 정의와 불평등 [10통사06-03]사회 및 공간 불평등 현상의 사례를 조사하고, 정의로운 사회를 만들기 위한 다양한 제도와 실천 방안을 탐색한다. [4-3] 수준별, 계층별 평등교육 실현과 평생학습의 보장을 위한 개인과 나라, 세계가 해야 할 일을 찾아 실천한다.   SDG 4 사회 변화와 공존-문화와 다양성 [10통사07-02]문화 변동의 다양한 양상을 이해하고, 현대사회에서 전통문화가 갖는 의의를 파악한다. [10-1] 나이, 성, 장애, 인종, 민족, 출신, 종교, 경제 수준 등 다양한 영역별 국가 내 불평등 문제에 대해 이해한다. 문화다양성 SDG 10 [10통사07-03]문화적 차이에 대한 상대주의적 태도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보편 윤리의 차원에서 자문화와 타문화를 성찰한다. [10-1] 나이, 성, 장애, 인종, 민족, 출신, 종교, 경제 수준 등 다양한 영역별 국가 내 불평등 문제에 대해 이해한다. 문화다양성 SDG 10 [10통사07-04]다문화 사회에서 나타날 수 있는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하는 태도를 갖는다. [10-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국가 내, 국가 간 불평등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을 모색하고 실천한다. 문화다양성 SDG 10 사회 변화와 공존 -미래와지속가능한삶 [10통사09-02]지구적 차원에서 사용 가능한 자원의 분포와 소비 실태를 파악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개인적 노력과 제도적 방안을 탐구한다. [17-2]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필요한 개인, 국가 등 다양한 관계에서의 협력 방안에 대해 알아본다.   SDG 17 [10통사09-03]미래 지구촌의 모습을 다양한 측면에서 예측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미래 삶의 방향을 설정한다. [17-3] 전지구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지속가능발전목표)을 찾아 실천한다.   SDG 17               고등학교 한국지리 기후 환경과 인간 생활 [12한지03-01]우리나라의 기후 특성을 기후 요소 및 기후 요인과 관련지어 설명한다. [13-1] 기후변화의 현황과 의미에 대해 이해한다. 기후변화 SDG 13 [12한지03-02]다양한 기후 경관을 사례로 기후 특성이 경제생활 등 주민들의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한다. [13-2] 기후변화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기후변화 SDG 13 [12한지03-03]자연재해 및 기후 변화의 현상과 원인, 결과를 조사하고, 인간과 자연환경 간의 지속가능한 관계에 대해 토론한다. [13-3] 기후변화 완화, 적응, 영향 감축 및 조기 경보 등 기후변화를 대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기후변화 SDG 13 재해예방과 감소 거주 공간의 변화와 지역 개발 [12한지04-01]우리나라 촌락의 최근 변화상을 파악하고, 도시의 발달 과정 및 도시체계의 특성을 탐구한다. [11-2] 도시와 농촌, 어촌에 모습과 현황, 문제를 이해하여 모두가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정주를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SDG 11 [12한지04-02]도시의 지역 분화 과정 및 내부 구조의 변화를 이해하고, 대도시권의 형성 및 확대가 주민 생활에 미친 영향을 설명한다. [11-2] 도시와 농촌, 어촌에 모습과 현황, 문제를 이해하여 모두가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정주를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SDG 11 [12한지04-03]주요 대도시를 사례로 도시 계획과 재개발 과정이 도시 경관과 주민 생활에 미친 영향에 대해 분석한다. [11-2] 도시와 농촌, 어촌에 모습과 현황, 문제를 이해하여 모두가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정주를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SDG 11 생산과 소비의 공간 [12한지05-01]자원의 특성과 공간 분포를 파악하고, 이의 생산과 소비에 따른 문제점 및 해결 방안에 대해 모색한다. [12-2] 생산과 소비 과정에서 일어나는 식량 손실, 화학물 방출, 폐기물 문제와 그 심각성에 대해 알아본다.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SDG 12 [12한지05-04]상업 및 서비스 산업의 입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최근의 변화상을 파악하고, 교통・통신의 발달이 생산 및 소비 공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다. [12-4] [12한지05-04]상업 및 서비스 산업의 입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최근의 변화상을 파악하고, 교통・통신의 발달이 생산 및 소비 공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다.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SDG 12 세계의 자연환경과 인간 생활 [12세지02-01]기후 요인과 기후 요소에 대한 기본 이해를 바탕으로 열대 기후의 주요 특징과 요인을 분석한다. [13-1] 기후변화의 현황과 의미에 대해 이해한다. 기후변화 SDG 13 [12세지02-02]온대 동안 기후와 온대 서안 기후의 특징 및 요인을 서로 비교하고, 이러한 기후 환경에 적응한 인간 생활의 모습을 파악한다. [13-2] 기후변화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기후변화 SDG 13 [12세지02-03]건조 기후와 냉・한대 기후의 주요 특징을 이해하고, 이러한 기후 환경에서 형성된 주요 지형들을 탐구한다. [13-1] 기후변화의 현황과 의미에 대해 이해한다. 기후변화 SDG 13 세계의 인문환경과 인문 경관 [12세지03-01]세계의 주요 종교별 특징과 주된 전파 경로를 분석하고, 주요 종교의 성지 및 종교 경관이 지닌 상징적 의미들을 비교하고 해석한다. [10-2] 인종, 민족, 종교, 최빈 개도국, 아프리카 등 다양한 영역별 국가 간 불평등 문제에 대해 이해한다.   SDG 10 세계의 인문환경과 인문 경관 [12세지03-04]세계 주요 식량 자원의 특성과 분포 특징을 조사하고, 식량 생산 및 그 수요의 지역적 차이에 따른 국제적 이동 양상을 분석한다. [2-2-2] 식량 대책, 영양개선, 지속가능한 농업 강화의 3가지 영역에서의 기아 종식을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지속가능한 식량 생산 SDG 2 [12세지03-05]세계 주요 에너지 자원의 특성과 분포 특징을 조사하고, 에너지 생산 및 그 수요의 지역적 차이에 따른 국제적 이동 양상을 분석한다. [7-2 학교, 생활 등 다양한 에너지 자원과 사용, 환경오염에 대해 안다. 에너지 SDG 7 몬순 아시아와 오세아니아 [12세지04-02]몬순 아시아와 오세아니아의 주요 국가의 산업 구조를 지역의 대표적 자원 분포 및 이동과 관련지어 비교 분석한다. [9-1] 우리나라와 전 세계의 산업화 현상과 진행에 대해 이해한다.   SDG 9 [12세지04-03]몬순 아시아와 오세아니아의 주요 국가들에서 보이는 민족(인종)이나 종교적 차이를 조사하고, 이로 인한 최근의 지역 갈등과 해결 과제를 파악한다. [10-2] 인종, 민족, 종교, 최빈 개도국, 아프리카 등 다양한 영역별 국가 간 불평등 문제에 대해 이해한다. 문화다양성 SDG 2 건조 아시아와 북부 아프리카 [12세지05-02]건조 아시아와 북아프리카의 주요 국가의 산업 구조를 화석 에너지 자원의 분포와 관련지어 비교 분석한다. [7-2 학교, 생활 등 다양한 에너지 자원과 사용, 환경오염에 대해 안다. 에너지 SDG 7 유럽과 북부 아메리카 [12세지06-01]유럽과 북부 아메리카의 주요 공업 지역과 그 형성 배경을 조사하고, 최근의 변화 과정을 비교 분석한다. [9-1] 우리나라와 전 세계의 산업화 현상과 진행에 대해 이해한다.   SDG 9 서하라 이남 아프리카와 중∙남부 아프리카 [12세지07-01]중・남부 아메리카의 주요 국가들에서 나타나는 도시 구조의 특징 및 도시 문제를 지역의 급속한 도시화나 민족(인종)의 다양성과 관련지어 탐구한다. [9-2] 환경문제 등 지금까지의 산업화 현상과 과정에 대해 이해하여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산업화 과정을 알아본다.   SDG 9 [12세지07-02]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주요 국가들이 겪고 있는 분쟁 및 저개발의 실태를 파악하고, 그 주요 요인을 식민지 경험이나 민족(인종) 및 종교 차이와 관련지어 추론한다. [9-3] 미개발 국가, 개발도상국가, 선진국의 산업화의 현황과 공정성을 이해하고,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올바른 산업화 지원과 혁신을 도모한다.   SDG 9 [12세지07-03]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와 중・남부 아메리카에서 나타나는 자원 개발의 주요 사례들을 조사하고 환경 보존이나 자원의 정의로운 분배라는 입장에서 평가한다. [9-3] 미개발 국가, 개발도상국가, 선진국의 산업화의 현황과 공정성을 이해하고,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올바른 산업화 지원과 혁신을 도모한다.   SDG 9 공존과 평화의 세계 [12세지08-01]경제의 세계화가 파생하는 효과들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경제의 세계화에 대응하여 여러 국가들이 공존을 위해 결성한 주요 경제 블록의 형성 배경 및 특징을 비교 분석한다. [1-3-2] 국가 간 경제적 평등에 대해 이해하고 상생의 경제생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시장경제 SDG 1 공존과 평화의 세계 [12세지08-02]지구적 환경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국제적 노력이나 생태 발자국, 가뭄 지수 등의 지표들을 조사하고, 우리가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안한다. [17-3] 전지구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지속가능발전목표)을 찾아 실천한다. 기후변화 SDG 17 환경문제               고등학교 세계사 유럽∙아메리카 지역의 역사 [12세사04-04]시민 혁명과 국민 국가의 형성 과정을 이해하고, 산업 혁명의 세계사적 의미를 해석한다. [9-1] 우리나라와 전 세계의 산업화 현상과 진행에 대해 이해한다.   SDG 9               고등학교 경제 경제생활과 경제 문제 [12경제01-01]사람들의 경제생활에서 희소성이 존재함을 인식하고 합리적 선택의 필요성을 이해한다. [1-1] 우리의 삶에서 경제생활의 중요성을 시장경제 SDG 1 [12경제01-02]다양한 사례를 통해 비용과 편익을 고려하여 선택하는 능력을 계발하고 매몰 비용은 의사 결정 과정에서 고려하지 않아야 함과 인간은 경제적 유인에 반응함을 인식한다. [1-1] 우리의 삶에서 경제생활의 중요성을 시장경제 SDG 1 [12경제01-03]경제 문제를 해결하는 다양한 방식의 장단점을 비교하고, 시장경제의 기본 원리와 이를 뒷받침하는 사회 제도를 파악한다. [1-1] 우리의 삶에서 경제생활의 중요성을 시장경제 SDG 1 경제생활과 경제 문제 [12경제02-01]시장 가격의 결정과 변동 원리를 이해하고, 수요와 공급의 원리를 노동 시장과 금융 시장 등에 적용한다. [1-2-1] 경제적 평등에 대해 이해하고 함께 살아가는 경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시장경제 SDG 1 [12경제02-02]경쟁 시장에서 결정된 시장 균형을 통해 자원 배분의 효율성(총잉여의 극대화)이 이루어짐을 이해한다. [1-2-1] 경제적 평등에 대해 이해하고 함께 살아가는 경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시장경제 SDG 1 [12경제02-03]경쟁의 제한, 외부 효과, 공공재와 공유 자원, 정보의 비대칭성 등 시장 실패가 나타나는 요인을 파악한다. [1-2-1] 경제적 평등에 대해 이해하고 함께 살아가는 경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시장경제 SDG 1 [12경제02-04]시장 실패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시장 개입과 그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을 이해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1-2-1] 경제적 평등에 대해 이해하고 함께 살아가는 경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시장경제 SDG 1 국가와 경제활동 [12경제03-01]경제 성장의 의미와 요인을 이해하고 한국 경제의 변화와 경제적 성과를 균형 있는 시각에서 평가한다. [1-2-1] 경제적 평등에 대해 이해하고 함께 살아가는 경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시장경제 SDG 1 [12경제03-02]경제의 순환 과정을 이해하고 경제 주체의 지출과 소득으로 국민경제활동 수준을 파악한다. [1-2-1] 경제적 평등에 대해 이해하고 함께 살아가는 경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시장경제 SDG 1 국가와 경제활동 [12경제03-03]실업과 인플레이션의 발생 원인과 경제적 영향을 알아보고, 그 해결 방안을 모색한다. [1-2-1] 경제적 평등에 대해 이해하고 함께 살아가는 경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시장경제 SDG 1 [12경제03-04]총수요와 총공급을 이용하여 경기 변동을 이해하고 재정 정책과 통화 정책을 통한 경제 안정화 방안을 모색한다. [1-2-1] 경제적 평등에 대해 이해하고 함께 살아가는 경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시장경제 SDG 1 세계 시장과 교역 [12경제04-01]비교 우위에 따른 특화와 교역을 중심으로 무역 원리를 파악하고, 자유 무역과 보호 무역 정책의 경제적 효과를 이해한다. [1-3-2] 국가 간 경제적 평등에 대해 이해하고 상생의 경제생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시장경제 SDG 1 [12경제04-02]외환 시장에서 환율이 결정되는 과정과 환율 변동이 국가 경제 및 개인의 경제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1-3-1] 국가 간 비교 우위에 따른 특화와 교역이 발생하며, 외환 시장에서 환율이 결정된다. 이에 따른 국가의 계층화 문제를 이해한다. 시장경제 SDG 1 경제생활과 금융 [12경제05-01]현대 경제생활에서 금융의 의미와 중요성을 인식하고, 현재와 미래의 삶을 위하여 수입, 지출, 신용, 저축, 투자의 의미와 역할을 이해한다. [1-1] 우리의 삶에서 경제생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시장경제 SDG 1 [12경제05-02]수입과 지출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인식하고, 개인 자산과 부채의 합리적인 관리 방법을 파악한다. [1-1] 우리의 삶에서 경제생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시장경제 SDG 1               고등학교 정치와 법 민주주의와 헌법 [12정법01-01]정치의 기능과 법의 이념을 이해하고, 민주주의와 법치주의의 발전 과정을 분석한다. [16-1] 평화롭고 포용적인 사회 증진과 모두의 정의 실현을 위한 법과 제도의 의미와 형성과정에 대해 이해한다. 거버넌스 SDG 16 [12정법01-02]헌법의 의의와 기능을 이해하고, 우리 헌법의 기본 원리를 탐구한다. [16-1] 평화롭고 포용적인 사회 증진과 모두의 정의 실현을 위한 법과 제도의 의미와 형성과정에 대해 이해한다. 거버넌스 SDG 16 [12정법01-03]우리 헌법에서 보장하는 기본권의 내용을 분석하고, 기본권 제한의 요건과 한계를 탐구한다. [16-1] 평화롭고 포용적인 사회 증진과 모두의 정의 실현을 위한 법과 제도의 의미와 형성과정에 대해 이해한다. 거버넌스 SDG 16 개인 생활과 법 [12정법04-01]민법의 의의와 기능을 이해하고, 민법의 기본 원리를 탐구한다. [16-2] 아동 성폭력 예방, 인권문제 등 우리와 관련 있는 법과 제도의 현황과 그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거버넌스 SDG 16 [12정법04-02]재산 관계(계약, 불법행위)와 관련된 기본적인 법률 내용을 이해하고, 이를 일상생활의 사례에 적용한다. [16-2] 아동 성폭력 예방, 인권문제 등 우리와 관련 있는 법과 제도의 현황과 그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거버넌스 SDG 16 [12정법04-03]가족 관계(부부, 부모와 자녀)와 관련된 기본적인 법률 내용을 이해하고, 이를 일상생활의 사례에 적용한다. [16-2] 아동 성폭력 예방, 인권문제 등 우리와 관련 있는 법과 제도의 현황과 그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거버넌스 SDG 16 사회생활과 법 [12정법05-01]형법의 의의와 기능을 죄형 법정주의를 중심으로 이해하고, 범죄의 성립 요건과 형벌의 종류를 탐구한다. [16-2] 아동 성폭력 예방, 인권문제 등 우리와 관련 있는 법과 제도의 현황과 그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거버넌스 SDG 16 사회생활과 법 [12정법05-02]형사 절차에서 인권을 보장하는 원칙을 이해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제도를 탐구한다. [16-2] 아동 성폭력 예방, 인권문제 등 우리와 관련 있는 법과 제도의 현황과 그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거버넌스 SDG 16 [12정법05-03]법에 의해 보장되는 근로자의 기본적인 권리를 이해하고, 이를 일상생활의 사례에 적용한다. [16-2] 아동 성폭력 예방, 인권문제 등 우리와 관련 있는 법과 제도의 현황과 그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거버넌스 SDG 16 국제 관계와 한반도 [12정법06-01]오늘날의 국제 관계 변화(세계화 등)를 이해하고 국제 사회에서 국제법이 지닌 의의와 한계를 탐구한다. [16-2] 아동 성폭력 예방, 인권문제 등 우리와 관련 있는 법과 제도의 현황과 그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거버넌스 SDG 16 [12정법06-02]국제 문제(안보, 경제, 환경 등)를 이해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기구들이 수행하는 역할과 활동을 분석한다. [16-2] 아동 성폭력 예방, 인권문제 등 우리와 관련 있는 법과 제도의 현황과 그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거버넌스 SDG 16 [12정법06-03]우리나라의 국제 관계를 이해하고, 외교적 관점에서 한반도를 둘러싼 국제 질서를 분석한다. [16-2] 아동 성폭력 예방, 인권문제 등 우리와 관련 있는 법과 제도의 현황과 그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거버넌스 SDG 16               고등학교 사회∙문화 사회 계층과 불평등 [12사문04-01]기능론과 갈등론을 활용하여 사회 불평등 현상을 설명하고 각 이론의 특징을 비교한다. [10-1] 나이, 성, 장애, 인종, 민족, 출신, 종교, 경제 수준 등 다양한 영역별 국가 내 불평등 문제에 대해 이해한다.   SDG 10 [12사문04-03]다양한 사회 불평등 양상을 조사하고 그와 관련한 차별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10-1] 나이, 성, 장애, 인종, 민족, 출신, 종교, 경제 수준 등 다양한 영역별 국가 내 불평등 문제에 대해 이해한다.   SDG 10 현대의 사회 변동 [12사문05-02]세계화 및 정보화로 인한 변화 양상을 설명하고 관련 문제에 대처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17-3] 전지구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지속가능발전목표)을 찾아 실천한다. 소양(매체, ICT) SDG 17 [12사문05-03]저출산・고령화와 다문화적 변화로 인해 대두되는 과제를 제시하고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모색한다. [17-3] 전지구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지속가능발전목표)을 찾아 실천한다. 문화다양성 SDG 17 [12사문05-04]전 지구적 수준의 문제와 그 해결 방안을 탐색하고 세계시민으로서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해 노력하는 태도를 가진다. [17-3] 전지구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지속가능발전목표)을 찾아 실천한다. 세계화 SDG 17               고등학교 여행지리 매력적인 자연을 찾아가는 여행 [12여지02-02]매력적인 기후로 널리 알려진 지역을 선정하여 관광적 매력을 조사하고, 기후와 인간 생활의 관계와 관광으로 인한 지역 특색을 탐구한다. [13-2] 기후변화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기후변화 SDG 13 [12여지02-03]천연기념물, 국립공원, 남극 같은 지구환경의 다양성과 지속가능성을 위해 여행이 제한되고 있는 지역의 가치를 이해하고, 보존과 개발의 갈등 속에서 변화하고 있는 모습을 탐구한다. [17-2]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필요한 개인, 국가 등 다양한 관계에서의 협력 방안에 대해 알아본다.   SDG 17 [12여지03-03]촌락 여행과 도시 여행이 제공해줄 수 있는 매력을 촌락과 도시의 기능적 특성과 관련시켜 사례 중심으로 탐구한다. [11-2] 도시와 농촌, 어촌에 모습과 현황, 문제를 이해하여 모두가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정주를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SDG 11 인류의 성찰과 공존을 위한 여행 [12여지04-02]분쟁, 재난, 빈곤, 환경 문제 등으로 고통받는 지역으로의 봉사여행이 지역과 여행자에게 주는 긍정적 변화를 탐구하고 인류의 행복한 공존을 위한 노력에 공감하고 실천 방법을 모색한다. [10-2] 인종, 민족, 종교, 최빈 개도국, 아프리카 등 다양한 영역별 국가 간 불평등 문제에 대해 이해한다. 환경문제 SDG 10 인권     [12여지04-03]생태, 첨단 기술, 문화 창조 등으로 미래를 지향하는 지역을 사례로 인류의 미래를 탐색하고 실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11-3] 포용적이고 안전하며 복원력 있고 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천한다. 안전 SDG 11 여행자와 여행지 주민이 모두 행복한 여행 [12여지05-02]공정여행, 생태관광 등 다양한 대안여행이 출현한 배경과 각 대안여행별 특징을 사례를 통해 조사하고 특히 관심이 가는 대안여행에 대해 분석・탐구한다. [11-2] 도시와 농촌, 어촌에 모습과 현황, 문제를 이해하여 모두가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정주를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SDG 11 [12여지05-03]여행자에게는 의미 있는 경험이 되고 여행지 주민에게는 경제적 이익과 긍지, 지속가능한 개발이 된 사례를 찾아 분석한 뒤 우리 지역 여행 상품 개발에 적용한다. [11-3] 포용적이고 안전하며 복원력 있고 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천한다.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SDG 11 여행과 미래 사회 그리고 진로 [12여지06-03]자신의 진로 탐색에 도움이 될 여행 주제를 탐구하여 정한 뒤 구체적인 여행 계획을 세우는 과정으로 실천적인 진로를 탐색한다. [8-3] 행복한 삶 추구를 위한 진로인식, 진로개척, 진로효능감 증진을 이해하고 미래의 삶을 준비한다.   SDG 8               고등학교 생활과윤리 생명과 윤리 [12생윤02-01]삶과 죽음에 대한 다양한 윤리적 문제를 인식하고, 이에 대한 여러 윤리적 입장을 비교・분석하여, 인공임신중절・자살・안락사・뇌사의 문제를 자신이 채택한 윤리적 관점으로 설명할 수 있다. [3-1]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삶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건강 SDG 3 [12생윤02-03]사랑과 성의 의미를 양성 평등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성과 관련된 문제를 여러 윤리 이론을 통해 설명할 수 있으며 가족윤리의 관점에서 오늘날의 가족 해체 현상을 탐구하고 이에 대한 극복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5-2-1]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양성평등 실천방안을 모색한다. 양성평등 SDG 5 사회와 윤리 [12생윤03-01]직업의 의의를 행복의 관점에서 이해하고, 다양한 직업군에 따른 직업윤리를 제시할 수 있으며 공동체 발전을 위한 청렴한 삶의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8-3] 행복한 삶 추구를 위한 진로인식, 진로개척, 진로효능감 증진을 이해하고 미래의 삶을 준비한다.   SDG 8 문화와 윤리 [12생윤05-02]의식주 생활과 관련된 윤리적 문제들을 제시하고, 이를 윤리적 관점에서 비판할 수 있으며 윤리적 소비 실천의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2-1] 인간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의, 식, 주를 알아본다. 지속가능한 식량생산 SDG 2 문화와 윤리 [12생윤05-03]문화의 다양성을 존중해야 하는 이유를 다문화 이론의 관점에서 설명하고, 오늘날 종교 갈등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10-1] 나이, 성, 장애, 인종, 민족, 출신, 종교, 경제 수준 등 다양한 영역별 국가 내 불평등 문제에 대해 이해한다. 문화다양성 SDG 10 평화와 공존의 윤리 [12생윤06-03]국제 사회의 여러 분쟁들과 국가 간 빈부격차 문제를 윤리적 관점에서 비판적 설명을 할 수 있으며 국제 사회에 대한 책임과 기여 문제를 윤리적 관점 에서 정당화하고 실천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10-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국가 내, 국가 간 불평등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을 모색하고 실천한다. 국제적 책임 SDG 10               고등학교 통합과학 생물다양성과 유지 [10통과07-03]생물다양성을 유전적 다양성, 종 다양성, 생태계 다양성으로 이해하고, 생물다양성 보전 방안을 토의할 수 있다. [15-3] 지속가능한 육상 생태계를 위한 생물 종 다양성 보존, 올바른 토양자원의 활용과 육상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생물다양성 SDG 15 생태계와 환경 [10통과08-01]인간을 포함한 생태계의 구성 요소와 더불어 생물과 환경의 상호 관계를 이해하고, 인류의 생존을 위해 생태계를 보전할 필요성이 있음을 추론할 수 있다. [15-3] 지속가능한 육상 생태계를 위한 생물 종 다양성 보존, 올바른 토양자원의 활용과 육상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생물다양성 SDG 15 [10통과08-03]엘니뇨, 사막화 등과 같은 현상이 지구 환경과 인간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이와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찾아 토론할 수 있다. [13-3] 기후변화 완화, 적응, 영향 감축 및 조기 경보 등 기후변화를 대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기후변화 SDG 13 [10통과08-04]에너지가 사용되는 과정에서 열이 발생하며, 특히 화석 연료의 사용 과정에서 버려지는 열에너지로 인해 열에너지 이용의 효율이 낮아진다는 것을 알고, 이 효율을 높이는 것이 사회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는지를 설명할 수 있다. [7-2] 학교, 생활 등 다양한 에너지 자원과 사용, 환경오염에 대해 안다. 