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충남대학교는 대덕R&D특구, 행정중심복합도시, 정부대전청사, 특허법원, 3군 본부 등 국가 전략기관들이 주변에 위치하고 있어 좋은 교육, 연구 여건을 갖추고 있다. 1952년 5월 도립 충남대학교로 설립인가를 받아 문리과대학(문과, 이과, 법학과), 농과대학(농학과, 농업토목학과), 공과대학(건축공학과, 섬유공학과) 등 3개 단과대학으로 출발하였다. 1954년 문리과대학이 국문학, 영문학, 사학, 철학, 법학과 등 8개 학과로 늘었으며, 공과대학을 신설하였다. 1957년 대학원(국문학과, 철학과, 화학과, 농학과, 축산학과) 설립인가를 받았다.
1962년 대학정비령에 의해 도립 충북대학교 와 일시 통합하여 국립 충청대학교로 새로 발족하였으나 이듬해 국립 충남대학교와 국립 충북대학교로 다시 분리되었으며, 충남대학교에는 농과대학이 부활하였다. 1964년 5월 법경대학을 신설했다. 1972년 7월 의과대학 부속병원을 개원했다. 1973년 대학교육 개선을 위한 실험대학으로 선정되었다. 1977년 3월 공과대학을 공업교육대학으로 개편했다. 1985년 약학대학과 의약품개발연구소를 신설하고, 공업교육대학을 공과대학으로 다시 개편했다. 1991년 3월 수의과대학을 신설했다. 1994년 11월 교육부에 의해 공과대학이 국책공과대학으로 지정되었다. 1995년 8월 충남대학교병원을 법인화했다. 1997년 6월 약학대학 부속 약초원이 비법정기구로 설립되었다.
2000년 3월 특허법무대학원을 신설했다. 2004년 9월 자연사박물관을 개관했다. 2005년 2월 모바일 캠퍼스를 개통하고, 10월에는 인문대학부설 통역번역원을 설립했다. 2010년 3월 녹색에너지기술전문대학원과 신약전문대학원을 신설했다. 2013년 충남대가 ’2013년 대학발전기금 실적’에서 전국 국립대 중 1위를 차지했다. 2014년 7월 교육부가 주관하는 대학특성화사업에서 9개 사업단이 선정돼 전국 1위를 차지함에 따라 매년 70억원을 5년간 받게 되었다. 또 전국 60개의 학과를 선정, 지원하는 ‘지역특성화 우수학과(명품 학과)’에 기계공학과, 약학과가 선정됐다.
▶ 활용방안
2014년 기준 대학은 인문대학, 사회과학대학, 자연과학대학, 경상대학, 공과대학, 농업생명과학대학, 법과대학, 약학대학, 의과대학, 생활과학대학, 예술대학, 수의과대학, 사범대학, 간호대학, 생명시스템과학대학 등 15개 단과대학, 자유전공학부, 군사학부 등 2개 학부, 90개 학과, 13개 전공으로 구성돼 있다. 대학원에는 일반대학원 외에 경영대학원, 교육대학원, 행정대학원, 보건대학원, 산업대학원, 특허법무대학원, 평화안보대학원, 의학전문대학원, 법학전문대학원, 분석과학기술대학원, 녹색에너지기술전문대학원, 신약전문대학원, 국가정책대학원 등 14개 대학원이 설치돼 있다.
해외 43개국 231개 대학 및 기관과 자매 결연을 맺고 교환학생, 복수학위, 글로벌 인재양성을 위한 SAP(Study Abroad Program, 해외파견 장학프로그램), 방문학생, 단기연수, 해외인턴십 등의 해외 파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GSP(글로벌장학프로그램), GIP(글로벌인턴쉽프로그램), ISS(국제여름학교) 등의 프로그램을 통해 우수한 외국 학생들을 유치하고 있다. 2014년 기준 연간 해외 파견학생은 360여 명이며, 외국인 유학생은 36개국에서 온 900여 명이다.
부속시설로 박물관, 자연사박물관, 도서관, 과학영재교육원, 나노·신소재공학원, 인문대학 통역번역원, 수의과대학 동물병원, 약학대학 약초원 등이 있다. 부설연구소로는 역학연구소(易學硏究所), 과학수사연구소, 백제연구소, 생물공학연구소, 의약품개발연구소, 충청문화연구소, 한자문화연구소, 환경생물시스템연구소 등 77개 연구기관이 활동하고 있다.도서관은 연면적 26,620제곱미터에 4,000여 석의 열람석을 갖추고 있으며, 157만여 권의 단행본과 2만 4,000여 종의 학술지(전자저널 포함)와 40여 종의 학술DB를 보유하고 있다. 기숙사는 2,230실을 갖추고 4,323명을 수용하고 있다.
▶ 문의
충남대학교
대전광역시 유성구 대학로 99
○ TEL : 042-821-5114, 1644-8433 (입학문의)
○ SITE : http://plus.cnu.ac.kr/html/kr/
※창의인성교육넷 크레존은 창작자의 저작권을 존중하여 운영하고 있습니다.
※창작자의 저작권 및 기타 문의는 아래 메일로 내용을 보내주시면 확인 후 조치하겠습니다.
크레존 대표메일 : crezone@kofac.re.kr