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레존

통합검색

찾기

창의적 체험활동 자원

다부동전적기념관
위치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호국로 1486
이슈캘린더
6월, 호국보훈의 달
소관부처
국가보훈처
담당부서명
다부동전적기념관
이메일
팩스
054-972-5625
홈페이지
http://www.dabu.or.kr/
분류
체험시설,전시/공연시설,문화재/역사
태그
참전용사 다부동전투 구국용사충혼비 구국경찰충혼비 호국인물 구국정신
조회수
595
소개


다부동전적기념관은 북한의 6·25 기습남침으로 3일만에 수도 서울을 빼앗기고 나라의 운명이 백척간두(百尺竿頭)에 처했을 때, 불퇴전(不退轉)의 투혼으로 오늘의 대한민국을 있게 한 “구국(救國)의 현장”으로써 다시는 이 땅에 전쟁의 참극을 겪지 않도록 실천적 결의를 다지는 곳입니다.


이를 위해 우리 기념관에서는 구국의 정신과 평화의 소중함을 후대에 길이 전하기 위해「국민과 함께하는 기념관」,「역사가 흐르는 기념관」,「가슴으로 느끼는 기념관」으로 발전시켜 나가는데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 이용안내 * 2022년 6월 기준

⊙ 관람시

하계(3월~10월) : 09:00 ~ 18:00

동계(11월~2월) : 09:00 ~ 17:30

⊙ 휴관일 : 설/추석 명절

⊙ 관람요금 : 무료


▶ 활용방안

⊙ 전시

- 기념관전시실 : T.T 권총 Pistol (러시아 Russia), 45구경 권총 Pistol (미국 USA), 98K 소총 Rifle (독일 Germany), 56식 AK소총 Rifle (중국 China), 시모노프 소총 Simonov Rifle (러시아 Russia), 모시나칸트 소총 Mosin-Nagant Rifle (러시아 Russia), 칼빈소총 Carbine rifle (미국 USA), M1 소총 Rifle (미국 USA), PPS-43 기관총 Machine gun (중국 China), PPSH-41 기관총 Short machine gun(중국China), STEN-MKⅡ 기관단총 Short machine gun (영국 UK), DP 경기관총 Light machine gun (러시아 Russia), LMG 경기관총 Light machine gun (미국 USA), RPD 경기관총 Light machine gun (중국 China), RPG-2 대전차 로켓 유탄발사기 Antitank Grenade launcher (러시아 Russia), M-79 유탄발사기 Grenade launcher (미국 USA), 탄입대 Catridge bag (북한 DPRK), 배낭 Knapsack (북한 DPRK), 목함반 보병 지뢰 Mine (북한 DPRK), 야전삽 Field shovel (북한 DPRK), 수통 Water bottle (중국 China), 숟가락 spoon (북한 DPRK), 단도 bayonet (북한 DPRK), 60㎜ 박격포 Mortar (미국 USA), 90㎜ 로켓포 Rocket gun (중국 China), 3.5"로켓포 Rocket gun (미국 USA), 81㎜ 박격포 Mortar (미국 USA), 57㎜ 무반동총 Recoilless Projection Gun (미국 USA)


- 야외전시장비 : T-37C(TWEET), M60A3 전차, M113 장갑차, UH-1H 헬리콥터, M48A2C 전차, CM6614 장갑차, 37mm 직사포, 45mm 직사포, 57mm 직사포, 122mm 곡사포, 75m 곡사포, 40mm 대공포, 나이키 유도탄, F-86F(SABRE), 8인치 자주포, 호크(HAWK)미사일


- 백선엽장군 호국구민비

6·25전쟁 당시 국군1사단장이었던 백선엽장군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1951년 4월, 마을주민들이 칠곡군 가산면 다부1리 산97-1번지(소야재)에 세웠던 호국구민비로 2003년 8월 29일 다부동전적기념관으로 이전하였다.