에너지 SDG 7 발전과 신재생 에너지 [10통과09-01]화석 연료, 핵에너지 등을 가정이나 산업에서 사용하는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는 과정을 분석할 수 있다. [7-2] 학교, 생활 등 다양한 에너지 자원과 사용, 환경오염에 대해 안다. 에너지 SDG 7 [10통과09-02]발전소에서 가정 및 사업장까지의 원거리 전력 수송 과정에 대해 이해하고, 전력의 효율적이고 안전한 수송 방안을 토의할 수 있다. [7-2] 학교, 생활 등 다양한 에너지 자원과 사용, 환경오염에 대해 안다. 에너지 SDG 7 [10통과09-04]핵발전, 태양광 발전, 풍력 발전의 장단점과 개선방안을 기후변화로 인한 지구 환경 문제 해결의 관점에서 평가할 수 있다. [13-3] 기후변화 완화, 적응, 영향 감축 및 조기 경보 등 기후변화를 대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기후변화 SDG 13 환경문제 [10통과09-05]인류 문명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신재생 에너지 기술 개발의 필요성과 파력 발전, 조력 발전, 연료 전지 등을 정성적으로 이해하고,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현대 과학의 노력과 산물을 예시할 수 있다. [7-3]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청정에너지의 중요성과 신재생에너지의 현재와 미래를 안다. 에너지 SDG 7               고등학교 화학Ⅰ 화학의 첫걸음 [12화학Ⅰ01-01]화학이 식량 문제, 의류 문제, 주거 문제 해결에 기여한 사례를 조사하여 발표할 수 있다. [2-1] 인간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의, 식, 주를 알아본다. 지속가능한 식량생산 SDG 2 화학Ⅱ 전기 화학와 이용 [12화학Ⅱ04-03]수소 연료 전지가 활용되는 예를 조사하여 설명할 수 있다. [7-3]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청정에너지의 중요성과 신재생에너지의 현재와 미래를 안다. 에너지 SDG 7               고등학교 생명과학Ⅰ 사람의 물질대사 [12생과Ⅰ02-03]물질대사와 관련 있는 질병을 조사하고, 대사성 질환을 예방하기 위한 올바른 생활 습관에 대해 토의하고 발표할 수 있다. [3-1]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삶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건강 SDG 3 [12생과Ⅰ03-06]다양한 질병의 원인과 우리 몸의 특이적 방어 작용과 비특이적 방어 작용을 이해하고, 관련 질환에 대한 예방과 치료 사례를 조사하여 발표할 수 있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SDG 3 생태계와 상호 작용 [12생과Ⅰ05-06]생물다양성의 의미와 중요성을 이해하고 생물다양성 보전 방안을 토의할 수 있다. [15-3] 지속가능한 육상 생태계를 위한 생물 종 다양성 보존, 올바른 토양자원의 활용과 육상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생물다양성 SDG 15               고등학교 지구과학Ⅰ 대기와 해양의 변화 [12지과Ⅰ03-04]해수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을 이해하고, 실측 자료를 활용하여 해수의 온도, 염분, 밀도, 용존 산소량 등의 분포를 설명할 수 있다. [14-1] 대양, 바다 및 해양자원과 해양 생태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해양오염의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자연자원(공기, 물, 토양 등) SDG 14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12지과Ⅰ04-01]대기의 대순환과 해양의 표층 순환과의 관계를 주요 표층 해류를 중심으로 설명할 수 있다. [12-2] 기후변화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기후변화 SDG 12 [12지과Ⅰ04-02]심층 순환의 발생 원리와 분포를 이해하고, 이를 표층 순환 및 기후 변화와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12-2] 기후변화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기후변화 SDG 12 대기와 해양의 상호 작용 [12지과Ⅰ04-03]대기와 해수의 상호 작용의 사례로서 해수의 용승과 침강, 남방진동의 발생 과정과 관련 현상을 이해한다. [12-2] 기후변화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기후변화 SDG 12 [12지과Ⅰ04-04]기후 변화의 원인을 자연적 요인과 인위적 요인으로 구분하여 설명하고, 인간 활동에 의한 기후 변화의 환경적, 사회적 및 경제적 영향과 기후 변화 문제를 과학적으로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 토의할 수 있다. [12-3] 기후변화 완화, 적응, 영향 감축 및 조기 경보 등 기후변화를 대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기후변화 SDG 12 지구과학Ⅱ 지구 구성 물질과 자원 [12지과Ⅱ02-05]해양에서 얻을 수 있는 에너지와 물질 자원의 종류와 분포를 알고, 이를 활용하는 사례와 자원 개발의 중요성을 조사하여 발표할 수 있다. [14-3] 지속가능한 해양 생태계를 위한 올바른 해양자원의 활용과 해양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생물다양성 SDG 14 해수의 운동과 순환 [12지과Ⅱ04-04]해일이 발생하는 여러 가지 원인을 이해하고, 피해 사례와 대처 방안을 조사하여 발표할 수 있다. [12-3] 기후변화 완화, 적응, 영향 감축 및 조기 경보 등 기후변화를 대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기후변화 SDG 12 재해예방과 감소 생활과과학 건강한 생활 [12생활01-01]질병, 의약품, 위생, 예방 접종, 진단, 치료 등과 관련된 과학 원리를 조사하고 설명할 수 있다. [3-1]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삶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건강 SDG 3 건강한 생활 [12생활01-04]약물 오남용의 폐해에 대해 경각심을 높이고, 약물의 올바른 이해와 사용을 권장하는 캠페인을 기획하고 발표할 수 있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SDG 3 [12생활01-08]방사능 물질, 수은, 중금속 등 환경 오염원에 노출된 먹거리에 대한 위험성을 조사하고 토론할 수 있다. [12-2] 생산과 소비 과정에서 일어나는 식량 손실, 화학물 방출, 폐기물 문제와 그 심각성에 대해 알아본다.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SDG 12 융합과학 인류의 건강과 과학기술 [12융과05-01]질소 고정의 의미와 비료의 생산, 농작물과 가축 개량을 위한 육종과 유전공학 기술, 식품의 안전성과 품질 개선 기술 등 식량 자원의 양과 질의 향상에 적용된 과학적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2-1-2] 인간의 삶에서 식량 문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지속가능한 식량생산 SDG 2 [12융과05-02]식량 자원의 지속적인 개발 및 확보와 관련하여 생태계와 생물다양성의 가치 및 종자은행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물의 소독, 살균, 세제의 사용이 인간 수명의 증가와 건강의 증진에 기여하였음을 조사하여 발표할 수 있다. [2-3]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미래 식량 대책에 대해 이해하고 토론한다. 지속가능한 식량생산 SDG 2 인류의 건강과 과학기술 [12융과05-03]건강한 생활의 유지를 위해 세포의 물질 대사, 생장, 조직 형성 및 에너지 공급을 위한 영양소의 고른 섭취가 필요함을 이해하고, 일과 운동을 통하여 에너지가 소비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3-1]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삶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건강 SDG 3 [12융과05-07]암의 발생은 유전적・환경적 요인과 관련됨을 알고, DNA 염기 서열과 단백질의 상세 구조에 대한 지식을 바탕으로 개발된 신약이 암의 진단과 치료에 활용되는 사례를 설명할 수 있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SDG 3 에너지와 환경 [12융과06-01]에너지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자연이나 일상생활에서 에너지가 다른 형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에너지가 보존됨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SDG 7 [12융과06-02]지구의 가장 중요한 에너지원은 태양 에너지와 화석 연료이고, 에너지를 빛, 열, 소리, 전기 등으로 전환시키는 기술을 바탕으로 인류 문명이 발전해온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SDG 7 에너지와 환경 [12융과06-03]에너지 전환 과정의 효율 관점에서 영구기관은 불가능하다는 것을 과학적으로 논증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SDG 7 [12융과06-04]대기와 해양의 순환은 지구의 에너지 순환 과정이며, 엘니뇨나 라니냐와 같은 해양 순환의 변화가 기후에 심각하게 영향을 준다는 것을 추론할 수 있다. [13-2] 기후변화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기후변화 SDG 13 [12융과06-05]화석 연료의 사용은 산화와 환원 과정이며, 화석 연료의 과다 사용이 지구 온난화와 기후 변화를 일으킨다는 것을 논증할 수 있다. [13-2] 기후변화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기후변화 SDG 13 [12융과06-06]식물의 광합성은 이산화 탄소의 환원 과정으로 탄소의 순환과 관련되며, 광합성에서 빛 에너지의 역할을 빛의 특성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SDG 7 [12융과06-07]화석연료와 방사성 에너지 자원의 생성 과정을 이해하고, 에너지 자원 고갈로 발생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에 대해 토론할 수 있다. [7-2] 학교, 생활 등 다양한 에너지 자원과 사용, 환경오염에 대해 안다. 에너지 SDG 7 에너지와 환경 [12융과06-08]태양, 풍력, 조력, 파력, 지열, 바이오 등과 같은 재생 에너지와 핵융합이나 수소 등과 같은 신에너지 자원을 이해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의 관점에서 신재생 에너지를 활용하는 방안을 설명할 수 있다. [7-3]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청정에너지의 중요성과 신재생에너지의 현재와 미래를 안다. 에너지 SDG 7 [12융과06-09]태양 전지, 연료전지, 하이브리드 기술은 환경적 관점에서 필요하다는 것을 논증할 수 있다. [7-3]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청정에너지의 중요성과 신재생에너지의 현재와 미래를 안다. 에너지 SDG 7               고등학교 기술가정 가정생활과 안전 [12기가02-01]한식의 우수성과 다른 나라의 식생활 문화를 이해하고 현대의 식생활과 접목한 음식을 만들어 건강한 식생활을 실천한다. [2-1-1] 인간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의, 식, 주를 알아본다. 지속가능한 식량생산 SDG 2 자원 관리와 자립 [12기가03-03]개인과 가족의 소비가 사회 및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지속가능한 소비생활을 실천한다. [12-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생산과 소비에 대해 알고 실생활에 적용해 본다.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SDG 12 기술 시스템 [12기가04-03]첨단 건설 기술의 핵심 기술과 동향을 파악하며, 건설 기술에서 활용되고 있는 재난 예방과 관련된 예를 조사하여 발표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SDG 3 재해예방과 감소 [12기가04-04]생명 기술이 인류의 식량 자원 확보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살펴보며, 로봇과 통신 기술이 의료기술과 원격 의료에 활용되는 사례를 알아본다. [2-3]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미래 식량 대책에 대해 이해하고 토론한다. 지속가능한 식량생산 SDG 2 기술 활용 [12기가05-03]자동차에 의한 사고의 원인과 사례를 알고, 사고 예방을 위한 올바른 이용 방법을 이해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SDG 3 교통 [12기가05-08]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측면에서 지속가능한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의 분야를 조사한다. [17-2]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필요한 개인, 국가 등 다양한 관계에서의 협력 방안에 대해 알아본다. 세계화 SDG 17 기술 활용 [12기가05-09]적정기술, 지속가능한 발전과 관련된 문제를 창의적으로 탐색하고 실현하며 평가한다. [17-3] 전지구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지속가능발전목표)을 찾아 실천한다. 새계화 SDG 17 농업 농업 및 농촌 [12농업01-07]식량이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과 식량 안보의 중요성과 의의를 설명한다. [2-1-2] 인간의 삶에서 식량 문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지속가능한 식량생산 SDG 2 [12농업01-08]식량을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한다. [2-3]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미래 식량 대책에 대해 이해하고 토론한다. 지속가능한 식량생산 SDG 2 농업 생명 과학 기술 [12농업02-07]전세계적으로 활성화되고 있는 도시 농업의 목적, 기능 및 방법을 알아보고, 개인이 수행할 수 있는 도시 농업 실천 방안을 계획하고 수행한다. [11-3] 포용적이고 안전하며 복원력 있고 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천한다.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SDG 12 농업과 진로 [12농업03-01]농업의 영역에 따른 직업의 종류와 특성을 분석하고 농직업의 미래를 조망한다. [8-3] 행복한 삶 추구를 위한 진로인식, 진로개척, 진로효능감 증진을 이해하고 미래의 삶을 준비한다.   SDG 8 [12농업03-02]농직업을 선택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발표한다. [8-3] 행복한 삶 추구를 위한 진로인식, 진로개척, 진로효능감 증진을 이해하고 미래의 삶을 준비한다.   SDG 8 [12농업03-03]농직업 관련 자격증의 종류를 조사하고 이를 취득하기 위한 필요한 학습 내용을 조사한다. [8-3] 행복한 삶 추구를 위한 진로인식, 진로개척, 진로효능감 증진을 이해하고 미래의 삶을 준비한다.   SDG 8 농업과 진로 [12농업03-05]자신의 흥미, 적성, 능력을 조사하고 해석하여, 이에 맞는 진로를 설계한다. [8-3] 행복한 삶 추구를 위한 진로인식, 진로개척, 진로효능감 증진을 이해하고 미래의 삶을 준비한다.   SDG 8 공학 공학의 세계 [12공학02-10]에너지 공학의 원리를 이해하고 동향을 파악하며, 그 원리가 응용된 사례를 탐색하고 체험한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SDG 7 일반 공학과 진로 [12공학03-02]공학세계의 다양성과 비전에 대해 분석하고 자신의 흥미, 적성, 능력을 고려하여 진로를 탐색한다. [8-3] 행복한 삶 추구를 위한 진로인식, 진로개척, 진로효능감 증진을 이해하고 미래의 삶을 준비한다.   SDG 8 창의경영 직업 환경 변화와 창의적 사고 [12창의01-01]글로벌 사회 및 경제 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기업이 변화하는 시장 환경에 어떻게 적응할 수 있는지 추론한다. [1-2-1] 경제적 평등에 대해 이해하고 함께 살아가는 경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기업의 지속가능성 SDG 1 시장 경제 해양문화와 기술 해양의 이해 [12해양02-05]해양 생태계의 구성 요인에 대하여 조사하여 설명한다. [14-1] 대양, 바다 및 해양자원과 해양 생태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해양오염의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자연자원(물, 공기, 토양 등) SDG 14 생물다양성 해양 산업 [12해양03-01]미래 에너지 자원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종류와 개발 방법에 대하여 조사하고 특성 및 장단점을 설명한다. [7-3]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청정에너지의 중요성과 신재생에너지의 현재와 미래를 안다. 자연자원(물, 공기, 토양 등) SDG 7 에너지 [12해양03-02]해양 광물 자원의 종류와 특징을 알고, 이용 및 개발 방법을 열거하여 설명한다. [14-1] 대양, 바다 및 해양자원과 해양 생태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해양오염의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자연자원(물, 공기, 토양 등) SDG 14 생물다양성 해양 산업 [12해양03-03]해수 담수화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심층 해수의 개발 가치를 조사하여 발표한다. [14-3] 지속가능한 해양 생태계를 위한 올바른 해양자원의 활용과 해양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자연자원(물, 공기, 토양 등) SDG 14 생물다양성 [12해양03-04]해양생물 자원의 종류와 이용 방법을 열거하고 특징을 설명한다. [14-1] 대양, 바다 및 해양자원과 해양 생태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해양오염의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자연자원(물, 공기, 토양 등) SDG 14 생물다양성 해양 환경 보전 [12해양05-01]해양 환경 보전을 위한 체험과 봉사 활동 전개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직접 실천한다. [14-3] 지속가능한 해양 생태계를 위한 올바른 해양자원의 활용과 해양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자연자원(물, 공기, 토양 등) SDG 14 환경문제 [12해양05-02]해양 오염이 생태계와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과 피해를 조사하고, 해양 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14-2] 해양오염이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자연자원(물, 공기, 토양 등) SDG 14 [14-3] 지속가능한 해양 생태계를 위한 올바른 해양자원의 활용과 해양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환경문제 [12해양05-03]해양 오염의 발생 원인과 종류를 이해하고, 해양 오염이 생태계와 인류에게 미치는 피해 상황을 알아보고, 그 해결 방안을 모색한다. [14-2] 해양오염이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자연자원(물, 공기, 토양 등) SDG 14 [14-3] 지속가능한 해양 생태계를 위한 올바른 해양자원의 활용과 해양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환경문제 [12해양05-04]해양 오염 방지 대책을 이해하고, 해양 환경 보전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14-1] 대양, 바다 및 해양자원과 해양 생태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해양오염의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자연자원(물, 공기, 토양 등) SDG 14 환경문제 가정과학 인간 발달과 가족 [12가정-01-03]개인 및 가족의 발달 지원과 관련한 직업의 세계를 탐색하고 관련 분야에서 요구하는 능력을 길러 체계적으로 진로를 설계한다. [8-3] 행복한 삶 추구를 위한 진로인식, 진로개척, 진로효능감 증진을 이해하고 미래의 삶을 준비한다. 시민참여 SDG 8 [12가정-01-06]결혼 및 가족생활과 관련한 직업의 세계를 탐색하고 관련 분야에서 요구하는 능력을 길러 체계적으로 진로를 설계한다. [8-3] 행복한 삶 추구를 위한 진로인식, 진로개척, 진로효능감 증진을 이해하고 미래의 삶을 준비한다. 시민참여 SDG 8 자원 관리와 생활문화 [12가정-02-01]소비 시장의 동향과 소비자 구매 행동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여 책임 있는 소비생활 방안을 탐색하고 실천한다. [12-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생산과 소비에 대해 알고 실생활에 적용해 본다. 지소가능한 생산과 소비 SDG 12 [12가정-02-03]소비생활 및 가계 재무 관련 직업의 세계를 탐색하고 관련 분야에서 요구하는 능력을 길러 체계적으로 진로를 설계한다. [8-3] 행복한 삶 추구를 위한 진로인식, 진로개척, 진로효능감 증진을 이해하고 미래의 삶을 준비한다. 시민참여 SDG 8 [12가정-02-04]요리가 인류에게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여 식문화의 중요성과 동향을 분석한다. [2-1-1] 인간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의, 식, 주를 알아본다. 건강 SDG 2 [2-1-2] 인간의 삶에서 식량 문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지속가능한 식량생산 [12가정-02-07]식생활 관련 직업의 세계를 탐색하고 관련 분야에서 요구하는 능력을 길러 체계적으로 진로를 설계한다. [8-3] 행복한 삶 추구를 위한 진로인식, 진로개척, 진로효능감 증진을 이해하고 미래의 삶을 준비한다. 시민참여 SDG 8 자원 관리와 생활문화 [12가정-02-10]의생활 관련 직업의 세계를 탐색하고 관련 분야에서 요구하는 능력을 길러 체계적으로 진로를 설계한다. [8-3] 행복한 삶 추구를 위한 진로인식, 진로개척, 진로효능감 증진을 이해하고 미래의 삶을 준비한다. 시민참여 SDG 8 [12가정-02-13]주생활 관련 직업의 세계를 탐색하고 관련 분야에서 요구하는 능력을 길러 체계적으로 진로를 설계한다. [8-3] 행복한 삶 추구를 위한 진로인식, 진로개척, 진로효능감 증진을 이해하고 미래의 삶을 준비한다. 시민참여 SDG 8               고등학교 체육 건강 [12체육01-01]건강한 삶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생애 주기별 건강 관리(질병 예방, 영양 균형, 운동) 방법을 적용하여 건강 관리 계획을 수립하고 실천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SDG 3 교통 [12체육01-04]일상생활에서 규칙적인 운동을 통해 스스로 자신을 관리함으로써 건강을 유지・증진시킨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SDG 3 교통 안전 [12체육05-01]신체활동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안전사고의 유형을 탐색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며, 안전사고 상황을 판단하고 신속하게 대처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안전 SDG 3 [12체육05-02]돌연히 발생할 수 있는 심정지에 대비하기 위해 심폐소생술의 중요성과 원리를 이해하고 심폐소생술을 적용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안전 SDG 3 [12체육05-03]체육 활동의 안전사고 예방과 대처 방법을 이해하고 안전 관리를 실천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안전 SDG 3 운동과 건강 운동과 건강의 관계 [12운건01-01]생활 습관과 건강 관리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건강한 생활 습관 형성에 필요한 건강 관리 방법을 탐색한다. [3-1]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삶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건강 SDG 3 [12운건01-02]건강 유지・증진에 도움이 되는 여러 유형의 운동 특성과 효과를 비교, 분석하여 건강과 운동의 관계를 파악한다. [3-2]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삶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우리라는 타인과 공동체와의 관계를 이해한다. 건강 SDG 3 [12운건01-03]심신의 건강 유지 및 증진을 위한 방안으로 일상생활에서 지속적으로 운동에 참여하여 건강을 관리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SDG 3 운동과 건강 관리 [12운건02-02]운동 부족으로 인한 생활 습관병과 대사량의 개념에 근거하여 비만의 예방 및 관리에 필요한 운동 계획을 수립하고 지속적인 운동을 비만 관리에 적용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SDG 3 [12운건02-03]건강한 삶을 위한 체력의 중요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여러 체력 요소를 측정하여 평가하고 체력 관리를 위해 스스로 운동 계획을 수립하여 적용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SDG 3 체육탐구 체육과 진로 [12체탐03-01]체육 적성과 관련 역량을 이해하기 위해 체육 관련 흥미, 적성, 성격, 신체적 조건 등의 체육 직업 역량을 탐구하고 체육 적성에 대해 설명한다. [8-3] 행복한 삶 추구를 위한 진로인식, 진로개척, 진로효능감 증진을 이해하고 미래의 삶을 준비한다. 시민참여 SDG 8 [12체탐03-02]체육과 관련된 직업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고 체육 직업에 대한 자기 적성과의 관련성을 파악한다. [8-3] 행복한 삶 추구를 위한 진로인식, 진로개척, 진로효능감 증진을 이해하고 미래의 삶을 준비한다. 시민참여 SDG 8 [12체탐03-03]다양한 체육 관련 진로와 직업의 선택을 위해 필요한 관련 분야의 진로 정보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체육 진로를 탐색하는 데 적용한다. [8-3] 행복한 삶 추구를 위한 진로인식, 진로개척, 진로효능감 증진을 이해하고 미래의 삶을 준비한다. 시민참여 SDG 8 [12체탐03-04]자신의 적성에 적합한 체육 관련 진로 계획을 수립하여 진로에서 요구되는 조건이나 자격을 갖출 수 있도록 체육 진로를 설계하고 준비한다. [8-3] 행복한 삶 추구를 위한 진로인식, 진로개척, 진로효능감 증진을 이해하고 미래의 삶을 준비한다. 시민참여 SDG 8               고등학교 음악 생활화 [12음03-02]음악과 관련된 직업에 대해 조사하여 발표한다. [8-3] 행복한 삶 추구를 위한 진로인식, 진로개척, 진로효능감 증진을 이해하고 미래의 삶을 준비한다. 시민참여 SDG 8               고등학교 미술 체험 [12미01-04]다양한 직업에서 미술의 활용 사례를 찾아 자신의 진로와 연계할 수 있다. [8-3] 행복한 삶 추구를 위한 진로인식, 진로개척, 진로효능감 증진을 이해하고 미래의 삶을 준비한다. 