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의적 체험활동
- 위치
- 경기도 포천시 소홀읍 광릉수목원로 415
- 이슈캘린더
- 7월 16일, 초복 初伏
- 소관부처
- 담당부서명
- 국립수목원
- 이메일
- 팩스
- 031-540-1088
- 분류
- 체험시설,자연
- 태그
-
DMZ자생식물원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 광릉숲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기념비 세계문화유산 생물권보전지역
- 조회수
- 18637
소개
국립수목원은 행정구역으로는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직동리, 지리적으로는 중앙에는 소리봉(해발 536.8m), 남단에는 천점산(해발 392m), 서쪽에는 용암산(해발 479.6m)이 주봉으로 광릉숲의 한가운데 동향으로 자리 잡고 있다.
전문전시원의 경우 1984년부터 조성하기 시작하여 1987년에 완공되었으며, 식물의 용도, 분류학적 특성 또는 생육 특성에 따라 수생식물원, 식·약용식물원 등 24개의 전문전시원이 조성되어 있다. 총 102ha의 면적에 3,873종류의 식물을 식재하여 일반 방문객은 물론 식물전공 학생과 전문가들에게 현장학습 장소로 활용되고 있다.
전문전시원은 관상 가치가 높은 나무를 모아 배치한 관상수원, 꽃이 아름다운 나무를 모아 전시한 화목원, 습지에 생육하는 식물을 모아놓은 습지식물원 이외에도 수생식물원, 식·약용식물원, 희귀·특산식물 보존원, 소리정원, 덩굴식물원, 손으로 보는 식물원, 난대식물 온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1987년 4월 5일 개관한 산림박물관은 우리나라 산림과 임업의 역사와 현황, 미래를 설명하는 각종 임업사료와 유물, 목제품 등 4,900점에 이르는 자료들이 전시되어 있다. 2003년도에 완공된 산림생물표본관은 국내외 식물 및 곤충표본, 야생동물 표본, 식물종자 등 116만 점 이상이 체계적으로 저장, 관리되고 있으며, 2008년도에 완공된 열대식물자원연구센터는 족보가 있는 열대식물 2,703여 종이 심겨 있어 연구에 활용되고 있다.
▶ 이용안내 * 2022년 6월 기준
⊙ 안내센터 문의 : 031-540-2000
⊙ 관람시간
° 하절기 (4월~10월) 09:00~18:00 (입장마감 17:00)
° 동절기 (11월~3월) 09:00~17:00 (입장마감 16:00)
⊙ 개원일
° 화요일~일요일 / 1, 2, 12월 매주 일요일 휴원
⊙ 휴원일
° 월요일, 1월 1일, 설날 및 추석 연휴
⊙ 입장요금
° 어른 : 1,000원
° 청소년 : 700원
- 중·고생 또는 만 13세 이상 만 19세 이하인 자
- 대학생 (학생증 소지자)
- 군인 (하사 이하)
° 어린이 : 500원
- 초등학생 또는 만 7세 이상 만 12세 이하인 자
▶ 활용방안
⊙ 산림박물관
제1전시실 (살아있는 숲)
제2전시실
제3전시실
제4전시실
제5전시실
특별전시실
소장품
⊙ 유네스코생물권보전지역 - 광릉숲
° 문의 : 연구기획팀 권혜진, 031-540-2034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에 선정된 생물다양성의 보고, 광릉숲
2010년 6월 2일 개최된 유네스코 인간과 생물권계획(MAB : Man and the Biosphere Programme) 국제조정이사회에서 우리나라 최대의 산림보고인 광릉숲이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선정되었다.
생물권보전지역(Biosphere Reserve)은 유네스코가 주관하는 보호지역(생물권보전지역, 세계유산) 중 하나로, 생물다양성의 보전과 이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조화시키기 위해 지정한다.
생물권보전지역은 지정되기 위한 조건을 갖춘 지역 중에서 관련 국가의 MAB 위원회의 요청에 따라 국제조정이사회가 지정하며,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되면 해당 지역은 핵심지역, 완충 지역, 전이 지역의 3개 구획으로 구분되어 체계적으로 관리된다. 광릉숲은 설악산(1982), 제주도(2002), 신안 다도해(2009)에 이어 국내에서 4번째로 선정되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특히 수도권 지역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된 광릉숲은 어떤 곳일까?
국립수목원의 산책로 2010년 6월 2일 파리에서 개최된 유네스코 인간과 생물권계획(MAB) 국제조정이사회에서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된 광릉숲은 설악산(1982), 제주도(2002), 신안 다도해(2009)에 이어 국내에서 4번째로, 한반도에서는 백두산(1989), 구월산(2004), 묘향산(2005)을 포함하여 7번째로 지정된 곳이다.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선정된 광릉숲과 그 주변 지역의 총면적은 24,465ha로 소리봉과 죽엽산을 중심으로 한 천연활엽수 극상림 지역인 핵심지역이 755ha, 생물다양성 보존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교육의 장으로 산림생물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완충지대(국립수목원, 산림생산기술연구소 ,시험림, 문화재청 소관 능림, 봉선사 사찰림)가 1,657ha, 주거지나 경작지 등으로 구성되어 지속 가능한 개발 등의 경제활동이 이루어지는 전이지역(광릉숲 영향권 내 포천시, 남양주시, 의정부시)이 22,053ha이다.
