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이한열은 1987년 6월 9일 시위에 참여했다가 경찰이 쏜 최루탄에 맞고 쓰러졌습니다. 그는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86학번으로, 27일간 세브란스 중환자실에서 사경을 헤매다 7월 5일 세상과 이별하였습니다.
그의 죽음을 안타까워하는 이들이 1987년 8월 ‘故 이한열 열사 추모사업회(회장 오충일)’를 만들었습니다. 이는 1989년 6월 ‘이한열 추모사업회(이사장 성내운)’로 명칭을 바꿨습니다. 이한열 추모사업회는 추모 사진집을 발간하고, 추모비를 연세대학교 학생회관 옆 동산에 세웠습니다. 또한 그의 일기와 편지 등을 모아 추모 문집을 발행하였습니다.
2008년 그를 기억하는 몇몇이 모여 이한열장학회를 만들었습니다. 2017년 6월 현재 150명이 넘는 학생에게 2억 원이 넘는 장학금을 지급하였습니다. 2013년부터 연세대학교 교지인 《연세》지와 함께 ‘이한열문학상’도 공동으로 주최합니다. 매월 500여명의 후원회원들이 1만 가량의 후원금으로 만들어낸 성과입니다. 이한열장학회를 기반으로 2010년 사단법인 이한열기념사업회가 출범합니다.
이한열기념사업회는 매해 6월 9일 이한열문화제와 7월 5일 광주 망월동 그의 묘소에서 추모 예배를 진행합니다. 2004년 국가로부터 받은 배상금을 가족이 내놓아 마련한 터에 모금을 더해 이한열기념관을 세웠습니다. 이곳에서는 이한열의 유품과 87년 6월항쟁 관련 자료들을 전시하고 있습니다.
▶ 관람시간
평일 : 오전 10시~ 오후 5시
주말과 공휴일은 홈페이지 예약으로 운영합니다.
방문예약 : http://www.leememorial.or.kr/?tpf=board/list&board_code=5
▶ 문의
이한열기념관
서울특별시 마포구 신촌로 12나길 26
○ TEL : 02-325-7216
○ SITE : http://www.leememorial.or.kr/
: 이한열 기념관
※창의인성교육넷 크레존은 창작자의 저작권을 존중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창작자의 저작권 및 기타 문의는 아래 메일로 내용을 보내주시면 확인 후 조치하겠습니다.
크레존 대표메일 : crezone@kofac.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