시민참여 SDG 8 고등학교 보건 건강 증진 [12보01-01]건강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비교하여 건강에 대한 총체적 개념을 이해하고, 다양한 건강 영향 요인과 관련지어 가족・지역 사회 등 공동체의 건강 증진 방안을 제시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SDG 3 [12보01-02]지역 사회, 국가 수준에서 활용되는 건강 지표의 의미를 해석하고, 건강 관리 측면에서 수준별 건강 지표를 비교・분석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SDG 3 생활 주기 [12보02-01]생애 주기별 건강 요구 및 지지 요인과 장애 요인을 탐색하여 개인, 가족, 사회 수준의 생애 주기별 건강 증진 전략을 제시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SDG 3 질병 예방 [12보03-01]비만, 암 등 주요 만성 질환에 대해 탐색하고, 예방・관리를 위한 개인・사회적 방안을 제시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SDG 3 [12보03-02]신체 기관별 주요 질병의 발생 기전을 이해하고, 질병 예방・관리를 위한 신체 기관별 건강 관리 방법을 제시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SDG 3 질병 예방 [12보03-03]감염병 발생 기전 및 증상을 탐색하고, 감염병의 예방과 관리를 위한 병문안 예절 등 개인적, 사회적 대처 방안을 제안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SDG 3 약물∙담배∙술 [12보04-01]약물 오・남용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의약품의 안전한 사용법을 제시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SDG 3 약물∙담배∙술 [12보04-02]흡연・음주의 폐해와 위험 요인을 조사하고 흡연・음주 예방 및 대처 방법을 옹호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SDG 3 정서∙정신 건강 [12보06-03]자살을 유발하는 개인・사회적 위험 요인과 관련지어 개인・사회적 대처 방안을 제시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SDG 3 [12보06-04]정신 건강 문제에 대한 편견이 개인・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정신 건강 증진 및 편견 해소 방안을 고안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SDG 3 건강 생활 기술 [12보07-01]흡연・음주, 일탈 등 건강을 위협하는 다양한 상황 속에서 건강 증진을 위한 협상, 거절, 갈등 관리 등 적절하고 효과적인 의사소통 기술을 선택하여 적용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SDG 3 건강 생활 기술 [12보07-03]국가적, 국제적 수준에서 직면한 건강 문제를 탐색하고, 건강 정보・자원의 활용과 관련지어 건강 증진 옹호 활동에 참여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SDG 3 생활과 안전 [12보08-01]건강과 안전을 위협하는 인적・물리적・사회적 영향 요인 등을 평가하고, 개인・공동체・국가 수준의 안전사고 예방과 안전 문화 정착을 위한 방안을 토론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안전 SDG 3 건강 [12보08-02]차별, 학대, 폭력이 건강과 안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법 및 정책과 관련지어 공동체・국가 수준의 개선 방안을 제시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안전 SDG 3 건강 [12보08-03]근로 조건, 작업 환경 등과 직업병의 관계를 이해하고, 주요 직업병의 현황 및 문제점을 조사하여 직업병의 예방법과 발생 시 대처 방안을 제시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안전 SDG 3 건강 건강권과 건강 자원 [12보10-01]헌법, 학교보건법, UN 아동권리협약 등 건강과 안전에 대한 법적 권리를 이해하고 국가 및 국제 차원에서의 건강・안전권 보호 제도와 구제 절차를 평가한다. [16-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법과 제도의 정비와 그 나아갈 방향에 대해 알아본다. 인권 SDG 16 건강 거버넌스 국제적 책임 건강권과 건강 자원 [12보10-02]건강 및 안전 정보 매체의 종류와 특성을 이해하고, 건강 및 안전 자원을 탐색하여 사회권으로서의 건강권을 평가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안전 SDG 3 건강 [12보10-04]조류인플루엔자(avian influenza), 신종인플루엔자, 중동호흡기증후군 등 공동체 건강 문제가 사회적 쟁점화가 되는 사례와 관련지어 건강 정책 수립 시 집단 간의 관점 조정을 위한 이익 단체, 시민 단체, 언론, 전문가, 일반 시민 등 다양한 집단의 기능과 역할을 제시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안전 SDG 3 건강               고등학교 환경 환경과 인간 [12환경01-01]자연, 생태, 환경의 개념을 비교하여 구분하고, 환경위기와 지속가능발전의 시대에 적합한 환경 개념을 정의한다. [17-1] 양질을 삶과 행복을 추구하기 위해 필요한 지속가능발전의 의미를 이해한다. 환경문제 SDG 17 [12환경01-04]환경 문제와 관련하여 현 세대는 미래 세대를 배려해야 함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 및 근거를 제시한다. [9-2] 환경문제 등 지금까지의 산업화 현상과 과정에 대해 이해하여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산업화 과정을 알아본다. 환경문제 SDG 9 [12환경01-06]환경 체험을 통해 자신이 살고 있는 지역의 자연적, 역사적, 문화적 특징을 이해하고 자신과 지역의 관계를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한다. [11-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지속가능 마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SDG 11 환경의 체계 [12환경02-04]물질 순환과 에너지 흐름이라는 측면에서 생태계를 정의하고, 훼손된 생태계가 회복된 사례를 분석하여 안정성, 다양성, 창발성, 되먹임, 수용능력 등 생태계의 특성을 이해한다. [15-3] 지속가능한 육상 생태계를 위한 생물 종 다양성 보존, 올바른 토양자원의 활용과 육상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생물다양성 SDG 15 에너지 [12환경02-05]생태계를 구성하는 물, 대기, 토양, 생물 요소의 특성을 조사하고, 인간의 건강과 생존이라는 관점에서 생태계 구성요소의 중요성을 설명한다. [15-1] 땅, 산림, 습지, 산, 건조지 등 육상 생태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육상오염의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건강 SDG 15 생물다양성 자연자원(물, 공기, 토양 등) 환경의 체계 [12환경02-06]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생태계보전지역의 목록을 조사하고, 생태계의 종류를 육상생태계, 습지생태계, 수생생태계로 나누어 특성과 변화 양상을 비교한다. [15-1] 땅, 산림, 습지, 산, 건조지 등 육상 생태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육상오염의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생물다양성 SDG 15 [12환경02-08]일상생활에서 이용하는 상품을 대상으로 생산-유통-소비-폐기의 전체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 문제를 분석하고, 대량소비사회에서 발생하는 환경 문제를 예방하고 억제하기 위해 바람직한 시장의 역할과 경제 체계를 토의한다. [9-2] 환경문제 등 지금까지의 산업화 현상과 과정에 대해 이해하여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산업화 과정을 알아본다. 환경문제 SDG 9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12환경02-10]대표적인 환경재난 사건을 환경정의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위험사회에서 사회경제적 약자들이 더 많은 환경적 위험을 겪지 않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10-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국가 내, 국가 간 불평등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을 모색하고 실천한다. 사회정의 SDG 10 환경문제 [12환경02-12]물의 특성과 이용, 물의 생태・경제・사회적 가치, 물 환경 문제와 보전활동 현황을 탐색하고, 물을 매개로 생태계와 사회체계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이를 표현한다. [6-3]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물 오염 방지 대책 실천 및 관리를 이행한다. 환경문제 SDG 6 자연자원(물, 공기, 토양 등) 생물다양성 환경의 체계 [12환경02-13]토양의 특성과 이용, 토양의 생태・경제・사회적 가치, 토양 환경 문제와 보전활동 현황을 탐색하고, 토양을 매개로 하는 생태계와 사회체계 간의 상호작용을 이해하고 이를 표현한다. [15-3] 지속가능한 육상 생태계를 위한 생물 종 다양성 보존, 올바른 토양자원의 활용과 육상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환경문제 SDG 15 자연자원(물, 공기, 토양 등) 생물다양성 환경 탐구 [12환경03-03]국・내외의 대표적인 기후 변화 및 에너지 관련 환경 사건 및 사례를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측면에서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그 의미와 시사점을 발견한다. [12-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생산과 소비에 대해 알고 실생활에 적용해 본다. 기후변화 SDG 13 [12환경03-06]교통과 관련된 환경 주제 및 쟁점을 살펴보고, 개인적 및 사회적 차원의 해결 방안을 모색하여 실행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교통 SDG 3 건강 [12환경03-07]소비와 관련된 환경 주제 및 쟁점을 살펴보고, 이것이 자신의 생활에서 갖는 의미에 대해 토론함으로써 개인적 및 사회적 차원의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 [12-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생산과 소비에 대해 알고 실생활에 적용해 본다.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SDG 12 [12환경03-08]지역적, 국가적, 지구적 차원의 다양한 환경 쟁점과 사례를 탐색하고, 활동 여건을 고려하여 주제를 설정한다. [17-2]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필요한 개인, 국가 등 다양한 관계에서의 협력 방안에 대해 알아본다. 국제적 책임 SDG 17 기업의 지속가능성 지속가능한 사회 [12환경04-01]지속가능발전의 다중적인 의미를 파악하고, 높은 수준의 지속가능성을 갖추었다고 평가되는 지역이나 도시의 사례를 조사하여 우리 지역의 지속가능한 사회체계를 모색한다. [17-2]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필요한 개인, 국가 등 다양한 관계에서의 협력 방안에 대해 알아본다.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SDG 17 [12환경04-02]지속가능한 삶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과학기술의 양면성을 발견하고,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과학기술의 활용 방안, 적정기술의 역할과 조건에 대해 토론한다. [17-2]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필요한 개인, 국가 등 다양한 관계에서의 협력 방안에 대해 알아본다. 소양(매체, ICT) SDG 17 [12환경04-03]환경 재난과 위험에 대응하기 위한 정부와 시민 사회의 노력을 조사하고, 재난별 안전 수칙을 숙지하며, 우리 지역의 환경 재난과 위험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토의한다. [17-2]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필요한 개인, 국가 등 다양한 관계에서의 협력 방안에 대해 알아본다. 안전 SDG 17 재해예방과 감소 [12환경04-04]음식, 주거, 교통, 소비 등의 측면에서 지속가능한 삶의 양식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비교하고, 자신의 견해를 제시한다. [17-2]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필요한 개인, 국가 등 다양한 관계에서의 협력 방안에 대해 알아본다.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SDG 17 교통 지속가능한 사회 [12환경04-05]자신의 진로와 관련지어 녹색 산업 및 일자리의 특징과 지향점을 이해하고, 환경 관련 실천 사항을 제시한다. [8-3] 행복한 삶 추구를 위한 진로인식, 진로개척, 진로효능감 증진을 이해하고 미래의 삶을 준비한다. 시민참여 SDG 17 [12환경04-06]지속가능한 사회와 개인의 삶이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이해하고, 환경정의와 형평성의 측면에서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드는 다양한 활동에 참여한다. [17-3] 전지구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지속가능발전목표)을 찾아 실천한다. 사회정의 SDG 17               고등학교 실용경제 개인과 국가의 경제생활 [12실경01-01]경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비용 편익 분석 등을 이용해서 합리적으로 선택하는 방안을 사례를 가지고 설명하고 이 원리를 실제 생활에 적용한다. [1-1] 우리의 삶에서 경제생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시장경제 SDG 1 [12실경01-02]경제 주체 사이의 상호 의존적인 경제생활을 파악하고 최저 임금 정책, 정부의 조세와 재정 지출 등이 개인의 경제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한다. [1-1] 우리의 삶에서 경제생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시장경제 SDG 1 [12실경01-03]개방 경제에서 무역의 중요성을 조사하고 금리, 물가, 환율 등 경제 지표의 변화가 개인의 경제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사례 조사를 통해 탐구한다. [1-1] 우리의 삶에서 경제생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시장경제 SDG 1 소득과 소비 [12실경02-02]합리적 소비를 위한 의사 결정 방법을 탐구하고 정보 활용 및 분석을 통해 전자 상거래 이용 등 다양한 소비 경로의 장단점을 평가한다. [12-1] 삶을 영위하기 위한 생산과 소비에 대해 알아본다.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SDG 12 [12실경02-03]소비자의 권리와 책임을 탐구하고 사례 분석을 통해 소비자 피해의 문제점을 도출하며 그 해결 방안과 소비자 보호 제도를 제시한다. [12-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생산과 소비에 대해 알고 실생활에 적용해 본다.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SDG 12 ##@@## ..SHEET:1 초등, 중등, 고등 콘텐츠 맵(아래의 학년 클릭) 초등 중등 고등 콘텐츠 맵 개요 ..SHEET:2 학년 과목 단원 교육과정 성취기준 초등 SDGs-ESD 성취기준 ESD 내용 요소 관련 수업모델 초등 3 • 4 사회 (1) 우리가 살아가는 곳 <우리 고장의 모습> [4사01-01]우리 마을 또는 고장의 모습을 자유롭게 그려 보고, 서로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 고장에 대한 서로 다른 장소감을 탐색한다. [11-3]포용적이고 안전하며 복원력 있고 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천한다. -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초등 SDG 11 [4사01-02]디지털 영상 지도 등을 활용하여 주요 지형지물들의 위치를 파악하고, 백지도에 다시 배치하는 활동을 통하여 마을 또는 고장의 실제 모습을 익힌다. [11-3]포용적이고 안전하며 복원력 있고 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천한다. -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초등 SDG 11 (1) 우리가 살아가는 곳 <우리가 알아보는 고장 이야기> [4사01-03]고장과 관련된 옛이야기를 통하여 고장의 역사적인 유래와 특징을 설명한다. [11-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지속가능 마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초등 SDG 11 [4사01-04]고장에 전해 내려오는 대표적인 문화유산을 살펴보고 고장에 대한 자긍심을 기른다. [11-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지속가능 마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초등 SDG 11 (1) 우리가 살아가는 곳 <교통과 통신수단의 변화> [4사01-05]옛날과 오늘날의 교통수단에 관한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교통수단의 발달에 따른 생활 모습의 변화를 설명한다. [3-1]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삶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 건강, 교통 초등 SDG 3 [3-2]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삶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우리라는 타인과 공동체와의 관계를 이해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4사01-06]옛날과 오늘날의 통신수단에 관한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통신수단의 발달에 따른 생활 모습의 변화를 설명한다. [3-1]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삶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 건강, 교통 초등 SDG 3 [3-2]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삶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우리라는 타인과 공동체와의 관계를 이해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2) 우리가 살아가는 모습 <환경에 따라 다른 삶의 모습> [4사02-01]우리 고장의 지리적 특성을 조사하고, 이것이 고장 사람들의 생활 모습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11-2] 도시와 농촌, 어촌에 모습과 현황, 문제를 이해하여 모두가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정주를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초등 SDG 11 [4사02-02]우리 고장과 다른 고장 사람들의 의식주 생활 모습을 비교하여, 환경의 차이에 따른 생활 모습의 다양성을 탐구한다. [11-3] 포용적이고 안전하며 복원력 있고 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천한다. -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초등 SDG 11 - 자연자원 -환경문제 (2) 우리가 살아가는 모습 <시대마다 다른 삶의 모습> [4사02-03]옛 사람들의 생활 도구나 주거 형태를 알아보고, 오늘날의 생활 모습과 비교하여 그 변화상을 탐색한다. [9-2] 환경문제 등 지금까지의 산업화 현상과 과정에 대해 이해하여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산업화 과정을 알아본다. - 건강 초등 SDG 9 - 자연자원 [4사02-04]옛날의 세시 풍속을 알아보고, 오늘날의 변화상을 탐색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한다. [9-2] 환경문제 등 지금까지의 산업화 현상과 과정에 대해 이해하여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산업화 과정을 알아본다. - 환경문제 초등 SDG 9 -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2) 우리가 살아가는 모습 <가족의 모습과 역할 변화> [4사02-05]옛날과 오늘날의 혼인 풍습과 가족 구성을 비교하고, 시대별 가족의 모습과 가족 구성원의 역할 변화를 탐색한다. [5-1-2]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모든 곳에서 모든 여성과 소녀에 대한 모든 형태의 차별 종식의 필요성과 개념에 대해 이해한다. - 인권 초등 SDG 5 [10-1] 나이, 성, 장애, 인종, 민족, 출신, 종교, 경제 수준 등 다양한 영역별 국가 내 불평등 문제에 대해 이해한다. - 평화 초등 SDG 10 - 사회정의 - 문화다양성 - 생물다양성 [4사02-06]현대의 여러 가지 가족 형태를 조사하여 가족의 다양한 삶의 모습을 존중하는 태도를 기른다. [10-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국가 내, 국가 간 불평등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을 모색하고 실천한다. - 문화다양성 초등 SDG 10 - 생물다양성 (3) 우리 지역의 어제와 오늘 <지역의 위치와 특성> [4사03-01]지도의 기본 요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우리 지역 지도에 나타난 지리 정보를 실제 생활에 활용한다. [11-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지속가능 마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초등 SDG 11 [4사03-02]고장 사람들의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지역의 다양한 중심지(행정, 교통, 상업, 산업, 관광 등)를 조사하고, 각 중심지의 위치, 기능, 경관의 특성을 탐색한다. [11-3] 포용적이고 안전하며 복원력 있고 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천한다. - 자연자원 초등 SDG 11 -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3) 우리 지역의 어제와 오늘 <우리가 알아보는 지역의 역사> [4사03-03]우리 지역을 대표하는 유・무형의 문화유산을 알아보고, 지역의 문화유산을 소중히 여기는 태도를 갖는다. [11-3] 포용적이고 안전하며 복원력 있고 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천한다. 자연자원 초등 SDG 11 -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4사03-04]우리 지역과 관련된 역사적 인물의 삶을 알아보고, 지역의 역사에 대해 자부심을 갖는다. [11-3] 포용적이고 안전하며 복원력 있고 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천한다. 자연자원 초등 SDG 11 -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3) 우리 지역의 어제와 오늘 <지역의 공공기관과 주민 참여> [4사03-05]우리 지역에 있는 공공 기관의 종류와 역할을 조사하고, 공공 기관이 지역 주민들의 생활에 주는 도움을 탐색한다. [11-2] 도시와 농촌, 어촌에 모습과 현황, 문제를 이해하여 모두가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정주를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건강 초등 SDG 11 [4사03-06]주민 참여를 통해 지역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을 살펴보고, 지역 문제의 해결에 참여하는 태도를 기른다. [16-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법과 제도의 정비와 그 나아갈 방향에 대해 알아본다. -시민참여 초등 SDG 16 (4) 다양한 삶의 모습과 변화 <촌락과 도시의 생활 모습> [4사04-01]촌락과 도시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하고, 각각에서 나타나는 문제점과 해결 방안을 탐색한다. [11-2] 도시와 농촌, 어촌에 모습과 현황, 문제를 이해하여 모두가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정주를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초등 SDG 11 [4사04-02]촌락과 도시 사이에 이루어지는 다양한 교류를 조사하고, 이들 사이의 상호 의존 관계를 탐구한다. [11-2] 도시와 농촌, 어촌에 모습과 현황, 문제를 이해하여 모두가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정주를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초등 SDG 11 (4) 다양한 삶의 모습과 변화 <필요한 것의 생산과 교환> [4사04-03]자원의 희소성으로 경제활동에서 선택의 문제가 발생함을 파악하고, 시장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생산, 소비 등 경제활동을 설명한다. [12-1] 삶을 영위하기 위한 생산과 소비에 대해 알아본다. - 자연자원 초등 SDG 12 - 에너지 -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4사04-04]우리 지역과 다른 지역의 물자 교환 및 교류 사례를 조사하여, 지역 간 경제활동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음을 탐구한다. [12-1] 삶을 영위하기 위한 생산과 소비에 대해 알아본다. -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초등 SDG 12 - 지속가능한 식량생산 - 시장경제 (4) 다양한 삶의 모습과 변화 <사회의 변화와 문화 다양성> [4사04-05]사회 변화(저출산・고령화, 정보화, 세계화 등)로 나타난 일상생활의 모습을 조사하고, 그 특징을 분석한다. [17-1] 양질을 삶과 행복을 추구하기 위해 필요한 지속가능발전의 의미를 이해한다. - 문화다양성 초등 SDG 17 - 소양(매체, ICT) [4사04-06]우리 사회에 다양한 문화가 확산되면서 생기는 문제(편견, 차별 등)및 해결 방안을 탐구하고, 다른 문화를 존중하는 태도를 기른다. [10-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국가 내, 국가 간 불평등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을 모색하고 실천한다. - 문화다양성 초등 SDG 10 - 평화 - 양성평등 초등 5 • 6 (1) 국토와 우리 생활 <국토의 위치와 영역> [6사01-01]우리나라의 위치와 영역이 지니는 특성을 설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국토 사랑의 태도를 기른다. [11-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지속가능 마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 평화 초등 SDG 11 -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6사01-02]우리 국토를 구분하는 기준들을 살펴보고, 시・도 단위 행정구역 및 주요 도시들의 위치 특성을 