광릉숲은 일제 강점기와 한국전쟁 당시에도 화재가 없어 550여 년간 자연림으로 잘 보존되어 왔으며 천연활엽수림인 서어나무, 갈참나무, 신갈나무, 졸참나무 등이 주종을 이루는 온대북부의 대표적인 극상림이다.
식물은 946분류군과 동물로는 조류 180종, 포유류 32종, 곤충류 3,986종이 서식하고 있다. 대표적인 희귀종으로 식물은 광릉요강꽃, 동물에는 하늘다람쥐, 장수하늘소, 까막딱다구리 등 20여 종의 천연기념물이 서식하고 있어 우리나라의 단위면적당 생물다양성이 높다.
1929년 학술보존림으로 지정되었으며, 국내 임업의 산실이자 산림생물종 연구의 메카로 자리잡았다. 광릉숲에서 생육하고 있는 모든 나무의 재적은 307㎥로 선진국 수준이며 광릉숲 국립수목원은 조사 ㆍ분류ㆍ보존ㆍ자원화 등 산림생물종의 연구 중심지이다.
⊙ DMZ자생식물원 - 강원 양구군 해안면 만대리
° 문의 : DMZ산림생물자원보전과 윤정원, 033-480-3040
° 도입시설 : 국제연구센터, 숙소동, 전시원, 보존원 등
° 주요기능
- 생물다양성이 풍부한 DMZ & CCA의 식물조사ㆍ수집ㆍ보존ㆍ연구
- DMZ 일원의 훼손된 생태계의 복원 및 우수한 생태계의 보전
- 산업화 가능한 북방계 식물자원 발굴 및 증식기술 개발
- DMZ의 역사ㆍ문화 및 자연ㆍ생태자원을 활용한 교육ㆍ체험ㆍ생태관광 등 대국민 서비스 제공
DMZ는 한반도의 동서를 잇는 국토생태네트워크의 핵심벨트로 분단 이후 50여 년간 민간인의 접근이 통제ㆍ제한되어 왔기 때문에 그 어느 지역에서도 찾아 볼 수 없는 독특한 자연생태계를 형성하고 있다. 이 지역은 자연경관이 우수하고 생물다양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주요 희귀 야생동식물이 서식하고 있어 세계적으로 자연생태계의 보고로 인정을 받고 있고 경제적ㆍ학술적 가치에 있어서도 높은 평가를 받고 있는 곳이다. 현재 비무장지대 및 인접지역의 생물상은 식물 2,237종, 어류 106종, 양서ㆍ파충류 29종, 조류 201종, 포유류 52종을 차지한다. 이는 비무장지대 주변이 면적에 비해 가장 다양한 생물종을 가진 생물다양성의 보고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비무장지대 내에는 더욱 다양한 동ㆍ식물이 존재하리라 예측된다.
국립수목원은 이러한 DMZ의 다양한 식물자원 중 특히, 북방계 지역의 식물자원을 수집·보전하고, 통일 후 북한지역의 산림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한 연구 그리고 동서 생태축을 연결하는 DMZ지역의 희귀, 특산식물을 보전하고자 강원도 양구군 해안면 만대리에 DMZ자생식물원을 조성하였다.
DMZ자생식물원은 크게 5개의 전시원으로 구성되었다. DMZ와 북방계식물 중 고산지역에서 서식하고 있는 식물을 보전하기 위한 ‘고산식물원’과 DMZ지역의 식물을 수집ㆍ보전하는 ‘DMZ보전원’, DMZ 서부평야지역의 습지, 임진강, 한강의 저층습지를 보전하기 위한 ‘저층습지원’, 대암산 용늪 등을 보전하기 위한 ‘고층습지원’, DMZ의 모습과 전쟁의 흔적 등을 전시하는 ‘DMZ기억의 숲’ 등으로 조성되었다.
▶문의
국립수목원(광릉숲)
경기도 포천시 소홀읍 광릉수목원로 415
○ TEL : 031-540-2000
○ FAX : 031-540-1088
○ SITE: https://kna.forest.go.kr/kfsweb/kfs/subIdx/Index.do?mn=UKNA
- 창의인성교육넷 크레존은 창작자의 저작권을 존중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 창작자의 저작권 및 기타 문의는 아래 메일로 내용을 보내주시면 확인 후 조치하겠습니다.
- 크레존 대표메일 : crezone@kofac.re.kr
위치정보
담당자
- 담당자 이름 :
- 국립수목원
- 담당자 소속 :
- 국립수목원
- 담당자 연락처 :
- 031-540-2000
첨부파일
관련자료 :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등록프로그램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광릉수목원로 415
- 모집정원
- 20명명
- 운영기간
- 2016-03-01 ~ 2016-11-30
- 운영장소
- 국립수목원
- 조회
- 948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광릉수목원로 415
- 모집정원
- 30명명
- 운영기간
- 2016-08-04 ~ 2016-08-04
- 운영장소
- 국립수목원
- 조회
- 788
-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 광릉수목원로 415
- 모집정원
- 200명명
- 운영기간
- 2016-04-01 ~ 2016-10-31
- 운영장소
- 국립수목원
- 조회
- 1018
관련 수업모델
- 관련 수업모델이 없습니다.
주변 추천 관광 정보
- 다음글
- 국립생물자원관

- 0
- /100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