- 구국용사충혼비

이곳은 6·25 전쟁 최대의 격전지로서 조국의 운명이 풍전등화의 위기에 처해 있을 때, 국군을 비롯한 유엔군, 경찰, 학도병, 지역주민 등 모두가 구국의 일념으로 함께 싸워 적의 공세를 막아내고 반격의 기틀을 마련한 곳이다. 이에 6·25전쟁 45주년을 맞이하는 1995년 6월 24일, 당시 조국을 구하려고 싸우다 산화하신 수많은 구국용사들의 유골을 수습하여 여기 양지바른 곳에 봉인하고, 님들의 넋을 기리고자 구국용사충혼비를 세웠다.


- 구국경찰충혼비

경찰은 건국 · 구국 · 호국 · 민주경찰로서 역사의 구비마다 혼신의 힘을 기울여 나라와 국민을 위하여 임무수행에 최선을 다해왔다.

특히 1950년 6·25전쟁이 일어난 그 해 8월, 북한군은 대구 점령을 목표로 낙동강전선에 전투력을 증강하여 총공격을 시작하면서 대구 중심가에 포탄이 떨어지고, 영천이 무너지는 등 전황이 극도로 불리해지자 정부를 비롯한 국방부는 물론, 미8군사령부까지 부산으로 이동하고 마지막으로 경찰도 철수하라는 요청이 있었다. 하지만, 당시 경찰총수였던 조병옥 내무부장관은 "대구를 적에게 내주는 것은 나라를 내주는 것과 같다", "우리 경찰만이라도 대구방어에 반드시 대구를 사수하여야 한다"는 필사의 굳은 결의로 공포에 사로잡힌 70만 대구시민을 보호하고 군과 더불어 구국불퇴의 결사항전으로 대구방어에 큰 몫을 다함으로써 맥아더장군이 지휘한 인천상륙작전의 성공적 발판을 만들어 전쟁 국면을 반전시키는 계기를 마련하여 구국경찰의 역할을 휼륭이 수행하였다.


이와 같이 경찰은 대구를 지키기 위한 낙동강 방어 전투에서 15,000여 명이 참전하여 전시기록에 있는 197명의 구국경찰이 나라를 위해 장렬하게 산화하였는 바, 이는 경찰의 대구사수 정신이 되어 전사에 길이 빛나고 있다. 하지만, 반세기가 훌쩍 넘은 오늘에 이르기까지 안식처조차 마련하지 못하여 매우 안타깝게 여기어 오던 중 경북지방경찰청을 방문한 이무영 경찰청장께서 전용찬 경북청장이 건의한 구국경찰충혼비 건립계획을 보고 받고 적극적으로 지원함으로써 구국경찰의 성지인 이곳 다부동 6·25 견적지에 전국에서 처음으로 구국경찰충혼비로 이름한 비를 건립하여 조국을 위해 몸바치신 영령들의 넋을 위로하고, 참전경찰관들의 이름을 새겨 작은 소망이나마 이루도록 하였으며, 구국정신을 일깨워줄 수 있는 산교육의 터전과 참배 장소로 활용하기 위하여 전 경찰의 뜻을 모아 구국경찰충혼비를 세우게 되었다.


⊙ 기념관 배치안내 

1. 인트로(포토존) 2. 지연전 3. 개인화기 유물실 4. 전쟁 추모 5. 치열한 공방전 6. 다부동, 그날을 돌아보다 7. 공용화기 유물실 8. 반격 9. 숭고한 희생 10. 참전용사 이야기 11. 공세역전의 시발점


▶ 문의 

다부동전적기념관

경상북도 칠곡군 가산면 호국로 1486

○ TEL : 054-973-6313, 054-979-6625

○ FAX : 054-972-5625

○ SITE : http://www.dabu.or.kr/

  • 창의인성교육넷 크레존은 창작자의 저작권을 존중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 창작자의 저작권 및 기타 문의는 아래 메일로 내용을 보내주시면 확인 후 조치하겠습니다.
  • 크레존 대표메일 : crezone@kofac.re.kr
위치정보
담당자
담당자 이름 :
다부동전적기념관
담당자 소속 :
다부동전적기념관
담당자 연락처 :
054-973-6313, 054-979-6625
첨부파일
관련자료 :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등록프로그램
  • 등록된 프로그램이 없습니다.
관련 수업모델
  • 관련 수업모델이 없습니다.
주변 추천 관광 정보
0
0
/1000자

빠른 이동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