파악한다. [11-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지속가능 마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초등 SDG 11 (1) 국토와 우리 생활 <국토와 자연환경> [6사01-03]우리나라의 기후 환경 및 지형 환경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탐구한다. [13-1] 기후변화의 현황과 의미에 대해 이해한다. - 기후변화 초등 SDG 13 - 환경문제 [6사01-04]우리나라 자연재해의 종류 및 대책을 탐색하고, 그와 관련된 생활 안전 수칙을 실천하는 태도를 지닌다. [13-3] 기후변화 완화, 적응, 영향 감축 및 조기 경보 등 기후변화를 대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 기후변화 초등 SDG 13 - 환경문제 (1) 국토와 우리 생활 <국토의 인문환경> [6사01-05]우리나라의 인구 분포 및 구조에서 나타난 변화와 도시 발달 과정에서 나타난 특징을 탐구한다. [11-3] 포용적이고 안전하며 복원력 있고 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천한다. - 인권 초등 SDG 11 - 평화 - 사회정의 - 건강 [6사01-06]우리나라의 산업구조의 변화와 교통 발달 과정에서 나타난 특징을 탐구한다. [9-1] 우리나라와 전 세계의 산업화 현상과 진행에 대해 이해한다. - 기업의 지속가능성 초등 SDG 9 -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 시장경제 - 소양(매체, ICT) (2) 인권 존중과 정의로운 사회 <인권을 존중하는 삶> [6사02-01]인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인권 신장을 위해 노력했던 옛 사람들의 활동을 탐구한다. [5-1-2]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모든 곳에서 모든 여성과 소녀에 대한 모든 형태의 차별 종식의 필요성과 개념에 대해 이해한다. - 인권 초등 SDG 5 - 평화 - 안전 - 사회정의 [6사02-02]생활 속에서 인권 보장이 필요한 사례를 탐구하여 인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인권 보호를 실천하는 태도를 기른다. [5-2-1]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양성평등 실천방안을 모색한다. - 인권 초등 SDG 5 [5-2-2] 모든 수준, 모든 곳에서의 양성평등 및 모든 여성과 소녀의 권익 신장을 증진하기 위한 건전한 실천방안을 찾아 실생활에서 실천한다. - 평화 - 안전 - 사회정의 (2) 인권 존중과 정의로운 사회 <인권 보장과 헌법> [6사02-03]인권 보장 측면에서 헌법의 의미와 역할을 탐구하고, 그 중요성을 설명한다. [5-2-1]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양성평등 실천방안을 모색한다. - 인권 초등 SDG 5 [5-2-2] 모든 수준, 모든 곳에서의 양성평등 및 모든 여성과 소녀의 권익 신장을 증진하기 위한 건전한 실천방안을 찾아 실생활에서 실천한다. - 평화 [16-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법과 제도의 정비와 그 나아갈 방향에 대해 알아본다. - 안전 - 사회정의 - 거버넌스 [6사02-04]헌법에서 규정하는 기본권과 의무가 일상생활에 적용된 사례를 조사하고, 권리와 의무의 조화를 추구하는 자세를 기른다. [16-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법과 제도의 정비와 그 나아갈 방향에 대해 알아본다. - 인권 초등 SDG 16 - 평화 - 안전 - 사회정의 - 거버넌스 - 시민참여 (2) 인권 존중과 정의로운 사회 <법의 의미와 역할> [6사02-05]우리 생활 속에서 법이 적용되는 다양한 사례를 제시하고, 법의 의미와 성격을 설명한다. [16-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법과 제도의 정비와 그 나아갈 방향에 대해 알아본다. - 인권 초등 SDG 16 - 평화 - 안전 - 사회정의 - 거버넌스 - 시민참여 [6사02-06]법의 역할을 권리 보호와 질서 유지의 측면에서 설명하고, 법을 준수하는 태도를 기른다. [16-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법과 제도의 정비와 그 나아갈 방향에 대해 알아본다. - 인권 초등 SDG 16 - 평화 - 안전 - 사회정의 - 거버넌스 - 시민참여 (3) 옛 사람들의 삶과 문화 <나라의 등장과 발전> [6사03-01]고조선의 등장과 관련된 건국 이야기를 살펴보고, 고대 시기 나라의 발전에 기여한 인물(근초고왕, 광개토대왕, 김유신과 김춘추, 대조영 등)의 활동을 통하여 여러 나라가 성장하는 모습을 탐색한다. [11-3] 포용적이고 안전하며 복원력 있고 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천한다. -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초등 SDG 11 [12-1] 삶을 영위하기 위한 생산과 소비에 대해 알아본다. 초등 SDG 12 [6사03-02]불국사와 석굴암, 미륵사 등 대표적인 문화유산을 통하여 고대 사람들이 이룩한 문화의 우수성을 탐색한다. [11-3] 포용적이고 안전하며 복원력 있고 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천한다. -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초등 SDG 11 [12-1] 삶을 영위하기 위한 생산과 소비에 대해 알아본다. 초등 SDG 12 (3) 옛 사람들의 삶과 문화 <독창적 문화를 발전시킨 고려> [6사03-03]고려를 세우고 외침을 막는 데 힘쓴 인물(왕건, 서희, 강감찬 등)의 업적을 통하여 고려의 개창과 외침 극복 과정을 탐색한다. [11-3] 포용적이고 안전하며 복원력 있고 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천한다. - 시민참여 초등 SDG 11 [6사03-04]고려청자와 금속 활자, 팔만대장경 등의 문화유산을 통하여 고려 시대 과학 기술과 문화의 우수성을 탐색한다. [11-3] 포용적이고 안전하며 복원력 있고 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천한다. - 문화다양성 초등 SDG 11 [12-1] 삶을 영위하기 위한 생산과 소비에 대해 알아본다. 초등 SDG 12 (3) 옛 사람들의 삶과 문화 <민족 문화를 지켜 나간 조선> [6사03-05]조선을 세우거나 문화 발전에 기여한 인물(이성계, 세종대왕, 신사임당 등)의 업적을 통해 조선 전기 정치와 민족문화의 발전상을 탐색한다. [11-3] 포용적이고 안전하며 복원력 있고 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천한다. - 문화다양성 초등 SDG 11 [12-1] 삶을 영위하기 위한 생산과 소비에 대해 알아본다. 초등 SDG 12 [6사03-06]대표적인 유적지(행주산성, 남한산성 등)와 인물들(이순신과 곽재우, 김상헌과 최명길 등)의 활동을 통하여 임진왜란, 병자호란 등과 같은 국가적 위기의 극복 과정을 탐색한다. [11-3] 포용적이고 안전하며 복원력 있고 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천한다. - 자연자원 초등 SDG 11 [12-1] 삶을 영위하기 위한 생산과 소비에 대해 알아본다. 초등 SDG 12 (4)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 <새로운 사회를 향한 움직임> [6사04-01]영・정조 시기의 개혁 정치와 서민 문화의 발달을 중심으로 조선 후기 사회와 문화의 변화 모습을 탐색한다. [17-1] 양질을 삶과 행복을 추구하기 위해 필요한 지속가능발전의 의미를 이해한다. - 문화다양성 초등 SDG 17 [6사04-02]조선 사회의 모순을 극복하기 위해 개혁을 시도한 인물(정약용, 흥선 대원군, 김옥균과 전봉준 등)의 활동을 중심으로 사회 변화를 위한 옛 사람들의 노력을 탐색한다. [17-1] 양질을 삶과 행복을 추구하기 위해 필요한 지속가능발전의 의미를 이해한다. - 시민참여 초등 SDG 17 - 거버넌스 - 양성평등 (4)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 <일제의 침략과 광복을 위한 노력> [6사04-03]일제의 침략에 맞서 나라를 지키고자 노력한 인물(명성황후, 안중근, 신돌석 등)의 활동에 대해 조사한다. [17-2]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필요한 개인, 국가 등 다양한 관계에서의 협력 방안에 대해 알아본다. - 인권 초등 SDG 17 - 평화 - 통일 - 사회정의 - 시민참여 [6사04-04]광복을 위하여 힘쓴 인물(이회영, 김구, 유관순, 신채호 등)의 활동을 파악하고, 나라를 되찾기 위한 노력을 소중히 여기는 태도를 기른다. [17-2]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필요한 개인, 국가 등 다양한 관계에서의 협력 방안에 대해 알아본다. - 인권 초등 SDG 17 - 평화 - 통일 - 사회정의 - 시민참여 (4)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 <대한민국의 수립과 6.25 전쟁> [6사04-05]광복 이후 대한민국의 수립 과정을 살펴보고, 대한민국 수립의 의의를 파악한다. [17-2]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필요한 개인, 국가 등 다양한 관계에서의 협력 방안에 대해 알아본다. - 거버넌스 초등 SDG 17 - 인권 - 평화 - 통일 - 시민참여 [6사04-06]6.25 전쟁의 원인과 과정을 이해하고, 그 피해상과 영향을 탐구한다. [17-2]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필요한 개인, 국가 등 다양한 관계에서의 협력 방안에 대해 알아본다. - 인권 초등 SDG 17 - 평화 - 사회정의 (5) 우리나라의 정치 발전 <자유민주주의의 발전과 시민 참여> [6사05-01]4.19 혁명, 5.18 민주화 운동, 6월 민주 항쟁 등을 통해 자유민주주의가 발전해 온 과정을 파악한다. [17-3] 전지구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지속가능발전초등 SDG)을 찾아 실천한다. - 거버넌스 초등 SDG 17 - 인권 - 평화 - 사회정의 - 시민참여 [6사05-02]광복 이후 시민의 정치 참여 활동이 확대되는 과정을 중심으로 오늘날 우리 사회의 발전상을 살펴본다. [17-3] 전지구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지속가능발전초등 SDG)을 찾아 실천한다. - 거버넌스 초등 SDG 17 - 인권 - 평화 - 사회정의 - 시민참여 (5) 우리나라의 정치 발전 <일상생활과 민주주의> [6사05-03]일상생활에서 경험하는 민주주의 실천 사례를 탐구하여 민주주의의 의미와 중요성을 파악하고, 생활 속에서 민주주의를 실천하는 태도를 기른다. [16-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법과 제도의 정비와 그 나아갈 방향에 대해 알아본다. - 거버넌스 초등 SDG 16 [17-3] 전지구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지속가능발전초등 SDG)을 찾아 실천한다. - 인권 초등 SDG 17 - 평화 - 사회정의 - 시민참여 [6사05-04]민주적 의사 결정 원리(다수결, 대화와 타협, 소수 의견 존중 등)의 의미와 필요성을 이해하고, 이를 실제 생활 속에서 실천하는 자세를 지닌다. [16-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법과 제도의 정비와 그 나아갈 방향에 대해 알아본다. - 거버넌스 초등 SDG 16 [17-3] 전지구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지속가능발전초등 SDG)을 찾아 실천한다. - 인권 초등 SDG 17 - 평화 - 사회정의 - 시민참여 (5) 우리나라의 정치 발전 <민주정치의 원리와 국가기관의 역할> [6사05-05]민주정치의 기본 원리(국민 주권, 권력 분립 등)를 이해하고, 그것이 적용된 다양한 사례를 탐구한다. [16-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법과 제도의 정비와 그 나아갈 방향에 대해 알아본다. - 거버넌스 초등 SDG 16 [17-3] 전지구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지속가능발전초등 SDG)을 찾아 실천한다. - 인권 초등 SDG 17 - 평화 - 사회정의 - 시민참여 [6사05-06]국회, 행정부, 법원의 기능을 이해하고, 그것이 국민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다양한 사례를 통해 탐구한다. [16-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법과 제도의 정비와 그 나아갈 방향에 대해 알아본다. - 거버넌스 초등 SDG 16 [17-3] 전지구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지속가능발전초등 SDG)을 찾아 실천한다. - 인권 초등 SDG 17 - 평화 - 사회정의 - 시민참여 (6) 우리나라의 경제 발전 <경제주체의 역할과 우리나라 경제체제의 특징> [6사06-01]다양한 경제활동 사례를 통해 가계와 기업의 경제적 역할을 파악하고, 가계와 기업의 합리적 선택 방법을 탐색한다. [12-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생산과 소비에 대해 알고 실생활에 적용해 본다. -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초등 SDG 12 - 기업의 지속가능성 - 시장경제 [6사06-02]여러 경제활동의 사례를 통하여 자유경쟁과 경제 정의의 조화를 추구하는 우리나라 경제체제의 특징을 설명한다. [12-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생산과 소비에 대해 알고 실생활에 적용해 본다. -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초등 SDG 12 - 기업의 지속가능성 - 시장경제 - 빈부격차 완화 (6) 우리나라의 경제 발전 <경제생활의 변화와 우리나라 경제의 성장> [6사06-03]농업 중심 경제에서 공업・서비스업 중심 경제로 변화하는 모습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경제성장 과정을 파악한다. [12-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생산과 소비에 대해 알고 실생활에 적용해 본다. -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초등 SDG 12 - 기업의 지속가능성 - 시장경제 - 빈부격차 완화 [6사06-04]광복 이후 경제성장 과정에서 우리 사회가 겪은 사회 변동의 특징과 다양한 문제를 살펴보고, 더 나은 사회를 만들기 위하여 해결해야 할 과제를 탐구한다. [12-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생산과 소비에 대해 알고 실생활에 적용해 본다. -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초등 SDG 12 - 기업의 지속가능성 - 시장경제 - 빈부격차 완화 - 사회정의 (6) 우리나라의 경제 발전 <세계 속의 우리나라 경제> [6사06-05]세계 여러 나라와의 경제 교류 활동으로 나타난 우리 경제생활의 변화 모습을 탐구한다. [1-3-1] 국가 간 비교 우위에 따른 특화와 교역이 발생하며, 외환 시장에서 환율이 결정된다. 이에 따른 국가의 계층화 문제를 이해한다. - 세계화 초등 SDG 1 [1-3-2] 국가 간 경제적 평등에 대해 이해하고 상생의 경제생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초등 SDG 12 [12-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생산과 소비에 대해 알고 실생활에 적용해 본다. - 기업의 지속가능성 - 시장경제 - 빈부격차 완화 - 국제적 책임 [6사06-06]다양한 경제 교류 사례를 통해 우리나라 경제가 다른 나라와 상호 의존 및 경쟁 관계에 있음을 파악한다. [1-3-1] 국가 간 비교 우위에 따른 특화와 교역이 발생하며, 외환 시장에서 환율이 결정된다. 이에 따른 국가의 계층화 문제를 이해한다. - 세계화 초등 SDG 1 [1-3-2] 국가 간 경제적 평등에 대해 이해하고 상생의 경제생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초등 SDG 12 [12-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생산과 소비에 대해 알고 실생활에 적용해 본다. - 기업의 지속가능성 - 시장경제 - 빈부격차 완화 - 국제적 책임 (7) 세계의 여러 나라들 <지구, 대륙 그리고 국가들> [6사07-01]세계지도, 지구본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공간 자료에 대한 기초적인 내용과 활용 방법을 알고, 이를 실제 생활에 활용한다. [11-3] 포용적이고 안전하며 복원력 있고 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천한다. - 세계화 초등 SDG 11 - 자연자원 -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6사07-02]여러 시각 및 공간 자료를 활용하여 세계 주요 대륙과 대양의 위치 및 범위, 대륙별 주요 나라의 위치와 영토의 특징을 탐색한다. [11-3] 포용적이고 안전하며 복원력 있고 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천한다. - 세계화 초등 SDG 11 - 자연자원 -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7) 세계의 여러 나라들 <세계의 다양한 삶의 모습> [6사07-03]세계 주요 기후의 분포와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기후 환경과 인간 생활 간의 관계를 탐색한다. [13-2] 기후변화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 기후변화 초등 SDG 13 - 환경문제 - 국제적 책임 [6사07-04]의식주 생활에 특색이 있는 나라나 지역의 사례를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인간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자연적, 인문적 요인을 탐구한다. [2-1-1] 인간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의, 식, 주를 알아본다. - 인권 초등 SDG 2 [2-1-2] 인간의 삶에서 식량 문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 자연자원 (7) 세계의 여러 나라들 <우리나라와 가까운 나라들> [6사07-05]우리나라와 관계 깊은 나라들의 기초적인 지리 정보를 조사하고, 정치・경제・문화면에서 맺고 있는 상호 의존 관계를 탐구한다. [10-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국가 내, 국가 간 불평등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을 모색하고 실천한다. - 문화다양성 초등 SDG 10 - 교통 - 소양(매체, ICT) - 세계화 [6사07-06]이웃 나라들(중국, 일본, 러시아)의 자연적, 인문적 특성과 교류 현황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상호 이해와 협력의 태도를 기른다. [10-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국가 내, 국가 간 불평등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을 모색하고 실천한다. - 문화다양성 초등 SDG 10 - 교통 - 소양(매체, ICT) - 세계화 (8) 통일 한국의 미래와 지구촌의 평화 <한반도의 미래와 통일> [6사08-01]독도를 지키려는 조상들의 노력을 역사적 자료를 통하여 살펴보고, 독도의 위치 등 지리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영토주권 의식을 기른다. [10-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국가 내, 국가 간 불평등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을 모색하고 실천한다. - 인권 초등 SDG 10 - 평화 - 안전 - 사회정의 - 시민참여 [6사08-02]남북통일을 위한 노력을 살펴보고, 지구촌 평화에 기여하는 통일 한국의 미래상을 그려 본다. [10-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국가 내, 국가 간 불평등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을 모색하고 실천한다. - 통일 초등 SDG 10 - 인권 - 평화 - 안전 - 사회정의 - 시민참여 (8) 통일 한국의 미래와 지구촌의 평화 <지구촌의 평화와 발전> [6사08-03]지구촌의 평화와 발전을 위협하는 다양한 갈등 사례를 조사하고 그 해결 방안을 탐색한다. [17-3] 전지구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지속가능발전초등 SDG)을 찾아 실천한다. - 평화 초등 SDG 17 - 안전 - 통일 - 국제적 책임 [6사08-04]지구촌의 평화와 발전을 위해 노력하는 다양한 행위 주체(개인, 국가, 국제기구, 비정부 기구 등)의 활동 사례를 조사한다. [17-3] 전지구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지속가능발전초등 SDG)을 찾아 실천한다. - 평화 초등 SDG 17 - 안전 - 통일 - 국제적 책임 (8) 통일 한국의 미래와 지구촌의 평화 <지속가능한 지구촌> [6사08-05]지구촌의 주요 환경문제를 조사하여 해결 방안을 탐색하고, 환경문제 해결에 협력하는 세계시민의 자세를 기른다. [13-3] 기후변화 완화, 적응, 영향 감축 및 조기 경보 등 기후변화를 대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 환경문제 초등 SDG 13 [17-3] 전지구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지속가능발전초등 SDG)을 찾아 실천한다. - 세계화 초등 SDG 17 - 국제적 책임 - 시민참여 [6사08-06]지속가능한 미래를 건설하기 위한 과제(친환경적 생산과 소비 방식 확산, 빈곤과 기아 퇴치, 문화적 편견과 차별 해소 등)를 조사하고, 세계시민으로서 이에 적극 참여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17-3] 전지구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지속가능발전초등 SDG)을 찾아 실천한다. - 인권 초등 SDG 17 - 평화 - 안전 - 문화다양성 - 사회정의 - 거버넌스 - 시민참여 - 국제적 책임 초등 3 • 4 과학 (1) 물질의 성질 [4과01-01]서로 다른 물질로 만들어진 물체들을 비교하여 물체의 기능과 물질의 성질을 관련지을 수 있다. - 자연자원 [4과01-02]크기와 모양은 같지만 서로 다른 물질로 이루어진 물체들을 관찰하여 물질의 여러 가지 성질을 비교할 수 있다. - 자연자원 [4과01-03]서로 다른 물질을 섞었을 때 물질을 섞기 전과 후의 변화를 관찰하여 어떤 성질이 달라졌는지 설명할 수 있다. - 자연자원 [4과01-04]여러 가지 물질을 선택하여 다양한 물체를 설계하고 장단점을 토의할 수 있다. - 자연자원 (2) 자석의 이용 [4과02-01]자석 사이에 밀거나 당기는 힘이 작용하는 현상을 관찰하고 두 종류의 극을 구별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 에너지 초등 SDG 7 [7-2] 학교, 생활 등 다양한 에너지 자원과 사용, 환경오염에 대해 안다. [4과02-02]나침반의 바늘이 일정한 방향을 가리키는 성질이 있음을 관찰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7-2] 학교, 생활 등 다양한 에너지 자원과 사용, 환경오염에 대해 안다. - 에너지 초등 SDG 7 [4과02-03] 일상생활에서 자석이 사용되는 예를 조사하고, 자석의 성질과 관련지어 그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7-3]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청정에너지의 중요성과 신재생에너지의 현재와 미래를 안다. 에너지 초등 SDG 7 환경문제 (3) 동물의 생활 [4과03-01]여러 가지 동물을 관찰하여 특징에 따라 동물을 분류할 수 있다. [14-1] 대양, 바다 및 해양자원과 해양 생태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해양오염의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 생물다양성 초등 SDG 14 [15-1] 땅, 산림, 습지, 산, 건조지 등 육상 생태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육상오염의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초등 SDG 15 [4과03-02]동물의 생김새와 생활 방식이 환경과 관련되어 있음을 설명할 수 있다. [14-3] 지속가능한 해양 생태계를 위한 올바른 해양자원의 활용과 해양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생물다양성 초등 SDG 14 [15-3] 지속가능한 육상 생태계를 위한 생물 종 다양성 보존, 올바른 토양자원의 활용과 육상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환경문제 초등 SDG 15 [4과03-03] 동물의 특징을 모방하여 생활 속에서 활용하고 있는 사례를 발표할 수 있다. [14-2] 해양오염이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생물다양성 초등 SDG 14 [15-2] 육상오염이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환경문제 초등 SDG 15 (4) 지표의 변화 [4과04-01]여러 장소의 흙을 관찰하여 비교할 수 있다. [15-1] 땅, 산림, 습지, 산, 건조지 등 육상 생태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육상오염의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자연자원 초등 SDG 15 [4과04-02]흙의 생성 과정을 모형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15-1] 땅, 산림, 습지, 산, 건조지 등 육상 생태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육상오염의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자연자원 초등 SDG 15 [4과04-03] 강과 바닷가 주변 지형의 특징을 흐르는 물과 바닷물의 작용과 관련지을 수 있다. [6-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물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자연자원 초등 SDG 6 (5) 식물의 생활 [4과05-01]여러 가지 식물을 관찰하여 특징에 따라 식물을 분류할 수 있다. [15-1] 땅, 산림, 습지, 산, 건조지 등 육상 생태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육상오염의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생물다양성 초등 SDG 15 [4과05-02] 식물의 생김새와 생활 방식이 환경과 관련되어 있음을 설명할 수 있다. [15-3] 지속가능한 육상 생태계를 위한 생물 종 다양성 보존, 올바른 토양자원의 활용과 육상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생물다양성 초등 SDG 15 환경문제 [4과05-03] 식물의 특징을 모방하여 생활 속에서 활용하고 있는 사례를 발표할 수 있다. [15-2] 육상오염이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생물다양성 초등 SDG 15 환경문제 (6) 지층과 화석 [4과06-01] 여러 가지 지층을 관찰하고 지층의 형성 과정을 모형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4과06-02]퇴적암을 알갱이의 크기에 따라 구분하고 퇴적암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모형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4과06-03] 화석의 생성 과정을 이해하고 화석을 관찰하여 지구의 과거 생물과 환경을 추리할 수 있다. [13-3] 기후변화 완화, 적응, 영향 감축 및 조기 경보 등 기후변화를 대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생물다양성 초등 SDG 13 [14-3] 지속가능한 해양 생태계를 위한 올바른 해양자원의 활용과 해양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환경문제 초등 SDG 14 [15-3] 지속가능한 육상 생태계를 위한 생물 종 다양성 보존, 올바른 토양자원의 활용과 육상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기후변화 초등 SDG 15 (7) 물질의 상태 [4과07-01] 고체와 액체의 성질을 용기에 따른 모양과 부피 변화를 관찰하여 설명할 수 있다. 자연자원 [4과07-02] 기체가 공간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아보는 실험을 할 수 있다. 자연자원 [4과07-03] 기체가 무게가 있음을 알아보는 실험을 할 수 있다. 자연자원 [4과07-04] 우리 주변의 물질을 고체, 액체, 기체로 분류할 수 있다. [6-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물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자연자원 초등 SDG 6 (8) 소리의 성질 [4과08-01] 여러 가지 물체에서 소리가 나는 현상을 관찰하여 소리가 나는 물체는 떨림이 있음을 설명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초등 SDG 7 [4과08-02] 소리의 세기와 높낮이를 비교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초등 SDG 7 [4과08-03] 여러 가지 물체를 통하여 소리가 전달되거나 반사됨을 관찰하고 소음을 줄이는 방법을 토의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초등 SDG 7 (9) 물체의 무게 [4과09-01] 일상생활에서 물체의 무게를 측정하는 예를 조사하고 무게 측정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4과09-02] 수평 잡기 활동을 통해 물체의 무게를 비교할 수 있다. [4과09-03] 용수철에 매단 물체의 무게와 용수철의 늘어난 길이의 관계를 조사하고 물체의 무게를 재는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4과09-04] 간단한 저울을 설계하여 제작하고 그 결과물을 평가할 수 있다. (10) 동물의 한살이 [4과10-01] 동물의 암・수에 따른 특징을 동물별로 비교해보고, 번식 과정에서 암・수의 역할이 다양함을 설명할 수 있다. [15-3] 지속가능한 육상 생태계를 위한 생물 종 다양성 보존, 올바른 토양자원의 활용과 육상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생물다양성 초등 SDG 15 [4과10-02] 동물의 한살이 관찰 계획을 세우고, 동물을 기르면서 한살이를 관찰하며, 관찰한 내용을 글과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다. [15-3] 지속가능한 육상 생태계를 위한 생물 종 다양성 보존, 올바른 토양자원의 활용과 육상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생물다양성 초등 SDG 15 [4과10-03] 여러 가지 동물의 한살이 과정을 조사하여 동물에 따라 한살이의 유형이 다양함을 설명할 수 있다. [15-3] 지속가능한 육상 생태계를 위한 생물 종 다양성 보존, 올바른 토양자원의 활용과 육상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생물다양성 초등 SDG 15 (11) 화산과 지진 [4과11-01] 화산 활동으로 나오는 여러 가지 물질을 설명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자연자원 초등 SDG 7 에너지 [4과11-02] 화성암의 생성 과정을 이해하고 화강암과 현무암의 특징을 비교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자연자원 초등 SDG 7 에너지 [4과11-03] 화산 활동이 우리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발표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자연자원 초등 SDG 7 [7-2] 학교, 생활 등 다양한 에너지 자원과 사용, 환경오염에 대해 안다. 에너지 [4과11-04] 지진 발생의 원인을 이해하고 지진이 났을 때 안전하게 대처하는 방법을 토의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자연자원 초등 SDG 7 에너지 초등 5 • 6 (12) 혼합물의 분리 [4과12-01] 일상생활에서 혼합물의 예를 찾고 혼합물 분리의 필요성을 설명할 수 있다. 자연자원 [4과12-02] 알갱이의 크기와 자석에 붙는 성질을 이용하여 고체 혼합물을 분리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초등 SDG 7 [4과12-03] 거름 장치를 꾸며 물에 녹는 물질과 녹지 않는 물질의 혼합물을 분리할 수 있다. [6-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물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자연자원 초등 SDG 6 [6-3]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물 오염 방지 대책 실천 및 관리를 이행한다. 환경문제 [4과12-04] 물을 증발시켜 물에 녹아 있는 고체 물질을 분리할 수 있다. [6-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물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자연자원 초등 SDG 6 [6-3]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물 오염 방지 대책 실천 및 관리를 이행한다. 환경문제 (13) 식물의 한살이 [4과13-01] 씨가 싹트거나 자라는 데 필요한 조건을 설명할 수 있다. [15-1] 땅, 산림, 습지, 산, 건조지 등 육상 생태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육상오염의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자연자원 초등 SDG 15 [4과13-02] 식물의 한살이 관찰 계획을 세워 식물을 기르면서 한살이를 관찰할 수 있다. [15-1] 땅, 산림, 습지, 산, 건조지 등 육상 생태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육상오염의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자연자원 초등 SDG 15 [4과13-03] 여러 가지 식물의 한살이 과정을 조사하여 식물에 따라 한살이의 유형이 다양함을 설명할 수 있다. [15-1] 땅, 산림, 습지, 산, 건조지 등 육상 생태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육상오염의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자연자원 초등 SDG 15 생물다양성 (14) 물의 상태 변화 [4과14-01] 물이 수증기나 얼음으로 변할 수 있음을 알고, 물이 얼 때와 얼음이 녹을 때의 부피와 무게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6-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물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자연자원 초등 SDG 6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초등 SDG 7 [4과14-02] 물이 증발할 때와 끓을 때의 변화를 관찰하여 차이점을 알고, 이와 관련된 예를 우리 주변에서 찾을 수 있다. [6-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물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자연자원 초등 SDG 6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초등 SDG 7 [4과14-03] 수증기가 응결하는 현상을 관찰하고, 이와 관련된 예를 우리 주변에서 찾을 수 있다. [6-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물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 자연자원 초등 SDG 6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초등 SDG 7 (15) 그림자와 거울 [4과15-01] 여러 가지 물체의 그림자를 관찰하여 그림자가 생기는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4과15-02] 전등과 물체 사이의 거리에 따른 그림자의 크기 변화를 관찰하여 서술할 수 있다. [4과15-03] 물체와 평면거울에 비친 모습을 비교하여 거울의 성질을 설명할 수 있다. [4과15-04] 일상생활에서 거울을 이용하는 예를 조사하고 거울의 성질과 관련지어 그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7-3]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청정에너지의 중요성과 신재생에너지의 현재와 미래를 안다. 에너지 초등 SDG 7 [11-3] 포용적이고 안전하며 복원력 있고 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천한다.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초등 SDG 11 [12-2] 생산과 소비 과정에서 일어나는 식량 손실, 화학물 방출, 폐기물 문제와 그 심각성에 대해 알아본다. 지속가능한 식량생산 초등 SDG 12 (16) 지구의 모습 [4과16-01] 지구와 관련된 자료를 조사하여 모양과 표면의 모습을 설명할 수 있다. 자연자원 [4과16-02] 육지와 비교하여 바다의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자연자원 [4과16-03] 지구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공기의 역할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11-2] 도시와 농촌, 어촌에 모습과 현황, 문제를 이해하여 모두가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정주를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환경문제 초등 SDG 11 [13-2] 기후변화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기후변화 초등 SDG 13 자연자원 [4과16-04] 달을 조사하여 모양, 표면, 환경을 이해하고 지구와 달을 비교할 수 있다. [6-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물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자연자원 (17) 물의 여행 [4과17-01] 물이 이동하거나 상태가 변하면서 순환하는 과정을 생명체, 지표면, 공기 사이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현상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6-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물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자연자원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4과17-02] 물의 중요성을 알고 물 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창의적 방법을 활용한 사례를 조사할 수 있다. [6-2] 학교, 생활 등 물 사용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물 오염 현황을 알아보고 분석한다. 자연자원 초등 SDG 6 [6-3]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물 오염 방지 대책 실천 및 관리를 이행한다. 환경문제 초등 SDG 7 [7-3]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청정에너지의 중요성과 신재생에너지의 현재와 미래를 안다. 에너지 초등 SDG 13 [13-3] 기후변화 완화, 적응, 영향 감축 및 조기 경보 등 기후변화를 대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기후변화 (1) 온도와 열 [6과01-01] 일상생활에서 온도를 어림하거나 측정하는 사례를 조사하고 정확한 온도 측정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13-2] 기후변화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기후변화 초등 SDG 13 [6과01-02] 온도가 다른 두 물체를 접촉하여 온도가 같아지는 현상을 관찰하고 물체의 온도 변화를 열의 이동으로 설명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초등 SDG 6 [6과01-03] 고체 물질의 종류에 따라 열이 전도되는 빠르기를 관찰을 통해 비교하고 일상생활에서 단열을 이용하는 예를 조사할 수 있다. [7-3]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청정에너지의 중요성과 신재생에너지의 현재와 미래를 안다. 에너지 초등 SDG 6 [6과01-04] 액체나 기체에서 대류 현상을 관찰하고 대류 현상에서 열의 이동을 설명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초등 SDG 6 (2) 태양계와 별 [6과02-01] 태양이 지구의 에너지원임을 이해하고 태양계를 구성하는 태양과 행성을 조사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초등 SDG 7 [7-3]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청정에너지의 중요성과 신재생에너지의 현재와 미래를 안다. 환경문제 [6과02-02] 별의 의미를 알고 대표적인 별자리를 조사할 수 있다. [6과02-03] 북쪽 하늘의 별자리를 이용하여 북극성을 찾을 수 있다. (3) 용해와 용액 [6과03-01] 물질이 물에 녹는 현상을 관찰하고 용액을 설명할 수 있다. [6-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물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자연자원 [6과03-02] 용질의 종류에 따라 물에 녹는 양이 달라짐을 비교할 수 있다. [6-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물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자연자원 [6과03-03] 물의 온도에 따라 용질의 녹는 양이 달라짐을 실험할 수 있다. [6-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물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자연자원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6과03-04] 용액의 진하기를 상대적으로 비교하는 방법을 고안할 수 있다. [6-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물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자연자원 (4) 다양한 생물과 우리 생활 [6과04-01] 동물과 식물 이외의 생물을 조사하여 생물의 종류와 특징을 설명할 수 있다. 자연자원 [6과04-02] 다양한 생물이 우리 생활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에 대해 토의할 수 있다. 자연자원 생물다양성 [6과04-03] 우리 생활에 첨단 생명과학이 이용된 사례를 조사하여 발표할 수 있다. [2-3]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미래 식량 대책에 대해 이해하고 토론한다. 자연자원 초등 SDG 2 [14-3] 지속가능한 해양 생태계를 위한 올바른 해양자원의 활용과 해양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환경문제 초등 SDG 14 [15-3] 지속가능한 육상 생태계를 위한 생물 종 다양성 보존, 올바른 토양자원의 활용과 육상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지속가능한 식량생산 초등 SDG 15 생물다양성 (5) 생물과 환경 [6과05-01] 생태계가 생물 요소와 비생물 요소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고 생태계 구성 요소들이 서로 영향을 주고받음을 설명할 수 있다. [14-3] 지속가능한 해양 생태계를 위한 올바른 해양자원의 활용과 해양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생물다양성 [15-1] 땅, 산림, 습지, 산, 건조지 등 육상 생태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육상오염의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자연자원 [6과05-02] 비생물 환경 요인이 생물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여 환경과 생물 사이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2-3]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미래 식량 대책에 대해 이해하고 토론한다. 생물다양성 초등 SDG 2 [7-3]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청정에너지의 중요성과 신재생에너지의 현재와 미래를 안다. 환경문제 초등 SDG 7 [14-3] 지속가능한 해양 생태계를 위한 올바른 해양자원의 활용과 해양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지속가능한 식량생산 초등 SDG 14 [15-3] 지속가능한 육상 생태계를 위한 생물 종 다양성 보존, 올바른 토양자원의 활용과 육상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에너지 초등 SDG 15 [6과05-03] 생태계 보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생태계 보전을 위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에 대해 토의할 수 있다. [2-3]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미래 식량 대책에 대해 이해하고 토론한다. 생물다양성 초등 SDG 2 [7-3]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청정에너지의 중요성과 신재생에너지의 현재와 미래를 안다. 환경문제 초등 SDG 7 [14-3] 지속가능한 해양 생태계를 위한 올바른 해양자원의 활용과 해양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지속가능한 식량생산 초등 SDG 14 [15-3] 지속가능한 육상 생태계를 위한 생물 종 다양성 보존, 올바른 토양자원의 활용과 육상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에너지 초등 SDG 15 (6) 날씨와 우리 생활 [6과06-01] 습도를 측정하고 습도가 우리 생활에 영향을 주는 사례를 조사할 수 있다. [6-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물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자연자원 초등 SDG 6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초등 SDG 7 [6과06-02] 이슬, 안개, 구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이해하고 비와 눈이 내리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6-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물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자연자원 초등 SDG 6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초등 SDG 7 [6과06-03] 저기압과 고기압이 무엇인지 알고 바람이 부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다. [6-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물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자연자원 초등 SDG 6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초등 SDG 7 [6과06-04] 계절별 날씨의 특징을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공기의 성질과 관련지을 수 있다. [13-1] 기후변화의 현황과 의미에 대해 이해한다. 기후변화 초등 SDG 13 [13-2] 기후변화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13-3] 기후변화 완화, 적응, 영향 감축 및 조기 경보 등 기후변화를 대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7) 물체의 운동 [6과07-01] 일상생활에서 물체의 운동을 관찰하여 속력을 정성적으로 비교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초등 SDG 7 [6과07-02] 물체의 이동 거리와 걸린 시간을 조사하여 속력을 구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초등 SDG 7 [6과07-03] 일상생활에서 속력과 관련된 안전 사항과 안전장치의 예를 찾아 발표할 수 있다. [3-1]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삶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건강 초등 SDG 3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안전 (8) 산과 염기 [6과08-01]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여러 가지 용액을 다양한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다. 자연자원 [6과08-02] 지시약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용액을 산성 용액과 염기성 용액으로 분류할 수 있다. 자연자원 [6과08-03] 산성 용액과 염기성 용액의 여러 가지 성질을 비교하고, 산성 용액과 염기성 용액을 섞었을 때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다. 자연자원 [6과08-04] 우리 생활에서 산성 용액과 염기성 용액을 이용하는 예를 찾아 발표할 수 있다. 자연자원 안전 (9) 지구와 달의 운동 [6과09-01]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가 달라지는 것을 지구의 자전으로 설명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자연자원 에너지 [6과09-02] 계절에 따라 별자리가 달라진다는 것을 지구의 공전으로 설명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자연자원 [13-1] 기후변화의 현황과 의미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기후변화 [6과09-03] 달의 모양과 위치가 주기적으로 바뀌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자연자원 [13-1] 기후변화의 현황과 의미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기후변화 (10) 여러 가지 기체 [6과10-01] 산소, 이산화 탄소를 실험을 통해 발생시키고 성질을 확인한 후, 각 기체의 성질을 설명할 수 있다. 자연자원 [6과10-02] 온도와 압력에 따라 기체의 부피가 달라지는 현상을 관찰하고, 일상생활에서 이와 관련된 사례를 찾을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자연자원 에너지 [6과10-03] 공기를 이루는 여러 가지 기체를 조사하여 발표할 수 있다. 자연자원 (11) 빛과 렌즈 [6과11-01] 햇빛이 프리즘에서 다양한 색으로 나타나는 현상을 관찰하여, 햇빛이 여러 가지 색의 빛으로 되어 있음을 설명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자연자원 에너지 [6과11-02] 빛이 유리나 물, 볼록 렌즈를 통과하면서 굴절되는 현상을 관찰하고 관찰한 내용을 그림으로 표현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자연자원 에너지 [6과11-03] 볼록 렌즈를 이용하여 물체의 모습을 관찰하고 볼록 렌즈의 쓰임새를 조사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자연자원 에너지 (12) 식물의 구조와 기능 [6과12-01] 생물체를 이루고 있는 기본 단위인 세포를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다. 생물다양성 [6과12-02] 식물의 전체적인 구조 관찰과 실험을 통해 뿌리, 줄기, 잎, 꽃의 구조와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생물다양성 자연자원 [6과12-03] 여러 가지 식물의 씨가 퍼지는 방법을 조사하고, 씨가 퍼지는 방법이 다양함을 설명할 수 있다. [15-3] 지속가능한 육상 생태계를 위한 생물 종 다양성 보존, 올바른 토양자원의 활용과 육상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생물다양성 초등 SDG 15 [17-3] 전지구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지속가능발전초등 SDG)을 찾아 실천한다. 자연자원 초등 SDG 17 (13) 전기의 이용 [6과13-01] 전지와 전구, 전선을 연결하여 전구에 불이 켜지는 조건을 찾아 설명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초등 SDG 7 [6과13-02] 전구를 직렬연결 할 때와 병렬연결 할 때 전구의 밝기 차이를 비교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초등 SDG 7 [6과13-03] 전기를 절약하고 안전하게 사용하는 방법을 토의할 수 있다. [17-3] 전지구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지속가능발전초등 SDG)을 찾아 실천한다. 에너지 초등 SDG 17 안전 [6과13-04] 전자석을 만들어 영구 자석과 전자석을 비교하고 일상생활에서 전자석이 사용되는 예를 조사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초등 SDG 7 (14) 계절의 변화 [6과14-01] 하루 동안 태양의 고도, 그림자 길이, 기온을 측정하여 이들 사이의 관계를 찾을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초등 SDG 7 [6과14-02] 계절에 따른 태양의 남중 고도, 낮과 밤의 길이, 기온 변화를 설명할 수 있다. [13-2] 기후변화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기후변화 초등 SDG 13 에너지 [6과14-03] 계절 변화의 원인은 지구 자전축이 기울어진 채 공전하기 때문임을 모형실험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13-2] 기후변화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기후변화 초등 SDG 13 에너지 (15) 연소와 소화 [6과15-01] 물질이 탈 때 나타나는 공통적인 현상을 관찰하고, 연소의 조건을 찾을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초등 SDG 7 [6과15-02] 실험을 통해 연소 후에 생성되는 물질을 찾을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초등 SDG 7 [6과15-03] 연소의 조건과 관련지어 소화 방법을 제안하고 화재 안전 대책에 대해 토의할 수 있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에너지 초등 SDG 3 안전 초등 SDG 7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16) 우리 몸의 구조와 기능 [6과16-01] 뼈와 근육의 생김새와 기능을 이해하여 몸이 움직이는 원리를 설명할 수 있다. [6과16-02] 소화, 순환, 호흡, 배설 기관의 종류, 위치, 생김새, 기능을 설명할 수 있다. [6과16-03] 감각 기관의 종류, 위치, 생김새, 기능을 알고 자극이 전달되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다. [6과16-04] 운동할 때 우리 몸에서 나타나는 변화를 관찰하여 우리 몸의 여러 기관이 서로 관련되어 있음을 설명할 수 있다. (17) 에너지와 생활 [6과17-01] 생물이 살아가거나 기계를 움직이는 데 에너지가 필요함을 알고, 이때 이용하는 에너지의 형태를 조사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초등 SDG 7 [6과17-02] 자연 현상이나 일상생활의 예를 통해 에너지의 형태가 전환됨을 알고,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토의할 수 있다. [7-2] 학교, 생활 등 다양한 에너지 자원과 사용, 환경오염에 대해 안다. 에너지 초등 SDG 7 [7-3]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청정에너지의 중요성과 신재생에너지의 현재와 미래를 안다. 초등 3 • 4 도덕 (1) 자신과의 관계 [4도01-01] 도덕 시간에 무엇을 배우며 도덕 공부가 왜 필요한지를 알고 공부하는 사람으로서 지켜야 할 규칙을 모범 사례를 통해 습관화한다. [16-1] 평화롭고 포용적인 사회 증진과 모두의 정의 실현을 위한 법과 제도의 의미와 형성과정에 대해 이해한다. - 사회정의 초등 SDG 16 [4도01-02]시간과 물건의 소중함을 알고 자신이 시간과 물건을 아껴 쓰고 있는지 반성해 보며 그 모범 사례를 따라 습관화한다. [4도01-03] 최선을 다하는 삶을 위해 정성과 인내가 필요한 이유를 탐구하고 생활 계획을 세워본다. (2) 타인과의 관계 [4도02-01] 가족을 사랑하고 감사해야 하는 이유를 찾아보고, 가족 간에 지켜야 할 도리와 해야 할 일을 약속으로 정해 실천한다. [4도02-02] 친구의 소중함을 알고 친구와 사이좋게 지내며, 서로의 입장을 이해하고 인정한다. [4도02-03] 예절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대상과 상황에 따른 예절이 다름을 탐구하여 이를 습관화한다. [4도02-04] 협동의 의미와 중요성을 알고, 경청・도덕적 대화하기・도덕적 민감성을 통해 협동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3) 사회⦁공동체와의 관계 [4도03-01] 공공장소에서 지켜야 할 규칙과 공익의 중요성을 알고, 공익에 기여하고자 하는 실천 의지를 기른다. [16-1] 평화롭고 포용적인 사회 증진과 모두의 정의 실현을 위한 법과 제도의 의미와 형성과정에 대해 이해한다. - 사회정의 초등 SDG 16 - 시민참여 [4도03-02] 다문화 사회에서 다양성을 수용해야 하는 이유를 탐구하고, 올바른 의사 결정 과정을 통해 다른 사람과 문화를 공정하게 대하는 태도를 지닌다. [10-1] 나이, 성, 장애, 인종, 민족, 출신, 종교, 경제 수준 등 다양한 영역별 국가 내 불평등 문제에 대해 이해한다. - 문화다양성 초등 SDG 10 [10-2] 인종, 민족, 종교, 최빈 개도국, 아프리카 등 다양한 영역별 국가 간 불평등 문제에 대해 이해한다. - 세계화 [10-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국가 내, 국가 간 불평등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을 모색하고 실천한다. [4도03-03] 남북 분단 과정과 민족의 아픔을 통해 통일의 필요성을 알고, 통일에 대한 관심과 통일 의지를 기른다. - 통일 - 평화 (4) 자연⦁초월과의 관계 [4도04-01] 생명의 소중함을 이해하고 인간 생명과 환경 문제에 관심을 가지며 인간 생명과 자연을 보호하려는 태도를 가진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 자연자원 초등 SDG 3 [13-3] 기후변화 완화, 적응, 영향 감축 및 조기 경보 등 기후변화를 대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 환경문제 초등 SDG 13 [14-2] 해양오염이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 건강 초등 SDG 14 [14-3] 지속가능한 해양 생태계를 위한 올바른 해양자원의 활용과 해양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 기후변화 초등 SDG 15 [15-2] 육상오염이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 국제적 책임 [15-3] 지속가능한 육상 생태계를 위한 생물 종 다양성 보존, 올바른 토양자원의 활용과 육상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4도04-02] 참된 아름다움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느껴 생활 속에서 이를 실천한다. 초등 5 • 6 (1) 자신과의 관계 [6도01-01] 감정과 욕구를 조절하지 못해 나타날 수 있는 결과를 도덕적으로 상상해 보고, 올바르게 자신의 감정을 조절하고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을 습관화한다. [6도01-02] 자주적인 삶을 위해 자신을 이해하고 존중하며 자주적인 삶의 의미와 중요성을 깨닫고 실천 방법을 익힌다. [8-2-1] 양질의 삶을 보장받기 위한 일자리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초등 SDG 8 [8-3] 행복한 삶 추구를 위한 진로인식, 진로개척, 진로효능감 증진을 이해하고 미래의 삶을 준비한다. [6도01-03] 정직의 의미와 정직하게 살아가는 것의 중요성을 탐구하고, 정직과 관련된 갈등 상황에서 정직하게 판단하고 실천하는 방법을 익힌다. (2) 타인과의 관계 [6도02-01] 사이버 공간에서 발생하는 여러 문제에 대한 도덕적 민감성을 기르며, 사이버 공간에서 지켜야 할 예절과 법을 알고 습관화한다. [16-1] 평화롭고 포용적인 사회 증진과 모두의 정의 실현을 위한 법과 제도의 의미와 형성과정에 대해 이해한다. - 사회정의 초등 SDG 16 [16-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법과 제도의 정비와 그 나아갈 방향에 대해 알아본다. [6도02-02] 다양한 갈등을 평화적으로 해결하는 것의 중요성과 방법을 알고, 평화적으로 갈등을 해결하려는 의지를 기른다. [16-1] 평화롭고 포용적인 사회 증진과 모두의 정의 실현을 위한 법과 제도의 의미와 형성과정에 대해 이해한다. - 사회정의 초등 SDG 16 [16-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법과 제도의 정비와 그 나아갈 방향에 대해 알아본다. [6도02-03] 봉사의 의미와 중요성을 알고, 주변 사람의 처지를 공감하여 도와주려는 실천 의지를 기른다. (3) 사회⦁공동체와의 관계 [6도03-01] 인권의 의미와 인권을 존중하는 삶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인권 존중의 방법을 익힌다. [4-1] 소득 수준별, 계층별 평등교육의 개념과 중요성을 이해한다. - 인권 초등 SDG 4 [5-1-2]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모든 곳에서 모든 여성과 소녀에 대한 모든 형태의 차별 종식의 필요성과 개념에 대해 이해한다. - 평화 초등 SDG 5 [5-2-2] 모든 수준, 모든 곳에서의 양성평등 및 모든 여성과 소녀의 권익 신장을 증진하기 위한 건전한 실천방안을 찾아 실생활에서 실천한다. - 사회정의 초등 SDG 10 [10-1] 나이, 성, 장애, 인종, 민족, 출신, 종교, 경제 수준 등 다양한 영역별 국가 내 불평등 문제에 대해 이해한다. - 문화다양성 초등 SDG 16 [10-2] 인종, 민족, 종교, 최빈 개도국, 아프리카 등 다양한 영역별 국가 간 불평등 문제에 대해 이해한다. - 양성평등 [10-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국가 내, 국가 간 불평등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을 모색하고 실천한다. [16-2] 아동 성폭력 예방, 인권문제 등 우리와 관련 있는 법과 제도의 현황과 그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6도03-02] 공정함의 의미와 공정한 사회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일상생활에서 공정하게 생활하려는 실천 의지를 기른다. [16-1] 평화롭고 포용적인 사회 증진과 모두의 정의 실현을 위한 법과 제도의 의미와 형성과정에 대해 이해한다. - 사회정의 초등 SDG 16 [6도03-03] 도덕적 상상하기를 통해 바람직한 통일의 올바른 과정을 탐구하고 통일을 이루려는 의지와 태도를 가진다. - 통일 - 평화 [6도03-04] 세계화 시대에 인류가 겪고 있는 문제와 그 원인을 토론을 통해 알아보고,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를 가지고 실천한다. [1-3-2] 국가 간 경제적 평등에 대해 이해하고 상생의 경제생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 세계화 초등 SDG 1 [2-3]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미래 식량 대책에 대해 이해하고 토론한다. - 문화다양성 초등 SDG 2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 평화 초등 SDG 3 [4-3] 수준별, 계층별 평등교육 실현과 평생학습의 보장을 위한 개인과 나라, 세계가 해야 할 일을 찾아 실천한다. - 양성평등 초등 SDG 4 [5-2-1]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양성평등 실천방안을 모색한다. - 국제적 책임 초등 SDG 5 [6-3]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물 오염 방지 대책 실천 및 관리를 이행한다. - 사회정의 초등 SDG 6 [7-3]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청정에너지의 중요성과 신재생에너지의 현재와 미래를 안다. - 시장경제 초등 SDG 7 [8-3] 행복한 삶 추구를 위한 진로인식, 진로개척, 진로효능감 증진을 이해하고 미래의 삶을 준비한다. - 지속가능한 식량생산 초등 SDG 8 [9-3] 미개발 국가, 개발도상국가, 선진국의 산업화의 현황과 공정성을 이해하고,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올바른 산업화 지원과 혁신을 도모한다. - 지속가능한 식량생산 초등 SDG 9 [10-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국가 내, 국가 간 불평등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을 모색하고 실천한다. -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초등 SDG 10 [11-3] 포용적이고 안전하며 복원력 있고 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천한다. - 빈부격차 완화 초등 SDG 11 [12-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생산과 소비에 대해 알고 실생활에 적용해 본다. - 자연자원 초등 SDG 12 [13-3] 기후변화 완화, 적응, 영향 감축 및 조기 경보 등 기후변화를 대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 에너지 초등 SDG 13 [14-3] 지속가능한 해양 생태계를 위한 올바른 해양자원의 활용과 해양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 환경문제 초등 SDG 14 [15-3] 지속가능한 육상 생태계를 위한 생물 종 다양성 보존, 올바른 토양자원의 활용과 육상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 기후변화 초등 SDG 15 [16-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법과 제도의 정비와 그 나아갈 방향에 대해 알아본다. 초등 SDG 16 [17-3] 전지구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지속가능발전초등 SDG)을 찾아 실천한다. 초등 SDG 17 (4) 자연⦁초월과의 관계 [6도04-01] 긍정적 태도의 의미와 중요성을 알고,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긍정적 삶의 태도를 습관화한다. [3-1]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삶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 안전 초등 SDG 3 - 건강 [6도04-02] 올바르게 산다는 것의 의미와 중요성을 알고, 자기 반성과 마음 다스리기를 통해 올바르게 살아가기 위한 능력과 실천 의지를 기른다. [3-1]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삶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8-3] 행복한 삶 추구를 위한 진로인식, 진로개척, 진로효능감 증진을 이해하고 미래의 삶을 준비한다. - 안전 초등 SDG 3 - 건강 초등 SDG 8 초등 1 • 2 바른생활 (1) 학교 1.1 학교와 친구 [2바01-01] 학교생활에 필요한 규칙과 약속을 정해서 지킨다. (1) 학교 1.2 나 [2바01-02]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유지한다. [3-1]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삶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안전 초등 SDG 3 건강 (2) 봄 2.1 봄맞이 [2바02-01] 봄철 날씨 변화를 알고 건강 수칙을 스스로 지키는 습관을 기른다. [3-1]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삶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안전 초등 SDG 3 건강 (2) 봄 2.2 봄 동산 [2바02-02] 봄에 볼 수 있는 동식물을 소중히 여기고 보살핀다. [15-1] 땅, 산림, 습지, 산, 건조지 등 육상 생태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육상오염의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자연자원 초등 SDG 15 생물다양성 환경문제 (3) 가족 3.1 가족과 친척 [2바03-01] 가족 및 친척 간에 지켜야 할 예절을 실천한다. (3) 가족 3.2 다양한 가족 [2바03-02] 가족의 형태와 문화가 다양함을 알고 존중한다. [4-1] 소득 수준별, 계층별 평등교육의 개념과 중요성을 이해한다. 문화다양성 초등 SDG 4 [10-1] 나이, 성, 장애, 인종, 민족, 출신, 종교, 경제 수준 등 다양한 영역별 국가 내 불평등 문제에 대해 이해한다. 양성평등 초등 SDG 10 (4) 여름 4.1 여름맞이 [2바04-01] 여름철의 에너지 절약 수칙을 알고 습관화한다. [7-2] 학교, 생활 등 다양한 에너지 자원과 사용, 환경오염에 대해 안다. 에너지 초등 SDG 7 (4) 여름 4.2 여름 생활 [2바04-02] 여름 생활을 건강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도록 계획을 세워 실천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안전 초등 SDG 3 건강 (5) 마을 5.1 우리 이웃 [2바05-01] 공공장소의 올바른 이용과 시설물을 바르게 사용하는 습관을 기른다. [16-1] 평화롭고 포용적인 사회 증진과 모두의 정의 실현을 위한 법과 제도의 의미와 형성과정에 대해 이해한다. 사회정의 초등 SDG 16 (5) 마을 5.2 우리 동네 [2바05-02] 동네를 위해 할 수 있는 일을 찾아 실천하면서 일의 소중함을 안다. 시민참여 (6) 가을 6.1 가을맞이 [2바06-01]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곳에서 질서와 규칙을 지키며 생활한다. [16-1] 평화롭고 포용적인 사회 증진과 모두의 정의 실현을 위한 법과 제도의 의미와 형성과정에 대해 이해한다. 사회정의 초등 SDG 16 (6) 가을 6.2 가을 모습 [2바06-02] 추수하는 사람들의 수고에 감사하는 태도를 기른다. [2-1-1] 인간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의, 식, 주를 알아본다. 자연자원 초등 SDG 2 (7) 나라 7.1 우리나라 [2바07-01] 우리와 북한이 같은 민족임을 알고, 통일 의지를 다진다. 평화 (7) 나라 7.2 다른 나라 [2바07-02] 다른 나라의 문화를 존중하고 공감하는 태도를 기른다. [10-1] 나이, 성, 장애, 인종, 민족, 출신, 종교, 경제 수준 등 다양한 영역별 국가 내 불평등 문제에 대해 이해한다. 인권 초등 SDG 10 [10-2] 인종, 민족, 종교, 최빈 개도국, 아프리카 등 다양한 영역별 국가 간 불평등 문제에 대해 이해한다. 문화다양성 [10-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국가 내, 국가 간 불평등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을 모색하고 실천한다. 세계화 (8) 겨울 8.1 겨울맞이 [2바08-01] 상대방을 배려하며 서로 돕고 나누는 생활을 한다. [2바08-02] 생명을 존중하며 동식물을 보호한다. [14-3] 지속가능한 해양 생태계를 위한 올바른 해양자원의 활용과 해양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자연자원 초등 SDG 14 (8) 겨울 8.2 겨울나기 [15-3] 지속가능한 육상 생태계를 위한 생물 종 다양성 보존, 올바른 토양자원의 활용과 육상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생물다양성 초등 SDG 15 환경문제 [2바08-03] 겨울방학 생활 계획을 세워서 실천한다. ..SHEET:3 학년 과목 단원 교육과정 성취기준 중등 SDGs-ESD 성취기준 ESD 내용 요소 관련 수업모델 중학교 사회 우리와 다른 기후, 다른 생활 [9사(지리)02-01]기온과 강수량 자료를 분석하여 이를 기준으로 세계 기후 지역을 구분하고, 인간 거주에 적합한 기후 조건에 대해 논의한다. [13-1] 기후변화의 현황과 의미에 대해 이해한다. 기후변화 중등 SDG 13 [9사(지리)02-02]열대 우림 기후 지역의 위치를 확인하고, 열대 우림 기후 지역의 다양한 생활 모습을 조사하여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한다. [13-2] 기후변화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기후변화 중등 SDG 13 [9사(지리)02-03]지중해성 기후와 서안 해양성 기후를 우리나라 기후와 비교하고, 이들 지역의 농업과 생활 모습을 조사한다. [13-2] 기후변화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기후변화 중등 SDG 13 [9사(지리)02-04]건조 기후와 툰드라 기후 지역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이 기후 환경에 적응하거나 극복한 생활 모습을 조사한다. [13-3] 기후변화 완화, 적응, 영향 감축 및 조기 경보 등 기후변화를 대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기후변화 중등 SDG 13 다양한 세계, 다양한 문화 [9사(지리)04-01]다양한 기준으로 문화지역을 구분해 보고, 지역별로 문화적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를 지역의 자연환경, 경제・사회적 환경의 관점에서 파악한다. [1-1-1] 우리의 삶에서 경제생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문화다양성 중등 SDG 1 [9사(지리)04-02]지역 간 문화 접촉과 문화 전파에 따른 문화 변용의 사례를 조사하고, 세계화가 문화 변용에 미친 영향을 평가한다. [1-3-1] 국가 간 비교 우위에 따른 특화와 교역이 발생하며, 외환 시장에서 환율이 결정된다. 이에 따른 국가의 계층화 문제를 이해한다. 문화다양성 중등 SDG 1 자원을 둘러싼 경쟁과 갈등 [9사(지리)06-01]자원 분포의 편재성과 자원 소비량의 지역적 차이를 파악하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국가 간 경쟁과 갈등을 조사한다. [2-1-1] 인간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의, 식, 주를 알아본다. 지속가능한 식량 생산 중등 SDG 2 [2-1-2] 인간의 삶에서 식량 문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9사(지리)06-02]자원이 풍부한 지역을 사례로 자원이 그 지역 주민의 삶에 미친 영향을 평가한다. [2-3]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미래 식량 대책에 대해 이해하고 토론한다. 지속가능한 식량 생산 중등 SDG 2 [9사(지리)06-03]지속가능한 자원의 개발 사례를 조사하고, 그것의 긍정적・부정적 효과를 평가한다. [2-2-1] 식량 문제에서 생기는 기아와 불평등의 문제를 이해한다. 지속가능한 식량 생산 중등 SDG 2 [2-2-2] 식량 대책, 영양개선, 지속가능한 농업 강화의 3가지 영역에서의 기아 종식을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사람이 만든 삶터, 도시 [9사(지리)08-01]세계적으로 유명하거나 매력적인 도시의 위치와 특징을 조사한다. [9-1] 우리나라와 전 세계의 산업화 현상과 진행에 대해 이해한다.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중등 SDG 9 [9사(지리)08-02]도시 중심부에서 주변지역으로 나가면서 관찰되는 경관과 지가의 변화를 분석한다. [9-2] 환경문제 등 지금까지의 산업화 현상과 과정에 대해 이해하여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산업화 과정을 알아본다.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중등 SDG 9 [9사(지리)08-03]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도시화 과정을 비교하고, 선진국과 개발도상국의 도시 문제를 탐구한다. [9-2] 환경문제 등 지금까지의 산업화 현상과 과정에 대해 이해하여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산업화 과정을 알아본다.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중등 SDG 9 [9사(지리)08-04]도시 문제를 해결하여 살기 좋은 도시로 변화된 사례를 조사하고, 살기 좋은 도시가 갖추어야 할 조건을 제안한다. [9-3] 미개발 국가, 개발도상국가, 선진국의 산업화의 현황과 공정성을 이해하고,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올바른 산업화 지원과 혁신을 도모한다.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중등 SDG 9 글로벌 경제활동과 지역 변화 [9사(지리)09-01]농업 생산의 기업화와 세계화가 농작물 생산 지역과 소비 지역의 변화에 미친 영향을 조사한다. [1-1-1] 우리의 삶에서 경제생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세계화, 시장경제 중등 SDG 1 기업의 지속가능성 [9사(지리)09-02]세계화에 따른 다국적 기업의 공간적 분업 체계가 생산 지역의 변화에 미친 영향을 탐구한다. [1-3-1] 국가 간 비교 우위에 따른 특화와 교역이 발생하며, 외환 시장에서 환율이 결정된다. 이에 따른 국가의 계층화 문제를 이해한다. 세계화, 시장경제 중등 SDG 1 기업의 지속가능성 [9사(지리)09-03]세계화에 따른 서비스업의 변화를 조사하고, 이러한 변화가 지역 변화와 주민 생활에 미친 영향을 평가한다. [1-3-2] 국가 간 경제적 평등에 대해 이해하고 상생의 경제생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세계화, 시장경제 중등 SDG 1 기업의 지속가능성 환경 문제와 지속가능한 환경 [9사(지리)10-01]전 지구적인 차원에서 발생하는 기후 변화의 원인과 그에 따른 지역 변화를 조사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역적・국제적 노력을 평가한다. [12-3] 기후변화 완화, 적응, 영향 감축 및 조기 경보 등 기후변화를 대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기후변화, 환경문제 중등 SDG 13 [9사(지리)10-02]환경 문제를 유발하는 산업이 다른 국가로 이전한 사례를 조사하고, 해당 지역 환경에 미친 영향을 분석한다. [9-2] 환경문제 등 지금까지의 산업화 현상과 과정에 대해 이해하여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산업화 과정을 알아본다. 환경문제 중등 SDG 9 [9사(지리)10-03]생활 속의 환경 이슈를 둘러싼 다양한 의견을 비교하고, 환경 이슈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제시한다. [17-2]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필요한 개인, 국가 등 다양한 관계에서의 협력 방안에 대해 알아본다. 환경문제 중등 SDG 17 더불어 사는 세계 [9사(지리)12-02]다양한 지표를 통해 지역별로 발전 수준이 어떻게 다른지 파악하고, 저개발 지역의 빈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을 조사한다. [10-2] 인종, 민족, 종교, 최빈 개도국, 아프리카 등 다양한 영역별 국가 간 불평등 문제에 대해 이해한다. 빈부격차 완화 중등 SDG 10 [9사(지리)12-03]지역 간 불평등을 완화하기 위한 국제 사회의 노력을 조사하고, 그 성과와 한계를 평가한다. [10-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국가 내, 국가 간 불평등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을 모색하고 실천한다. 빈부격차 완화 중등 SDG 10 경제생활과 선택 [9사(일사)08-01]경제활동에서 희소성으로 인한 합리적 선택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기본적인 경제 문제 해결을 위한 방식으로서 경제체제의 특징을 분석한다. [1-1] 우리의 삶에서 경제생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시장경제 중등 SDG 1 [9사(일사)08-02]자유 시장경제에서 기업의 역할과 사회적 책임을 이해하고, 기업가 정신을 함양할 수 있는 태도를 갖는다. [1-2] 경제적 평등에 대해 이해하고 함게 살아가는 경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시장경제 중등 SDG 1 기업의 지속 가능성 중학교 도덕 자신과의 관계 [9도01-05]행복한 삶을 위해 좋은 습관과 건강의 필요성을 설명하고, 정서적 건강과 사회적 건강을 가꾸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실천 의지를 함양할 수 있다. [17-1] 양질을 삶과 행복을 추구하기 위해 필요한 지속가능발전의 의미를 이해한다. 건강 중등 SDG 17 사회·공동체와의 관계 [9도03-01]인간 존엄성과 인권, 양성평등이 보편적 가치임을 도덕적 맥락에서 이해하고, 타인에 대한 사회적 편견을 통제하여 보편적 관점에서 모든 인간을 인권을 가진 존재로서 공감하고 배려할 수 있다. [5-2-1]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양성평등 실천방안을 모색한다. 인권, 양성평등 중등 SDG 5 [9도03-04]정의로운 국가의 조건을 이해하고 시민이 갖추어야 할 자질이 무엇인지 탐구 하는 과정을 통해, 준법 의식을 길러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책임감 있게 행동할 수 있다. [16-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법과 제도의 정비와 그 나아갈 방향에 대해 알아본다. 사회정의 중등 SDG 16 [9도03-05]정의로운 사회가 도덕적 공동체와 인간다운 삶을 보장하기 위한 기반이 된다는 점을 이해하고, 공정한 경쟁을 저해하는 부패 행위를 예방하는 마음가짐을 길러 보편적 관점에서 정의 실현을 위한 참여적 태도를 가질 수 있다. [16-1] 평화롭고 포용적인 사회 증진과 모두의 정의 실현을 위한 법과 제도의 의미와 형성과정에 대해 이해한다. 사회정의 중등 SDG 16 중학교 도덕 자연∙초월과의 관계 [9도04-01]인간과 자연의 조화를 통한 삶의 중요성과 환경 보호의 필요성을 다각적으로 이해하고, 생태 지속가능성의 관점에서 소비 생활과 환경에 대한 가치관을 평가해 보며, 환경친화적인 실천 기술을 익힐 수 있다. [12-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생산과 소비에 대해 알고 실생활에 적용해 본다.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중등 SDG 16 중학교 과학 지권의 변화 [9과01-04]풍화 과정을 이해하고, 토양 생성 과정을 풍화 작용의 예로 설명할 수 있다. [15-1] 땅, 산림, 습지, 산, 건조지 등 육상 생태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육상오염의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자연자원(물, 공기, 토양 등) 중등 SDG 15 생물의 다양성 [9과03-01]생물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변이의 관점에서 환경과 생물다양성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15-1] 땅, 산림, 습지, 산, 건조지 등 육상 생태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육상오염의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자연자원(물, 공기, 토양 등) 중등 SDG 15 생물다양성 [9과03-02]생물 종의 개념과 분류 체계를 이해하고 생물을 계 수준에서 분류할 수 있다. [15-1] 땅, 산림, 습지, 산, 건조지 등 육상 생태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육상오염의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자연자원(물, 공기, 토양 등) 중등 SDG 15 생물다양성 [9과03-03]생물다양성 보전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생물다양성 유지를 위한 활동 사례를 조사하여 발표할 수 있다. [15-3] 지속가능한 육상 생태계를 위한 생물 종 다양성 보존, 올바른 토양자원의 활용과 육상 생태계 보호와 대책을 알아본다. 자연자원(물, 공기, 토양 등) 중등 SDG 15 생물다양성 과학과 나의 미래 [9과07-01]과학과 관련된 직업의 종류와 하는 일을 조사하고, 그 직업에 필요한 역량에 대해 토의할 수 있다. [8-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일자리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중등 SDG 8 [9과07-02]현대 사회의 다양한 직업이 과학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예를 들어 설명하고, 미래 사회에서의 직업의 변화를 토의할 수 있다. [8-3] 행복한 삶 추구를 위한 진로인식, 진로개척, 진로효능감 증진을 이해하고 미래의 삶을 준비한다. 중등 SDG 8 식물과 에너지 [9과11-01]식물이 생명 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기 위해 양분을 만드는 광합성 과정을 이해하고, 광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설명할 수 있다. [15-1] 땅, 산림, 습지, 산, 건조지 등 육상 생태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육상오염의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생물다양성 중등 SDG 15 [9과11-02]광합성에 필요한 물의 이동과 증산 작용의 관계를 이해하고, 잎의 증산 작용을 광합성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15-1] 땅, 산림, 습지, 산, 건조지 등 육상 생태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육상오염의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생물다양성 중등 SDG 15 [9과11-03]식물의 호흡을 이해하고, 광합성과의 관계를 설명할 수 있다. [15-1] 땅, 산림, 습지, 산, 건조지 등 육상 생태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육상오염의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생물다양성 중등 SDG 15 수권과 해수의 순환 [9과14-01]수권에서 해수, 담수, 빙하의 분포와 활용 사례를 조사하고, 자원으로서 물의 가치에 대해 토론할 수 있다. [6-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물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자연자원(물, 공기, 토양 등) 중등 SDG 6 [9과14-02]해수의 연직 수온 분포와 염분비 일정 법칙을 통해 해수의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6-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물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자연자원(물, 공기, 토양 등) 중등 SDG 6 [9과14-03]우리나라 주변 해류의 종류와 특성을 알고 조석 현상에 대한 자료를 해석할 수 있다. [6-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물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자연자원(물, 공기, 토양 등) 중등 SDG 6 열과 우리 생활 [9과15-01]물체의 온도 차이를 구성 입자의 운동 모형으로 이해하고, 열의 이동 방법과 냉난방 기구의 효율적 사용에 대하여 조사하고 토의할 수 있다. [7-2] 학교, 생활 등 다양한 에너지 자원과 사용, 환경오염에 대해 안다. 에너지 중등 SDG 7 화학 반응의 규칙과 에너지 변화 [9과17-01]물리 변화와 화학 변화의 차이를 알고, 일상생활에서 물리 변화와 화학 변화의 예를 찾을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중등 SDG 7 기권과 날씨 [9과18-01]기권의 층상 구조를 이해하고, 온실 효과와 지구 온난화를 복사 평형의 관점으로 설명할 수 있다. [13-1] 기후변화의 현황과 의미에 대해 이해한다. 기후변화 중등 SDG 13 운동과 에너지 [9과19-03]일의 의미를 알고, 자유 낙하하는 물체의 운동에서 중력이 한 일을 위치 에너지와 운동 에너지로 표현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중등 SDG 7 에너지 전환과 보존 [9과22-01]위로 던져 올린 물체와 자유 낙하 물체의 운동에서 위치 에너지와 운동 에너지의 변화를 역학적 에너지 전환과 역학적 에너지 보존으로 예측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중등 SDG 7 [9과22-02]자석의 운동에 의해 전류가 발생하는 현상을 관찰하고, 역학적 에너지가 전기 에너지로 전환됨을 설명할 수 있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중등 SDG 7 에너지 전환과 보존 [9과22-03]가정에서 전기 에너지가 다양한 형태의 에너지로 전환되는 예를 들고, 이를 소비 전력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7-3]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청정에너지의 중요성과 신재생에너지의 현재와 미래를 안다. 에너지 중등 SDG 7 과학기술과 인류 문영 [9과24-01]과학기술과 인류 문명의 관계를 이해하고 과학의 유용성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9-1] 우리나라와 전 세계의 산업화 현상과 진행에 대해 이해한다.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중등 SDG 9 [9과24-02]과학을 활용하여 우리 생활을 보다 편리하게 만드는 방안을 고안하고 그 유용성에 대해 토론할 수 있다. [9-2] 환경문제 등 지금까지의 산업화 현상과 과정에 대해 이해하여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산업화 과정을 알아본다.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중등 SDG 9 중학교 기술가정 인간 발달과 가족 [9기가01-05]다양한 가족 관계의 유형과 특징을 파악하고, 양성평등하고 세대 간의 민주적인 가족 관계를 형성하는 방안을 탐색하여 실천한다. [5-21-1]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한 양성평등 실천방안을 모색한다. 양성평등 중등 SDG 5 가정 생활과 안전 [9기가02-01]청소년기 영양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청소년기 식생활 문제를 인식하여 자신의 식행동을 평가한다. [2-1-1] 인간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의, 식, 주를 알아본다. 지속가능한 식량생산 중등 SDG 2 [9기가02-02]영양 섭취 기준과 식사 구성안을 고려하여 균형 잡힌 식사를 계획하고, 가족의 요구를 분석하여 식사를 선택한 후 평가한다. [2-1-1] 인간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의, 식, 주를 알아본다. 지속가능한 식량생산 중등 SDG 2 [9기가02-03]의복 디자인의 요소를 적용한 개성 있는 옷차림을 통해 자신을 긍정적으로 표현하고, 타인을 배려하는 의생활을 실천한다. [2-1-1] 인간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의, 식, 주를 알아본다. 지속가능한 식량생산 중등 SDG 2 [9기가02-04]의복 마련에 필요한 요소를 분석하여 의복 마련 계획을 세우고 의복의 형태와 종류를 선택한다. [2-1-1] 인간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의, 식, 주를 알아본다. 지속가능한 식량생산 중등 SDG 2 [9기가02-05]주거 가치관의 변화를 이해하고, 다양한 생활양식을 고려하여 이웃과 더불어 살아가는 주생활 문화를 실천한다. [2-1-1] 인간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의, 식, 주를 알아본다. 지속가능한 식량생산 중등 SDG 2 가정 생활과 안전 [9기가02-10]가족의 건강과 환경을 고려한 식품 선택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식품을 안전하게 관리하고 보관하는 방법을 탐색하여 실생활에 활용한다. [2-1-2] 인간의 삶에서 식량 문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지속가능한 식량생산 중등 SDG 2 [9기가02-08]성적 의사 결정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성폭력의 원인과 영향을 개인 및 사회적 차원에서 분석하여 예방 및 대처 방안을 탐색한다. [16-3] 아동 성폭력 예방, 인권문제 등 우리와 관련 있는 법과 제도의 현황과 그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인권 중등 SDG 16 9기가02-11]가족 구성원의 요구, 영양적 균형을 고려한 한 끼 식사를 계획하고, 위생과 안전을 고려하여 조리한 후 평가한다. [2-3]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미래 식량 대책에 대해 이해하고 토론한다. 지속가능한 식량생산 중등 SDG 2 [9기가02-12]쾌적한 주거 환경 조성을 위한 조건을 분석하고, 주생활과 관련된 안전사고의 예방 및 대처 방안을 탐색하여 실생활에 적용한다. [2-3]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미래 식량 대책에 대해 이해하고 토론한다. 지속가능한 식량생산 중등 SDG 2 자원 관리와 자립 [9기가03-08]생애 설계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생애주기별 발달 과업을 중심으로 자신의 생애를 설계하고 평가한다. [8-3] 행복한 삶 추구를 위한 진로인식, 진로개척, 진로효능감 증진을 이해하고 미래의 삶을 준비한다. 중등 SDG 8 [9기가03-09]전 생애적 관점에서의 진로 설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건전한 직업 가치관을 바탕으로 자신의 적성에 맞는 진로를 탐색하고 설계한다. [8-3] 행복한 삶 추구를 위한 진로인식, 진로개척, 진로효능감 증진을 이해하고 미래의 삶을 준비한다. 중등 SDG 8 기술 시스템 [9기가04-13]신・재생 에너지의 활용을 이해하고 신・재생 에너지 개발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효율적인 에너지 이용 방안을 제안한다. [7-3]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청정에너지의 중요성과 신재생에너지의 현재와 미래를 안다. 에너지 중등 SDG 7 [9기가04-14]에너지와 관련된 문제를 이해하고 해결책을 창의적으로 탐색하고 실현하며 평가한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중등 SDG 7 기술 활용 [9기가05-09]적정기술과 지속가능 발전의 의미를 이해하고 적정기술 체험 활동을 통하여 문제를 창의적으로 탐색하고 실현하고 평가한다. [17-1] 양질을 삶과 행복을 추구하기 위해 필요한 지속가능발전의 의미를 이해한다. 중등 SDG 17 중학교 체육 건강 <건강과 체력 평가> [9체01-01]건강과 신체활동(신체 자세, 규칙적인 운동 등)의 관계를 이해하고, 건강 증진을 위한 신체활동을 계획적으로 실천한다. [3-1]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삶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건강 중등 SDG 3 건강 <건강과 체력 관리> [9체01-04]건강과 생활 환경(감염성・비감염성 질환, 기호품 및 약물의 오・남용, 영양 등)의 관계를 이해하고, 건강한 생활 습관을 실천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중등 SDG 3 [9체01-05]체력 증진의 과학적 원리, 운동 내용, 관리 방법을 이해하고 자신에게 적합한 체력 증진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습관화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중등 SDG 3 [9체01-05]체력 증진의 과학적 원리, 운동 내용, 관리 방법을 이해하고 자신에게 적합한 체력 증진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습관화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중등 SDG 3 안전 <스포츠 활동 안전> [9체05-03]응급 상황이나 안전사고 발생 시, 해결 방법과 절차를 올바르게 판단하고 적용한다. [3-1]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삶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안전 중등 SDG 3 안전 <스포츠 환경 안전> [9체05-06]스포츠 활동에서 자신과 타인의 안전을 고려하여 안전 수칙과 절차를 준수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안전 중등 SDG 3 안전 <여가 스포츠 안전> [9체05-09]스포츠 안전사고 발생 시 타인 및 공공의 안전을 위해 노력하고 대처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안전 중등 SDG 3 중학교 미술 체험 [9미01-05]미술과 관련된 다양한 직업의 종류와 특징을 이해할 수 있다. [8-3] 행복한 삶 추구를 위한 진로인식, 진로개척, 진로효능감 증진을 이해하고 미래의 삶을 준비한다. 중등 SDG 8 중학교 환경 환경의 체계 [9환02–01]지구 생태계의 구성 요소를 다양한 방법으로 분류하고, 인간을 포함한 물, 공기, 흙, 생물로 구성된 생태계의 의미를 설명한다. [15-1] 땅, 산림, 습지, 산, 건조지 등 육상 생태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육상오염의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자연자원(물, 공기, 토양 등) 중등 SDG 15 [9환02–02]지구 생태계에서 물, 공기, 흙, 생물이 어떤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사례를 통해 인간과 생태계 구성 요소 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한다. [15-1] 땅, 산림, 습지, 산, 건조지 등 육상 생태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육상오염의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자연자원(물, 공기, 토양 등) 중등 SDG 15 [9환02–03]지구 생태계에서 물, 공기, 흙, 생물의 역할과 소중함을 살펴보고, 이를 글, 그림, 만화, 신문 등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한다. [15-1] 땅, 산림, 습지, 산, 건조지 등 육상 생태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육상오염의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자연자원(물, 공기, 토양 등) 중등 SDG 15 [9환02–04]사례를 통해 환경 문제의 원인과 영향을 파악하고 해당 환경 문제에서 물, 공기, 흙, 생물, 인간 등에 나타나는 상호작용을 구분하여 제시한다. [15-1] 땅, 산림, 습지, 산, 건조지 등 육상 생태계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하고, 육상오염의 현황에 대해 알아본다. 자연자원(물, 공기, 토양 등) 중등 SDG 15 [9환02–04]사례를 통해 환경 문제의 원인과 영향을 파악하고 해당 환경 문제에서 물, 공기, 흙, 생물, 인간 등에 나타나는 상호작용을 구분하여 제시한다. [9-2] 환경문제 등 지금까지의 산업화 현상과 과정에 대해 이해하여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산업화 과정을 알아본다. 환경문제 중등 SDG 9 환경의 체계 [9환02–05]환경 문제의 발생과 해결 과정에 대해 과학적 원리를 바탕으로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측면을 함께 고려하여 설명한다. [9-2] 환경문제 등 지금까지의 산업화 현상과 과정에 대해 이해하여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산업화 과정을 알아본다. 환경문제 중등 SDG 9 [9환02–06]일상생활 속에서 발생하는 환경 문제를 찾고, 문제 해결 또는 개선을 위한 실행 방안을 동료와 협의하여 제시한다. [9-2] 환경문제 등 지금까지의 산업화 현상과 과정에 대해 이해하여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산업화 과정을 알아본다. 환경문제 중등 SDG 9 지역 환경과 지구 환경 [9환03–04]자원의 의미를 이해하고, 재활용 분리배출, 음식물 쓰레기, 폐건전지 처리 등을 조사하여 자신이 사는 지역을 자원순환사회로 만들기 위해 개선해야 할 점을 제시한다. [11-3] 포용적이고 안전하며 복원력 있고 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천한다.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중등 SDG 11 [9환03–05]에너지원의 변천과정을 이해하고, 다양한 에너지원의 특성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친환경적인 에너지 이용방안을 제시한다. [7-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에너지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에너지 중등 SDG 7 [9환03–06]신재생에너지, 핵발전, 고압송전탑 등 우리나라 에너지 이용에 관한 쟁점을 조사하고 토론한다. [7-3]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청정에너지의 중요성과 신재생에너지의 현재와 미래를 안다. 에너지 중등 SDG 7 지역 환경과 지구 환경 [9환03–07]지구의 환경 변화에 대한 사례 분석을 통해 지구 환경과 지구 환경 문제의 특성을 유형화한다. [13-2] 기후변화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기후변화 중등 SDG 13 [9환03–08]열대우림, 극지빙하 등 지구 환경 변화와 그 원인을 파악하고, 이를 보전하기 위한 방안을 개인적, 사회적 측면에서 제시한다. [13-3] 기후변화 완화, 적응, 영향 감축 및 조기 경보 등 기후변화를 대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기후변화 중등 SDG 13 [9환03–09]성층권 오존층 고갈과 같은 현재 해결 중인 사례를 통해 지구 환경 문제의 해결 방안에 대해 토의한다. [13-3] 기후변화 완화, 적응, 영향 감축 및 조기 경보 등 기후변화를 대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기후변화 중등 SDG 13 [9환03–10]기후 변화 현상의 원인을 구분하고, 기후 변화로 발생되는 갈등 해결 방안을 지구공동체의 관점에서 토의한다. [13-3] 기후변화 완화, 적응, 영향 감축 및 조기 경보 등 기후변화를 대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기후변화 중등 SDG 13 [9환03–11]지구 수준의 환경 문제인 기후 변화로 인해 자신의 지역에서 어떤 현상이 나타날 수 있는지 강수량, 기온, 개화시기 등의 자료를 분석하여 확인하고 이를 해석한다. [13-3] 기후변화 완화, 적응, 영향 감축 및 조기 경보 등 기후변화를 대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기후변화 중등 SDG 13 [9환03–12]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다양한 방안을 개인적 노력과 지역, 국가, 지구 차원의 사회적 노력으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이를 자신의 책임 및 역할과 관련 지어 발표한다. [13-3] 기후변화 완화, 적응, 영향 감축 및 조기 경보 등 기후변화를 대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기후변화 중등 SDG 13 지속가능한 사회 [9환04–01]지속가능발전의 다양한 의미를 탐색하고, 동료와의 토의를 통해 지속가능발전에 대한 자신의 정의를 제시한다. [17-1] 양질을 삶과 행복을 추구하기 위해 필요한 지속가능발전의 의미를 이해한다.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중등 SDG 17 [9환04–02] 지속가능발전과 관련된 국・내외 사례를 환경적, 경제적, 사회적 측면에서 해석하고, 자신의 삶과 지역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17-2]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필요한 개인, 국가 등 다양한 관계에서의 협력 방안에 대해 알아본다.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중등 SDG 17 [9환04–03] 우리 주변의 주거, 교통, 먹을거리, 생산과 소비 등의 사례를 통해 지속가능한 생활양식과 이를 가능하게 하는 사회 체제를 모색한다. [17-2]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필요한 개인, 국가 등 다양한 관계에서의 협력 방안에 대해 알아본다.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중등 SDG 17 [9환04–04] 학교, 마을, 지역 수준에서 지속가능한 사회의 요소를 찾아보고, 학교 의제 작성 등을 통해 구성원이 합의한 지속가능한 사회의 모습을 제시한다. [17-2]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필요한 개인, 국가 등 다양한 관계에서의 협력 방안에 대해 알아본다.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중등 SDG 17 [9환04–05] 다양한 환경 문제를 환경정의 측면에서 살펴보고, 자신이 속한 학교, 마을, 지역, 국가 등을 지속가능한 사회로 만들기 위한 다양한 참여 방식을 조사한다. [11-3] 포용적이고 안전하며 복원력 있고 지속가능한 마을 만들기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실천한다. 환경문제 중등 SDG 11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지속가능한 사회 [9환04–06] 지속가능한 사회를 추구하며 살아가는 다양한 인물과 진로의 사례를 찾아보고,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자신의 참여 방식을 제시한다. [17-3] 전지구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지속가능발전중등 SDG)을 찾아 실천한다.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중등 SDG 17 중학교 보건 건강 증진 [9보01–01]건강의 개념과 중요성을 이해하고, 다양한 건강 영향 요인을 분석한다. [3-1]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삶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건강 중등 SDG 3 [9보01–02]자신의 건강 상태와 건강 검사 결과 등을 토대로 자신의 건강을 평가하여 건강 중등 SDG와 건강 관리 실천 전략을 수립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중등 SDG 3 생활 주기 [9보02–01]수면, 식습관, 신체 활동 등 생활 주기와 건강과의 관계를 탐색하고, 생활 주기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사회・환경적 요인을 분석하여 건강 생활 실천 전략을 수립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중등 SDG 3 질병 예방 [9보03–01]생활 습관과 질병의 관련성을 이해하고 만성 질환 예방 및 건강 관리 방안을 수립한다. [3-1]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삶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건강 중등 SDG 3 [9보03–02]유행성 감염병 발생 과정과 면역의 관계를 이해하고, 병문안 예절 등 개인적, 사회적 측면에서 유행성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 방안을 제시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중등 SDG 3 [9보03–03]신체 기관별 건강 문제에 따른 질병 예방 및 관리 방안을 제시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중등 SDG 3 약물∙담배∙술 [9보04–01]약물 오・남용의 문제점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 의약품의 안전한 선택과 사용법을 제시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중등 SDG 3 [9보04–02]흡연・음주의 위험 요인과 폐해를 탐색하고, 흡연・음주의 예방 및 대처 전략을 수립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중등 SDG 3 성 건강 [9보05–02]남녀 성의식의 차이를 이해하고, 이성 교제 시 변화 단계에 적절히 대처하는 방법 및 성적 자기 결정권 행사에 대해 토론한다. [5-2-1] 여자와 남자의 특성을 이해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해 발표한다. 양성평등 중등 SDG 5 [9보05–03]성 역할에 대한 고정 관념, 편견과 차별이 발생하는 사회・문화적 상황을 분석하고, 양성적 성 역할을 재설정하여 제시한다. [10-1] 나이, 성, 장애, 인종, 민족, 출신, 종교, 경제 수준 등 다양한 영역별 국가 내 불평등 문제에 대해 이해한다. 양성평등 중등 SDG 10 [9보05–04]임신과 출산이 개인・사회적으로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임신・출산・피임의 원리와 방법을 탐구하여 이해한다. [3-1]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삶의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건강 중등 SDG 3 [9보05–06]성폭력・성매매, 성 매개 감염병의 원인과 문제점을 조사하고 예방 및 대처 방법을 제시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중등 SDG 3 정서∙정신∙건강 [9보06–02]스트레스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고, 스트레스 관리 방안을 제시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중등 SDG 3 [9보06–03]과 몰입의 영향과 건강 관련성을 분석하고, 예방 및 대처 방법을 토론하여 도출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중등 SDG 3 [9보06–04]분노, 충동 등 감정의 영향을 분석하고, 자신과 타인의 감정 수용 및 감정 조절 방안을 설명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중등 SDG 3 [9보06–05]삶과 죽음의 의미, 생명의 소중함을 토론하고, 자살 예방 방안을 모색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중등 SDG 3 건강 생활 기술 [9보07–01]주장, 공감, 거절하기 등 건강 의사소통 방법을 사용하여 상황별 건강 문제 해결에 적용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중등 SDG 3 [9보07–02]건강 의사 결정 과정을 알고, 건강 정보・자원 등을 활용하여 건강 증진을 위한 건강 의사 결정 과정에 적용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중등 SDG 3 [9보07–03]건강에 유해한 행위와 환경을 탐색하여 개인과 지역 사회의 건강 증진 옹호 활동 참여 방안을 계획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중등 SDG 3 생활 안전 [9보08–01]생활 속 건강・안전 위험 요인을 예측하고, 안전사고 예방 및 안전 문화 운동 참여 방안을 제안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중등 SDG 3 [9보08–02]따돌림, 학대, 폭력 관련 법률, 문제점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대처 방안을 설명한다. [16-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법과 제도의 정비와 그 나아갈 방향에 대해 알아본다. 거버넌스 중등 SDG 16 응급 처치 [9보09–01]상황별 응급 처치의 원리와 방법을 이해하고, 응급 처치 방법을 시연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안전 중등 SDG 3 [9보09–02]심폐소생술 및 자동제세동기 사용의 원리를 이해하고, 심폐소생술 및 자동제세동기 사용 방법을 시연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언전 중등 SDG 3 건강권과 건강 자원 [9보10–01]건강권과 책임의 의미, 관련 법규를 탐색하고, 건강권의 제한 또는 침해 사례를 조사하여 개인・사회・국가적 측면에서 건강권 확보 방안을 제안한다. [16-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법과 제도의 정비와 그 나아갈 방향에 대해 알아본다. 거버넌스 중등 SDG 16 [9보10–02]건강 기능 식품 및 건강 보조 기구 등의 무분별한 사용을 비판하고, 건강에 유익한 정보와 자원을 조사하여 활용 방안을 제시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중등 SDG 3 건강 문화 [9보11–01]신념, 규범, 관행, 미디어 등 문화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유행 모방 등 생활 속 건강 위험 문화를 찾아 개선점을 제시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중등 SDG 3 [9보11–02]또래・가족 문화의 특성 및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유해한 또래・가족문화를 바꾸기 위한 건강 증진 전략을 모색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중등 SDG 3 [9보11–03]장애인, 다문화 가족 등 사회적 소수자・약자의 건강 특성, 고정 관념을 조사하고, 규범의 변화 및 건강 증진을 위한 개인적・사회적 방안을 제안한다. [3-3] 질병과 자살, 교통사고가 없는 건강한 인간과 지구 만들기를 위한 개인과 공동체의 대책을 고민하고 실천한다. 건강 중등 SDG 3 중학교 진로와 직업 자아이해와 사회적 역량 개발 [9진01-01]자신의 능력이나 특성, 강・약점 등을 존중할 수 있다. [8-3] 행복한 삶 추구를 위한 진로인식, 진로개척, 진로효능감 증진을 이해하고 미래의 삶을 준비한다. 중등 SDG 8 [9진01-02]다양한 방법으로 자신의 직업 흥미와 적성을 탐색할 수 있다. [8-3] 행복한 삶 추구를 위한 진로인식, 진로개척, 진로효능감 증진을 이해하고 미래의 삶을 준비한다. 중등 SDG 8 [9진01-03]대인관계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가족, 친구, 선생님, 이웃 등 주변 사람들과 적절한 관계를 맺을 수 있다. [8-3] 행복한 삶 추구를 위한 진로인식, 진로개척, 진로효능감 증진을 이해하고 미래의 삶을 준비한다. 중등 SDG 8 일과 직업세계의 이해 [9진02-01]다양한 직업을 분야별로 분류하고 각 직업이 하는 일을 설명할 수 있다. [8-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일자이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중등 SDG 8 [9진02-02]사회적 변화에 따라 새롭게 등장한 직업과 사라진 직업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 [8-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일자이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중등 SDG 8 [9진02-03]새로운 종류의 직업이나 사업을 상상하고 만드는 모의 활동을 할 수 있다. [8-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일자이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중등 SDG 8 [9진02-04]직업이 자신에게 주는 긍정적 가치(자아실현, 보람 등)를 이해할 수 있다. [8-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일자이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중등 SDG 8 [9진02-05]직업인이 공통적으로 갖추어야 할 직업윤리를 이해할 수 있다. [8-1]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일자이의 중요성에 대해 이해한다. 중등 SDG 8 일과 직업세계의 이해 [9진02-06]직업에 대한 사회의 여러 가지 편견과 고정관념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문제점을 설명할 수 있다. [8-2-2] 노동과 인권 등 다양한 분야와 영역에서의 양질의 일자리문제, 일자리 창출 문제 등의 일자리 문제를 이해한다. 중등 SDG 8 진로 탐색 [9진03-01]진로에서 학습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다. [8-3] 행복한 삶 추구를 위한 진로인식, 진로개척, 진로효능감 증진을 이해하고 미래의 삶을 준비한다. 중등 SDG 8 [9진03-03]다양한 체험활동을 통해 직업 정보를 탐색할 수 있다. [8-3] 행복한 삶 추구를 위한 진로인식, 진로개척, 진로효능감 증진을 이해하고 미래의 삶을 준비한다. 중등 SDG 8 [9진03-04]관심 직업분야의 다양한 진로 경로를 탐색할 수 있다. [8-3] 행복한 삶 추구를 위한 진로인식, 진로개척, 진로효능감 증진을 이해하고 미래의 삶을 준비한다. 중등 SDG 8 ..SHEET:4 학년 과목 단원 교육과정 성취기준 SDGs-ESD 성취기준 ESD 내용 요소 관련 수업모델 고등학교 통합사회 삶의 이해와 환경-자연환경과 인간 [10통사02-03]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정부, 시민사회, 기업 등의 다양한 노력을 조사하고, 개인적 차원의 실천 방안을 모색한다. [17-3] 전지구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지속가능발전목표)을 찾아 실천한다. 환경문제 SDG 17 삶의 이해와 환경-생활공간과 사회 [10통사03-01]산업화, 도시화로 인해 나타난 생활공간과 생활양식의 변화 양상을 조사하고, 이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9-1] 우리나라와 전 세계의 산업화 현상과 진행에 대해 이해한다.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SDG 9 [10통사03-02]교통・통신의 발달과 정보화로 인해 나타난 생활공간과 생활양식의 변화 양상을 조사하고, 이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한다. [9-2] 환경문제 등 지금까지의 산업화 현상과 과정에 대해 이해하여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산업화 과정을 알아본다. 환경문제 SDG 9 인간과 공동체-인권 보장과 헌법 [10통사04-01]근대 시민 혁명 등을 통해 확립되어 온 인권의 의미와 변화 양상을 이해하고, 현대 사회에서 주거, 안전, 환경 등 다양한 영역으로 인권이 확장되고 있는 사례를 조사한다. [16-2] 아동 성폭력 예방, 인권문제 등 우리와 관련 있는 법과 제도의 현황과 그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인권 SDG 16 [10통사04-02]인간 존엄성 실현과 인권 보장을 위한 헌법의 역할을 파악하고, 준법 의식과 시민 참여의 필요성에 대해 탐구한다. [16-2] 아동 성폭력 예방, 인권문제 등 우리와 관련 있는 법과 제도의 현황과 그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인권 SDG 16 인간과 공동체-인권 보장과 헌법 [10통사04-03]사회적 소수자 차별, 청소년의 노동권 등 국내 인권 문제와 인권지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세계 인권 문제의 양상을 조사하고, 이에 대한 해결 방안을 제시한다. [16-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올바른 법과 제도의 정비와 그 나아갈 방향에 대해 알아본다. 인권 SDG 16 인간과 공동체-시장경제와 금융 [10통사05-01]자본주의의 역사적 전개 과정과 그 특징을 조사하고, 시장경제에서 합리적 선택의 의미와 그 한계를 파악한다. [1-1] 우리의 삶의 경제생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시장경제 SDG 1 [10통사05-02]시장경제의 원활한 작동과 발전을 위해 요청되는 정부, 기업가, 노동자, 소비자의 바람직한 역할에 대해 설명한다. [1-1] 우리의 삶의 경제생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시장경제 SDG 1 [10통사05-03]자원, 노동, 자본의 지역 분포에 따른 국제 분업과 무역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무역의 확대가 우리 삶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사례를 통해 탐구한다. [1-1] 우리의 삶의 경제생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시장경제 SDG 1 [10통사05-04]안정적인 경제생활을 위해 금융 자산의 특징과 자산 관리의 원칙을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생애 주기별 금융 생활을 설계한다. [1-1] 우리의 삶의 경제생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시장경제 SDG 1 인간과 공동체-사회 정의와 불평등 [10통사06-03]사회 및 공간 불평등 현상의 사례를 조사하고, 정의로운 사회를 만들기 위한 다양한 제도와 실천 방안을 탐색한다. [4-3] 수준별, 계층별 평등교육 실현과 평생학습의 보장을 위한 개인과 나라, 세계가 해야 할 일을 찾아 실천한다. SDG 4 사회 변화와 공존-문화와 다양성 [10통사07-02]문화 변동의 다양한 양상을 이해하고, 현대사회에서 전통문화가 갖는 의의를 파악한다. [10-1] 나이, 성, 장애, 인종, 민족, 출신, 종교, 경제 수준 등 다양한 영역별 국가 내 불평등 문제에 대해 이해한다. 문화다양성 SDG 10 [10통사07-03]문화적 차이에 대한 상대주의적 태도의 필요성을 이해하고, 보편 윤리의 차원에서 자문화와 타문화를 성찰한다. [10-1] 나이, 성, 장애, 인종, 민족, 출신, 종교, 경제 수준 등 다양한 영역별 국가 내 불평등 문제에 대해 이해한다. 문화다양성 SDG 10 [10통사07-04]다문화 사회에서 나타날 수 있는 갈등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하는 태도를 갖는다. [10-3]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국가 내, 국가 간 불평등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을 모색하고 실천한다. 문화다양성 SDG 10 사회 변화와 공존 - 미래와 지속가능한 삶 [10통사09-02]지구적 차원에서 사용 가능한 자원의 분포와 소비 실태를 파악하고,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개인적 노력과 제도적 방안을 탐구한다. [17-2]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필요한 개인, 국가 등 다양한 관계에서의 협력 방안에 대해 알아본다. SDG 17 [10통사09-03]미래 지구촌의 모습을 다양한 측면에서 예측하고,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미래 삶의 방향을 설정한다. [17-3] 전지구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지속가능발전목표)을 찾아 실천한다. SDG 17 고등학교 한국지리 기후 환경과 인간 생활 [12한지03-01]우리나라의 기후 특성을 기후 요소 및 기후 요인과 관련지어 설명한다. [13-1] 기후변화의 현황과 의미에 대해 이해한다. 기후변화 SDG 13 [12한지03-02]다양한 기후 경관을 사례로 기후 특성이 경제생활 등 주민들의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한다. [13-2] 기후변화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기후변화 SDG 13 [12한지03-03]자연재해 및 기후 변화의 현상과 원인, 결과를 조사하고, 인간과 자연환경 간의 지속가능한 관계에 대해 토론한다. [13-3] 기후변화 완화, 적응, 영향 감축 및 조기 경보 등 기후변화를 대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기후변화 SDG 13 재해예방과 감소 거주 공간의 변화와 지역 개발 [12한지04-01]우리나라 촌락의 최근 변화상을 파악하고, 도시의 발달 과정 및 도시체계의 특성을 탐구한다. [11-2] 도시와 농촌, 어촌에 모습과 현황, 문제를 이해하여 모두가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정주를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SDG 11 [12한지04-02]도시의 지역 분화 과정 및 내부 구조의 변화를 이해하고, 대도시권의 형성 및 확대가 주민 생활에 미친 영향을 설명한다. [11-2] 도시와 농촌, 어촌에 모습과 현황, 문제를 이해하여 모두가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정주를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SDG 11 [12한지04-03]주요 대도시를 사례로 도시 계획과 재개발 과정이 도시 경관과 주민 생활에 미친 영향에 대해 분석한다. [11-2] 도시와 농촌, 어촌에 모습과 현황, 문제를 이해하여 모두가 행복한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정주를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지속가능한 촌락∙도시 SDG 11 생산과 소비의 공간 [12한지05-01]자원의 특성과 공간 분포를 파악하고, 이의 생산과 소비에 따른 문제점 및 해결 방안에 대해 모색한다. [12-2] 생산과 소비 과정에서 일어나는 식량 손실, 화학물 방출, 폐기물 문제와 그 심각성에 대해 알아본다.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SDG 12 [12한지05-04]상업 및 서비스 산업의 입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최근의 변화상을 파악하고, 교통・통신의 발달이 생산 및 소비 공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다. [12-4] [12한지05-04]상업 및 서비스 산업의 입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최근의 변화상을 파악하고, 교통・통신의 발달이 생산 및 소비 공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한다.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SDG 12 세계의 자연환경과 인간 생활 [12세지02-01]기후 요인과 기후 요소에 대한 기본 이해를 바탕으로 열대 기후의 주요 특징과 요인을 분석한다. [13-1] 기후변화의 현황과 의미에 대해 이해한다. 기후변화 SDG 13 [12세지02-02]온대 동안 기후와 온대 서안 기후의 특징 및 요인을 서로 비교하고, 이러한 기후 환경에 적응한 인간 생활의 모습을 파악한다. [13-2] 기후변화가 우리 삶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기후변화 SDG 13 [12세지02-03]건조 기후와 냉・한대 기후의 주요 특징을 이해하고, 이러한 기후 환경에서 형성된 주요 지형들을 탐구한다. [13-1] 기후변화의 현황과 의미에 대해 이해한다. 기후변화 SDG 13 세계의 인문환경과 인문 경관 [12세지03-01]세계의 주요 종교별 특징과 주된 전파 경로를 분석하고, 주요 종교의 성지 및 종교 경관이 지닌 상징적 의미들을 비교하고 해석한다. [10-2] 인종, 민족, 종교, 최빈 개도국, 아프리카 등 다양한 영역별 국가 간 불평등 문제에 대해 이해한다. SDG 10 세계의 인문환경과 인문 경관 [12세지03-04]세계 주요 식량 자원의 특성과 분포 특징을 조사하고, 식량 생산 및 그 수요의 지역적 차이에 따른 국제적 이동 양상을 분석한다. [2-2-2] 식량 대책, 영양개선, 지속가능한 농업 강화의 3가지 영역에서의 기아 종식을 위한 방안을 모색한다. 지속가능한 식량 생산 SDG 2 [12세지03-05]세계 주요 에너지 자원의 특성과 분포 특징을 조사하고, 에너지 생산 및 그 수요의 지역적 차이에 따른 국제적 이동 양상을 분석한다. [7-2 학교, 생활 등 다양한 에너지 자원과 사용, 환경오염에 대해 안다. 에너지 SDG 7 몬순 아시아와 오세아니아 [12세지04-02]몬순 아시아와 오세아니아의 주요 국가의 산업 구조를 지역의 대표적 자원 분포 및 이동과 관련지어 비교 분석한다. [9-1] 우리나라와 전 세계의 산업화 현상과 진행에 대해 이해한다. SDG 9 [12세지04-03]몬순 아시아와 오세아니아의 주요 국가들에서 보이는 민족(인종)이나 종교적 차이를 조사하고, 이로 인한 최근의 지역 갈등과 해결 과제를 파악한다. [10-2] 인종, 민족, 종교, 최빈 개도국, 아프리카 등 다양한 영역별 국가 간 불평등 문제에 대해 이해한다. 문화다양성 SDG 2 건조 아시아와 북부 아프리카 [12세지05-02]건조 아시아와 북아프리카의 주요 국가의 산업 구조를 화석 에너지 자원의 분포와 관련지어 비교 분석한다. [7-2 학교, 생활 등 다양한 에너지 자원과 사용, 환경오염에 대해 안다. 에너지 SDG 7 유럽과 북부 아메리카 [12세지06-01]유럽과 북부 아메리카의 주요 공업 지역과 그 형성 배경을 조사하고, 최근의 변화 과정을 비교 분석한다. [9-1] 우리나라와 전 세계의 산업화 현상과 진행에 대해 이해한다. SDG 9 서하라 이남 아프리카와 중∙남부 아프리카 [12세지07-01]중・남부 아메리카의 주요 국가들에서 나타나는 도시 구조의 특징 및 도시 문제를 지역의 급속한 도시화나 민족(인종)의 다양성과 관련지어 탐구한다. [9-2] 환경문제 등 지금까지의 산업화 현상과 과정에 대해 이해하여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산업화 과정을 알아본다. SDG 9 [12세지07-02]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주요 국가들이 겪고 있는 분쟁 및 저개발의 실태를 파악하고, 그 주요 요인을 식민지 경험이나 민족(인종) 및 종교 차이와 관련지어 추론한다. [9-3] 미개발 국가, 개발도상국가, 선진국의 산업화의 현황과 공정성을 이해하고,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올바른 산업화 지원과 혁신을 도모한다. SDG 9 [12세지07-03]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와 중・남부 아메리카에서 나타나는 자원 개발의 주요 사례들을 조사하고 환경 보존이나 자원의 정의로운 분배라는 입장에서 평가한다. [9-3] 미개발 국가, 개발도상국가, 선진국의 산업화의 현황과 공정성을 이해하고,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올바른 산업화 지원과 혁신을 도모한다. SDG 9 공존과 평화의 세계 [12세지08-01]경제의 세계화가 파생하는 효과들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경제의 세계화에 대응하여 여러 국가들이 공존을 위해 결성한 주요 경제 블록의 형성 배경 및 특징을 비교 분석한다. [1-3-2] 국가 간 경제적 평등에 대해 이해하고 상생의 경제생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시장경제 SDG 1 공존과 평화의 세계 [12세지08-02]지구적 환경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국제적 노력이나 생태 발자국, 가뭄 지수 등의 지표들을 조사하고, 우리가 일상에서 실천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안한다. [17-3] 전지구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지속가능발전목표)을 찾아 실천한다. 기후변화 SDG 17 환경문제 고등학교 세계사 유럽∙아메리카 지역의 역사 [12세사04-04]시민 혁명과 국민 국가의 형성 과정을 이해하고, 산업 혁명의 세계사적 의미를 해석한다. [9-1] 우리나라와 전 세계의 산업화 현상과 진행에 대해 이해한다. SDG 9 고등학교 경제 경제생활과 경제 문제 [12경제01-01]사람들의 경제생활에서 희소성이 존재함을 인식하고 합리적 선택의 필요성을 이해한다. [1-1] 우리의 삶에서 경제생활의 중요성을 시장경제 SDG 1 [12경제01-02]다양한 사례를 통해 비용과 편익을 고려하여 선택하는 능력을 계발하고 매몰 비용은 의사 결정 과정에서 고려하지 않아야 함과 인간은 경제적 유인에 반응함을 인식한다. [1-1] 우리의 삶에서 경제생활의 중요성을 시장경제 SDG 1 [12경제01-03]경제 문제를 해결하는 다양한 방식의 장단점을 비교하고, 시장경제의 기본 원리와 이를 뒷받침하는 사회 제도를 파악한다. [1-1] 우리의 삶에서 경제생활의 중요성을 시장경제 SDG 1 경제생활과 경제 문제 [12경제02-01]시장 가격의 결정과 변동 원리를 이해하고, 수요와 공급의 원리를 노동 시장과 금융 시장 등에 적용한다. [1-2-1] 경제적 평등에 대해 이해하고 함께 살아가는 경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시장경제 SDG 1 [12경제02-02]경쟁 시장에서 결정된 시장 균형을 통해 자원 배분의 효율성(총잉여의 극대화)이 이루어짐을 이해한다. [1-2-1] 경제적 평등에 대해 이해하고 함께 살아가는 경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시장경제 SDG 1 [12경제02-03]경쟁의 제한, 외부 효과, 공공재와 공유 자원, 정보의 비대칭성 등 시장 실패가 나타나는 요인을 파악한다. [1-2-1] 경제적 평등에 대해 이해하고 함께 살아가는 경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시장경제 SDG 1 [12경제02-04]시장 실패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정부의 시장 개입과 그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문제점을 이해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1-2-1] 경제적 평등에 대해 이해하고 함께 살아가는 경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시장경제 SDG 1 국가와 경제활동 [12경제03-01]경제 성장의 의미와 요인을 이해하고 한국 경제의 변화와 경제적 성과를 균형 있는 시각에서 평가한다. [1-2-1] 경제적 평등에 대해 이해하고 함께 살아가는 경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시장경제 SDG 1 [12경제03-02]경제의 순환 과정을 이해하고 경제 주체의 지출과 소득으로 국민경제활동 수준을 파악한다. [1-2-1] 경제적 평등에 대해 이해하고 함께 살아가는 경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시장경제 SDG 1 국가와 경제활동 [12경제03-03]실업과 인플레이션의 발생 원인과 경제적 영향을 알아보고, 그 해결 방안을 모색한다. [1-2-1] 경제적 평등에 대해 이해하고 함께 살아가는 경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시장경제 SDG 1 [12경제03-04]총수요와 총공급을 이용하여 경기 변동을 이해하고 재정 정책과 통화 정책을 통한 경제 안정화 방안을 모색한다. [1-2-1] 경제적 평등에 대해 이해하고 함께 살아가는 경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시장경제 SDG 1 세계 시장과 교역 [12경제04-01]비교 우위에 따른 특화와 교역을 중심으로 무역 원리를 파악하고, 자유 무역과 보호 무역 정책의 경제적 효과를 이해한다. [1-3-2] 국가 간 경제적 평등에 대해 이해하고 상생의 경제생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시장경제 SDG 1 [12경제04-02]외환 시장에서 환율이 결정되는 과정과 환율 변동이 국가 경제 및 개인의 경제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한다. [1-3-1] 국가 간 비교 우위에 따른 특화와 교역이 발생하며, 외환 시장에서 환율이 결정된다. 이에 따른 국가의 계층화 문제를 이해한다. 시장경제 SDG 1 경제생활과 금융 [12경제05-01]현대 경제생활에서 금융의 의미와 중요성을 인식하고, 현재와 미래의 삶을 위하여 수입, 지출, 신용, 저축, 투자의 의미와 역할을 이해한다. [1-1] 우리의 삶에서 경제생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시장경제 SDG 1 [12경제05-02]수입과 지출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인식하고, 개인 자산과 부채의 합리적인 관리 방법을 파악한다. [1-1] 우리의 삶에서 경제생활의 중요성을 이해한다. 시장경제 SDG 1 고등학교 정치와 법 민주주의와 헌법 [12정법01-01]정치의 기능과 법의 이념을 이해하고, 민주주의와 법치주의의 발전 과정을 분석한다. [16-1] 평화롭고 포용적인 사회 증진과 모두의 정의 실현을 위한 법과 제도의 의미와 형성과정에 대해 이해한다. 거버넌스 SDG 16 [12정법01-02]헌법의 의의와 기능을 이해하고, 우리 헌법의 기본 원리를 탐구한다. [16-1] 평화롭고 포용적인 사회 증진과 모두의 정의 실현을 위한 법과 제도의 의미와 형성과정에 대해 이해한다. 거버넌스 SDG 16 [12정법01-03]우리 헌법에서 보장하는 기본권의 내용을 분석하고, 기본권 제한의 요건과 한계를 탐구한다. [16-1] 평화롭고 포용적인 사회 증진과 모두의 정의 실현을 위한 법과 제도의 의미와 형성과정에 대해 이해한다. 거버넌스 SDG 16 개인 생활과 법 [12정법04-01]민법의 의의와 기능을 이해하고, 민법의 기본 원리를 탐구한다. [16-2] 아동 성폭력 예방, 인권문제 등 우리와 관련 있는 법과 제도의 현황과 그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거버넌스 SDG 16 [12정법04-02]재산 관계(계약, 불법행위)와 관련된 기본적인 법률 내용을 이해하고, 이를 일상생활의 사례에 적용한다. [16-2] 아동 성폭력 예방, 인권문제 등 우리와 관련 있는 법과 제도의 현황과 그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거버넌스 SDG 16 [12정법04-03]가족 관계(부부, 부모와 자녀)와 관련된 기본적인 법률 내용을 이해하고, 이를 일상생활의 사례에 적용한다. [16-2] 아동 성폭력 예방, 인권문제 등 우리와 관련 있는 법과 제도의 현황과 그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거버넌스 SDG 16 사회생활과 법 [12정법05-01]형법의 의의와 기능을 죄형 법정주의를 중심으로 이해하고, 범죄의 성립 요건과 형벌의 종류를 탐구한다. [16-2] 아동 성폭력 예방, 인권문제 등 우리와 관련 있는 법과 제도의 현황과 그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거버넌스 SDG 16 사회생활과 법 [12정법05-02]형사 절차에서 인권을 보장하는 원칙을 이해하고 이를 실현하기 위한 제도를 탐구한다. [16-2] 아동 성폭력 예방, 인권문제 등 우리와 관련 있는 법과 제도의 현황과 그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거버넌스 SDG 16 [12정법05-03]법에 의해 보장되는 근로자의 기본적인 권리를 이해하고, 이를 일상생활의 사례에 적용한다. [16-2] 아동 성폭력 예방, 인권문제 등 우리와 관련 있는 법과 제도의 현황과 그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거버넌스 SDG 16 국제 관계와 한반도 [12정법06-01]오늘날의 국제 관계 변화(세계화 등)를 이해하고 국제 사회에서 국제법이 지닌 의의와 한계를 탐구한다. [16-2] 아동 성폭력 예방, 인권문제 등 우리와 관련 있는 법과 제도의 현황과 그 영향에 대해 알아본다. 거버넌스 SDG 16 [12정법06-02]국제 문제(안보, 경제, 환경 등)를 이해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